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170A -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 Google Patents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170A
KR20110098170A KR1020100017634A KR20100017634A KR20110098170A KR 20110098170 A KR20110098170 A KR 20110098170A KR 1020100017634 A KR1020100017634 A KR 1020100017634A KR 20100017634 A KR20100017634 A KR 20100017634A KR 20110098170 A KR20110098170 A KR 20110098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er
coupled
cover
spindl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827B1 (ko
Inventor
조덕래
Original Assignee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고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8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10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16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the drums or barrels being freely rotatable, e.g. having a clutch activated independently of a br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2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 B66D2700/025Hoists moto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3Mechanisms with latches or braking devices in general for capstans, hoists or similar devices as well as braking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or by fluid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두 측판들 중 하나의 측판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 고정판의 외측면에 대응 일측면이 고정되는 브레이크; 브레이크의 타측면에 대응 일측면이 고정되는 구동모터; 일측에 구비된 제1감속기커버가 고정판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이 전달되며, 타측에 두 측판 중 나머지 하나의 측판을 관통하도록 감속기주축이 설치되는 감속기; 일측이 감속기의 제1감속기커버에 결합되어서 제1감속기커버와 함께 회전되고, 타측이 감속기주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마찰차; 마찰차의 타측과 감속기주축에 설치되어서 마찰차가 감속기주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체; 측판에 설치되고 감속기주축이 결합되며 감속기주축으로부터 전달된 회전속도를 증속시켜서 증속비에 비례하게 제동토크를 감소시키는 증속기; 증속기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감속기주축을 제동시키는 밴드브레이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동모터 및 브레이크에 전원을 차단하여서 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에서 밴드브레이크에 전원을 인가하면 인양물 또는 로드블록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므로 본 발명의 마찰차 호이스트를 항타 작업에 사용할 수 있으며, 밴드브레이크로 감속기주축을 직접 제동시킬 때보다 증속기를 통해 제동시키므로 제동력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Friction wheel hoist with free fall function}
본 발명은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되어서 항타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적은 제동력으로 감속기주축을 제동시킬 수 있는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찰차 호이스트는 창고, 철도역 등에서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 조립에 사용된다. 이러한 마찰차 호이스트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짐을 오르내리는 기계장치의 하나로 원동기, 기어감속장치, 감기통 등을 한 조로 하고 권상용(捲上用) 와이어 끝에 훅(hook)을 장치하여 화물을 들어올린다.
상술한 마찰차 호이스트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둘레에 다수의 와이어홈들이 형성된 마찰차와, 마찰차와 후크 사이에 설치되고 와이어가 마찰차에서 풀리거나 감길시 이를 안내하는 권취쉬브 및 지지쉬브와, 마찰차에 연결되어서 이를 회전시키는 권상모터와, 권상모터와 마찰차 사이에 설치되어서 권상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와, 감속기에 연결되어서 이를 제어하는 브레이크와,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서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차륜을 트레인의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는 주행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마찰차 호이스트는, 마찰차가 회전되면 와이어가 마찰차의 와이어홈에 한줄씩 감기면서 로드블록을 들어 올리므로 로드블록에 연결된 인양물을 권양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마찰차 호이스트는, 권상모터 및 브레이크에 전원이 공급되면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권상모터가 구동되면서 감속기축이 회전되며 이에 따라 감속기축에 연결된 마찰차가 회전되므로 로드블록에 연결된 인양물을 인양시키게 된다.
권상모터 및 브레이크에 전원이 차단되면 권상모터에서 감속기로 공급되는 회전동력이 차단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서 모터축을 제동시키므로 감속기, 마찰차의 구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종래의 마찰차 호이스트는 권상모터 및 브레이크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시켜서 마찰차를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역할만 수행하므로 다른 용도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없다.
