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340B1 -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 - Google Patents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340B1
KR101709340B1 KR1020150098253A KR20150098253A KR101709340B1 KR 101709340 B1 KR101709340 B1 KR 101709340B1 KR 1020150098253 A KR1020150098253 A KR 1020150098253A KR 20150098253 A KR20150098253 A KR 20150098253A KR 101709340 B1 KR101709340 B1 KR 101709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rake
magnet core
ring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886A (ko
Inventor
송근상
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Priority to KR102015009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3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7Brakes with axial thrust for winches, hoists or simila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브레이크 커버(310); 상기 브레이크 커버(310)에 구비되며 브레이크축(312)이 관통 결합된 마그넷 코어(320); 상기 브레이크 커버(310)에 내장되어 상기 마그넷 코어(32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브레이크 디스크; 상기 마그넷 코어(320)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브레이크 커버(310)에 내장된 무빙 코어(330); 상기 브레이크 커버(310)에 내장되어 상기 무빙 코어(330)가 상기 마그넷 코어(320)의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넷 코어(320) 쪽으로 이동시에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에서 이격되는 브레이크휠(340); 상기 무빙 코어(330)가 상기 마그넷 코어(320)의 자력 해제시 상기 무빙 코어(330)와 상기 브레이크휠(340)이 브레이크 디스크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탄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그넷 코어(320)는 자력을 형성하도록 링 형상으로 단일화되도록 구성된 코어(3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Steam trap with reinforced pressure leakage prevention check valve}
본 발명은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주요부인 코어를 링 형식을 단일화하여 구성한 새로운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는 창고, 철도역 등에서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 및 조립에 사용된다.
호이스트는 권상용(捲上用) 로프 끝에 훅(hook)을 장치하여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용도로 사용되며, 물체를 권상, 권하 방향(x 방향, -x 방향), 횡행 방향(y 방향, -y 방향) 및 주행 방향(z 방향, -z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호이스트는 물체를 권상하 방향, 횡행 방향 또는 주행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옮기기 위하여 호이스트 전동기와 호이스트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 자동차 생산라인 등에서와 같이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소정위치에 조립 및 장착하는 경우 화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한 호이스트가 이용된다. 즉, 호이스트는 로프(와이어 로프 또는 체인) 끝단에 매달린 후크에 화물을 연결하여 상기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호이스트는 작은 용량의 화물 등을 들어올리고 이동하는 데 사용하는 호이스트, 창고나 철도역 등 공사장에서 큰 기계 부품 및 장비의 이동 및 조립시 사용하는 대용량의 호이스트까지 용량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상기와 같은 호이스트는 주로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를 통해 호이스트 와이어를 끌어당기거나 풀어주어 화물을 승하강시키는 것이 보통이며, 이러한 화물의 승강용 호이스트를 모터 등에 의해 구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가 기존에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물체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 및 주행 중 상태에서 이동시 중량물의 추락 등과 위급한 상황에 호이스트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는 기어박스 측에 결합되며 자력 발생부가 구비된 마그넷 코어와, 상기 마그넷 코어에 등 간격으로 구비된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과 마그넷 코어의 중앙을 관통하여 돌출된 브레이크 축에 순차적으로 결합된 무빙 코어와 브레이크 휠, 브레이크 디스크 및 브레이크 아마추어와, 상기 가이드핀에 결합되어 무빙 코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및 브레이크커버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브레이크 마그넷 코어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마그넷 코어에 다수 구비된 자력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무빙 코어가 상기 마그넷 코어로 이동된다.
