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910Y1 - 시소 스위치 - Google Patents

시소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910Y1
KR200457910Y1 KR2020110006988U KR20110006988U KR200457910Y1 KR 200457910 Y1 KR200457910 Y1 KR 200457910Y1 KR 2020110006988 U KR2020110006988 U KR 2020110006988U KR 20110006988 U KR20110006988 U KR 20110006988U KR 200457910 Y1 KR200457910 Y1 KR 200457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fixed
case
contac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희
Original Assignee
서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희 filed Critical 서인희
Priority to KR2020110006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9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9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2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 H01H23/205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using a compression spring between tumbler and an articulated contact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튼의 조작에 따라 구름방식으로 이동되던 부품들을 제거하여 부품간의 마찰로 인한 부품의 수명단축을 미연에 막음과 함께 버튼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시소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시소 스위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과, 제1 및 제2 장착부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 입력 단자와, 제1 및 제2 장착부의 중심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 출력 단자와, 제1 및 제2 입력 단자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제1 및 제2 장착부의 내벽에 각각 타단이 탄성체에 의해 탄성 결합되며 타단의 저면에 이동 접점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과, 제1 및 제2 출력 단자에 각각 구비되며 고정 접점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고정 도전판과, 그리고 버튼이 좌/우 회전될 경우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의 이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나 분리시키는 제1 및 제2 가압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시소 스위치{SEESAW SWITCH}
본 고안은 시소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버튼의 조작에 따라 구름방식으로 이동되던 부품들을 제거하여 부품간의 마찰로 인한 부품의 수명단축을 미연에 막음과 함께 버튼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시소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개폐기라고 하며, 전로를 끊거나 잇는 장치로서, 접점과 그것을 동작시키는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손으로 동작시키는 간단한 것에서 전자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대형까지 매우 많은 종류가 있다. 이 중, 비교적 간단한 옥내용 스위치로 주택/사무실 등의 일반건물에서 전등, 전열기, 전기기구 등에 부수해서 사용되는 것에 텀블러스위치, 풀스위치, 누름단추 스위치, 시소 스위치 등이 있다.
특히, 시소 스위치는 전등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소켓을 갖는 멀티 탭에도 사용되며, 소켓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온/오프시키게 된다.
기존의 시소 스위치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0860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와, 상기 케이스(6)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1)과, 상기 케이스(6)에 내장되며 상기 버튼(1)의 좌/우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 단자(10)(10')를 기준으로 각각 시소와 같이 움직이는 제1 및 제2 가동 널판(9)(11)과, 상기 버튼(1)과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널판(9)(11)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버튼(1)의 좌/우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가동 널판(9)(11)이 시소와 같이 움직이도록 제1 및 제2 가동 널판(9)(11)의 면을 각각 구르면서 좌/우 이동되는 제1 및 제2 가동부를 갖는 전원표시등 수납대(3)와,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 단자(10)(10')와 각각 통전되는 제1 및 제2 고정 단자(8)(14)와, 그리고 제1 및 제2 가동 널판(9)(11)을 차폐시킴과 함께 제1 및 제2 가동부를 차폐시키는 차폐판(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는 전원표시등 수납대(3)의 저면에서 각각 하향 돌출되는 제1 및 제2 가압 돌기와, 제1 및 제2 가압 돌기의 끝단에 각각 제1 및 제2 스프링(4)(4')에 의해 탄지되는 제1 및 제2 스틸볼(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1)을 도면상 좌측으로 누르면, 버튼(1)은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제1 가압 돌기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그 단부에 구비된 제1 스틸볼(5)은 제1 가동 널판(11)의 위를 구르게 된다. 이후, 제1 가동 널판(11)은 제1 지지 단자(10)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으로 기울면서 제1 가동 널판(11)의 단부에 구비된 가동 접점(12)이 제1 고정 단자(14)에 구비된 고정 접점(13)에서 분리되어 스위치가 오프(Off)된다. 