즉, 마찰차 호이스트로 항타 작업을 수행하려면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마찰차 호이스트는 마찰차가 감속기에 의해 천천히 회전되거나 브레이크에 의해 제동되는 작업만 이루어지므로 자유낙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종래의 마찰차 호이스트는 고가이면서도 인양물을 인양하는 작업 외에는 다른 작업을 병행하지 못하므로 경제적 효과가 감소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되어서 항타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제동력으로 감속기주축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는, 한쌍의 측판들과, 측판들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차륜이 설치되는 새들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 두 측판들 중 하나의 측판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 고정판의 외측면에 대응 일측면이 고정되는 브레이크; 브레이크의 타측면에 대응 일측면이 고정되는 구동모터; 일측에 구비된 제1감속기커버가 고정판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이 전달되며, 타측에 두 측판 중 나머지 하나의 측판을 관통하도록 감속기주축이 설치되는 감속기; 일측이 감속기의 제1감속기커버에 결합되어서 제1감속기커버와 함께 회전되고, 타측이 감속기주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마찰차; 마찰차의 타측과 감속기주축에 설치되어서 마찰차가 감속기주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체; 측판에 설치되고 감속기주축이 결합되며 감속기주축의 제동토크를 감소시키는 증속기; 증속기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감속기주축을 제동시키는 밴드브레이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의 다른 특징은, 고정판은, 일측 둘레가 측판에 결합되는 플랜지와, 플랜지의 일측 중앙에 돌출되어 있고 둘레에 제1감속기커버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베어링이 결합되는 결합돌부와, 결합돌부 둘레의 플랜지에 돌출되어 있고 제1감속기커버의 측면에 대향되어서 제1감속기커버의 회전을 지지하는 안내돌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의 또 다른 특징은, 감속기는, 마찰차를 회전시키도록 마찰차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고 일측 내주면에 제1링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내주면이 고정판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1감속기커버와, 일단이 구동모터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회전동력이 전달되며 감속기커버에 회전되도록 지지되는 입력축과, 입력축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제1선기어와, 제1선기어의 둘레에 치합되고 제1감속기커버의 제1링기어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와, 일단이 입력축의 타단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1전동축과, 제1전동축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며 제1유성기어가 결합되는 제1캐리어와, 제1전동축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제2선기어와, 제2선기어의 둘레에 치합되어 있는 제2유성기어와, 제2유성기어의 둘레에 치합되어 있는 제2링기어와, 일단이 제1전동축의 타단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2전동축과, 제2전동축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고 제2유성기어가 결합되는 제2캐리어와, 제2전동축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제3선기어와, 제3선기어의 둘레에 치합되어 있는 제3유성기어와, 제3유성기어의 둘레에 치합되어 있는 제3링기어와, 일단이 제2전동축의 타단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일단 둘레에 제3캐리어가 형성되어서 제3유성기어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이 회전지지체에 지지된 후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증속기에 결합되어 있는 감속기주축과, 감속기주축의 둘레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제1감속기커버와 함께 다수의 기어들을 감싸는 제2감속기커버와, 제1감속기커버, 제2링기어, 제3링기어, 제2감속기커버에 체결되어서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볼트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의 또 다른 특징은, 회전지지체는, 감속기주축의 둘레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마찰차의 타단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베어링하우징과, 감속기주축의 둘레와 베어링하우징 내에 설치되어서 베어링하우징 및 마찰차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지지베어링과, 베어링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서 제2지지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우징커버와, 베어링하우징, 마찰차, 하우징커버에 체결되어서 이들을 체결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의 또 다른 특징은, 증속기는, 일단이 감속기주축의 타단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밴드브레이크에 결합되어 있는 제동축과, 제동축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선기어와, 선기어의 둘레에 치합되어 있는 유성기어와, 유성기어의 둘레에 치합되어 있는 링기어와, 감속기주축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고 유성기어에 연결되어서 선기어를 중심으로 유성기어를 공전시키는 캐리어와, 감속기주축의 둘레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측판에 고정되며 링기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커버와, 제동축의 둘레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링기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커버와, 제1커버, 링기어, 제2커버에 체결되어서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볼트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구동모터 및 브레이크에 전원이 공급되면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구동모터가 구동되면서 감속기의 입력축이 회전되며 이때 감속기주축은 밴드브레이크에 의해 제동된 상태이므로 결합볼트로 결합된 제1링기어, 제2링기어, 제3링기어 및 제1감속기커버, 제2감속기커버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제1감속기커버에 결합된 마찰차가 회전된다. 