그리고, 무빙 코어가 이동하면 브레이크 휠과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에 공간이 생기면서 브레이크가 개방되어 권상 또는 권하가 작동되고, 상기 마그넷 코어의 자력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스프링에 의해 상기 무빙 코어가 원상 복귀되면서 브레이크가 작동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원형 코어가 6개로 나뉘어져 있어서 코일을 6군데에 나누어 감고 수작업으로 마감처리가 필요하여, 작업성이 좋지 않고, 코어 6개의 자력이 일치하지 않아서 브레이크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사례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수리 및 교체시 부분적으로 탈착이 되지 않아서 마그넷 코어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476949호(2005.03.07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497030호(2005.06.15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613431호(2006.08.09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주요부인 코어를 링 형식을 단일화하여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져서 작업성이 좋고, 링 구조에서 균일한 자기력을 발생시켜 브레이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코어의 부분적인 탈착이 가능하여 수리가 용이하고 교체 비용이 저렴한 새로운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커버; 상기 브레이크 커버에 구비되며 브레이크 축이 관통 결합된 마그넷 코어; 상기 브레이크 커버에 내장되어 상기 마그넷 코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브레이크 디스크; 상기 마그넷 코어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브레이크 커버에 내장된 무빙 코어; 상기 브레이크 커버에 내장되어 상기 무빙 코어가 상기 마그넷 코어의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넷 코어 쪽으로 이동시에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에서 이격되는 브레이크 휠; 상기 무빙 코어가 상기 마그넷 코어의 자력 해제시 상기 무빙 코어와 상기 브레이크 휠이 브레이크 디스크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탄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그넷 코어는 자력을 형성하도록 링 형상으로 단일화되도록 구성된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단일의 링 형상(통합 일체형)으로 바꾸어서 생산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부분적으로 전자기력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균일하게 브레이크를 해제하게 할 수 있다. 브레이크의 작동 신뢰성이 보다 높아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트 코어 부분을 착탈할 수 있게 설계하여 코어 소손시 일부만 교체 가능하게 하므로, AS를 간편하게 하고 AS 비용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리부인 마그넷 코어의 재질은 SS400 및 S450으로 구성하여 친화력을 높이고 베이스부인 마그넷 코어 링의 재질은 주철이나 회주철로 하여 주물 금형에서 바로 생산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생간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마그넷 코어링과 코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그넷 코어링과 코어가 결합되는 마그넷 코어링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마그넷 코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는 브레이크 커버(310)와, 이러한 브레이크 커버(310)에 구비되며 브레이크축(312)이 관통 결합된 마그넷 코어(320)와, 상기 브레이크 커버(310)에 내장되어 마그넷 코어(32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마그넷 코어(320)와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에 배치되도록 브레이크 커버(310)에 내장된 무빙 코어(330)와, 상기 브레이크 커버(310)에 내장되어 무빙 코어(330)가 마그넷 코어(320)의 자력에 의해 마그넷 코어(320) 쪽으로 이동시에 브레이크 디스크에서 이격되는 브레이크휠(340)과, 상기 무빙 코어(330)가 마그넷 코어(320)의 자력 해제시 무빙 코어(330)와 브레이크휠(340)이 브레이크 디스크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탄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 코어(320)는 자력을 형성하도록 링 형상으로 단일화되도록 구성된 코어(326)를 포함한다. 마그넷 코어(320)는 코어(326)에 코일을 감아서 코어(326)를 자화(magnetization)시켜서 생성된 자기력(magnetic force)을 이용하여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만들어내는 구조를 설계된다.
상기 마그넷 코어(320)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넷 코어(320)에 링 형상의 코어(326)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무빙 코어(330)가 마그넷 코어(320)로 이동되고, 무빙 코어(330)가 이동하면 브레이크휠(340)과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에 공간이 생기면서 브레이크가 개방되어 권상 또는 권하가 작동되고, 상기 마그넷 코어(320)의 자력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스프링(350)에 의해 상기 무빙 코어(330)가 원상 복귀되면서 브레이크가 작동된다.
본 발명에서는 마그넷 코어(320)가 자력을 형성하도록 링 형상으로 단일화되도록 구성된 코어(326)를 포함하는 것에 주요 특징이 있다.
