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308Y1 - 조립식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308Y1
KR200468308Y1 KR2020130002960U KR20130002960U KR200468308Y1 KR 200468308 Y1 KR200468308 Y1 KR 200468308Y1 KR 2020130002960 U KR2020130002960 U KR 2020130002960U KR 20130002960 U KR20130002960 U KR 20130002960U KR 200468308 Y1 KR200468308 Y1 KR 200468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cover
assembly groove
height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국
Original Assignee
이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국 filed Critical 이성국
Priority to PCT/KR2013/0053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1083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3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4Protection from terrorism or theft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체와 가이드체, 덮개, 흡입량조절체, 높이가변체, 고정체가 모두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직접 설치한다는 DIY(do-it-yourself)의 느낌 및 만족감을 줄 수 있고, 제1환풍기가 결합되는 제1하우징체를 높이가변체를 이용하여 창틀의 높이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제1하우징체와 제2하우징체를 같이 연결하여 조립설치함에 따라 1개 이상의 환풍기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가변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감판에 의해 높이가변체를 선반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차단막에 의해 실내환경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내 거주자들의 사생활 보호는 물론 몰카 등의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내측 중앙에 제1환풍기(111)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112)와 상기 제1결합부(112)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13)가 구비되고 하단 양측에 각각 내측으로 인입된 제1고정턱(114)을 갖는 제1조립홈부(115)가 구비되며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제1탄성체결편(116)들이 구비되는 제1하우징체(110)와;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제1탄성체결편(116)이 체결되는 제1체결턱(121)이 상기 제1탄성체결편(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구비되고 후면에 내부가 중공된 제1가이드부(122)가 돌출되며 전면에 상기 제1가이드부(122)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제1인출구멍(123)과 제1손가락인입방지부(124)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조립홈부(115)의 제1고정턱(114)에 걸어지는 걸림부(125)가 형성되는 제1덮개(120)와;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후면에서 제1하우징체(1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1덮개(120)의 제1가이드부(122)의 중공된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인출구멍(123)으로 인출되는 제1가이드체(130)와; 상기 제1가이드체(130)에 끼움결합되는 제1끼움부(141)가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체(130)가 상기 제1가이드부(122)의 중공된 내부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고 제1차단막(142)이 구비되는 제1흡입량조절체(140)와;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제1조립홈부(115)와 대응되는 제2조립홈부(151)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내측면에 보강면(152)이 돌출되며 하단 내측에 받이편(153)이 각각 구비되는 높이가변체(150)와;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제1조립홈부(115)에 인입되는 제1연결부(161) 및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제2조립홈부(151)에 인입되는 제2연결부(162)가 구비되는 고정체(16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환기장치{assembly type ventilation equipment}
본 고안은 조립식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에 의해 소비자들이 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전문가 없이도 설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창문이 구비되는 창틀에 설치함으로써 창문의 열고 닫음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며 환풍기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구멍을 통공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조절체에 의해 창틀의 높이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1개 또는 1개 이상의 환풍기를 설치할 수 있어 선택성 및 편의성을 얻을 수 있으며, 흡입량조절체에 의해 환풍기에 의해 흡입배출되는 공기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차단막에 의해 실외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범죄예방 및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환풍기는 회전축을 갖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의 회전축에 맞물려 회전되는 환풍팬과, 전동 모터 및 환풍팬을 둘러싸는 보호 하우징 및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환풍기는 대개 건물의 화장실이나 또는 지하실 등에 설치되어 내부의 냄새나 습기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자들어서는 여름철에 실내의 더운 공기를 밖으로 배기하거나 또는 실내의 습한 공기와 쾌쾌한 냄새를 배출하기 위해 거실이나 사무실 또는 방 등에 설치되기도 한다.