구동모터 및 브레이크에 전원이 차단되면 구동모터가 정지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면서 감속기의 입력축이 제동되므로 마찰차의 회전이 정지된다. 인양물의 자유낙하시, 구동모터 및 브레이크에 전원이 차단되어서 감속기의 입력축이 제동된 상태에서 밴드브레이크의 마그네트코어에 전원을 인가하면 증속기의 제동축이 해제되면서 감속기의 입력축 및 제1선기어를 제외한 감속기의 부품들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인양물 또는 로드블록의 자중에 의해 마찰차가 회전되면서 인양물 또는 로드블록이 자유낙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 및 브레이크에 전원을 차단하여서 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에서 밴드브레이크에 전원을 인가하면 인양물 또는 로드블록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므로 본 발명의 마찰차 호이스트를 항타 작업에 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찰차 호이스트의 호환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는, 밴드브레이크가 감속기주축을 직접 제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동축을 제동시켜서 이에 연결된 감속기주축을 제동시킨다. 제동축을 제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선기어, 유성기어, 링기어, 캐리어가 제동되면서 캐리어에 결합된 감속기주축이 제동된다. 따라서 밴드브레이크로 감속기주축을 직접 제동시킬 때보다 증속기를 통해 제동시키므로 제동력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부품의 손상이 그만큼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2은 감속기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증속기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밴드브레이크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2은 감속기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증속기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밴드브레이크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는,
메인프레임(10), 고정판(20), 브레이크(30), 구동모터(40), 감속기(50), 마찰차(71), 회전지지체(80), 증속기(90), 밴드브레이크(100)로 이루어진다.
메인프레임(10)은, 한쌍의 측판(11)들과, 측판(11)들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차륜(13)이 설치되는 새들(12)로 이루어진다.
고정판(20)은, 두 측판(11)들 중 하나의 측판(11)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판(20)은, 플랜지(21), 결합돌부(22), 안내돌부(23)로 이루어진다. 플랜지(21)는, 일측 둘레가 측판(11)에 결합된다. 결합돌부(22)는, 플랜지(21)의 일측 중앙에 돌출되어 있고 둘레에 제1감속기커버(51)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베어링(24)이 결합되어 있으며, 제1지지베어링(24)에 후술할 제1감속기커버(51)가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안내돌부(23)는, 결합돌부(22) 둘레의 플랜지(21)에 돌출되어 있고 제1감속기커버(51)의 측면에 대향되어서 제1감속기커버(51)의 회전을 지지한다.
브레이크(30)는, 고정판(20)의 외측면에 브레이크(30)의 일측면이 고정된다.
구동모터(40)는, 브레이크(30)의 타측면에 구동모터(40)의 일측면이 고정된다.
감속기(50)는, 일측에 구비된 제1감속기커버(51)가 고정판(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40)의 모터축(미도시)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이 전달되며, 타측에 두 측판(11) 중 나머지 하나의 측판(11)을 관통하도록 감속기주축(65)이 설치된다.
이러한 감속기(50)는, 후술할 마찰차(71)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제1감속기커버(51)가 구비된다. 제1감속기커버(51)는, 마찰차(71)를 회전시키도록 마찰차(71)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고, 일측 내주면에 제1링기어(5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내주면이 고정판(20)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감속기커버(51)의 중앙에는 입력축(54)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입력축(54)은 일단이 구동모터(40)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회전동력이 전달되며 제1감속기커버(51)에 회전되도록 지지된다.
입력축(54)의 둘레에는 이와 함께 회전되도록 제1선기어(55)가 결합되어 있다. 제1선기어(55)의 둘레에는 제1감속기커버(51)의 제1링기어(53)에 치합되도록 제1유성기어(56)가 치합되어 있다.
입력축(54)의 타단에는 제1전동축(57)의 일단이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제1전동축(57)의 둘레에는 이와 함께 회전되도록 제1캐리어(58)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1캐리어(58)에는 제1유성기어(56)가 결합된다.
제1전동축(57)의 둘레에는 이와 함께 회전되도록 제2선기어(59)가 결합되어 있고, 제2선기어(59)의 둘레에는 제2유성기어(69)가 치합되어 있으며, 제2유성기어(69)의 둘레에는 제2링기어(60)가 치합되어 있다.
제1전동축(57)의 타단에는 제2전동축(61)의 일단이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제2전동축(61)의 둘레에는 이와 함께 회전되도록 제2캐리어(62)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제2캐리어(62)에는 제2유성기어(69)가 결합되어 있다.
