KR20180060381A -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381A
KR20180060381A KR1020160159815A KR20160159815A KR20180060381A KR 20180060381 A KR20180060381 A KR 20180060381A KR 1020160159815 A KR1020160159815 A KR 1020160159815A KR 20160159815 A KR20160159815 A KR 20160159815A KR 20180060381 A KR20180060381 A KR 2018006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en
touch
pen
use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호 filed Critical 박종호
Priority to KR1020160159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381A/ko
Publication of KR2018006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터치펜으로 사용할 때는 짧은 길이로 사용할 수 있고, 헤드셋으로 이용할 때는 그 길이를 늘려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터치펜의 몸체의 길이가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최하단부에 펜팁이 설치되고, 내부가 일자형의 중공이 형성된 몸통부와, 몸통부의 상단부에 꺽여지도록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꺽여지는 이어폰부와, 몸통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치 온되는 페어링 스위치와, 몸통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페어링 스위치가 온되면, 마이크와 이어폰부를 마스터 단말기와 페어링 모드로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Touch pen equipped with a Headset function}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 무선 통신기능을 갖는 단말기와 페어링이 가능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팜(palm),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을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 채택하는 전자 기기가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은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에 따라서 크게 감압식 터치스크린과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으로 구분되는데, 감압식은 터치스크린에 인가된 압력을 감지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고, 정전용량식은 터치스크린에 흐르는 미세 전류가 인체의 접촉에 의해서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며, 최근에 나오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정전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팜(palm), 태블릿 PC(tablet PC)의 터치스크린에 정보의 입력은 손으로도 가능하지만 손대신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펜을 화면을 터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업계에서 대부분 사용되는 정전용량식 터치펜은 네일아트한 긴 손톱, 겨울철 두터운 장갑 착용시, 산행, 라이딩 등 장갑 착용시, 남들보다 굵은 손으로 자판 입력이 힘든 경우, 정전기 쇼크 방지, 문자 입력시 손으로는 어려운 정확한 터치 시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터치펜은 터치펜 단일 제품으로도 개발 및 판매되고 있지만, 필기구, 화장품 케이스, 거치대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제품을 결합한 멀티 기능을 갖는 터치펜으로도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576호에는 필기구의 심지가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 부분에 터치 기능이 있는 터치부를 배치함으로써 노트 필기와 함께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을 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터치부가 상기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종래보다 넓은 면적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222호에는 팁의 연결부에 연결고리를 연결하여 핸드폰, 지갑 및 가방에 장착함으로써 항시 휴대가 가능하며, 팁에 터치펜을 적용하여 휴대용 게임기, 전자사전, PMP와 같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가 화장품 케이스로 되어있어 화장품 휴대가 용이한 터치펜 또는 볼펜이 장착된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321호에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형성된 통기 구조와 유연성을 지닌 캡을 이용해 터치감 및 조작감을 향상시킨 터치펜과 볼펜 팁부분이 자동으로 출몰되는 볼펜을 함께 구성하여 그 활용도를 높인 볼펜 겸용 터치펜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451호에는 오랜 반복에도 교체가 필요치 않고 간편하게 휴대기기에 장착할 수 있고 휴대기기 거치시 간편하게 탈착가능하며, 고정부재의 내면에 고정부재 단차와 우레탄 부재를 형성하여 미끄러짐없이 연결체 또는 휴대기기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휴대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펜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팜(palm),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을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 채택하는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유, 무선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팜(palm), 태블릿 PC(tablet PC)와 같은 전자기기의 이어폰과 마이크 간의 거리가 일반적인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도록 디자인되어 있지 않아 통화에 매우 불편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576호 (2012년11월06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222호 (2012년10월17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321호 (2012년08월30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451호 (2013년08월07일)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불편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터치펜을 사용하다가 터치펜의 상단부를 사용자의 일측 귀에다 꽂으면 통신기능을 갖는 단말기와 자동으로 페어링되며, 사용자의 조작으로 터치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기능을 구비한 터치펜은, 최하단부에 펜팁이 설치되고, 내부가 일자형의 중공이 형성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에 꺽여지거나 휘어지도록 설치되는 이어폰부와; 상기 몸통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치 온되는 페어링 스위치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상기 페어링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마이크와 상기 이어폰부를 마스터 단말기와 페어링 모드로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기능을 구비한 터치펜에 따르면, 사용자가 터치펜으로 사용하다가 터치펜의 상단부를 사용자의 일측 귀에다 꽂으면 통신기능을 갖는 단말기와 자동으로 페어링 될 수 있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및 타블렛 PC의 사용자가 터치펜으로 작업이나 게임을 하다가 수신통화나 발신 통화시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사용하지 않고도 터치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 기능을 구비한 터치펜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은, 최하단부에 펜팁이 설치되고, 내부가 일자형의 중공이 형성된 몸통부와, 몸통부의 상단부에 꺽여지거나 휘어지도록 설치되는 이어폰부와, 몸통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치 온되는 페어링 스위치와, 몸통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페어링 스위치가 온되면, 마이크와 이어폰부를 마스터 단말기와 페어링 모드로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통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데, 터치펜으로 사용할 때는 짧게 줄여 사용하고, 헤드셋으로 사용할 때는 길게 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통부는 투명 또는 불투명 사출물로 성형이 가능하며, 내부에 일자형의 소정 형상의 중공이 형성되며, 몸통부의 최하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기능을 갖는 단말기의 일 예인 이동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펜팁이 몸통부의 내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배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펜팁은 전도성 소재의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소프트한 재질이나 단단한 재질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에 구비된 터치센서의 감도가 좋을수록, 즉 터치 면적이 작아도 감지할 수 있는 경우, 펜팁의 경도는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 쌍의 마이크는 몸통부의 하단부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이어폰을 귀에 꽂으면 마이크가 사용자의 입 주위에 위치될 수 있어, 터치펜이 페어링 모드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터치펜심은 펜팁의 일측 끝단부에 밀착되도록 몸통부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터치펜심의 내부에는 딱딱한 막대형상의 전도성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펜의 페어링 모드의 실행을 스위칭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데, 회로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건전지에서 제어회로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 제어한다.
또한, 볼륨 스위치는 제어회로부의 제어에 따라 페어링 모드에서 이동단말기로 발신측 또는 착신측과 통화를 하는 경우 수신된 음성신호의 통화음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표시부(LCD)는 제어회로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 또는 페어링 상태를 포함하는 현재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한편, 건전지는 몸통부의 내부에서 터치펜심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마이너스단에 스프링을 구비한 건전지 케이스를 통해 설치되며, 충전 불가능한 2차 전지나 충전 가능한 2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건전지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어회로부에 건전지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충전부는 충전포트를 통하여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전류를 생성하여 건전지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컴퓨터 또는 전원 어댑터와 연결된 충전 잭이 충전포트에 삽입되어 전원이 충전부로 공급되고, 이때 충전부는 외부 전원을 변환하여 충전 전류를 2차 전지인 건전지로 전달한다. 이때, 충전부는 5V/500mA의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4.2V/600mA의 충전전류를 건전지로 출력하지만, 전압 및 전류의 크기는 사양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회로부의 제어부는 충전부가 충전중이거나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 이를 나타내는 문자나 이미지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은 터치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화면을 가리지 않는 다기 정전식 터치펜이나, 어느 각도에서나 펜팁의 접촉이 정확하게 이뤄지는 eTouch Pen이나, 펜 모양으로 화면에 드래그나 클릭 시에 가볍게 터치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