또한, 환풍기는 예를 들어 흡연실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담배를 흡연할 때 발생되는 담배연기를 쉽게 배기하도록 하기 위해 흡연실 등에도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환풍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환풍팬의 회전동작에 의해 실내의 공기 및 냄새 등이 외부로 배기되도록 환풍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벽면이나 또는 창문에 필수적으로 구멍을 뚫어 환풍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벽면이나 창문에 구멍을 뚫는 작업이 어렵고 더딜 뿐만 아니라,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먼지 등에 의해 주변에 해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창문에 구멍을 뚫기 위해서는 전문가가 직접 작업을 해야 하고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창문의 유리가 깨지거나 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물론, 창문의 경우에는 창틀의 일부를 개방하도록 창문을 열은 다음 열린 창문과 창틀 사이의 공간에 환풍기를 설치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환풍기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공간을 다시 막아주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환풍기를 창문의 창틀에 설치한 다음 나머지 공간을 스치로폼이나 판재로 막고는 있음에 따라 겨울철에 외부의 냉기가 스치로폼이나 판재 사이로 들어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의 열손실이 발생되고, 여름철의 경우에는 창문의 개방공간이 적어지기 때문에 실내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설치된 환풍기의 경우에도 환풍기의 환풍팬이 위치된 공간은 항상 뚫린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이 공간측으로 겨울철의 차가운 냉기나 여름철의 뜨거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하게 되어 실내의 열손실을 야기시키게 되고, 여름철의 경우에는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까지도 유입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실용 20-0458368호인 창틀고정용 환기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창틀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통기구와 연통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정면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본체의 배면측에 설치되되 다수의 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배면플레이트와, 상기 통기구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삽입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본체의 정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통기구 상에 끼워져 결합되며, 내측에 회동가능한 팬이 설치되는 환풍기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환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창문과 같이 창틀에 끼우는 방법으로 간편히 설치할 수 있어 별도의 시공이나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며, 황사나 공기오염으로 인해 오염된 공기를 필터를 통해 깨끗하게 걸러줌으로써 창문을 쉽게 열 수 없는 도시지역에서도 실내 환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정면에는 회동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배면에는 배면플레이트가 설치됨으로써 환기팬이 작동되지 않을 시에 외부의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본체가 통체형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환풍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의 높이에 맞는 본체를 갖는 환기장치를 선택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환풍기가 설치되는 장소가 예를 들어 화장실이나 또는 주방이나 또는 공부방이거나 또는 안방이거나에 따라 각각 달라지며, 이러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창틀의 높이 또한 각각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환풍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공간 높이와 환풍기와의 높이가 맞는지를 먼저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본체의 내부에 환풍기와, 팬, 개폐도어, 배면플레이트, 필터부재, 컨트롤러가 모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의 무게가 무거워짐은 당연하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비교적 힘이 적은 여성들의 경우에는 혼자의 힘으로 환풍기를 설치하기에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물론, 종래 기술의 경우 하단에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기는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의 길이조절수단은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로부터 연장시킨 상태에서 볼트로 연장부와 돌출부를 고정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길이조절을 위해 연장부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무거운 환풍기를 한 명의 작업자가 들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 면이 연장부를 돌출부로부터 연장한 다음 볼트로 고정하여야 함으로써 1인의 작업자로는 설치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실내의 환경에 따라 공기의 흡입배출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환기장치들은 환풍기의 흡입배출을 위해 환기장치의 몸체가 중공된 상태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된 몸체를 통해 실내의 환경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실내 거주자들의 사생활 보호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몰카 등의 범죄예방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58368(2012.01.26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14567(2006.04.17 등록)