제2전동축(61)의 둘레에는 이와 함께 회전되도록 제3선기어(63)가 결합되어 있고, 제3선기어(63)의 둘레에는 제3유성기어(70)가 치합되어 있으며, 제3유성기어(70)의 둘레에는 제3링기어(64)가 치합되어 있다.
제2전동축(61)의 타단에는 감속기주축(65)의 일단이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바, 이 감속기주축(65)은, 일단 둘레에 제3캐리어(66)가 형성되어서 제3유성기어(70)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이 회전지지체(80)에 지지된 후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증속기(90)에 결합되어 있다.
감속기주축(65)의 둘레에는 제2감속기커버(67)가 공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이 제2감속기커버(67)는 제1감속기커버(51)와 함께 다수의 기어들을 보호한다. 제1감속기커버(51), 제2링기어(60), 제3링기어(64), 제2감속기커버(67)에는 이들을 결합하도록 결합볼트(68)들이 체결된다.
마찰차(71)는, 일측이 감속기(50)의 제1감속기커버(51)에 결합되어서 제1감속기커버(51)와 함께 회전되고, 타측이 감속기주축(65)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둘레에 와이어(1)가 권취된다.
회전지지체(80)는, 마찰차(71)의 타측과 감속기주축(65)에 설치되어서 마찰차(71)가 감속기주축(65)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회전지지체(80)는, 베어링하우징(81), 제2지지베어링(82), 하우징커버(83), 체결볼트(84)로 이루어진다. 베어링하우징(81)은, 감속기주축(65)의 둘레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마찰차(71)의 타단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된다. 제2지지베어링(82)은, 감속기주축(65)의 둘레와 베어링하우징(81) 내에 설치되어서 베어링하우징(81) 및 마찰차(71)의 회전을 지지한다. 하우징커버(83)는, 베어링하우징(81)의 일측에 결합되어서 제2지지베어링(82)의 이탈을 방지한다. 체결볼트(84)들은, 베어링하우징(81), 마찰차(71), 하우징커버(83)에 체결되어서 이들을 체결한다.
증속기(90)는, 측판(11)에 설치되고 감속기주축(65)이 결합되며 감속기주축(65)의 제동토크를 감소시킨다. 감속기(50)의 감속기주축(65)의 회전동력이 증속기(90)에 전달되면서 제동축(91)의 회전속도를 증속시키며, 이에 따라 제동축(91)의 회전토크는 그만큼 감소된다. 즉, 증속기(90)의 증속비에 비례하여서 제동축(91)의 회전토크는 감속된다.
이러한 증속기(90)는, 감속기주축(65)과 밴드브레이크(100)를 연결하는 제동축(91)이 구비된다. 이 제동축(91)은, 일단이 감속기주축(65)의 타단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밴드브레이크(100)에 결합되어 있다. 제동축(91)의 둘레에는 이와 함께 회전되도록 선기어(92)가 결합되어 있다.
선기어(92)의 둘레에는 유성기어(93)가 치합된다. 유성기어(93)의 둘레에는 링기어(94)가 치합된다. 감속기주축(65)의 둘레에는 캐리어(98)가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며, 이 캐리어(98)는 유성기어(93)에 연결되어서 선기어(92)를 중심으로 유성기어(93)를 공전시킨다.
감속기주축(65)의 둘레에는 제1커버(95)가 공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1커버(95)는 측판(11)에 고정되며 링기어(94)의 일측에 구비된다. 제동축(91)의 둘레에는 제2커버(96)가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링기어(94)의 타측에 구비된다. 제1커버(95), 링기어(94), 제2커버(96)에는 이들을 결합하도록 결합볼트(97)가 체결되어 있다.
밴드브레이크(100)는, 증속기(90)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감속기주축(65)을 제동시킨다.
이러한 밴드브레이크(100)는, 제동축(91)의 단부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브레이크드럼(101)이 구비되며, 브레이크드럼(101)의 하부에는 레버설치프레임(102)이 구비되어 있다.
