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246Y1 - 계전기 - Google Patents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246Y1
KR200468246Y1 KR2020120000982U KR20120000982U KR200468246Y1 KR 200468246 Y1 KR200468246 Y1 KR 200468246Y1 KR 2020120000982 U KR2020120000982 U KR 2020120000982U KR 20120000982 U KR20120000982 U KR 20120000982U KR 200468246 Y1 KR200468246 Y1 KR 200468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knob
relay
hole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젠 우 성
Original Assignee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20000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2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2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01H50/326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with manual intervention, e.g. for testing, resetting or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6Bases; Casings; Covers having windows; Transparent case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2009/0278Casings containing special noise reduction means, e.g. elastic foam between inner and outer ca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계전기는 베이스부, 외부 케이스 및 상부 덮개가 조립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는 자성 어셈블리가 형성되고, 노브가 상부 덮개와 외부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부 덮개에서 노브가 회동되어 축방향으로 절개부와 돌출부 사이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노브의 회동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자성 어셈블리를 밀어서, 계전기의 전도 회로를 강제로 스위칭하거나 또는 계전기의 전도 회로를 강제로 진행시켜, 본 고안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한다.

Description

계전기{RELAY}
본 고안은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수동 조작에 의해 강제로 전도 단자를 스위칭할 수 있는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계전기는 구조 특징에 따라 전자기식 계전기, 열민감 리드 계전기, 고체 계전기 등으로 분류된다. 이중 전자기식 계전기는 일반적으로 라인 휠(line wheel), 코일, 철심, 자극(magnetic pole) 등의 구성이 조립되어 형성되는데, 코일 양단에 정전압을 가하여, 코일을 통과하는 전류가 전자기 효과를 생성하도록 하고, 자극이 탄편 또는 스프링의 장력을 극복하면서 철심을 끌어당기도록 하여, 회로를 도통시키고, 스위칭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은 현재 종래 기술이 사용하고 있는 자기 역할(magnetic role) 및 탄력 설계를 이용하여, 계전기의 회로 도통 또는 회로 스위칭 등의 동작을 완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정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특정한 환경하에서 계전기가 강제적으로 회로를 도통시키거나 또는 전도 회로를 강제로 스위칭시켜서 또는 계전기 내부의 접점기구가 상시폐쇄접점 스위치가 되도록 하여, 처음 상태의 기능을 회복되도록 할 필요가 있을 때, 전술한 계전기는 실용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계전기에서는 강제적으로 회로를 도통시키거나 또는 전도 회로를 스위칭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극복한 계전기를 개발하는 것이 당업계에 종사하는 기술자들에게 해결해야할 과제가 되었다.
본 고안자는 당업계에 다년간 종사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계전기에 대한 개발과 실험을 계속적으로 진행하여 마침내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회로를 도통시키고 전도 회로를 스위칭할 수 있는 계전기를 개발하였다. 특히 본 고안자가 고안한 계전기는 상시폐쇄접점 스위치를 채택하였는데, 강제스위치로 상시폐쇄접점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처음 상태의 기능을 회복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주요목적은 전도 회로를 강제로 스위칭하거나 또는 계전기의 전도 회로를 강제로 진행할 수 있는 수동 조작이 가능한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제공하는 계전기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밀폐되어 조립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단에 조립되는 상부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는 자성 어셈블리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에는 상기 자성 어셈블리의 자극(magnetic pole) 옆에 위치한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덮개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 및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부와 돌출부 사이에는 축방향 거리 차이가 존재한다. 상기 관통공과 통공에는 노브(knob)가 형성되는데, 상기 노브의 주변부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와 하나 이상의 돌출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노브가 회동되면 상기 가이드부가 절개부로부터 돌출부의 표면으로 이동하는데, 노브의 단부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성 어셈블리를 밀어 계전기의 전도 회로를 강제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계전기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고 있다. 즉,
1. 상부 덮개에는 윈도우부가 형성되고, 자성 어셈블리는 자극의 일단에 형성되는 링크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링크편의 단부는 윈도우부 바깥에서부터 상기 윈도우부 하방으로 이동한다.