본 고안은 환기장치를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직접 설치한다는 DIY(do-it-yourself)의 느낌 및 만족감을 줄 수 있고, 설치되는 창틀의 높이에 따라 설치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전문가 없이도 설치 사용이 가능하며,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1개 또는 1개 이상의 환풍기를 설치할 수 있어 선택성 및 편의성을 얻을 수 있으며, 흡입량조절체에 의해 환풍기에 의해 흡입배출되는 공기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차단막에 의해 실내환경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내 거주자들의 사생활 보호는 물론 몰카 등의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는, 내측 중앙에 제1환풍기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가 구비되고 하단 양측에 각각 내측으로 인입된 제1고정턱을 갖는 제1조립홈부가 구비되며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제1탄성체결편들이 구비되는 제1하우징체와; 상기 제1하우징체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제1탄성체결편이 체결되는 제1체결턱이 상기 제1탄성체결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구비되고 후면에 내부가 중공된 제1가이드부가 돌출되며 전면에 상기 제1가이드부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제1인출구멍과 제1손가락인입방지부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조립홈부의 제1고정턱에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제1덮개와; 상기 제1하우징체의 후면에서 제1하우징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1덮개의 제1가이드부의 중공된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인출구멍으로 인출되는 제1가이드체와; 상기 제1가이드체에 끼움결합되는 제1끼움부가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체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중공된 내부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체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고 제1차단막이 구비되는 제1흡입량조절체와; 상기 제1하우징체의 제1조립홈부와 대응되는 제2조립홈부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내측면에 보강면이 돌출되며 하단 내측에 받이편이 각각 구비되는 높이가변체와; 상기 제1하우징체의 제1조립홈부에 인입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높이가변체의 제2조립홈부에 인입되는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고정체;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가이드체는, 상기 제1덮개의 제1가이드부에 걸어지는 제1걸림플랜지와; 상기 제1걸림플랜지로부터 연장되는 제1가이드몸체와; 상기 제1가이드몸체로부터 연장되고 끝단에 제1절개부가 형성되어 이 제1절개부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탄성결합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흡입량조절체의 제1끼움부 내부에는 상기 제1탄성결합편이 걸어지는 제1걸림돌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높이가변체의 내부에는 상기 높이가변체의 보강면에 위치되는 위치설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가변체의 받이편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마감판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하우징체의 제1조립홈부 또는 상기 높이가변체의 제2조립홈부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제3조립홈부가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내측 중앙에 제2환풍기가 결합되는 제2하우징체와; 상기 제2하우징체의 전면에 덮어지고 제2인출구멍과 제2손가락인입방지부들이 각각 구비되는 제2덮개와; 상기 제2하우징체의 후면에서 제2하우징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2덮개의 제2가이드부의 중공된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인출구멍으로 인출되는 제2가이드체와; 상기 제2가이드체에 끼움결합되는 제2끼움부가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체의 제2인출구멍으로부터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체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고 제2차단막이 구비되는 제2흡입량조절체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하우징체와 가이드체, 덮개, 흡입량조절체, 높이가변체, 고정체가 모두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직접 설치한다는 DIY(do-it-yourself)의 느낌 및 만족감을 줄 수 있고, 제1환풍기가 결합되는 제1하우징체를 높이가변체를 이용하여 창틀의 높이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제1하우징체와 제2하우징체를 같이 연결하여 조립설치함에 따라 1개 이상의 환풍기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가변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감판에 의해 높이가변체를 선반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차단막에 의해 실내환경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내 거주자들의 사생활 보호는 물론 몰카 등의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의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의 흡입량조절체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의 하우징체와 덮개의 결합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는, 제1하우징체(110), 제1덮개(120), 제1가이드체(130), 제1흡입량조절체(140), 높이가변체(150), 고정체(1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체(110), 제1덮개(120), 제1가이드체(130), 제1흡입량조절체(140), 높이가변체(150), 고정체(160)들은 모두 사출성형에 의해 사출성형될 수 있으며 재질을 합성수지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하중을 가볍게 하여 줌으로써 소비자들이 직접 조립함에 전혀 문제가 없도록 한다.
상기 제1하우징체(110)는, 내측 중앙에 제1환풍기(111)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112)와 상기 제1결합부(112)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13)가 구비되고 하단 양측에 각각 내측으로 인입된 제1고정턱(114)을 갖는 제1조립홈부(115)가 구비되며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제1탄성체결편(116)들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환풍기(111)와 제1결합부(112)와의 결합은 상기 제1결합부(112)의 내측으로 제1환풍기(111)의 모터를 인입한 다음 볼트 등을 이용하여 제1결합부(112)와 제1환풍기(111)의 모터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제1환풍기(111)가 제1결합부(112)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지지부(113)는, 상기 제1결합부(112)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체(110)와 제1결합부(112)에 각각 양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1지지부(113)에 의해 제1환풍기(111)의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제1결합부(112)가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1탄성체결편(1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체결편(116)의 양측이 각각 절개되어 있음에 따라 자체 탄성을 갖는다.