브레이크드럼(101)의 양측 둘레에는 제1작동레버(103) 및 제2작동레버(104)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제1작동레버(103) 및 제2작동레버(104)의 하단들은 레버설치프레임(102)에 힌지결합되어서 브레이크드럼(101) 측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제1작동레버(103) 및 제2작동레버(104)에는 브레이크밴드(105)가 구비되어 있다. 브레이크밴드(105)의 일단은 제1작동레버(103)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제2작동레버(104)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밴드(105)는, 브레이크드럼(101)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서 제1작동레버(103) 또는 제2작동레버(104)의 회동시 브레이크드럼(101)의 둘레에 밀착되거나 이격된다. 브레이크밴드(105)의 내주면에는 브레이크패드(106)가 구비되며, 이 브레이크패드(106)는 브레이크드럼(10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브레이크드럼(101)을 제동시킨다.
제1작동레버(103)의 상단부 및 제2작동레버(104)의 상단부에는 압축코일스프링(10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압축코일스프링(107)은 제1작동레버(103) 또는 제2작동레버(104)를 브레이크드럼(101) 측으로 회동시켜서 브레이크패드(106)가 브레이크드럼(10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제2작동레버(104)에는 마그네트코어(108)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마그네트코어(108)의 일측에는 마그네트코어(108)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에 부착되도록 가동코어(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동코어(110)에는 가동코어(110)가 마그네트코어(108)에 부착되면 제1작동레버(103) 측으로 밀리면서 제1작동레버(103) 및 제2작동레버(104) 사이의 간격을 벌리도록 작동축(109)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코어(108)에 전원이 인가되면 가동코어(110)가 마그네트코어(108)에 부착되면서 작동축(109)을 제1작동레버(103) 측으로 밀게 되며, 이에 따라 제1작동레버(103) 및 제2작동레버(104) 사이가 벌어지면서 브레이크밴드(105)가 브레이크드럼(10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구동모터(40) 및 브레이크(30)에 전원이 공급되면 브레이크(30)가 해제되고 구동모터(40)가 구동되면서 구동모터(40)의 회전동력이 감속기(50)의 입력축(54)에 전달된다. 입력축(54)이 회전되면 제1선기어(55), 제1유성기어(56), 제1캐리어(58)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제1캐리어(58)에 결합된 제1전동축(57)이 회전된다.
제1전동축(57)이 회전되면 제2선기어(59), 제2유성기어(69), 제2캐리어(62)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제2캐리어(62)에 결합된 제2전동축(61)이 회전된다. 제2전동축(61)이 회전되면 제3선기어(63)가 회전된다.
이때 감속기주축(65)은 밴드브레이크(100)에 의해 제동된 상태이고 감속기주축(65)의 제3캐리어(66)에는 제3유성기어(7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3선기어(63)의 회전시 제3유성기어(70)는 자전만 하며 공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자전되는 제3유성기어(70)들에 의해 제3링기어(64)가 회전된다.
제3링기어(64)는 결합볼트(68)에 의해 제1감속기커버(51)에 결합되어 있고 이 제1감속기커버(51)는 고정볼트(52)로 마찰차(7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3링기어(64)의 회전시 제1링기어(53)가 구비된 제1감속기커버(51), 제2감속기커버(67), 제2링기어(60), 제3링기어(64), 마찰차(71)가 회전된다.
마찰차(71)가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1)가 마찰차(71)에 권취되거나 풀리면서 와이어(1)에 연결된 인양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구동모터(40) 및 브레이크(30)에 전원이 차단되면 구동모터(40)가 정지되고 브레이크(30)가 작동되면서 감속기(50)의 입력축(54)이 제동된다. 따라서 감속기(50) 일측의 입력축(54)은 브레이크(30)에 의해 제동된 상태이고 감속기(50) 타측의 감속기주축(65)은 밴드브레이크(100)에 의해 제동된 상태이므로 제1선기어(55), 제2선기어(59), 제3선기어(63)의 자전이 모두 제동된 상태이고, 제1유성기어(56), 제2유성기어(69), 제3유성기어(70)의 자전 및 공전이 제동된 상태이므로 제1링기어(53), 제2링기어(60), 제3링기어(64)가 회전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1감속기커버(51), 제2감속기커버(67), 마찰차(71)가 회전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마찰차 호이스트로 항타 작업 등을 하기 위해 자유낙하가 필요할 경우, 구동모터(40) 및 브레이크(30)에 전원을 차단시켜서 감속기(50)의 입력축(54)이 제동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밴드브레이크(100)의 마그네트코어(108)에 전원을 인가하면 가동코어(110)가 마그네트코어(108)에 부착되면서 작동축(109)을 제1작동레버(103)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제1작동레버(103) 및 제2작동레버(104)의 상부를 벌리게 되며, 이에 따라 브레이크밴드(105)가 브레이크드럼(101)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브레이크드럼(101)의 제동상태가 해제된다.