스위치의 온(On)시키기 위해서는 반대로 버튼을 우측으로 누르면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시소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제1 스틸볼(5)이 제1 가동 널판(11) 위를 구르는 구름방식을 취함에 따라, 제1 스틸볼(5) 및 제1 가동 널판(11) 사이에 지속적인 마찰이 일어나 제1 스틸볼(5) 및 제1 가동 널판(11)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스위치가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제1 스틸볼(5)과 제1 가동 널판(11)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된 쇳가루에 의해 제1 지지 단자(10)와 제1 고정 단자(14) 사이에 통전이 일어나는 등 스위치의 오작동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버튼의 조작에 따라 구름방식으로 이동되던 부품들을 제거하여 부품간의 마찰로 인한 부품의 수명단축을 미연에 막음과 함께 버튼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시소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는, 외형을 이루고 내부를 제1 및 제2 장착부로 분리시키는 수직 차폐벽 및 상기 수직 차폐벽의 상단 중앙에 구비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상기 지지대에 저면 중심이 지지되 버튼;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의 저면 아래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입력 단자;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의 중심부에 각각 고정되되 상기 제1 및 제2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케이스의 저면 아래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출력 단자; 상기 제1 및 제2 입력 단자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의 내벽에 각각 타단이 탄성체에 의해 탄성 결합되며 상기 타단의 저면에 이동 접점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단자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이동 접점에 상응하도록 고정 접점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고정 도전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에 일단이 각각 걸리고 상기 버튼의 저면에 각각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버튼이 상기 힌지축 및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좌/우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의 상기 이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나 분리시키는 제1 및 제2 가압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도전판은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단자로부터 절개되어 절곡된 절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가압 부재가 측부를 통해 삽입되도록 측부가 개방된 케이스 몸체; 및 상기 케이스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의 측부 및 하부를 덮는 덮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버튼에 불이 켜지도록 상기 제1 출력 단자와 상기 제2 출력 단자는 램프 유닛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단자의 상부에 각각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절곡부;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에 각각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 돌기;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돌기에 하단이 각각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 상기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의 상단을 각각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버튼의 저면으로 부터 각각 하향 돌출 형성되는 관 형상의 제1 및 제2 돌출관; 상기 버튼의 저면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돌출관에 상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통과공; 및 상기 버튼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통과공을 통해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의 상단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통과공을 통해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의 상단에 타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는 파일로트 램프(Pilot Lamp)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이동 도전판과 상기 제1 출력 단자의 상기 제1 절곡부를 서로 차폐시키기 위해 그 사이에 수평으로 상기 제1 장착부에 구비되는 제1 수평 차폐벽; 및 상기 제2 이동 도전판과 상기 제2 출력 단자의 상기 제2 절곡부를 서로 차폐시키기 위해 그 사이에 수평으로 상기 제2 장착부에 구비되는 제2 수평 차폐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의 이동 접점이 제1 및 제2 가압 부재의 밀거나 당기는 힘에 의해 각각 고정 접점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즉, 종래와 같은 스틸볼 및 가동 널판과 같은 구름 방식의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위치 동작이 가능함에 따라, 부품간의 구름 마찰로 인한 부품의 수평 단축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쇳가루를 발생시키던 구름 방식에 의한 구름 마찰이 제거되므로, 쇳가루에 의한 통전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의 일단이 각각 케이스의 제1 및 제2 입력 단자에 고정되고 제1 및 제2 장착부의 내벽에 각각 탄성체에 의해 탄성 결합되므로, 제1 및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각각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이 눌리거나 당겨질 때 탄성체가 수축 및 팽창하면서 "똑딱"소리가 나므로 버튼의 동작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름 방식으로 동작되는 부품들을 통해 전달되는 교류 전원에 의해 램프가 켜지는 종래기술과 달리, 구름 방식이 아닌 고정된 부품에 접촉되는 방식을 갖는 램프 유닛이 채용됨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 나타난 