상기 제1덮개(120)는,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제1탄성체결편(116)이 체결되는 제1체결턱(121)이 상기 제1탄성체결편(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구비되고 후면에 내부가 중공된 제1가이드부(122)가 돌출되며 전면에 상기 제1가이드부(122)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제1인출구멍(123)과 제1손가락인입방지부(124)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조립홈부(115)의 제1고정턱(114)에 걸어지는 걸림부(12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덮개(120)와 제1하우징체(110)의 결합은 제1하우징체(110)에 구비되는 제1탄성체결편(116)이 상기 제1덮개(120)에 구비되는 제1체결턱(121)에 걸림으로써 제1덮개(120)가 제1하우징체(110)에 대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1탄성체결편(116)의 자체 탄성에 의해 제1탄성체결편(116)을 제1체결턱(121)에 용이하게 결합가능하다.
상기 제1손가락인입방지부(124)는, 설치된 환기장치의 내부로 어린아이들이 손을 넣음으로써 야기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으로 제1손가락인입방지부(124)에 의해 제1하우징(110)의 내부로 어린아이들이 손을 넣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어린아이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체(130)는,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후면에서 제1하우징체(1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1덮개(120)의 제1가이드부(122)의 중공된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인출구멍(123)으로 인출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흡입량조절체(140)는, 상기 제1가이드체(130)에 끼움결합되는 제1끼움부(141)가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체(130)가 상기 제1가이드부(122)의 중공된 내부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고 제1차단막(14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체(130)가 제1하우징체(110)의 제1인출구멍(123)을 관통하여 상기 제1흡입량조절체(140)의 제1끼움부(141)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끼워진다.
이 때, 상기 제1흡입량조절체(140)는 상기 제1하우징체(110)로부터 위치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상기 제1흡입량조절체(140)의 제1끼움부(141)의 내측에 제1가이드체(130)의 끝단부가 인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체(130)가 제1하우징체(110)의 제1인출구멍(123)으로부터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제1인출구멍(123)을 관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1흡입량조절체(140)를 제1하우징체(110)로부터 위치를 멀리할 경우에는 제1흡입량조절체(140)와 제1하우징체(110) 사이의 공간이 많이 형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공기의 흡입배출이 가능해지고, 반대로 제1흡입량조절체(140)를 제1하우징체(110)로부터 위치를 가깝게 할 경우에는 제1흡입량조절체(140)와 제1하우징체(110) 사이의 공간이 적게 형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공기의 흡입배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실내 환경에 맞는 공기의 흡입배출에 따른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량조절체(140)의 제1차단막(142)은 외부에서 실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제1차단막(142)은 실외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차단막(142)이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실내환경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제1차단막(142)에 의해 방지됨으로써 실내 거주자들의 사생활 보호는 물론 몰카 등의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높이가변체(150)는,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제1조립홈부(115)와 대응되는 제2조립홈부(151)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내측면에 보강면(152)이 돌출되며 하단 내측에 받이편(153)이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가변체(150)를 이용하여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 예를 들어, 창틀의 높이가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높이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높이가변체(150)를 제1하우징체(110)의 하부에 연결함으로써 창틀의 높이에 맞도록 본 고안인 환기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하우징체(110)와 높이가변체(150)의 연결 고정은 상기 고정체(160)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 상기 고정체(160)는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제1조립홈부(115)에 인입되는 제1연결부(161) 및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제2조립홈부(151)에 인입되는 제2연결부(16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체(160)의 제1연결부(161)는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제1조립홈부(115)에 인입하고 고정체(160)의 제2연결부(162)는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제2조립홈부(151)에 인입함으로써 고정체(160)에 의해 제1하우징체(110)와 높이가변체(150)가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 때, 설치하는 공간인 창틀의 높이에 따라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개수는 여러 개 구비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에도 역시 상기 고정체(160)를 이용하여 높이가변체(150)들을 서로 연결하면 된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제2조립홈부(151)는 상기 고정체(160)의 제1연결부(161)와 제2연결부(162)가 모두 인입가능한 크기로 구비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며, 예를 들어 높이가변체(150)와 또 다른 높이가변체(150)를 고정체(160)로 연결할 경우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높이가변체(150)의 제2조립홈부(151)의 상단에 고정체(160)의 제1연결부(161)가 인입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높이가변체(150)의 제2조립홈부(151)는 상기 상측에 위치하는 높이가변체(150)의 제2조립홈부(151)의 상단에 제1연결부(161)가 인입된 고정체(160)의 제2연결부(162)가 인입됨으로써 높이가변체(150)와 또 다른 높이가변체(15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면 된다.