2. 노브는 관통공의 외부(상부 덮개의 표면)로 돌출되어 (판상형) 손잡이부가 노출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부 덮개 방향을 향하여 노브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어, 노브가 회동되어 가이드부가 돌출부까지 이동하게 될 때, 손잡이부가 탄성 편형되어 효과적으로 위치가 고정된다. 노브의 가이드부가 절개부로 돌아와 위치가 회복될 때, 상기 손잡이부는 탄성적으로 노브를 연동시켜 축방향으로 위치가 회복된다.
3. 외부케이스 상부에는 조명회로가 형성되는데, 상기 조명회로는 자성 어셈블리의 라인 휠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LED등과 저항을 구비한다. 상부 덮개에는 LED등의 불빛이 통과될 수 있는 라이트 구멍이 형성된다.
4. 본 고안은 진일보하게 베이스부에 연결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일단에 밀폐되어 결합되는 연결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덮개에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연결홈에 조립된다. 상기 연결홈에는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의 삽입홈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연결 스프링을 형성하고, 상기 자성 어셈블리의 핀(end feet)은 상기 삽입홈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스프링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된다. 상기 연결 스프링은 일정 간격으로 적층 형성된다.
5. 연결홈의 일측 탱크벽과 하단 표면에 절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구가 절곡된 연결부에서 L형상의 고정버튼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버튼은 절곡된 연결부에서 상기 절개구와 결합된다. 상기 고정버튼의 일단은 연동부가 되는데, 하단 표면의 절개구 내부에 위치한다. 고정버튼의 타단은 연결홈 탱크벽에 형성된 절개구 외부에서 돌출 연장되어 플립부를 형성하는데, 상기 플립부를 회동시켜 상기 연동부가 계전기를 밀어 연결홈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6. 연결덮개의 양측은 연결 스프링 단부에 대응되는데, 각각 확장공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덮개 양측표면은 상기 확장공 옆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을 형성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에는 하나 이상의 표시판이 장착되는데, 상기 표시판은 대응되는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장착된다.
7. 본 고안은 진일보하게 어크로스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크로스 단자에는 다수 개의 이격 배열된 삽입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연결부 각각은 단일의 계전기에 형성된 확장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확장공에 대응되는 연결 스프링의 단부에 관통 장착된다. 또한 어크로스 단자의 단부에는 보호덮개가 장착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전기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입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국부 분해 상태를 보여주는 입체 설명도이다.
도 3은 강제 스위칭 동작 전의 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강제 스위칭 동작 후의 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계전기가 연결어셈블리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입체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어셈블리의 국분 분해 상태를 보여주는 입체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계전기와 연결어셈블리가 어크로스 단자(across terminal)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입체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계전기를 조작하여, 전도 회로를 강제로 스위칭하거나 또는 계전기 전도 회로를 강제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에 따른 계전기는 상시폐쇄접점 스위치를 설계하여, 강제스위치로 상시폐쇄접점 스위치를 사용하여 원래 상태의 기능을 회복되도록 하였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아래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계전기는 베이스부(1), 상기 베이스부(1)의 일단에 밀폐되어 조립되는 외부 케이스(2) 및 상기 외부 케이스(2)의 일단에 조립되는 상부 덮개(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와 외부 케이스(2) 사이에는 자성 어셈블리(4)가 형성되는데, 상기 자성 어셈블리(4)는 자극(magnetic pole, 41), 라인 휠(42), 라인 휠 단자(43), 링크편(44), 삽입편(45), 탄편(46), 전도 단자(47,48)의 조립으로 형성된다. 상기 라인 휠 단자(43)는 상기 베이스부(1)와 상기 외부 케이스(2)를 관통하여 장착되는데, 상기 라인 휠 단자(43)와 라인 휠(42)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자극(41)은 L형상으로 그 일단은 라인 휠(42)의 상단에 대응되고, 링크편(44)은 자극(41)의 타단에 형성된다. 