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261Y1 -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261Y1
KR200468261Y1 KR2020110001735U KR20110001735U KR200468261Y1 KR 200468261 Y1 KR200468261 Y1 KR 200468261Y1 KR 2020110001735 U KR2020110001735 U KR 2020110001735U KR 20110001735 U KR20110001735 U KR 20110001735U KR 200468261 Y1 KR200468261 Y1 KR 200468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oupled
magnetic core
gear flange
gear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279U (ko
Inventor
유동윤
Original Assignee
(주)반도호이스트크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반도호이스트크레인 filed Critical (주)반도호이스트크레인
Priority to KR2020110001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26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2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2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3Mechanisms with latches or braking devices in general for capstans, hoists or similar devices as well as braking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or by fluid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이스트용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브레이크의 마그네틱코어 유지보수 시 기어박스를 개방하지 않고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호이스트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 측 기어박스를 커버하는 기어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플랜지에 마그네틱 코어가 결합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어박스를 커버하는 기어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플랜지에 마그네틱 코어가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브레이크의 마그네틱코어 유지보수시 기어박스의 커버를 겸하는 기어플랜지를 제외한 마그네틱코어만 유지보수 할 수 있고, 기어박스를 개방하지 않고 유지보수할 수 있어 유지보수과정에 오일의 교체를 필요치 않으며, 베어링 풀러와 같은 특수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그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호이스트용 브레이크{A Break for Hoist}
본 고안은 호이스트용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이스트용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 측 기어박스를 커버하는 기어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플랜지에 마그네틱코어가 결합되게 구성하여서, 브레이크의 마그네틱코어 유지보수 시 기어박스를 개방하지 않고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는 창고, 철도역 등에서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 및 조립에 사용된다.
호이스트는 권상용(捲上用) 로프 끝에 훅(hook)을 장치하여 물체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용도로 사용되며, 물체를 권상, 권하 방향(x 방향, -x 방향), 횡행 방향(y 방향, -y 방향) 및 주행 방향(z 방향, -z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호이스트는 물체를 권상하 방향, 횡행 방향 또는 주행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옮기기 위하여 호이스트 전동기와 호이스트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물체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 및 주행 중 상태에서 이동시 중량물의 추락 등과 위급한 상황에 호이스트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는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300) 측에 결합되며 자력 발생부(231)가 구비된 마그네틱 코어(230)와, 상기 마그네틱 코어(230)에 등 간격으로 구비된 가이드핀(240)과, 상기 가이드핀(240)과 마그네틱 코어(230)의 중앙을 관통하여 돌출된 브레이크 축에 순차적으로 결합된 무빙 코어(250)와 브레이크 휠(262), 브레이크 디스크(261) 및 브레이크 아마추어(263)와, 상기 가이드핀(240)에 결합되어 무빙 코어(25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70) 및 브레이크커버(28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브레이크 마그네틱 코어(2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마그네틱 코어(230)에 다수 구비된 자력 발생부(231)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무빙 코어(250)가 상기 마그네틱 코어(230)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무빙 코어(250)가 이동하면 브레이크 휠(262)과 브레이크 디스크(261) 사이에 공간이 생기면서 브레이크가 개방되어 권상 또는 권하가 작동되고, 상기 마그네틱 코어(230)의 자력 발생부(23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스프링(270)에 의해 상기 무빙 코어(250)가 원상 복귀되면서 브레이크가 작동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는 마그네틱 코어(230)가 기어박스(300)의 커버를 겸하여 구성하고 있어, 브레이크의 마그네틱코어 점검 또는 유지보수시 브레이크커버(280)를 분리하고 브레이크 휠(262)과 브레이크 디스크(261) 및 무빙 코어(250)의 동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핀(240)의 너트(241)를 분리한 후 브레이크 아마추어(263)와 브레이크 휠(262) 및 브레이크 디스크(261)를 순차적으로 분리한 후 무빙 코어(250)를 분리하고 마그네틱 코어(230)를 분리하는 순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마그네틱 코어(230)의 분리 시 기어박스의 커버부분이 마그네틱 코어(230)에 구조적으로 합쳐져 있어 이를 통째로 수리하여야 하며 수리과정에 기어박스(300)가 오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기어박스(300)가 오픈되게 되면 오일을 빼내야하고 조립 시 오일을 재주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마그네틱 코어(230)에 브레이크 축(310)이 베어링 결속되어 있어 베어링 풀러와 같은 특수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고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270)이 가이드핀(240)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동작과정에 있어 가이드핀의 손상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호이스트 브레이크가 마그네틱 코어 기어박스의 커버를 겸하여 브레이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고 스프링이 가이드핀에 결합되어 있어 동작과정에 가이드핀의 긁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호이스트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 측 기어박스를 커버하는 기어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플랜지에 마그네틱 코어가 결합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어박스를 커버하는 기어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플랜지에 마그네틱 코어가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브레이크의 마그네틱코어 유지보수 시 기어박스를 개방하지 않고 유지 보수할 수 있어 오일의 교체를 필요치 않으며, 베어링 풀러와 같은 특수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호이스트 브레이크 결합 단면도.