상기 제1가이드체(130)는, 상기 제1덮개(120)의 제1가이드부(122)에 걸어지는 제1걸림플랜지(131)와, 상기 제1걸림플랜지(131)로부터 연장되는 제1가이드몸체(132)와, 상기 제1가이드몸체(132)로부터 연장되고 끝단에 제1절개부(133)가 형성되어 이 제1절개부(133)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탄성결합편(1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흡입량조절체(140)의 제1끼움부(141) 내부에는 상기 제1탄성결합편(134)이 걸어지는 제1걸림돌기(14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체(130)의 제1가이드몸체(132)와 제1탄성결합편(134)은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전면에 끼움결합된 제1덮개(120)의 제1인출구멍(123)을 관통하고, 제1가이드체(130)의 제1걸림플랜지(131)는 상기 제1인출구멍(123)과 내부가 연통되는 제1가이드부(122)의 외측에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흡입량조절체(140)가 상기 제1하우징체(110)로부터 위치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이 가능며 제1흡입량조절체(140)의 이동거리만큼 제1흡입량조절체(140)와 제1하우징체(110)와의 공간이 달라짐으로써 실내공기의 흡입배출에 따른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내부에는,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보강면(152)에 위치되는 위치설정홈부(171)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받이편(153)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마감판(17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판(170)이 높이가변체(150)의 내부에 더 구비됨으로써 예를 들어 제1하우징체(110)의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높이가변체(150)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여 마감함과 동시에 높이가변체(150)와 또 다른 높이가변체(150)의 사이에 마감판(170)이 구비됨으로써 높이가변체(150)와 또 다른 높이가변체(150)가 마감판(170)에 의해 구획될 수 있어 선반으로 활용가능하다.
본 고안인 조립식 환기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제1조립홈부(115) 또는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제2조립홈부(151)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제3조립홈부(211)가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내측 중앙에 제2환풍기(212)가 결합되는 제2하우징체(210)와, 상기 제2하우징체(210)의 전면에 덮어지고 제2인출구멍(222)과 제2손가락인입방지부(223)들이 각각 구비되는 제2덮개(220)와, 상기 제2하우징체(210)의 후면에서 제2하우징체(2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2덮개(220)의 제2인출구멍(222)으로 인출되는 제2가이드체(230)와, 상기 제2가이드체(230)에 끼움결합되는 제2끼움부(241)가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체(230)의 제2인출구멍(222)으로부터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체(210)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고 제2차단막(242)이 구비되는 제2흡입량조절체(2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체(230)는, 상기 제2덮개(220)의 제2인출구멍(222) 외측에 위치되는 제2걸림플랜지(231)와, 상기 제2걸림플랜지(231)로부터 연장되는 제2가이드몸체(232)와, 상기 제2가이드몸체(232)로부터 연장되고 끝단에 제2절개부(233)가 형성되어 이 제2절개부(233)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탄성결합편(2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탄성결합편(234)이 상기 제2덮개(220)의 제2인출구멍(222)을 관통하여 상기 제2흡입량조절체(240)의 제2끼움부(241)의 내부로 인입되어 체결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체(210)와 제2덮개(220), 제2가이드체(230), 제2흡입량조절체(240)는, 상기 제1하우징체(110)와 제1덮개(120), 제1가이드체(130), 제1흡입량조절체(140)와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상기 제2하우징체(210)와 제2덮개(220), 제2가이드체(230), 제2흡입량조절체(24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2하우징체(210)와 제2덮개(220), 제2가이드체(230), 제2흡입량조절체(240)가 더 구비됨으로써 제1하우징체(110)의 하단에 바로 제2하우징체(210)를 연결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제1하우징체(110)와 제2하우징체(210) 사이에 높이가변체(150)를 위치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자신의 실내환경에 맞도록 가변하여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 경우, 역시 고정체(160)를 이용하여 제1하우징체(110)와 제2하우징체(210)를 연결하거나 또는 고정체(160)를 이용하여 제1하우징체(110)와 높이가변체(150) 및 제2하우징체(210)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10 : 제1하우징체 111 : 제1환풍기
112 : 제1결합부 113 : 제1지지부
114 : 제1고정턱 115 : 제1조립홈부
116 : 탄성체결편 120 : 제1덮개
121 : 제1체결턱 122 : 제1가이드부
123 : 제1인출구멍 124 : 제1손가락인입방지부
125 : 걸림부 130 : 제1가이드체
131 : 제1걸림플랜지 132 : 제1가이드몸체
133 : 제1절개부 134 : 제1탄성결합편
140 : 제1흡입량조절체 141 : 제1끼움부
142 : 제1차단막 143 : 제1걸림돌기
150 : 높이가변체
151 : 제2조립홈부 152 : 보강면
153 : 받이편 160 : 고정체
161 : 제1연결부 162 : 제2연결부
