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416B1 -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416B1
KR101143416B1 KR1020110099740A KR20110099740A KR101143416B1 KR 101143416 B1 KR101143416 B1 KR 101143416B1 KR 1020110099740 A KR1020110099740 A KR 1020110099740A KR 20110099740 A KR20110099740 A KR 20110099740A KR 101143416 B1 KR101143416 B1 KR 101143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grill
main body
solenoid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Priority to KR102011009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냄새, 습기나 곰팡이 등에 취약한 구역 예를 들어,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을 화장실의 환기장치와 연통시켜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의 공기를 빠르게 환기시킬 수 있는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는, 하방이 개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입구와 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본체와, 냄새, 습기나 곰팡이 등에 취약한 실내 구역(이하 취약구역)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입구에 형성되는 흡기관과,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출구에 형성되는 배기관과, 팬모터와 임펠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본체에 장착되는 스파이럴체와, 화장실과 연통하도록 개구된 그릴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측에 결합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개구된 그릴을 폐쇄하여 화장실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SWIFTNESS VENTILATION DEVICE FOR DEHUMIDIFICATION AND DEW CONDENSATION PREVENTION}
본 발명은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냄새, 습기나 곰팡이 등에 취약한 구역 예를 들어,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을 화장실의 환기장치와 연통시켜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의 오염된 공기를 빠르게 환기시킬 수 있는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이나, 오피스텔 등과 같은 건물 등과 같이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생활 공간에는 생존의 기본적인 대사를 수행하기 위한 화장실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화장실은 실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화장실 내부에는 천장 패널에 배기 그릴이 설치되고, 이 배기 그릴이 설치된 상부 또는 측면에는 환풍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환기팬이 설치되어 화장실 내부에서 발생한 습기나, 악취 등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아파트나 빌라 등의 공동주택은 안방과 다수 개의 룸, 그리고 거실과 주방, 화장실과 발코니 등으로 거주자의 편의를 위하여 구획, 설계되어 시공되고 있다.
근래 들어 아파트와 빌라 등의 주거 면적과 크기가 중대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거주자의 편의를 위한 드레스룸 등의 다양한 종류의 독립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드레스룸은 의류와 피복을 걸어서 보관하거나 수납되도록 하고, 의복을 갈아입을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바, 상기 드레스룸은 의복을 갈아입거나 하는 등의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차단된다.
이처럼 공기의 순환이 차단되면, 악취가 나기 시작하면서 드레스룸에 보관되고 있던 의복들은 습기에 의해 눅눅해지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결로가 생기고 보관된 의복에 곰팡이나 해충이 쓸어 못쓰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의 현관에는 대부분 신발장이 구비되어 신발이나 그 밖의 소품들을 보관하는 수납장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실내에 신발장을 두거나 신발을 벗어 두는 경우에는 참기 어려운 자극적인 신발냄새가 실내공간에 확산된다.
신발장에서 나오는 냄새는 발의 땀 냄새와, 공기가 잘 통하지 않는 곳에서 기생하는 혐기성 미생물의 부패성 악취가 발생하고, 신발에 스며든 발의 땀 등에 의해 신발장에 습기가 차거나 심한 경우에는 결로가 생긴다.
또한, 발코니 공간의 경우는 거주공간 즉 거실, 주방 또는 침실의 벽과 창으로 구획되어 외부와 실내의 중간에 위치하여 사용자에 따라서 인공적으로 조경시설을 설치하거나 빨래 건조대 등이 설치되어 습도가 증가하며, 그로 인하여 결로가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되고 있으나 환기가 설치되지 않는 취약점이 있다.