문제인 쇳가루에 의한 통전 형상 등이 제거되므로 램프의 온/오프를 통한 전기 회로의 이상 유무를 보다 정확히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이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된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이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출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가 램프 유닛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이기 위해 도 3의 V-V 선을 잘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의 회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에서 입력 단자와 이동 도전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입력 단자와 이동 도전판이 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기술의 시소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기술의 시소 스위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이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된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이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출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가 램프 유닛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이기 위해 도 3의 V-V 선을 잘라 바라본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의 회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와, 버튼(200)과, 제1 및 제2 입력 단자(310)(320)와, 제1 및 제2 출력 단자(410)(420)와,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510)(520)과, 제1 및 제2 고정 도전판(610)(620)과, 그리고 제1 및 제2 가압 부재(710)(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그 내부를 제1 및 제2 장착부(101)(102)로 분리시키는 수직 차폐벽(103)과, 그리고 수직 차폐벽(103)의 상단 중앙에 구비되는 지지대(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수직 차폐벽(103)과 지지대(104)는 케이스(100)에 일체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수직 차폐벽(103)은 제1 입력 단자(310)와 제1 출력 단자(410)와 제1 이동 도전판(510)과 제1 고정 도전판(610)과 그리고 제1 가압 부재(710)를 제2 입력 단자(320)와 제2 출력 단자(420)와 제2 이동 도전판(520)과 제2 고정 도전판(620)과 그리고 제2 가압 부재(720)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켜 서로 통전되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서로 전위차를 가지며 교류 전류가 흐르는 두 개의 전선이 서로 단락(short circuit)되면 즉, 부하 없이 직접 연결되면 화재가 일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지지대(104)는 버튼(200)의 받침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버튼(200)의 일측을 누를 경우 적은 힘으로도 버튼(200)의 타측을 들어올릴 수 있는 지렛대 원리를 적용하기 위해 구비된다. 참고로, 시소 스위치는 이러한 지렛대 원리가 적용되어 명명된 것이다.
버튼(200)은 케이스(100)의 상부에 힌지축(20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지지대(104)에 그 저면 중심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버튼(200)은 상부 버튼 몸체(210)와 하부 버튼 몸체(220)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램프(860)가 구비될 수 있도록 램프용 공간부(230)가 형성된다. 나아가, 램프(860)의 빛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상부 버튼 몸체(2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입력 단자(310)는 제1 장착부(101)의 하부에 그 상단이 고정되고, 케이스(100)의 저면 아래로 그 하단이 돌출되며, 그리고 판 형상을 갖는다. 참고로, 제1 입력 단자(310)의 하단에는 서로 전위차를 가지며 교류 전류가 흐르는 두 개의 전선 중 제1 입력 전선(11)에 연결된다.
제2 입력 단자(320)는 제2 장착부(102)의 하부에 그 상단이 고정되고, 케이스(100)의 저면 아래로 그 하단이 돌출되며, 그리고 판 형상을 갖는다. 참고로, 제2 입력 단자(320)의 하단에는 상술한 두 개의 전선 중 제2 입력 전선(12)에 연결된다.
제1 출력 단자(410)는 제1 장착부(101)의 중심부에 그 상단이 고정되되 제1 입력 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케이스(100)의 저면 아래로 그 하단이 돌출되며 그리고 판 형상을 갖는다. 참고로, 제1 출력 단자(410)의 하단에는 제1 출력 전선(21)에 연결되며, 제1 출력 단자(410)가 제1 입력 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1 입력 전선(11)의 교류 전류는 제1 출력 전선(21)으로 흐르게 된다.
제2 출력 단자(420)는 제2 장착부(102)의 중심부에 그 상단이 고정되되 제2 입력 단자(32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케이스(100)의 저면 아래로 그 하단이 도출되며 그리고 판 형상을 갖는다. 참고로, 제2 출력 단자(420)의 하단에는 제2 출력 전선(22)에 연결되며, 제2 출력 단자(420)가 제2 입력 단자(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2 입력 전선(12)의 교류 전류는 제2 출력 전선(22)으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제1 출력 단자(410)와 제2 출력 단자(420) 사이에는 가정용으로 통상 220V의 전위차가 발생된다.
제1 이동 도전판(510)은 제1 입력 단자(310)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제1 장착부(101)의 내벽에 그 타단이 제1 탄성체(511a)에 의해 탄성 결합된다. 또한, 제1 이동 도전판(510)의 타단측 저면에는 제1 이동 접점(501a)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1 가압 부재(710)에 의해 제1 이동 도전판(510)이 도 3의 상태에서 도4의 상태로 당겨질 경우, 제1 탄성체(511a)가 점차 수축되다가 제1 탄성체(511a)와 제1 이동 도전판(510)이 서로 일직선 상태에서 가장 수축하게 되고, 이후 팽창되면서 제1 이동 도전판(510)에서는 "똑딱"소리가 난다.