170 : 마감판 171 : 위치설정홈부
210 : 제2하우징체 211 : 제3조립홈부
212 : 제2환풍기 220 : 제2덮개
222 : 제2인출구멍 223 : 제2손가락인입방지부
230 : 제2가이드체 231 : 제2걸림플랜지
232 : 제2가이드몸체 233 : 제2절개부
234 : 제2탄성결합편 240 : 제2흡입량조절체
241 : 제2끼움부 242 : 제2차단막

Claims (5)

  1. 내측 중앙에 제1환풍기(111)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112)와 상기 제1결합부(112)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13)가 구비되고 하단 양측에 각각 내측으로 인입된 제1고정턱(114)을 갖는 제1조립홈부(115)가 구비되며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제1탄성체결편(116)들이 구비되는 제1하우징체(110)와;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제1탄성체결편(116)이 체결되는 제1체결턱(121)이 상기 제1탄성체결편(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구비되고 후면에 내부가 중공된 제1가이드부(122)가 돌출되며 전면에 상기 제1가이드부(122)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는 제1인출구멍(123)과 제1손가락인입방지부(124)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조립홈부(115)의 제1고정턱(114)에 걸어지는 걸림부(125)가 형성되는 제1덮개(120)와;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후면에서 제1하우징체(1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1덮개(120)의 제1가이드부(122)의 중공된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인출구멍(123)으로 인출되는 제1가이드체(130)와;
    상기 제1가이드체(130)에 끼움결합되는 제1끼움부(141)가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체(130)가 상기 제1가이드부(122)의 중공된 내부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고 제1차단막(142)이 구비되는 제1흡입량조절체(140)와;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제1조립홈부(115)와 대응되는 제2조립홈부(151)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내측면에 보강면(152)이 돌출되며 하단 내측에 받이편(153)이 각각 구비되는 높이가변체(150)와;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제1조립홈부(115)에 인입되는 제1연결부(161) 및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제2조립홈부(151)에 인입되는 제2연결부(162)가 구비되는 고정체(160);
    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체(130)는,
    상기 제1덮개(120)의 제1가이드부(122)에 걸어지는 제1걸림플랜지(131)와;
    상기 제1걸림플랜지(131)로부터 연장되는 제1가이드몸체(132)와;
    상기 제1가이드몸체(132)로부터 연장되고 끝단에 제1절개부(133)가 형성되어 이 제1절개부(133)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탄성결합편(1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흡입량조절체(140)의 제1끼움부(141) 내부에는, 상기 제1탄성결합편(134)이 걸어지는 제1걸림돌기(143)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환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내부에는,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보강면(152)에 위치되는 위치설정홈부(171)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받이편(153)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마감판(17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환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체(110)의 제1조립홈부(115) 또는 상기 높이가변체(150)의 제2조립홈부(151)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제3조립홈부(211)가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내측 중앙에 제2환풍기(212)가 결합되는 제2하우징체(210)와;
    상기 제2하우징체(210)의 전면에 덮어지고 제2인출구멍(222)과 제2손가락인입방지부(223)들이 각각 구비되는 제2덮개(220)와;
    상기 제2하우징체(210)의 후면에서 제2하우징체(2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2덮개(220)의 제2인출구멍(222)으로 인출되는 제2가이드체(230)와;
    상기 제2가이드체(230)에 끼움결합되는 제2끼움부(241)가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체(230)의 제2인출구멍(222)으로부터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체(210)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고 제2차단막(242)이 구비되는 제2흡입량조절체(2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환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체(230)는,
    상기 제2덮개(220)의 제2인출구멍(222) 외측에 위치되는 제2걸림플랜지(231)와;
    상기 제2걸림플랜지(231)로부터 연장되는 제2가이드몸체(232)와;
    상기 제2가이드몸체(232)로부터 연장되고 끝단에 제2절개부(233)가 형성되어 이 제2절개부(233)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탄성결합편(2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탄성결합편(234)이 상기 제2덮개(220)의 제2인출구멍(222)을 관통하여 상기 제2흡입량조절체(240)의 제2끼움부(241)의 내부로 인입되어 체결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환기장치.