그리고 주방에서는 가스 연소기 가동시 발생하는 대량의 잡가스 및 조리습도와 냄새에 의해 실내환경을 급격히 악화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냄새, 습기나 곰팡이 등에 취약한 구역 예를 들어,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 등에 환기장치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와 같이 냄새, 습기나 곰팡이 등에 취약한 구역 예를 들어,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을 화장실의 환기장치와 연통시켜 환기시킴으로써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을 화장실의 환기장치와 연통시키되, 화장실 쪽은 폐쇄한 상태에서 급속 환기를 함으로써 악취와 습기를 제거하고 결로를 방지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는, 하방이 개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입구와 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본체;
취약구역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입구에 형성되는 흡기관;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출구에 형성되는 배기관;
팬모터와 임펠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본체에 장착되는 스파이럴체;
화장실과 연통하도록 개구된 그릴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측에 결합하는 커버;
상기 흡기관에 설치되어 전원을 인가하면 자성을 띄는 전자석에 의해 흡기관을 개폐하는 제1개폐수단;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보빈에 코일을 감아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의 전자력에 의해 개구된 그릴을 폐쇄하여 화장실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시스템은 상기한 급속환기장치;
상기 급속환기장치의 제어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상기 취약구역의 공기오염도나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모드선택부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구동 설정치나 구동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급속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냄새, 습기나 곰팡이 등에 취약한 구역 예를 들어,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을 화장실의 환기장치와 연통시켜 환기시킴으로써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을 화장실의 환기장치와 연통시키되, 화장실 쪽은 폐쇄한 상태에서 급속 환기를 함으로써 악취와 습기를 제거하고 결로를 방지하여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속환기장치의 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속환기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속환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속환기장치(10)는 본체(40), 커버(20), 스파이럴체(30), 흡기관(50), 배기관(60), 제1개폐수단(100) 및 제2개폐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속환기장치(10)는 화장실(3)의 천장(1)에 설치되어 흡기측은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에 연통되고 배기측은 외부와 연통된다.
본체(40)는 내부에 수용부(42)가 형성되는 입체형상으로 하방이 개방되고 입구와 출구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입구에는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2)에 연통되도록 흡기관(50)이 형성되고 흡기관(50)에는 전자석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제1개폐수단(100)이 설치된다.
상기 제1개폐수단(100)은 예를 들어 전자식 댐퍼로서, 프레임(110), 플레이트(120), 영구자석(130), 전자석(140)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10)은 플레이트(120)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의 역할을 담당한다.
프레임(110)은 흡기관(5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내측을 향해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내측벽(112)과, 상기 내측벽(112)의 단부에서 흡기관(50)의 길이방향으로 외주가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116)로 이루어지며, 절곡부(116)의 사이에 개구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10) 하측에는 전자석(140)이 설치되고, 이때 상측의 절곡부(116)의 길이가 하측의 절곡부(116)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개구부(114)는 플레이트(120)가 개방된 경우 흡기관(50)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가 환기장치(10)로 유입되도록 통과시키는 관문의 역할을 담당한다.
플레이트(120)의 상측은 프레임(110)의 상측에 형성된 절곡부(116)의 단부에 힌지축(125)으로 힌지결합되고, 플레이트(120)의 하측은 힌지축(12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측의 절곡부(116)에 상접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이때 하측의 절곡부(116)의 길이가 상측의 절곡부(116)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20)이 경사지게 상접된다.
플레이트(120)는 팬모터(32)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 프레임(110)의 하측 절곡부(116)의 단부에 상접되어 있으며, 개구부(114)는 플레이트(12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영구자석(130)은 플레이트(120)의 하측 중 환기장치(10)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영구자석(130)의 세기는 힌지축(125)에 의한 플레이트(120)의 회전모멘트 및 플레이트(120)의 개방시 힌지축(125)에 의한 회전각도 등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또한, 영구자석(130)의 세기는 플레이트(120)가 개구부(114)에 대하여 외기의 변화에 무관하게 일정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130)의 세기는 전자석(140)의 구동시 발생하는 자력의 세기를 고려하여 정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130)의 자력세기와 전자석(140)에 의한 자력의 세기는 동등하게 설정된다.
전자석(140)은 영구자석(130)으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프레임(110)의 하측에 형성된 절곡부(116)에 설치된다.
상기 전자석(140)은 팬모터(32)의 동작시 구동되어 플레이트(120)의 하측에 배치된 영구자석(130)과 사이에 척력을 일으켜 힌지축(125)을 중심으로 프레임(110)의 하측으로부터 플레이트(120)를 회동하여 이격시킨다.