제2 이동 도전판(520)은 제2 입력 단자(320)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제2 장착부(102)의 내벽에 그 타단이 제2 탄성체(511b)에 의해 탄성 결합된다. 또한, 제2 이동 도전판(520)의 타단측 저면에는 제2 이동 접점(501b)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2 가압 부재(720)에 의해 제2 이동 도전판(520)이 당겨질 경우(도 3 및 도 4 참조), 제2 탄성체(511b)가 점차 수축되다가 제2 탄성체(511b)와 제2 이동 도전판(520)이 서로 일직선 상태에서 가장 수축하게 되고, 이후 팽창되면서 제2 이동 도전판(520)에서는 "똑딱"소리가 난다.
제1 고정 도전판(610)은 제1 출력 단자(410)에 구비되며 제1 이동 접점(501a)에 상응하도록 제1 고정 접점(601a)을 갖는다. 나아가, 제1 고정 도전판(610)은 제1 출력 단자(4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출력 단자(410)로부터 절개되어 절곡된 절편일 수 있다.
제2 고정 도전판(620)은 제2 출력 단자(420)에 구비되며 제2 이동 접점(501b)에 상응하도록 제2 고정 접점(601b)을 갖는다. 나아가, 제2 고정 도전판(620)은 제2 출력 단자(42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출력 단자(420)로부터 절개되어 절곡된 절편일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710)는 판 형상을 하며, 제1 이동 도전판(510)에 그 일단이 걸리고 버튼(200)의 저면에 형성된 제1 걸림홈(201)에 그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압 부재(710)의 일단에는 제1 이동 도전판(510)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711)이 형성되고, 제1 가압 부재(710)의 타단에는 제1 걸림홈(201)에 삽입되는 제1 걸림 돌기(7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200)의 좌측/우측을 누를 경우 버튼(200)은 힌지축(203) 및 지지대(104)를 중심으로 좌/우 회전되며, 이 때 제1 가압 부재(710)는 제1 이동 도전판(510)을 누르거나 당기게 된다. 특히, 제1 가압 부재(710)가 제1 이동 도전판(510)을 누르면 제1 이동 접점(501a)은 제1 고정 접점(601a)에 접촉되어, 결국 제1 입력 전선(11)의 교류 전류는 제1 출력 전선(21)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제1 가압 부재(710)가 제1 이동 도전판(510)을 당기면 제1 이동 접점(501a)은 제1 고정 접점(601a)에서 분리되어, 결국 교류 전류의 흐름은 차단된다.
제2 가압 부재(720)는 판 형상을 하며, 제2 이동 도전판(520)에 그 일단이 걸리고 버튼의 저면에 형성된 제2 걸림홈(미도시)에 그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2 가압 부재(720)의 일단에는 제2 이동 도전판(520)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721)이 형성되고, 제2 가압 부재(720)의 타단에는 제2 걸림홈(미도시)에 삽입되는 제2 걸림 돌기(7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200)의 좌측/우측을 누를 경우 버튼(200)은 힌지축(203) 및 지지대(104)를 중심으로 좌/우 회전되며, 이 때 제2 가압 부재(720)는 제2 이동 도전판(520)을 누르거나 당기게 된다. 특히, 제2 가압 부재(720)가 제2 이동 도전판(520)을 누르면 제2 이동 접점(501b)은 제2 고정 접점(601b)에 접촉되어, 결국 제2 입력 전선(12)의 교류 전류는 제2 출력 전선(22)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제2 가압 부재(720)가 제2 이동 도전판(520)을 당기면 제2 이동 접점(501b)은 제2 고정 접점(601b)에서 분리되어, 결국 교류 전류의 흐름은 차단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200)의 상면 좌측부를 누르면, 버튼(200)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1 및 제2 가압 부재(710)(720)에 의해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510)(520)의 타단이 각각 눌리면서 제1 및 제2 탄성체(511a)(511b)가 각각 수축 및 팽창으로 "똑딱"소리가 나면서 완전히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510)(520)의 타단이 하향 이동되면 이의 저면에 각각 구비된 이동 접점(501)이 제1 및 제2 고정 도전판(610)(620)의 고정 접점(601)에 각각 접촉되면서, 제1 입력 전선(11)의 교류 전류는 제1 