상기 마그넷 코어(320)는 코어 바디(322)와 마그넷 코어링(324)과 코어(326)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 바디(322)는 무빙 코어(33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물론, 브레이크 하우징에 코어 바디(322)가 내장된다.
상기 마그넷 코어링(324)은 코어 바디(322)에 동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코어(326)는 링 형상으로 단일화되도록 구성되어 마그넷 코어링(324)에 결합된다. 코어(326)는 링 형상으로 단일화된 것이 주요 특징이 된다. 코어(326)는 자력을 형성한다. 전원의 인가에 의해 코어(326)가 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코어(326)는 마그넷 코어링(324)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서포트편(362)과 체결구(364)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편(362)은 코어(326)를 마그넷 코어링(324)의 한쪽 면에 받쳐주기 위한 것이다. 복수개의 서포트편(362)이 코어(326)를 마그넷 코어링(324)에 받쳐서 지지한다.
상기 체결구(364)는 서포트편(362)을 마그넷 코어링(324)에 고정한다. 체결구(364)는 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넷 코어링(324)은 내부에 한쪽 면으로 연통된 링홈 형상의 코어 수용홈(324G)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326)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코어 수용홈(324G)에 코어(326)가 안착된다. 또한, 서포트편(362)은 마그넷 코어링(324)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코어(326)를 마그넷 코어링(324)의 한쪽 면에서 받쳐주도록 구성된다. 복수개의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서포트편(362)이 코어(326)를 마그켓 코어(326) 링의 한쪽 면에서 받쳐줌으로써 코어(326)가 마그넷 코어링(3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마그넷 코어링(324)은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보스(324BO)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보스(324BO)에 체결구(362B) 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편(362)은 외측단에 체결구 결합부(362A)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 결합부(362A)에 양면으로 연통된 체결구(362B) 삽입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 결합부(362A)의 체결구(362B) 삽입홀과 결합보스(324BO)의 체결구(362B) 결합홀에 볼트 등의 체결구(364)가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편(362)으로 코어(326)를 마그넷 코어링(324)의 한쪽면에서 받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체결구(364)를 풀어주면 서포트편(362)을 들어내서 코어(326)를 마그넷 코어링(324)에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트편(362)은 코어 바디(322)에 구비된 오목한 수용홈에 들어간 상태에서 체결구(364)에 의해 고정되어 코어 바디(322)에서 돌출되는 구조를 방지하는데,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호이스트 브레이크의 두께를 보다 슬림화시킬 수 있고 서포트편(362)이 주위에 걸려서 체결구(364)가 풀어지는 등의 경우가 방지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보다 높으며 서포트편(362)으로 마그넷 코어링(324)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310. 브레이크 커버 312. 브레이크축
320. 마그넷 코어 322. 코어 바디
324. 마그넷 코어링 330. 무빙 코어
340. 브레이크휠 350. 스프링
362. 서포트편 364. 체결구

Claims (6)

  1. 브레이크 커버(310);
    상기 브레이크 커버(310)에 구비되며 브레이크축(312)이 관통 결합된 마그넷 코어(320);
    상기 브레이크 커버(310)에 내장되어 상기 마그넷 코어(32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브레이크 디스크;
    상기 마그넷 코어(320)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브레이크 커버(310)에 내장된 무빙 코어(330);
    상기 브레이크 커버(310)에 내장되어 상기 무빙 코어(330)가 상기 마그넷 코어(320)의 자력에 의해 상기 마그넷 코어(320) 쪽으로 이동시에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에서 이격되는 브레이크휠(340);
    상기 무빙 코어(330)가 상기 마그넷 코어(320)의 자력 해제시 상기 무빙 코어(330)와 상기 브레이크휠(340)이 브레이크 디스크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탄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그넷 코어(320)는 자력을 형성하도록 링 형상으로 단일화되도록 구성된 코어(326)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 코어(320)는,
    상기 무빙 코어(33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코어 바디(322);
    상기 코어 바디(322)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마그넷 코어링(324);
    링 형상으로 단일화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마그넷 코어링(324)에 결합되며 자력을 형성하는 상기 코어(32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어(326)는 상기 마그넷 코어링(324)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코어(326)를 상기 마그넷 코어링(324)의 한쪽 면에 받쳐주는 서포트편(362);