이에 의해 개구부(114)가 개방되고, 이때 팬모터(32)와 임펠러(34)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개방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팬모터(32)와 임펠러(34)를 구비하는 스파이럴체(30)는 상기 수용부(42)에 수용되어 본체(40)에 장착되고 상기 스파이럴체(30)는 개방되는 하방과 입구 및 출구와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통기공(36)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20)는 그릴(22)을 구비하여 개방된 본체(40)의 하측에 결합되고, 그릴(22)의 하부에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24)가 부착된다.
상기 커버(20)에는 그릴(22)을 개폐하여 화장실(3)에서 환기장치(10)로 유입되는 공기를 개폐하는 제2개폐수단(70)이 설치된다.
제2개폐수단(70)은 예를 들어 전원을 인가하면 전자석이 되는 솔레노이드(72)를 그릴(22)의 상측에 설치하여 이 솔레노이드(72)의 전자력에 의해 개폐하는 것으로서, 솔레노이드(72), 개폐판(76) 및 플런저(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72)는 하방이 개방된 슬라이드홈(72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보빈에 코일을 감아서 이루어지며 전원을 인가하면 전자석이 된다.
상기 슬라이드홈(72a)에는 플런저(74)가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상기 그릴(22)은 개폐판(76)에 의해 개폐되는데, 상기 개폐판(76)은 그릴(22)의 하부에 위치되어 솔레노이드(72)에 형성된 슬라이드홈(72a)을 따라 승강하는 플런저(74)에 결합됨으로써 플런저(74)와 함께 승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72)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76)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그릴(22)의 구멍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솔레노이드(72)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자석이 되어 그 전자력에 의해 플런저(74)와 개폐판(76)이 동반 상승하여 필터(24)에 밀착됨으로써 그릴(22)에 형성된 구멍이 개폐판(76)에 의해 밀폐되어 공기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76), 플런저(74) 중 하나 이상은 자석에 붙는 성질을 가진 물질 즉,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개폐수단(70)으로 솔레노이드(72)의 전자력을 이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외 모터나 래크 및 피니언을 이용하여 화장실(3)과 연통하는 그릴(22)을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역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도 1의 구성에서 스파이럴체(30)의 팬모터(32)와 임펠러(34)가 작동한 상태에서 제1개폐수단(1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개구부(114)가 밀폐되어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의 공기가 환기장치(10)에 유입되지 않고, 제2개폐수단(70)의 솔레노이드(72)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그릴(22)에 형성된 구멍이 개방되어 화장실(3)의 공기만 스파이럴체(30)의 통기공(36)과 배기관(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환기장치(10)의 환기능력을 100이라고 하면 환기능력의 100%가 모두 화장실(3)의 환기에 사용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제1개폐장치(100)를 흡기관(50)에 설치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2) 쪽에 각각 설치하여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2)의 각각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을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신발장, 드레스룸, 발코니 또는 주방(2)의 환기를 각각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체(30)의 팬모터(32)와 임펠러(34)가 작동한 상태에서 제1개폐수단(1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석(140)과 영구자석(130)의 척력에 의해 개구부(114)가 개방되어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의 공기가 환기장치(100)에 유입되는 한편, 제2개폐수단(70)의 솔레노이드(72)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그릴(22)에 형성된 구멍이 개방되어 화장실(3)의 공기가 환기장치(10)에 유입되어, 스파이럴체(30)의 통기공(36)과 배기관(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환기장치(10)의 환기능력을 100%이라고 하면 환기능력의 일부는 화장실(3)의 환기에 사용되고, 그 나머지는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의 환기에 사용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체(30)의 팬모터(32)와 임펠러(34)가 작동한 상태에서 제2개폐수단(70)의 솔레노이드(72)에 전원이 인가되어 그릴(22)에 형성된 구멍이 개폐판(76)에 의해 막혀 화장실(3)의 공기가 환기장치(10)에 유입되지 않고, 제1개폐수단(1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석(140)과 영구자석(130)의 척력에 의해 개구부(114)가 개방되어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의 공기만 환기장치(10)에 유입되어 스파이럴체(30)의 통기공(36)과 배기관(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환기장치(10)의 환기능력을 100이라고 하면 환기능력의 100%가 모두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의 환기에 사용되어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의 공기가 빠르게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 급속하게 환기를 할 수 있어 -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속환기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환기구동을 실행하는 환기장치(10)와, 환기장치(10)의 제어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90)와,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 내부의 공기오염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80)와, 모드선택부(90)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구동 설정치나 구동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환기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환기장치(10)는 임페러(34)를 구동하여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의 공기나 화장실(3)의 공기를 환기장치(10)로 강제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팬모터(32)와,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의 공기가 환기장치(10)로 유입하는 것을 허용 및 차단하는 제1개폐수단(100)의 전자석(140)과, 화장실(3)의 공기가 환기장치(10)로 유입하는 것을 허용 및 차단하는 제2개폐수단(70)의 솔레노이드(72)를 포함한다.