입력 단자(310) 및 제1 출력 단자(410)를 거쳐 제1 출력 전선(21)으로 흐르게 되고, 제2 입력 전선(12)의 교류 전류는 제2 입력 단자(320) 및 제2 출력 단자(420)를 거쳐 제2 출력 전선(22)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200)의 상면 우측부를 누르면, 버튼(200)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1 및 제2 가압 부재(710)(720)에 의해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510)(520)의 타단이 각각 위로 당겨지면서 제1 및 제2 탄성체(511a)(511b)가 각각 수축 및 팽창으로 "똑딱"소리가 나면서 완전히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510)(520)의 타단이 상향 이동되면 이의 저면에 각각 구비된 이동 접점(501)이 제1 및 제2 고정 도전판(610)(620)의 고정 접점(601)으로부터 각각 분리되면서, 제1 입력 전선(11)의 교류 전류가 제1 출력 전선(21)으로 흐르는 것이 차단되고, 제2 입력 전선(12)의 교류 전류가 제2 출력 전선(22)으로 흐르는 것이 차단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케이스(1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00)는 제1 및 제2 가압 부재(710)(720)가 케이스(100)의 좌측부와 케이스(100)의 우측부를 통해 각각 삽입되도록 좌측부와 우측부가 각각 개방된 케이스 몸체(110)와, 그리고 케이스 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케이스 몸체(110)의 좌측부와 우측부와 그리고 하부를 덮는 덮개(120)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압 부재(710)가 케이스 몸체(110)의 측부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경우 제1 가압 부재(710)의 제1 삽입홈(711)이 제1 이동 도전판(510)에 끼워지게 되고, 제1 가압 부재(710)의 제1 걸림 돌기(712)가 버튼(200)의 제1 걸림홈(201)에 걸리게 되므로, 그 조립이 수월해 진다.
다른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접점(501)이 고정 접점(601)에 접촉되었을 때 버튼(200)에 불이 켜지도록 제1 출력 단자(410)와 제2 출력 단자(42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램프 유닛(8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 도 3,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램프 유닛(8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램프 유닛(8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절곡부(811)(812)와, 제1 및 제2 지지 돌기(821)(822)와,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831)(832)과, 제1 및 제2 돌출관(841)(842)과, 제1 및 제2 통과공(851)(852)과, 그리고 램프(8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절곡부(811)는 제1 출력 단자(41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2 절곡부(812)는 제2 출력 단자(42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출력 단자(410)로 인가된 교류 전류는 제1 절곡부(811)로 전달되고, 제2 출력 단자(420)로 인가된 교류 전류는 제2 절곡부(812)로 전달된다.
제1 지지 돌기(821)는 제1 절곡부(811)에 상향 돌출 형성되고, 제2 지지 돌기(822)는 제2 절곡부(812)에 상향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절곡부(811)로 인가된 교류 전류는 제1 지지 돌기(821)로 전달되고, 제2 절곡부(812)로 인가된 교류 전류는 제2 지지 돌기(822)로 전달된다.
제1 코일 스프링(831)은 도전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 지지 돌기(821)에 그 하단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코일 스프링(832)은 도전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 지지 돌기(822)에 그 하단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지지 돌기(821)에 인가된 교류 전류는 제1 코일 스프링(831)으로 전달되고, 제2 지지 돌기(822)에 인가된 교류 전류는 제2 코일 스프링(832)으로 전달된다.
