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576Y1 -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 Google Patents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576Y1
KR200463576Y1 KR2020110007707U KR20110007707U KR200463576Y1 KR 200463576 Y1 KR200463576 Y1 KR 200463576Y1 KR 2020110007707 U KR2020110007707 U KR 2020110007707U KR 20110007707 U KR20110007707 U KR 20110007707U KR 200463576 Y1 KR200463576 Y1 KR 200463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writing instrument
pen
writing
tou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눈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눈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눈텍코리아
Priority to KR2020110007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기구의 심지가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부분에 터치기능이 있는 터치부를 배치함으로써 노트 필기와 함께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을 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터치부가 상기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종래보다 넓은 면적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단에 필기구심삽입공이 형성되는 필기구몸체; 상기 필기구심삽입공에 삽입되는 필기구심지; 및, 상기 필기구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연성재질로 형성되는 터치부;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부는 터치면이 구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부의 직경은 상기 필기구몸체의 직경의 80% 내지 120%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PEN WITH TOUCH FUNCTION }
본 고안은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터치패널을 용이하게 터치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터치패널에 흠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모니터를 응용한 전자 제품들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며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현재, 터치 모니터가 가장 많이 응용된 제품은 스마트폰으로써, 현재 개발중인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터치 모니터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터치 모니터를 터치하는 경우, 손을 이용하거나 터치펜을 이용하여 터치하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의 터치모니터를 터치하기 위하여 볼펜의 뚜껑 부분에 터치펜을 장착한 형태의 볼펜이 출시되고 있다.
이 경우, 종래의 터치펜을 구비한 볼펜은 터치펜의 끝이 뽀족한 모서리를 형성한 형태의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뽀족한 모서리를 형성한 터치펜은 스마트폰의 액정에 흠집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나아가, 종래의 뽀족한 모서리를 구비하는 터치펜은 끝이 날카롭기 때문에 터치모니터를 미세하게 터치할 수는 있으나, 넓적 면적을 터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볼펜은 오랜 미사용시에 볼펜팁 근방의 볼펜액이 굳게 되므로, 볼펜액이 나오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볼펜액이 너무 강하게 굳게 되는 경우에 볼펜심지를 교체하거나 볼펜 자체를 폐기처분해야만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기구의 심지가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부분에 터치기능이 있는 터치부를 배치함으로써 노트 필기와 함께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을 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터치부가 상기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종래보다 넓은 면적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볼펜팁 근방에서 볼펜액이 굳어 볼펜팁으로 볼펜액이 흘러나오지 않는 경우에 볼펜액을 용이하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는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는 일단에 필기구심삽입공이 형성되는 필기구몸체; 상기 필기구심삽입공에 삽입되는 필기구심지; 및, 상기 필기구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연성재질로 형성되는 터치부;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부는 터치면이 구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부의 직경은 상기 필기구몸체의 직경의 80% 내지 120%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터치부는 내측에 빈공간의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기구심지는 일단에 볼팁이 형성되고, 타단에 볼펜액을 수용하는 막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는 외측에서 가압시에 상기 필기구몸체의 내측압력을 높힘으로써, 상기 필기구심지의 볼펜액이 상기 볼팁을 통해 용이하게 흘러나오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터치부가 큰 직경을 가지는 연성재질의 구형상으로 구현되어 있어, 터치부가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패널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힘조절에 따라 터치부가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패널을 터치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터치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어 가압되는 경우에 용이하게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터치면적을 늘림과 동시에 내부 필기구몸체의 내부 압력을 높혀 볼펜팁의 볼펜액이 굳게 되는 경우에 볼펜액이 용이하게 흘러나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부를 확대하여 본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가 휴대용전자기기 액정패널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터치부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터치부를 손으로 가압한 상태의 사시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부를 확대하여 본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는 필기구몸체(10), 필기구심지(20) 및, 터치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필기구몸체(10)는 손으로 부여잡을 수 있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필기구심삽입공(11)이 형성된다. 여기서, 필기구몸체(10)는 두 개의 몸통의 분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개의 몸통으로 분리된 필기구몸체(10)는 중앙 근방이 나사결합되어 서로 간에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필기구몸체(10)에는 고정핀(12)이 부착되어 포켓 주머니에 걸치는 형태로 필기구를 거치할 수 있다.
상기 필기구심지(2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필기구몸체(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필기를 위한 단부가 필기구심삽입공(11)에 삽입된다. 여기서, 필기구심지(20)는 볼펜심지, 싸인펜심지, 연필심지와 같이 필기를 위한 도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필기구심지(20)는 필기구몸체(10)의 내측에서 가압되는 경우 단부가 필기구심삽입공(11)을 통해 노출되다가, 가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필기구몸체(10)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30)는 필기구몸체(10)의 타단에 결합된다. 이 경우, 터치부(30)는 터치면이 구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30)가 스마트폰, 노트북, 터치모니터등과 같은 휴대용전자기기 액정패널(1)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30)는 터치면이 구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패널(1)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터치부(30)는 연성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터치부(30)가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패널(1)에 닿게 되는 경우에 접촉면의 일부분이 판판하게 펼쳐져 터치부(30)의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터치부(30)는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패널(1)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터치부(30)의 재질은 연질의 수지 재질이나, 고무재질, 실리콘재질 또는, 이들이 적어도 둘 이상 혼합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부(30)의 직경(DT1)은 필기구몸체(10)의 직경(DT2)의 80% 내지 120%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터치부(30)의 직경(DT1)을 필기구몸체(10)만큼 충분히 크게하여 터치부(30)의 접촉면적을 늘림으로써,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패널(1)에 흠집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터치부(30)의 직경(DT1)이 상기한 범위보다 너무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볼펜의 휴대성이 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터치부(30)는 상기한 범위만큼 큰 직경을 구현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뽀족한 터치펜과는 달리 휴대용전자기기의 아이콘 선택시에 큰 영역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대폭으로 향상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구형형상의 터치부(30)를 휴대용전자기기 액정패널(1)에 대고 누르는 압력을 조절하여 터치부(30)와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패널(1) 사이의 접촉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휴대용전자기기의 터치아이콘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 터치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는 터치부(30)가 큰 직경을 가지는 연성재질의 구형상으로 구현되어 있어, 터치부(30)가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패널(1)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힘조절에 따라 터치부(30)가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패널(1)을 터치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터치부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부(30)는 내측에 빈공간의 중공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터치부(30)는 내측에 중공부(31)를 형성함으로써, 외측면에서 가압되는 경우에 내측으로 용이하게 휘어지도록 하여 접촉면적으로 더 늘릴 수 있게 된다. 만약, 터치부(30)가 중공부(31)가 형성되지 않게 되면, 접촉면적을 직경이상의 면적으로 늘리는데에는 너무 많은 힘을 가압해야 하거나 늘어나는 면적에 한계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구심지(20)는 일단에 볼팁(21)이 형성되고, 타단에 볼펜액을 수용하는 중공막대(22)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터치부(30)의 중공부(31)는 외측에서 손으로 가압시에 필기구몸체(10)의 내측압력을 높힘으로써, 필기구심지(20)의 볼펜액이 볼펜팁(21)을 통해 용이하게 흘러나오도록 할 수 있다.
즉, 터치부(30)는 사용자의 힘조절에 따라 휴대용전자기기의 액정패널(1)과의 접촉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펜액이 굳거나 하여 볼펜팁(21)으로 나오지 않는 경우 터치부(30)를 가압하여 볼펜액(21)이 볼펜팁으로 용이하게 흘러들도록 하여 필기구심지(20)를 교체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 필기구몸체 20 ; 필기구심지
21 ; 볼펜팁 22 ; 중공막대
30 ; 터치부 31 ; 중공부