브레이크드럼(101)이 해제되면 제동축(91) 및 감속기주축(65)의 제동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따라 마찰차(71)에 걸린 로드블록 또는 인양물의 자중에 의해 공회전 상태의 마찰차(71)가 빠른 속도로 회전된다.
마찰차(71)가 회전되면 브레이크(30)에 의해 제동된 입력축(54) 및 제1선기어(55)만 고정되고 마찰차(71)에 연결된 다른 부품들이 연동되면서 마찰차(71)가 회전되도록 하므로 로드블록 또는 인양물이 자유낙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구동모터(40) 및 브레이크(30)에 전원이 공급되면 브레이크(30)가 해제되고 구동모터(40)가 구동되면서 감속기(50)의 입력축(54)이 회전되며 이때 감속기주축(65)은 밴드브레이크(100)에 의해 제동된 상태이므로 결합볼트(68)로 결합된 제1링기어(53), 제2링기어(60), 제3링기어(64) 및 제1감속기커버(51), 제2감속기커버(67)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제1감속기커버(51)에 결합된 마찰차(71)가 회전된다.
구동모터(40) 및 브레이크(30)에 전원이 차단되면 구동모터(40)가 정지되고 브레이크(30)가 작동되면서 감속기(50)의 입력축(54)이 제동되므로 마찰차(71)의 회전이 정지된다.
인양물의 자유낙하시, 구동모터(40) 및 브레이크(30)에 전원이 차단되어서 감속기(50)의 입력축(54)이 제동된 상태에서 밴드브레이크(100)의 마그네트코어(108)에 전원을 인가하면 증속기(90)의 제동축(91)이 해제되면서 감속기(50)의 입력축(54) 및 제1선기어(55)를 제외한 감속기(50)의 부품들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인양물 또는 로드블록의 자중에 의해 마찰차(71)가 회전되면서 인양물 또는 로드블록이 자유낙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40) 및 브레이크(30)에 전원을 차단하여서 브레이크(30)가 작동된 상태에서 밴드브레이크(100)에 전원을 인가하면 인양물 또는 로드브록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므로 본 발명의 마찰차 호이스트를 항타 작업에 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찰차 호이스트의 호환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는, 밴드브레이크(100)가 감속기주축(65)을 직접 제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동축(91)을 제동시켜서 이에 연결된 감속기주축(65)을 제동시킨다.
제동축(91)을 제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선기어(92), 유성기어(93), 링기어(94), 캐리어(98)가 제동되면서 캐리어(98)에 결합된 감속기주축(65)이 제동된다. 따라서 밴드브레이크(100)로 감속기주축(65)을 직접 제동시킬 때보다 증속기(90)를 통해 제동시키므로 제동력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부품의 손상이 그만큼 방지된다.