    상기 서포트편(362)을 상기 마그넷 코어링(324)에 고정하는 체결구(36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그넷 코어링(324)은 내부에 한쪽 면으로 연통된 링홈 형상의 코어 수용홈(324G)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326)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코어 수용홈(324G)에 상기 코어(326)가 안착되며, 상기 서포트편(362)은 상기 마그넷 코어링(324)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코어(326)를 상기 마그넷 코어링(324)의 상기 한쪽 면에서 받쳐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코어링(324)은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보스(324BO)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보스(324BO)에 체결구(362B) 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편(362)은 외측단에 체결구 결합부(362A)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 결합부(362A)에 양면으로 연통된 체결구(362B) 삽입홀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 결합부(362A)의 상기 체결구(362B) 삽입홀과 상기 결합보스(324BO)의 상기 체결구(362B) 결합홀에 상기 체결구(364)가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편(362)으로 상기 코어(326)를 상기 마그넷 코어링(324)의 한쪽면에서 받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
KR1020150098253A 2015-07-10 2015-07-10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 KR101709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253A KR101709340B1 (ko) 2015-07-10 2015-07-10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253A KR101709340B1 (ko) 2015-07-10 2015-07-10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886A KR20170006886A (ko) 2017-01-18
KR101709340B1 true KR101709340B1 (ko) 2017-02-23

Family

ID=5799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253A KR101709340B1 (ko) 2015-07-10 2015-07-10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6422B (zh) * 2018-07-20 2020-07-14 长久(滁州)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运输车用起吊装置
KR102470912B1 (ko) 2022-09-15 2022-11-28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라이닝 일체형 브레이크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브레이크 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829B2 (ja) * 1989-08-18 1995-04-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KR100476949B1 (ko) 2002-09-18 2005-03-16 이광진 전자회로로 모듈화된 호이스트 브레이크용 과부하방지장치
KR100497030B1 (ko) 2002-10-14 2005-06-28 반도종공 주식회사 드럼브레이크를 갖는 호이스트
KR100613431B1 (ko) 2004-12-07 2006-08-17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이중브레이크 장착형 호이스트
KR200468261Y1 (ko) * 2011-03-02 2013-08-01 (주)반도호이스트크레인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886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01169A (ja) リフト機構のシステム配置およびシステム配置を作動させる方法
CN107848761B (zh) 电梯用曳引机和电梯
KR101709340B1 (ko) 일체형 코어를 적용한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구조
JP5409788B2 (ja) エレベータの直動式ドラムブレーキ装置
WO2014174602A1 (ja) ブレーキ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101080640B1 (ko) 모듈화된 호이스트 드라이브
KR200468261Y1 (ko) 호이스트용 브레이크
JP4952296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用ブレーキの解放装置及びそのブレーキの解放方法
JP201415931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ブレーキ装置
JP2016034872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2015089840A (ja) 電磁ブレーキ装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US20220260124A1 (en) Electromagnetic brake
US20220243775A1 (en) Electromagnetic brake
KR20110098170A (ko)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JP2010024014A (ja)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
JP6606029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EP1790609B1 (en) Hoist for elevator
US20220275844A1 (en) Electromagnetic brake
KR100936096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
KR200444548Y1 (ko) 호이스트용 일체형 로터 및 이를 구비한 체인 호이스트
CN215444834U (zh) 复合控制式制动器
WO2020183643A1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ブレーキ及び巻上機
CN201545580U (zh) 电梯驱动装置
KR100904115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 장치
CN110831883A (zh) 电梯用曳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