상기 자극(41)의 일단은 삽입편(45)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편(45)의 단부에는 탄편(46)이 형성되는데, 상기 탄편(46)은 전도단자(47,48)의 양측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외부케이스(2)는 투명재질로 제작되는데, 상기 외부 케이스에는 자성 어셈블리(4) 자극(41) 옆에 위치하는 통공(21)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 상부에는 조명회로(5)가 형성되는데, 상기 조명회로(5)는 자성 어셈블리(4) 라인 휠 단자(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LED등(51)과 저항(52)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덮개(3)에는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1)의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311) 및 하나 이상의 돌출부(312)가 형성되는데(여기서, 두 개의 절개부(311)와 2개의 돌출부(312)가 서로 교차배열된다), 상기 절개부(311)와 돌출부(312) 사이에는 축방향 거리 차이가 존재한다. 상기 관통공(31)과 통공(21)에는 노브(knob,32)가 형성되는데, 상기 노브(32)의 주변부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311)와 하나 이상의 돌출부(312)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노브(32)는 관통공(31)의 외부(즉 상부 덮개(31)의 표면)로 돌출되어 손잡이부(322)가 노출된다. 상기 손잡이부(322)는 상부 덮개(3) 방향을 향하여 노브(32)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노브(32)의 회동에 의해 가이드부(321)가 돌출부(312)까지 이동하게 될 때, 손잡이부(322)가 탄성 변형되어 효과적으로 위치가 고정된다. 노브(32)의 가이드부(321)가 절개부(311)로 돌아와 위치가 회복될 때, 상기 손잡이부(322)는 탄성적으로 노브(32)를 연동시켜 축방향으로 위치가 회복된다. 상기 상부 덮개(3)에는 윈도우부(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덮개(3)에는 LED등(51)의 불빛이 통과될 수 있는 라이트 구멍(34)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조작방식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참조한다. 계전기의 전도 단자를 강제 스위칭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단순히 노브(32)의 손잡이부(322)를 회전시켜, 상기 노브(32)의 가이드부(321)가 절개부(311)로부터 돌출부(312) 표면 상으로 횡방향 이동도록 한다. 절개부(311)와 돌출부(312) 사이에는 축방향 거리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노브(32)의 회동에 의해 상기 노브(32)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노브(32)의 단부가 자극(41)의 일단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자극(41)의 타단은 삽입편(45)을 연동시키고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삽입편(45)의 단부가 횡방향으로 탄편(46)을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편(46)이 우측 전도 단자(47)로부터 좌측 전도 단자(48)로 이동하여 접촉에 의해 도통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계전기의 전도 회로를 강제 스위칭시키고, 자극(41)에서 삽입편(45)이 횡방향으로 연동되어 이동하고, 상기 자극(41)의 일단이 상기 링크편(44)을 동시에 연동시켜, 상기 링크편(44)의 단부가 상부 덮개(3) 윈도우부(33) 바깥에서부터 윈도우부(33)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계전기를 수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은 진일보하게 상기 베이스부(1)에 연결 어셈블리(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어셈블리(6)는 연결부(61) 및 상기 연결부(61) 일단에 밀폐되어 결합되는 연결덮개(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덮개(62)에는 연결홈(621)이 형성되는데, 상기 베이스부(1)가 상기 연결홈(621)에 조립된다. 또한 상기 연결홈(621)에는 다수개의 삽입홈(6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61)는 다수개의 삽입홈(622)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연결 스프링(611)을 형성한다. 상기 자성 어셈블리(4)의 전도 단자(47,48), 탄편(46) 및 상기 라인 휠 단자(43)는 상기 삽입홈(622)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스프링(611)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된다. 도면에서 좌측의 연결 스프링(611)은 일정 간격으로 적층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 스프링(611)은 전술한 설치방식을 통해서 연결 어셈블리(6)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축소시켜서, 공간 효율적으로 다수 세트의 계전기와 연결 어셈블리(6)의 조립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그 밖에, 상기 연결덮개(62)는 그 연결홈(621)의 일측 탱크벽과 하단 표면에서 절개구(623)를 형성한다. 상기 절개구(623)는 절곡된 연결부에서 L형상의 고정버튼(6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버튼(63)은 절곡된 연결부에서 상기 절개구(623)와 결합된다. 