1 : 와이어 10 : 메인프레임
11 : 측판 12 : 새들
13 : 차륜 20 : 고정판
21 : 플랜지 22 : 결합돌부
23 : 안내돌부 24 : 제1지지베어링
30 : 브레이크 40 : 구동모터
50 : 감속기 51 : 제1감속기커버
52 : 고정볼트 53 : 제1링기어
54 : 입력축 55 : 제1선기어
56 : 제1유성기어 57 : 제1전동축
58 : 제1캐리어 59 : 제2선기어
60 : 제2링기어 61 : 제2전동축
62 : 제2캐리어 63 : 제3선기어
64 : 제3링기어 65 : 감속기주축
66 : 제3캐리어 67 : 제2감속기커버
68,97 : 결합볼트 69 : 제2유성기어
70 : 제3유성기어 71 : 마찰차
80 : 회전지지체 81 : 베어링하우징
82 : 제2지지베어링 83 : 하우징커버
84 : 체결볼트 90 : 증속기
91 : 제동축 92 : 선기어
93 : 유성기어 94 : 링기어
95 : 제1커버 100 : 밴드브레이크
101 : 브레이크드럼 102 : 레버설치프레임
103 : 제1작동레버 104 : 제2작동레버
105 : 브레이크밴드 106 : 브레이크패드
107 : 압축코일스프링 108 : 마그네트코어
109 : 작동축 110 : 가동코어

Claims (5)

  1. 한쌍의 측판(11)들과, 측판(11)들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차륜(13)이 설치되는 새들(12)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0);
    두 측판(11)들 중 하나의 측판(11)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20);
    고정판(20)의 외측면에 대응 일측면이 고정되는 브레이크(30);
    브레이크(30)의 타측면에 대응 일측면이 고정되는 구동모터(40);
    일측에 구비된 제1감속기커버(51)가 고정판(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40)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이 전달되며, 타측에 두 측판(11) 중 나머지 하나의 측판(11)을 관통하도록 감속기주축(65)이 설치되는 감속기(50);
    일측이 감속기(50)의 제1감속기커버(51)에 결합되어서 제1감속기커버(51)와 함께 회전되고, 타측이 감속기주축(65)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마찰차(71);
    마찰차(71)의 타측과 감속기주축(65)에 설치되어서 마찰차(71)가 감속기주축(65)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체(80);
    측판(11)에 설치되고 감속기주축(65)이 결합되며 감속기주축(65)의 제동토크를 감소시키는 증속기(90);
    증속기(90)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감속기주축(65)을 제동시키는 밴드브레이크(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판(20)은,
    일측 둘레가 측판(11)에 결합되는 플랜지(21)와, 플랜지(21)의 일측 중앙에 돌출되어 있고 둘레에 제1감속기커버(51)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베어링(24)이 결합되는 결합돌부(22)와, 결합돌부(22) 둘레의 플랜지(21)에 돌출되어 있고 제1감속기커버(51)의 측면에 대향되어서 제1감속기커버(51)의 회전을 지지하는 안내돌부(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3. 제1항에 있어서, 감속기(50)는,
    마찰차(71)를 회전시키도록 마찰차(71)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고 일측 내주면에 제1링기어(5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내주면이 고정판(20)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1감속기커버(51)와, 일단이 구동모터(40)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회전동력이 전달되며 제1감속기커버(51)에 회전되도록 지지되는 입력축(54)과, 입력축(54)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제1선기어(55)와, 제1선기어(55)의 둘레에 치합되고 제1감속기커버(51)의 제1링기어(53)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56)와, 일단이 입력축(54)의 타단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1전동축(57)과, 제1전동축(57)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며 제1유성기어(56)가 결합되는 제1캐리어(58)와, 제1전동축(57)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제2선기어(59)와, 제2선기어(59)의 둘레에 치합되어 있는 제2유성기어(69)와, 제2유성기어(69)의 둘레에 치합되어 있는 제2링기어(60)와, 일단이 제1전동축(57)의 타단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2전동축(61)과, 제2전동축(61)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고 제2유성기어(69)가 결합되는 제2캐리어(62)와, 제2전동축(61)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제3선기어(63)와, 제3선기어(63)의 둘레에 치합되어 있는 제3유성기어(70)와, 제3유성기어(70)의 둘레에 치합되어 있는 제3링기어(64)와, 일단이 제2전동축(61)의 타단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일단 둘레에 제3캐리어(66)가 형성되어서 제3유성기어(70)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이 회전지지체(80)에 지지된 후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증속기(90)에 결합되어 있는 감속기주축(65)과, 감속기주축(65)의 둘레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제1감속기커버(51)와 함께 다수의 기어들을 감싸는 제2감속기커버(67)와, 제1감속기커버(51), 제2링기어(60), 제3링기어(64), 제2감속기커버(67)에 체결되어서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볼트(68)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지지체(80)는,