제1 돌출관(841)은 제1 코일 스프링(831)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해 버튼(20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되며 관 형상을 갖고, 제2 돌출관(842)은 제1 코일 스프링(831)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해 버튼(20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되며 관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코일 스프링(831)의 상단은 제1 돌출관(841)에 제2 코일 스프링(832)의 상단은 제2 돌출관(842)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제1 통과공(851)은 버튼(200)의 저면에 관통 형성되되 제1 돌출관(84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제1 돌출관(841)의 내부 천장면에 관통 형성되고, 제2 통과공(852)은 버튼(200)의 저면에 관통 형성되되 제2 돌출관(84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제2 돌출관(842)의 내부 천장면에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코일 스프링(831)의 상단은 버튼(200)의 제1 통과공(851)을 통해 램프용 공간부(230)에 노출된 상태가 되고, 제2 코일 스프링(832)의 상단은 제2 통과공(852)을 통해 버튼(200)의 램프용 공간부(230)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램프(860)는 버튼(200)의 램프용 공간부(230)에 내설되며, 그 일단은 제1 통과공(851)을 통해 제1 코일 스프링(831)의 상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타단은 제2 통과공(852)을 통해 제2 코일 스프링(832)의 상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교류 전류가 흐르는 제1 코일 스프링(831)과 제2 코일 스프링(832) 사이의 전위차로 인해 램프(860)에는 불이 켜지게 된다. 특히, 제1 출력 단자(410)와 제2 출력 단자(420) 사이에 램프 유닛(800)이 구비되므로 램프(860)에 불이 켜지기 위해서는 이동 접점(501)과 고정 접점(601)이 서로 접촉된 상태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램프(860)를 통해 현 위치[일예로, 전기 제품의 플러그(미도시)가 끼워진 소켓(미도시)]에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램프(860)에 불이 켜진 상태에서 해당 소켓(미도시)에 끼워진 전기 제품(미도시)이 작동되지 않는 다면, 전기 회로의 문제가 아니라 전기 제품의 문제임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 낭비를 줄이기 위해 전기 제품의 플러그를 소켓에서 분리할 필요 없이 램프(860)의 불이 꺼지도록 버튼(200)을 누르면 되므로 그 관리가 용이하다.
이러한 램프(860)로는 교류 전원에 의해 동작이 가능한 파일로트 램프(Pilot Lamp)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류 제한 저항(863)(CLR; Current Limited Resistor)이 더 부가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에서 램프 유닛(8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접점(501)이 고정 접점(601)에 접촉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전선(11)의 교류 전류는 제1 출력 단자(410)로 인가되어 제1 절곡부(811), 제1 지지 돌기(821), 제1 코일 스프링(831)을 통해 램프(860)의 일단에 있는 제1 보조 연결선(861)으로 흐르게 되고, 제2 입력 전선(12)의 교류 전류는 제2 출력 단자(420)로 인가되어 제2 절곡부(812), 제2 지지 돌기(822), 제2 코일 스프링(832)을 통해 램프(860)의 타단에 있는 제2 보조 연결선(862)으로 흐르게 되어, 결과적으로 램프(860)의 양 단에 걸리는 전위차에 의해 램프(860)에 불이 켜지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접점(501)이 고정 접점(601)으로부터 분리되면, 램프(860)의 양 단으로 흐르는 교류 전류가 차단되면서 전위차가 없어져 램프(860)의 불이 꺼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램프 유닛(8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 차폐벽(910)과 제2 수평 차폐벽(9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 차폐벽(910)은 제1 이동 도전판(510)과 제1 출력 단자(410)의 제1 절곡부(811)를 서로 차폐시키기 위해 그 사이에 수평으로 제1 장착부(101)에 구비된다. 제2 수평 차폐벽(920)은 제2 이동 도전판(520)과 제2 출력 단자(420)의 제2 절곡부(812)를 서로 차폐시키기 위해 그 사이에 수평으로 제2 장착부(102)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수평 차폐벽(910)(920)이 구비되므로 서로 통전되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에서 제1 입력 단자(310)와 제1 이동 도전판(51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에서 입력 단자와 이동 도전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입력 단자와 이동 도전판이 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단자(310) 중 제1 이동 도전판(510)과 결합되는 단부에는 결합 절편(311)이 형성되고, 그리고 제1 이동 도전판(510) 중 제1 입력 단자(310)와 결합되는 단부에는 결합 절편(311)이 삽입되는 결합공(512)이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공(512)에 결합 절편(311)을 삽입시킨 후 가압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절편(311)이 사각형상으로 뭉개지면서 결합공(512)에 완전히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용접 등에 의한 결합보다 그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입력 단자(320)와 제2 이동 도전판(520)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서로 조립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소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510)(520)의 이동 접점(501)이 제1 및 제2 가압 부재(710)(720)의 밀거나 당기는 힘에 의해 각각 고정 접점(601)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즉, 종래와 같은 스틸볼(도 10의 "5"참조) 및 가동 널판(도 10의 "11"참조)과 같은 구름 방식의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위치 동작이 가능함에 따라, 부품간의 구름 마찰로 인한 부품의 수평 단축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쇳가루를 발생시키던 구름 방식에 의한 구름 마찰이 제거되므로, 쇳가루에 의한 통전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510)(520)의 