상기 고정버튼(63)의 일단은 연동부(631)가 되는데, 하단 표면의 절개구(623) 내부에 위치한다. 고정버튼(63)의 타단은 연결홈(621) 탱크벽에 형성된 절개구(623) 외부에서 돌출 연장되어 플립부(632)를 형성하는데, 상기 플립부(632)를 회동시켜 상기 연동부(631)가 계전기의 베이스부(1)를 밀어 연결홈(621)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덮개(62)의 양측은 연결 스프링(611) 단부에 대응되는데, 각각 확장공(624)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덮개(62) 양측표면은 확장공(624) 옆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625)을 형성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625)에는 하나 이상의 표시판(64)이 장착되는데, 상기 표시판(64)은 대응되는 가이드레일(625)에 형성된 가이드홈(641)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표시판(64)이 상기 표시판(64) 옆에 위치하는 연결 스프링(611)에 제공되어, 간접적으로 상기 연결 스프링(611)에 대응되는 전도 단자(47,48), 탄편(46) 또는 라인 휠 단자(43)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진일보하게 어크로스 단자(65)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도면에 도시된 어크로스 단자(65)에는 다수 개의 이격 배열된 삽입연결부(65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연결부(651)는 단일의 계전기에 형성된 확장공(624)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확장공(624)에 대응되는 연결 스프링(611)의 단부에 관통 장착된다. 이와 같은 연결방식에 의해, 어크로스 단자(65)와 연결 어셈블리(6)가 간접적으로 다수 개의 계전기와의 연결 상태를 완성하도록 한다. 그 밖에 어크로스 단자(65) 단부에 보호덮개(652)가 장착된다.
1 : 베이스부 2 : 외부 케이스 21 : 통공
3 : 상부 덮개 31 : 관통공 311 : 절개부
312 : 돌출부 32 : 노브 321 : 가이드부
322 : 손잡이부 33 :윈도우부 34 : 라이트 구멍
4 : 자성 어셈블리 41 : 자극(magnetic pole) 42 : 라인 휠
43 : 라인 휠 단자 44 : 링크편 45 : 삽입편
46 : 탄편 47 : 전도 단자 48 : 전도 단자
5 : 조명회로 51 : LED 등 52 : 저항
6 : 연결 어셈블리 61 : 연결부 611 : 연결 스프링
62 : 연결덮개 621 : 연결홈 622 : 삽입홈
623 : 절개구 624 : 확장공 625 : 가이드레일
63 : 고정버튼 631 : 연동부 632 : 플립부
64 : 표시판 641 : 가이드홈 65 : 어크로스단자
651 : 삽입연결부 652 : 보호덮개

Claims (3)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밀폐되어 조립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단에 조립되는 상부 덮개를 포함하는 계전기로서,
    상기 베이스부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는 자성 어셈블리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는 상기 자성 어셈블리의 자극(magnetic pole) 옆에 위치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덮개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 및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축방향 거리 차이가 존재하고, 상기 관통공과 상기 통공에는 노브(knob)가 관통 장착되며, 상기 노브의 주변부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절개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노브가 회동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표면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노브의 단부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자성 어셈블리를 밀어 상기 계전기의 전도 회로를 강제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계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에는 윈도우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성 어셈블리는 자극의 일단에 형성되는 링크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편의 단부는 상기 윈도우부 바깥에서부터 상기 윈도우부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노브는 상기 관통공의 외부로 돌출되어 손잡이부가 노출되는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상부 덮개 방향을 향하여 상기 노브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노브가 회동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돌출부까지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손잡이부가 탄성 편형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노브의 가이드부가 상기 절개부로 돌아와 위치가 회복될 때 상기 손잡이부는 탄성적으로 상기 노브를 연동시켜 축방향으로 위치 회복 되도록 하며,