    감속기주축(65)의 둘레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마찰차(71)의 타단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베어링하우징(81)과, 감속기주축(65)의 둘레와 베어링하우징(81) 내에 설치되어서 베어링하우징(81) 및 마찰차(71)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지지베어링(82)과, 베어링하우징(81)의 일측에 결합되어서 제2지지베어링(82)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우징커버(83)와, 베어링하우징(81), 마찰차(71), 하우징커버(83)에 체결되어서 이들을 체결하는 체결볼트(8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5. 제1항에 있어서, 증속기(90)는,
    일단이 감속기주축(65)의 타단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밴드브레이크(100)에 결합되어 있는 제동축(91)과, 제동축(91)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선기어(92)와, 선기어(92)의 둘레에 치합되어 있는 유성기어(93)와, 유성기어(93)의 둘레에 치합되어 있는 링기어(94)와, 감속기주축(65)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고 유성기어(93)에 연결되어서 선기어(92)를 중심으로 유성기어(93)를 공전시키는 캐리어(98)와, 감속기주축(65)의 둘레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측판(11)에 고정되며 링기어(94)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커버(95)와, 제동축(91)의 둘레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링기어(94)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커버(96)와, 제1커버(95), 링기어(94), 제2커버(96)에 체결되어서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볼트(9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KR1020100017634A 2010-02-26 2010-02-26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KR101085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634A KR101085827B1 (ko) 2010-02-26 2010-02-26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634A KR101085827B1 (ko) 2010-02-26 2010-02-26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170A true KR20110098170A (ko) 2011-09-01
KR101085827B1 KR101085827B1 (ko) 2011-11-22

Family

ID=4495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634A KR101085827B1 (ko) 2010-02-26 2010-02-26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8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9242A (zh) * 2019-12-12 2020-04-21 图斯特智能装备(焦作)有限公司 一种垂直运动防坠落装置
CN112551301A (zh) * 2020-12-03 2021-03-26 刘涛 一种电磁式电梯制动器
KR20220014615A (ko) * 2020-07-29 2022-02-07 태평양정기(주) 프리폴 유닛이 내장된 유압윈치장치
CN116692687A (zh) * 2023-06-30 2023-09-05 山东天源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桥门式起重机的起升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261Y1 (ko) 2004-07-19 2004-11-04 반도종공 주식회사 호이스트
KR100613431B1 (ko) 2004-12-07 2006-08-17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이중브레이크 장착형 호이스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9242A (zh) * 2019-12-12 2020-04-21 图斯特智能装备(焦作)有限公司 一种垂直运动防坠落装置
KR20220014615A (ko) * 2020-07-29 2022-02-07 태평양정기(주) 프리폴 유닛이 내장된 유압윈치장치
CN112551301A (zh) * 2020-12-03 2021-03-26 刘涛 一种电磁式电梯制动器
CN112551301B (zh) * 2020-12-03 2022-05-10 刘涛 一种电磁式电梯制动器
CN116692687A (zh) * 2023-06-30 2023-09-05 山东天源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桥门式起重机的起升机构
CN116692687B (zh) * 2023-06-30 2024-01-16 山东天源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桥门式起重机的起升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827B1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827B1 (ko)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KR101080640B1 (ko) 모듈화된 호이스트 드라이브
CN106458544A (zh) 升降机构的系统结构和操作所述系统结构的方法
WO2009036692A1 (fr) Machine de déchargement de dragage synchrone à aimant permanent à courant alternatif
JP5455736B2 (ja) 索道の原動機
CN202369312U (zh) 空钩快放卷扬减速机
CN102180420A (zh) 一种矿用双速多用绞车
CN201777764U (zh) 一种带制动闸盘的绞车卷筒
US4496136A (en) Hoist
KR102199659B1 (ko) 전자브레이크가 없는 무대장치용 리프트 구동장치
CN104261293B (zh) 四卷筒抓斗卸船机卷筒单动换绳系统及换绳方法
JP2004137037A (ja) エレベータ用昇降駆動装置
KR101279788B1 (ko)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자동보상장치
CN103332625B (zh) 一种离合制动装置和包括该装置的卷扬机及其操作方法
CN214422151U (zh) 一种长运距大牵引力永磁运输绞车
CN201545582U (zh) 电梯驱动装置
CN204057826U (zh) 四卷筒抓斗卸船机卷筒单动换绳系统
JP3223468U (ja) エレベータ巻上機構造
CN101583509A (zh) 用于电力推动车辆的运动链
CN106672830A (zh) 一种内藏式液压绞车结构
RU65037U1 (ru) Буровая лебедка
CN202265353U (zh) 一种矿用双速多用绞车
CN213865165U (zh) 电动机置于滚筒内的卷扬机
CN111661775A (zh) 绞车
KR200191024Y1 (ko)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