일단이 케이스(100)의 제1 및 제2 입력 단자(310)(320)에 각각 고정되고 제1 및 제2 장착부(101)(102)의 내벽에 제1 및 제2 탄성체(511a)(511b)에 의해 각각 탄성 결합되므로, 제1 및 제2 가압 부재(710)(720)에 의해 각각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510)(520)이 눌리거나 당겨질 때 제1 및 제2 탄성체(511a)(511b)가 각각 수축 및 팽창하면서 "똑딱"소리가 나므로 버튼(200)의 동작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름 방식으로 동작되는 부품들을 통해 전달되는 교류 전원에 의해 램프가 켜지는 종래기술과 달리, 구름 방식이 아닌 고정된 부품에 접촉되는 방식을 갖는 램프 유닛이 채용됨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 나타난 문제인 쇳가루에 의한 통전 형상 등이 제거되므로 램프(860)의 온/오프를 통한 전기 회로의 이상 유무를 보다 정확히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케이스 101: 제1 장착부
102: 제2 장착부 103: 수직 차폐벽
104: 지지대 200: 버튼
203: 힌지축 310: 제1 입력 단자
320: 제2 입력 단자 410: 제1 출력 단자
420: 제2 출력 단자 510: 제1 이동 도전판
501: 이동 접점 511: 탄성체
520: 제2 이동 도전판 610: 제1 고정 도전판
601: 고정 접점 620: 제2 고정 도전판
710: 제1 가압 부재 720: 제2 가압 부재

Claims (7)

  1. 외형을 이루고 내부를 제1 및 제2 장착부(101)(102)로 분리시키는 수직 차폐벽(103) 및 상기 수직 차폐벽(103)의 상단 중앙에 구비되는 지지대(104)를 포함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힌지축(20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104)에 저면 중심이 지지되는 버튼(200);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101)(102)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저면 아래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입력 단자(310)(320);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101)(102)의 중심부에 각각 고정되되 상기 제1 및 제2 입력 단자(310)(32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저면 아래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출력 단자(410)(420); 상기 제1 및 제2 입력 단자(310)(320)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101)(102)의 내벽에 각각 타단이 탄성체(511)에 의해 탄성 결합되며 상기 타단의 저면에 이동 접점(501)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520);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단자(410)(420)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이동 접점(501)에 상응하도록 고정 접점(601)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고정 도전판(610)(620);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510)(520)에 일단이 각각 걸리고 상기 버튼(200)의 저면에 각각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버튼(200)이 상기 힌지축(203) 및 상기 지지대(104)를 중심으로 좌/우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도전판(510)(520)의 상기 이동 접점(501)을 상기 고정 접점(601)에 접촉시키나 분리시키는 제1 및 제2 가압 부재(710)(720); 상기 이동 접점(501)이 상기 고정 접점(601)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버튼(200)에 불이 켜지도록 상기 제1 출력 단자(410)와 상기 제2 출력 단자(420)는 램프 유닛(80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시소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제1 및 제2 가압 부재(710)(720)가 측부를 통해 삽입되도록 측부가 개방된 케이스 몸체(110); 및
    상기 케이스 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110)의 측부 및 하부를 덮는 덮개(120)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800)은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단자(410)(420)의 상부에 각각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절곡부(811)(812);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811)(812)에 각각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 돌기(821)(822);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돌기(821)(822)에 하단이 각각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831)(832);
    상기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831)(832)의 상단을 각각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버튼(200)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하향 돌출 형성되는 관 형상의 제1 및 제2 돌출관(841)(842);
    상기 버튼(200)의 저면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돌출관(841)(842)에 상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통과공(851)(852); 및
    상기 버튼(2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통과공(851)을 통해 상기 제1 코일 스프링(831)의 상단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통과공(852)을 통해 상기 제2 코일 스프링(832)의 상단에 타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8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860)는 파일로트 램프(Pilot La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 스위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800)은
    상기 제1 이동 도전판(510)과 상기 제1 출력 단자(410)의 상기 제1 절곡부(811)를 서로 차폐시키기 위해 그 사이에 수평으로 상기 제1 장착부(101)에 구비되는 제1 수평 차폐벽(910); 및
    상기 제2 이동 도전판(520)과 상기 제2 출력 단자(420)의 상기 제2 절곡부(812)를 서로 차폐시키기 위해 그 사이에 수평으로 상기 제2 장착부(102)에 구비되는 제2 수평 차폐벽(9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 스위치.