    상기 외부케이스 상부에는 조명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회로는 상기 자성 어셈블리의 라인 휠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명회로는 LED등과 저항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덮개에는 상기 LED등의 불빛이 통과될 수 있는 라이트 구멍이 형성되는 계전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 어셈블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일단에 밀폐되어 결합되는 연결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덮개에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연결홈에 조립되며, 상기 연결홈에는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다수개의 삽입홈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연결 스프링을 형성하고, 상기 자성 어셈블리의 핀(end feet)은 상기 삽입홈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스프링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며, 상기 연결 스프링은 일정 간격으로 적층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의 일측 탱크벽과 하단 표면에 절개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구가 절곡된 연결부에서 L형상의 고정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버튼은 상기 절곡된 연결부에서 상기 절개구와 결합되며, 상기 고정버튼의 일단은 연동부가 되어 하단 표면의 절개구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버튼의 타단은 상기 연결홈 탱크벽에 형성된 절개구 외부에서 돌출 연장되어 플립부를 형성하는데 상기 플립부를 회동시켜 상기 연동부가 상기 계전기를 밀어 상기 연결홈에서 이탈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덮개의 양측은 상기 연결 스프링 단부에 대응되는데, 각각 확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덮개 양측표면은 상기 확장공 옆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에는 하나 이상의 표시판이 장착되는데, 상기 표시판은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장착되며,
    어크로스 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어크로스 단자에는 다수 개의 이격 배열된 삽입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연결부 각각은 단일의 계전기에 형성된 상기확장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확장공에 대응되는 연결 스프링의 단부에 관통 장착되고, 상기 어크로스 단자의 단부에는 보호덮개가 장착되는 계전기.
KR2020120000982U 2012-02-09 2012-02-09 계전기 KR200468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982U KR200468246Y1 (ko) 2012-02-09 2012-02-09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982U KR200468246Y1 (ko) 2012-02-09 2012-02-09 계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246Y1 true KR200468246Y1 (ko) 2013-08-09

Family

ID=5139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982U KR200468246Y1 (ko) 2012-02-09 2012-02-09 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24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342A (ko) * 1987-10-22 1989-06-19 세끼모또 다다히로 전자기 계전기
KR970701916A (ko) * 1994-03-15 1997-04-12 다테이시 요시오 전기자기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342A (ko) * 1987-10-22 1989-06-19 세끼모또 다다히로 전자기 계전기
KR970701916A (ko) * 1994-03-15 1997-04-12 다테이시 요시오 전기자기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386B1 (ko) 스위치
US9508505B2 (en) Keyswitch structure
WO2016107547A1 (zh) 一种具有良好手感的开关
US8754344B2 (en) Seesaw switch
KR100829906B1 (ko) 스위치
US8704622B2 (en) Switch arrangement
KR101917885B1 (ko) 전자접촉기
TW201537606A (zh) 閂鎖型電磁繼電器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KR200468246Y1 (ko) 계전기
CN106298370B (zh) 一种继电器推动卡结构及包含该推动卡的继电器
EP1581957A1 (en) Commutation device having an integrated light source
CA1153045A (en) Time delay switch
US20160217955A1 (en) Switch Assembly
US9024215B2 (en) Switch device
US20150235786A1 (en) Push button switch
JP5299633B2 (ja) スイッチ装置
KR20120118402A (ko) 은 접점이 없는 고출력 스위치
US3354275A (en) Silent electric switch
JP5467880B2 (ja) スイッチ一体型ledランプ装置
KR200484099Y1 (ko) 전자 접촉기
CN210129444U (zh) 一种按键开关
KR200457910Y1 (ko) 시소 스위치
WO2015122122A1 (en) Switch module, switch, and switch assembly
CN101393810A (zh) 独立按压式控制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