  1. 최하단부에 펜팁이 설치되고, 내부가 일자형의 중공이 형성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에 꺽여지거나 휘어지도록 설치되는 이어폰부와;
    상기 몸통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치 온되는 페어링 스위치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와;
    상기 페어링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마이크와 상기 이어폰부를 마스터 단말기와 페어링 모드로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기능을 구비한 터치펜.
KR1020160159815A 2016-11-29 2016-11-29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15A KR20180060381A (ko) 2016-11-29 2016-11-29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15A KR20180060381A (ko) 2016-11-29 2016-11-29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381A true KR20180060381A (ko) 2018-06-07

Family

ID=6262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815A KR20180060381A (ko) 2016-11-29 2016-11-29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038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321Y1 (ko) 2011-04-06 2012-09-06 김희승 볼펜 겸용 터치펜
KR200463222Y1 (ko) 2010-03-31 2012-10-30 남효정 터치펜 또는 볼펜이 장착된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KR200463576Y1 (ko) 2011-08-19 2012-11-13 주식회사 눈텍코리아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KR200468451Y1 (ko) 2011-10-27 2013-08-13 표한용 휴대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222Y1 (ko) 2010-03-31 2012-10-30 남효정 터치펜 또는 볼펜이 장착된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KR200462321Y1 (ko) 2011-04-06 2012-09-06 김희승 볼펜 겸용 터치펜
KR200463576Y1 (ko) 2011-08-19 2012-11-13 주식회사 눈텍코리아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KR200468451Y1 (ko) 2011-10-27 2013-08-13 표한용 휴대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2515B2 (en) Wearable device enabling multi-finger gestures
KR100486739B1 (ko) 착용형 휴대폰 및 그 사용방법
US9639181B2 (en) Portable haptic feedback capacitive stylus for interaction on mobile terminal
KR100703323B1 (ko) 헤드셋
US20160109967A1 (en) Stylus
US10342323B2 (en) Ergonomic phone support device
KR101156960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3605433A (zh) 一种多功能人体学输入设备
KR20180019891A (ko) 액티브 스타일러스 펜, 이를 갖는 터치 센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센싱 방법
KR20180060382A (ko) 레이저포인터와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101801489B1 (ko) 헤드셋 기능을 구비한 터치펜
KR2014005945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60381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4A (ko) 자유방향으로 휘어지는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79A (ko) 골진동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3A (ko) 분리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0A (ko) 귀걸이 타입의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10091932A (ko)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KR101142906B1 (ko) 터치스크린의 신호입력 기능을 갖는 이어폰
KR101207913B1 (ko) 꺾어지는 스타일러스펜
KR200327899Y1 (ko) 터치스크린 장치용 손가락 착용 스타일러스 펜
TW201243658A (en) Stylus
KR20160034552A (ko) 전자 펜
TWI687005B (zh) 耳機插頭及耳機
KR20010110615A (ko) 피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작동되는 정보입력장치와 이를이용한 이동정보처리장치와 컴퓨터와 이동통신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