KR2020110006988U 2011-08-01 2011-08-01 시소 스위치 KR200457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988U KR200457910Y1 (ko) 2011-08-01 2011-08-01 시소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988U KR200457910Y1 (ko) 2011-08-01 2011-08-01 시소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910Y1 true KR200457910Y1 (ko) 2012-01-12

Family

ID=4584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988U KR200457910Y1 (ko) 2011-08-01 2011-08-01 시소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9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66B1 (ko) 2016-04-12 2016-11-09 주식회사 메가테크 누름 스위치
EP4033507A1 (en) * 2021-01-25 2022-07-27 Nio Technology (Anhui) Co., Ltd Switch for vehicle and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5967A (ja) 2000-01-13 2001-07-19 Yu Sobo 撥動式スイッチ構造
KR200255225Y1 (ko) 2001-08-23 2001-12-01 충-모우 유 보호 회로 내장형 안전 스위치
KR20020055225A (ko) * 2000-12-28 2002-07-08 박홍순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보울트 성형공구용 다이
JP2007018748A (ja) * 2005-07-05 2007-01-25 Sobo Yu 電気回路制御保護器
KR20090007334A (ko) * 2006-06-21 2009-01-16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처리 장치, 표시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5967A (ja) 2000-01-13 2001-07-19 Yu Sobo 撥動式スイッチ構造
KR20020055225A (ko) * 2000-12-28 2002-07-08 박홍순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보울트 성형공구용 다이
KR200255225Y1 (ko) 2001-08-23 2001-12-01 충-모우 유 보호 회로 내장형 안전 스위치
JP2007018748A (ja) * 2005-07-05 2007-01-25 Sobo Yu 電気回路制御保護器
KR20090007334A (ko) * 2006-06-21 2009-01-16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처리 장치, 표시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66B1 (ko) 2016-04-12 2016-11-09 주식회사 메가테크 누름 스위치
EP4033507A1 (en) * 2021-01-25 2022-07-27 Nio Technology (Anhui) Co., Ltd Switch for vehicle an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1497B2 (ja) 電気的自動化に使用するための、機械式ラッチリレー及びラッチリレーを有するハイブリッドスイッチ
US9035181B2 (en) Modified electrical devices
CN106233416A (zh) 机械闩锁继电器和带有用于电气自动化中的闩锁继电器的混合开关
KR101517386B1 (ko) 스위치
CN107026056B (zh) 一种带有辅助触点的直流接触器
KR101932150B1 (ko) 과부하 차단 바이메탈 콘센트
KR200457910Y1 (ko) 시소 스위치
CN104409916B (zh) 一种安全插座的防水结构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CA2890153C (en) Modified electrical devices
KR200457365Y1 (ko) 양 방향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푸쉬스위치의 전원공급단자구조
CN101976619B (zh) 一种灯具的通断结构及标示灯
KR101729046B1 (ko) 원격 제어용 접점 장치
CN2904267Y (zh) 防触电开关
JP2006073220A (ja) スイッチ遠隔制御装置
US20160310958A1 (en) Remote controlled garbage disposal system
CN103236365B (zh) 一种便于装配制造的琴键开关
CN201364846Y (zh) 电气墙板开关
CN205621672U (zh) 一种磁保持继电器
WO2018123224A1 (ja) スイッチ
CN210628150U (zh) 一种汽车电器开关用稳定性高的弹簧
CN201117525Y (zh) 带有指示灯的开关
CN204464661U (zh) 无焊接点的连排开关
KR200353683Y1 (ko) 양선 연결 온·오프 스위치
KR101460051B1 (ko)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