모드선택부(90)는 공기오염도와 습도에 따라 환기장치(10)의 구동을 실행시키는 센싱모드와,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환기장치(10)의 구동을 실행시키는 자동모드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환기장치(10)의 구동을 실행시키는 수동모드로 나누어진다.
이 모드선택부(90)는 환기장치(10)에 조작패널 형태로 마련되거나, 무선리모컨형태로 마련되어 제어부(300)로 선택된 모드 신호를 전달한다.
감지센서(80)는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 내부의 공기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센서(82)와,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84)를 포함하며 이들 감지센서(80)는 각 위치에서 센싱된 감지값을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모드선택부(90)에서 선택된 모드가 센싱모드이면, 각 감지센서(8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와 미리 입력된 환기장치(10)의 구동 설정값에 기초하여 환기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설정값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제1구동 설정값과 이보다 큰 제2구동 설정값으로 구분하여 감지센서(8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값이 제1구동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팬모터(32)을 구동해서 도 1과 같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화장실(3)의 공기만 환기장치(10)에 유입하여 배기관(6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감지값이 제1구동 설정값보다 높고 제2구동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 팬모터(32)와 전자석(140)을 구동해서 도 2a와 같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의 공기와 화장실(3)의 공기를 환기장치(10)에 같이 유입하여 배기관(6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감지값이 제2구동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팬모터(32)와 전자석(140) 및 솔레노이드(72)를 구동하여 도 2b와 같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드레스룸, 신발장 또는 주방(2)의 공기만 환기장치(10)에 유입하여 배기관(60)을 통해 외부로 빠르게 배출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모드선택부(90)에서 선택된 모드가 자동모드이면 제어부(300)에 미리 입력된 구동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환기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모드선택부(90)에서 선택된 모드가 수동모드이면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환기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타이머(302)와 릴레이(304)를 구비하여 팬모터(32)의 구동 시간에 따라 상기 전자석(1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타이머(302)는 팬모터(32)가 동작되어 전자석(140)이 구동된 경우 동작되며, 동작 후 대략 2-3초가 경과된 시점에 릴레이(304)를 구동시킨다.
릴레이(304)는 타이머(302)에 의하여 구동되며, 구동에 의해 전자석(14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즉, 팬모터(32)의 동작 후 대략 2-3초가 경과하면 전자석(140)의 구동이 정지하게 되며, 전자석(140)에 의해 플레이트(120)의 하측의 영구자석(130)에 가해지는 척력은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플레이트(120)는 스파이럴체(30)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한 폐쇄되지 않고 개방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0)가 팬모터(32)의 동작 시점에서 전자석(140)을 구동시킴으로써, 플레이트(120)의 개방 시점에 개방을 위해 요구되는 구동력을 원활히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가 팬모터(32)의 동작 후 사전에 정해진 시간 경과 후에는 전자석(14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것은 전자석(140)의 구동을 정지시키더라도 팬모터(32)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플레이트(120)의 개방이 유지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10: 급속환기장치 20: 커버
30: 스파이럴체 40: 본체
50: 흡기관 60: 배기관
70: 제2개폐수단 80: 감지센서
90: 모드선택부 100: 개폐수단
300: 제어부

Claims (9)

  1. 하방이 개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입구와 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본체;
    냄새, 습기나 곰팡이 등에 취약한 실내 구역(이하 취약구역)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입구에 형성되는 흡기관;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출구에 형성되는 배기관;
    팬모터와 임펠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본체에 장착되는 스파이럴체;
    화장실과 연통하도록 개구된 그릴을 구비하고 상기 그릴의 하부에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부착되어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측에 결합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개구된 그릴을 폐쇄하여 화장실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개폐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개폐수단은,
    하방이 개방된 슬라이드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그릴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이 생기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슬라이드홈에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방에서 삽입되고 자석에 부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상승하고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플런저와, 상기 그릴의 하부에서 플런저에 결합되어 그릴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2. 삭제