Claims (3)

  1. 일단에 필기구심삽입공이 형성되는 필기구몸체;
    상기 필기구심삽입공에 삽입되는 필기구심지; 및,
    상기 필기구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연성재질로 형성되는 터치부;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부는 터치면이 구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부의 직경은 상기 필기구몸체의 직경의 80% 내지 120% 사이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부는 내측에 빈공간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심지는 일단에 볼팁이 형성되고, 타단에 볼펜액을 수용하는 중공막대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는 외측에서 가압시에 상기 필기구몸체의 내측압력을 높힘으로써, 상기 필기구심지의 볼펜액이 상기 볼팁을 통해 용이하게 흘러나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KR2020110007707U 2011-08-19 2011-08-24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KR200463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707U KR200463576Y1 (ko) 2011-08-19 2011-08-24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511 2011-08-19
KR2020110007707U KR200463576Y1 (ko) 2011-08-19 2011-08-24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576Y1 true KR200463576Y1 (ko) 2012-11-13

Family

ID=4756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707U KR200463576Y1 (ko) 2011-08-19 2011-08-24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57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80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귀걸이 타입의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4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자유방향으로 휘어지는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3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분리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1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79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골진동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2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레이저포인터와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21Y1 (ko) 2009-10-05 2010-03-25 양근식 터치 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21Y1 (ko) 2009-10-05 2010-03-25 양근식 터치 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80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귀걸이 타입의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4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자유방향으로 휘어지는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3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분리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1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79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골진동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KR20180060382A (ko) 2016-11-29 2018-06-07 박종호 레이저포인터와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576Y1 (ko)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US9545813B2 (en) Ball pen
JP2012153087A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ペンを搭載した筆記具
US20090050377A1 (en) Styl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3195847U (ja) スタイラス
KR101180973B1 (ko) 터치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KR200448221Y1 (ko) 터치 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CN106515265A (zh) 一种能够校正姿势的中性笔
TW200602210A (en) Writing instrument
KR200467456Y1 (ko) 터치펜
CN102023723A (zh) 触控笔
CN101281435A (zh) 手写笔及带有该手写笔的便携式电子装置
TW201243657A (en) Stylus
TWM459446U (zh) 按壓式觸控筆
US20160162055A1 (en) Structure for a touch-control tool
US20060263142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a resilient end
KR101539396B1 (ko) 볼펜
WO2017049651A1 (zh) 便携式触控笔
JP3189356U (ja) 静電型入力ペン
JP2013140421A (ja) 静電型入力ペン
CN202372942U (zh) 一种触控笔
KR20110009971U (ko) 손가락에 끼우는 터치 펜
KR20070021358A (ko)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
US2016030254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for the use of a stylus
KR20120135815A (ko) 터치 스크린용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을 갖는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