도 2 는 종래 호이스트 브레이크 분해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 브레이크 결합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 브레이크 분해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호이스트 브레이크의 마그네틱 코어 유지보수에 있어 기어박스를 개방하지 않고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 측 기어박스(300)를 커버하며 브레이크 측으로 돌출되는 브레이크 축(310)이 베어링 결속되며 기어박스(300)에 결합되는 기어플랜지(110)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플랜지(110)에 마그네틱 코어(130)가 결합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기어플랜지(110)는 중앙에 브레이크 축(310)이 관통되며 상기 브레이크 축(310)을 베어링지지 하여 베어링(120)이 결합되는 베어링 저널부(111)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등 간격으로 3 개의 가이드핀(140)이 돌출되게 결합되며, 외주연에는 기어박스(30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공이 형성되며, 외주연의 내측에는 브레이크 커버(180)의 결합을 위한 원통형의 커버 결속부(113)가 돌출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축(310)과 가이드핀(140)에는 순차적으로 무빙 코어(150)와 브레이크 휠(162), 브레이크 디스크(161) 및 브레이크 아마추어(163)가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핀(140)의 단부에는 결합된 무빙 코어(150)와 브레이크 휠(162), 브레이크 디스크(161) 및 브레이크 아마추어(163)가 이탈되지 않게 구속하는 너트(141)가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동작과정에 있어 가이드핀(1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기어플랜지(110)의 베어링 저널부(111)의 외측으로 스프링(170)이 수용되는 스프링 수용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수용홈(112)에 스프링(170)이 결합되어서 무빙 코어(150)를 탄성 지지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호이스트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 측 기어박스(300)를 커버하며 브레이크 측으로 돌출되는 브레이크 축(310)이 베어링 결속되며 기어박스(300)에 결합되는 기어플랜지(110)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플랜지(110)에 마그네틱 코어(130)가 결합되게 구성하고, 상기 기어플랜지(110)는 중앙에 브레이크 축(310)이 관통되며 상기 브레이크 축(310)을 베어링지지 하여 베어링이 결합되는 베어링 저널부(111)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등 간격으로 3 개의 가이드핀(140)이 돌출되게 결합되며, 외주연에는 기어박스(300)와의 결합을 볼트공이 형성되며, 외주연의 내측에는 브레이크 커버(180)의 결합을 위한 원통형의 커버 결속부(113)가 돌출형성된 본 고안은 기어플랜지(110)에 결합되어 있는 마그네틱 코어(1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마그네틱 코어(130)에 다수 구비된 자력발생부(131)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무빙 코어(150)가 상기 마그네틱 코어(130)로 이동된다.
삭제
이때, 기어플랜지(110)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170)이 무빙 코어(150)를 탄성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170)이 가이드핀(14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기어플랜지(110)의 스프링 수용홈(112)에 결합되어 있어 동작과정의 가이드핀(140)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무빙 코어(150)가 이동하면 브레이크 휠(162)과 브레이크 디스크(161) 사이에 공간이 생기면서 브레이크가 개방되어 권상 또는 권하가 작동되고, 상기 마그네틱 코어(130)의 자력 발생부(13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스프링(170)에 의해 상기 무빙 코어(150)가 원상 복귀되면서 브레이크가 작동된다.