  3. 하방이 개방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고 입구와 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본체;
    취약구역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입구에 형성되는 흡기관;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출구에 형성되는 배기관;
    팬모터와 임펠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본체에 장착되는 스파이럴체;
    화장실과 연통하도록 개구된 그릴을 구비하고 상기 그릴의 하부에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부착되어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측에 결합하는 커버;
    상기 흡기관에 설치되어 전원을 인가하면 자성을 띄는 전자석에 의해 흡기관을 개폐하는 제1개폐수단;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보빈에 코일을 감아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의 전자력에 의해 개구된 그릴을 폐쇄하여 화장실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개폐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개폐수단은,
    하방이 개방된 슬라이드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그릴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이 생기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슬라이드홈에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방에서 삽입되고 자석에 부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상승하고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플런저와, 상기 그릴의 하부에서 플런저에 결합되어 그릴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0099740A 2011-09-30 2011-09-30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KR101143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740A KR101143416B1 (ko) 2011-09-30 2011-09-30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740A KR101143416B1 (ko) 2011-09-30 2011-09-30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416B1 true KR101143416B1 (ko) 2012-05-22

Family

ID=4627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740A KR101143416B1 (ko) 2011-09-30 2011-09-30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4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810A (ko) 2017-05-01 2018-11-09 정일권 결로방지를 위한 밀폐제어 제습방법 및 그 장치
KR102423594B1 (ko) * 2021-05-11 2022-07-22 (주)그렉스 다용도실 배기 기능을 가지는 팬 분리형 주방 후드 배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0953U (ko) * 1977-12-12 1979-06-27
KR101027846B1 (ko) * 2010-10-27 2011-04-07 주식회사 구펜 역풍방지용 댐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0953U (ko) * 1977-12-12 1979-06-27
KR101027846B1 (ko) * 2010-10-27 2011-04-07 주식회사 구펜 역풍방지용 댐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810A (ko) 2017-05-01 2018-11-09 정일권 결로방지를 위한 밀폐제어 제습방법 및 그 장치
KR102423594B1 (ko) * 2021-05-11 2022-07-22 (주)그렉스 다용도실 배기 기능을 가지는 팬 분리형 주방 후드 배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9185B2 (en) Ventilation and dry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RU2584517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алибровки вентиляционной установки
CN104456797A (zh) 吸顶嵌入式智能厨房空调
US5447470A (en) Apparatus insuring distribution and automatic control of air supplies, in particular for ventilation of buildings
KR101476528B1 (ko) 전열교환기 연동형 주방 환기장치 및 그 환기방법
KR20180063813A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150513B1 (ko)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KR20160142605A (ko) 창문에 설치되는 실내공기 환풍장치
KR20090123646A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101143416B1 (ko)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KR101058417B1 (ko) 자동환기 가능한 창문틀
KR101016244B1 (ko) 렌지후드 및 욕실 배기팬을 이용한 실내 환기 시스템
KR101895435B1 (ko) 건축용 실내 환기 개선장치
KR101847426B1 (ko) 지하공간 환기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용 배기장치
JP5698031B2 (ja) 建物用換気システム
KR100533413B1 (ko) 주택 내부 환기 시스템
KR101964986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KR100893073B1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JP2001221474A (ja) 3階建以上の戸建住宅用自然換気建造物の構造及び自然換気システム
JP4678274B2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換気装置
KR20120064536A (ko) 환풍기능을 구비한 창호
JP4924031B2 (ja) 換気システム
KR200375010Y1 (ko) 외기흡입장치와 연동하는 댐퍼장치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20060014834A (ko) 건물 내부 환기 시스템
KR100867305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