KR2020130002960U 2012-07-09 2013-04-17 조립식 환기장치 KR200468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5377 WO2014010838A1 (ko) 2012-07-09 2013-06-19 조립식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1561 2012-12-10
KR2020120011561 2012-12-10
KR20120011562 2012-12-10
KR2020120011562 2012-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308Y1 true KR200468308Y1 (ko) 2013-08-06

Family

ID=5139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960U KR200468308Y1 (ko) 2012-07-09 2013-04-17 조립식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3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68Y1 (ko) 2016-02-19 2016-12-01 이성국 창틀 설치형 환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06A (ja) * 1994-07-15 1996-02-02 Mitsuboshi:Kk 空気調和装置の屋外ユニット用のルーバー
KR100202110B1 (ko) 1997-05-29 1999-06-15 전주범 창문형 에어컨의 풍향조절 장치
KR20010028973A (ko) * 1999-09-28 2001-04-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200399232Y1 (ko) 2005-08-12 2005-10-19 황환민 전방향 풍향조절 가능한 2중그릴 구조를 가지는 에어덕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06A (ja) * 1994-07-15 1996-02-02 Mitsuboshi:Kk 空気調和装置の屋外ユニット用のルーバー
KR100202110B1 (ko) 1997-05-29 1999-06-15 전주범 창문형 에어컨의 풍향조절 장치
KR20010028973A (ko) * 1999-09-28 2001-04-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200399232Y1 (ko) 2005-08-12 2005-10-19 황환민 전방향 풍향조절 가능한 2중그릴 구조를 가지는 에어덕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68Y1 (ko) 2016-02-19 2016-12-01 이성국 창틀 설치형 환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86133A1 (en) Hanger profile allowing for the passage of air and ceiling assembly comprising such a profile
WO2014010838A1 (ko) 조립식 환기장치
ES2926657T3 (es) Un sistema de ventana de techo con una unidad de ventilación montada adyacente a la ventana de techo, una estructura de techo que incluye un sistema de ventana de techo, un método para proporcionar un sistema de ventana de techo y un método para adaptar un sistema de ventana de techo
KR20160142605A (ko) 창문에 설치되는 실내공기 환풍장치
KR200468308Y1 (ko) 조립식 환기장치
KR101058417B1 (ko) 자동환기 가능한 창문틀
KR101266423B1 (ko) 외부 유입물 차단 기능을 갖는 환풍기
JP2008231664A (ja) 建具
EP3309468B1 (en) A roof window system comprising a ventilation assembly with an exhaus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ventilation assembly of such a roof window system
KR20150140074A (ko)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JP5097422B2 (ja) 換気框
KR101150513B1 (ko)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KR102087826B1 (ko) 창문 설치용 환기장치
KR101211154B1 (ko) 환풍기능을 구비한 창호
JP6470504B2 (ja)
CZ21019U1 (cs) Otvor dverí mezi místnostmi
KR101645522B1 (ko) 방범기능을 갖춘 실내용 개폐문틀
KR20160142606A (ko) 조립과 설치가 용이한 실내공기 환풍장치
KR101143416B1 (ko)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KR20190002792U (ko) 다기능 역풍 빗물 방지캡
JP2005180158A (ja) 方立部内換気装置
KR200440678Y1 (ko) 통풍 도어 장치
JP5772768B2 (ja) 外壁の開口部構造
KR102630352B1 (ko) 이중창 내입형 환기용 공기청정기
AU2018101028A4 (en) A sub-hea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