한편, 본 고안이 적용된 호이스트 브레이크를 유지보수 하고자 할 경우에는 브레이크 커버(180)를 분리하고 3 개의 가이드핀(140)에 결합된 너트(141)를 분리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아마추어(163)와 브레이크 디스크(161), 브레이크 휠(162) 및 무빙 코어(150)를 순차적으로 분리한 후 기어플랜지(110)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170)을 분리하고 마그네틱 코어(130)를 분리함으로써 브레이크의 분해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기어박스(300)가 개방되지 않아 기어박스(300)의 오일을 빼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분해과정에 물림상태가 견고한 베어링 저널부가 없어 베어링 풀러와 같은 특수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110 : 기어플랜지 111 : 베어링 저널부 112 : 스프링 수용홈
113 : 커버 결속부
120 : 베어링
130 : 마그네틱 코어 131 : 자력발생부
140 : 가이드핀 141 : 너트
150 : 무빙 코어
161 : 브레이크 디스크 162 : 브레이크 휠 163 : 브레이크 아마추어
170 : 스프링
180 : 브레이크 커버
300 : 기어박스 310 : 브레이크 축

Claims (3)

  1. 호이스트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 측 기어박스(300)를 커버하며 브레이크 측으로 돌출되는 브레이크 축(310)이 베어링 결속되며 기어박스(300)에 결합되는 기어플랜지(110)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플랜지(110)에 마그네틱 코어(130)가 결합되게 구성하고,
    상기 기어플랜지(110)는 중앙에 브레이크 축(310)이 관통되며 상기 브레이크 축(310)을 베어링지지 하여 베어링(120)이 결합되는 베어링 저널부(111)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등 간격으로 3 개의 가이드핀(140)이 돌출되게 결합되며, 외주연에는 기어박스(30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공이 형성되며, 외주연의 내측에는 브레이크 커버(180)의 결합을 위한 원통형의 커버 결속부(113)가 돌출형성되게 구성하고,
    상기 브레이크 축(310)과 가이드핀(140)에는 순차적으로 무빙 코어(150)와 브레이크 휠(162), 브레이크 디스크(161) 및 브레이크 아마추어(163)가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핀(140)의 단부에는 결합된 무빙 코어(150)와 브레이크 휠(162), 브레이크 디스크(161) 및 브레이크 아마추어(163)가 이탈되지 않게 구속하는 너트(141)가 결합되게 구성하며,
    브레이크의 동작과정에 있어 가이드핀(1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기어플랜지(110)의 베어링 저널부(111)의 외측으로 스프링(170)이 수용되는 스프링 수용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수용홈(112)에 스프링(170)이 결합되어서 무빙 코어(150)를 탄성 지지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브레이크.
  2. 삭제
  3. 삭제
KR2020110001735U 2011-03-02 2011-03-02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KR200468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735U KR200468261Y1 (ko) 2011-03-02 2011-03-02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735U KR200468261Y1 (ko) 2011-03-02 2011-03-02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79U KR20120006279U (ko) 2012-09-12
KR200468261Y1 true KR200468261Y1 (ko) 2013-08-01

Family

ID=5139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735U KR200468261Y1 (ko) 2011-03-02 2011-03-02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2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40B1 (ko) * 2015-07-10 2017-02-23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
CN109027071A (zh) * 2018-09-27 2018-12-18 中国矿业大学 一种提升机制动闸后盖式碟簧力监测传感器
KR102450456B1 (ko) * 2021-05-17 2022-10-06 (주)고려호이스트 브레이크 해제장치가 구비되는 전기 호이스트
KR102470912B1 (ko) 2022-09-15 2022-11-28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라이닝 일체형 브레이크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브레이크 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686A (ja) * 1997-09-12 1999-03-23 Meidensha Corp ホイスト
KR200420051Y1 (ko) * 2006-04-15 2006-06-28 한국고벨주식회사 로드셀을 이용한 디씨 디스크브레이크 제동력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686A (ja) * 1997-09-12 1999-03-23 Meidensha Corp ホイスト
KR200420051Y1 (ko) * 2006-04-15 2006-06-28 한국고벨주식회사 로드셀을 이용한 디씨 디스크브레이크 제동력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79U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261Y1 (ko)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US20150368071A1 (en) Self-propelled cargo lift for elevator systems
JP3190794U (ja) ホイスト
CN107215794B (zh) 静音式绞车
KR101709340B1 (ko)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
KR20080036457A (ko) 위보기 용접로봇의 분리식 대차
KR101085827B1 (ko)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KR100613431B1 (ko) 이중브레이크 장착형 호이스트
CN105858416A (zh) 一种电梯用的曳引动力系统
CN100465081C (zh) 电梯辅助自救的确保系统
CN105189328A (zh) 耦接装置
CN209193276U (zh) 一种盘管器及具有该盘管器的凿岩台车
CN202718073U (zh) 移动式拉杆锁定装置
KR200466290Y1 (ko) 호이스트용 제동장치
CN106006377A (zh) 一种起重机起升机构的驱动装置
KR200479293Y1 (ko) 방전 저항을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KR102467426B1 (ko) 건설공사용 리프트 동력 전달장치
KR20140008692A (ko) 축이음부재 지지장치
JP5632214B2 (ja) 巻上機
CN211141326U (zh) 一种门式起重机组件
CN113336113B (zh) 起升装置和工程机械
CN203806978U (zh) 一种卷扬式小车结构
CN217516508U (zh) 一种车体活动式起吊环
CN210457208U (zh) 智能电动葫芦
JP5514011B2 (ja) 軌陸作業車吊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