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051B1 -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 Google Patents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051B1
KR101460051B1 KR1020140008037A KR20140008037A KR101460051B1 KR 101460051 B1 KR101460051 B1 KR 101460051B1 KR 1020140008037 A KR1020140008037 A KR 1020140008037A KR 20140008037 A KR20140008037 A KR 20140008037A KR 101460051 B1 KR101460051 B1 KR 101460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ight emitting
emitting member
cas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홍
Original Assignee
(주)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 filed Critical (주)대성
Priority to KR102014000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도 전기기기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콘센트로서, 전원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부재가 갖추어져 있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센트에 플러그 접속 및 분리 시 플러그를 원터치 방식으로 상하 누름조작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 및 단락이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콘센트의 내부에 전원 ON/OFF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쉽게 전원 ON/OFF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노출형의 발광부재를 구비한 새로운 형태의 콘센트를 구현함으로써,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 전원을 ON/OFF 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사용자가 전원 ON/OFF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등 사용 시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One touch type concent with luminous device}
본 발명은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도 전기기기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콘센트로서, 전원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부재가 갖추어져 있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 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꽂는 기구이다.
보통 콘센트는 전기가 통전되는 전원홀 내에 플러그의 전원단자를 꽂아 전기기기 등에 전원을 연결하고, 전기기기 사용 후에는 불필요한 전력소모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를 전원홀에서 분리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콘센트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전원홀, 즉 플러그 삽입홀을 갖춘 형태로서, 벽 등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매립형, 별도의 전원에 연결한 상태로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멀티탭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콘센트의 사용 시 콘센트에 있는 플러그 삽입홀에 플러그를 꽂으면, 콘센트에 내장된 전극단자와 플러그의 핀이 접속되면서 통전과 함께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전기기기의 사용을 위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는 경우, 플러그의 핀을 콘센트측 전극단자에 억지로 끼워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플러그를 뽑을 때에는 많은 힘을 주어야 하고, 또 플러그를 뽑기 어려운 경우에는 전선을 잡아당겨서 플러그를 뽑는 경우가 있는 등 사용상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도 플러그에 전원을 투입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나,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지 않으면 전원이 투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콘센트 등과 같은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가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는 본원 출원인이 특허등록하여 개시한 한국등록특허 10-1234349호 외에도 한국등록특허 10-0917871호, 한국등록특허 10-0962098호 등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는 전원의 온 상태에서 엘이디 램프의 상측에 형성된 케이스의 홀을 통하여 빛이 발광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거나 또는 각 개별스위치를 통해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접속 인지력이 떨어지는 단점과 각 엘이디 투과 홀의 성형 및 개별스위치의 구비로 인한 제조원가가 올라가는 단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내부에 구비되는 원터치 스위치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 접지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안전상의 문제가 야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도 전원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부재를 구비하여 사용 시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 플러그를 꽂은 상태, 즉 전원의 온 상태에서도 플러그의 접지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를 안출의 대상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10-1234349호 한국등록특허 10-0917871호 한국등록특허 10-096209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콘센트에 플러그 접속 및 분리 시 플러그를 원터치 방식으로 상하 누름조작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 및 단락이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콘센트의 내부에 전원 ON/OFF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쉽게 전원 ON/OFF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노출형의 발광부재를 구비한 새로운 형태의 콘센트를 구현함으로써,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 전원을 ON/OFF 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사용자가 전원 ON/OFF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등 사용 시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플러그를 꽂아 전원을 온 시킨 상태에서 플러그의 유동이 없도록 하며, 접지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삽입홀을 가지며 내부에는 고정접점과 접지접점이 장착되어 있는 조립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있는 플러그 삽입홀의 바닥쪽에 배치되어 플러그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며 플러그 핀과 접속되는 가동접점을 가지는 플러그 지지체와, 상기 플러그 지지체의 저부에 위치되어 함께 동작하면서 플러그 지지체의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를 순차적으로 규제하는 원터치 스위치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각 플러그 삽입홀의 위치에 하나씩 배속되면서 전원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와, 상기 케이스에 있는 플러그 삽입홀의 벽체 둘레에 장착되는 동시에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받아 발광하여 전원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는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도 전원을 ON/OFF 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외부로 노출되는 발광부재를 통해 사용자가 전원 ON/OFF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등 사용 시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재는 벽체의 둘레를 감싸는 원형으로서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노출부를 이용하여 벽체의 절개부 내에 삽입되는 구조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렇게 장착되는 발광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가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빛을 유도할 수 있는 광 도입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의 경우 개별적으로 스프링의 탄력지지를 받거나 또는 이웃하는 다수 개가 하나로 묶인 형태로 스프링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플러그 삽입홀의 주변을 따라 돌출링이 형성되어, 플러그가 가지는 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상기 발광부재의 상단부에는 케이스의 플러그 삽입홀 주변에 형성되는 돌출링의 끊김구간에 위치됨과 더불어 돌출링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플러그의 전선연결부위와 접촉가능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 플러그 누름 조작 시마다 전원을 접속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등 간편하게 전원 ON/OFF 조작을 할 수 있고, 전력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플러그를 꽂거나 뽑는 등의 불편함을 배제할 수 있다.
둘째,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홀 측면으로 노출되는 발광부재를 통해서 전원 ON/OFF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등 사용 시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콘센트 케이스의 플러그 삽입홀 주변으로 돌출링을 구비함으로써, 플러그의 접지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등 외관 향상은 물론 감전 등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에서 발광부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재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에서 발광부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삽입홀(10)를 가지는 조립형의 케이스(13), 예를 들면 스크류 체결구조로 조립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조합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3)의 내부에는 플러그 삽입과 함께 아래로 눌려지는 가동접점(14)과 접점을 이루는 고정접점(11)과, 접지를 위한 한쌍의 접지점점(12)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3)에는 플러그 삽입홀(10)의 바닥쪽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플러그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플러그 핀과 접속되는 동시에 고정접점(11)측과 접속되는 가동접점(14)을 가지는 플러그 지지체(15)가 장착된다.
즉, 상기 플러그 지지체(15)의 상면에는 플러그 핀이 삽입되는 핀 홀(26)이 형성되고, 플러그 삽입 시 이때의 핀 홀(26)에 끼워지는 플러그 핀에 의해 가동접점(14)과 고정접점(11)이 접속되면서 전원 ON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3)의 내부에는 플러그 지지체(15)의 저부에 위치되어 플러그 지지체(15)의 움직임과 함께 동작하면서 플러그 지지체(15)의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를 순차적으로 규제하는, 즉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를 순차적으로 교번 단속하는 원터치 스위치(16)가 설치된다.
여기서,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홀(10)에 플러그가 꽂혀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의 누름 조작에 따른 플러그 지지체(15)의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를 순차적으로 규제하는 원터치 스위치(16)는 일반적인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에 적용되는 원터치 스위치의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램프(17)가 마련되며, 이때의 램프(17)는 케이스(13)의 내부에서 각 플러그 삽입홀(10)에 하나씩 배속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램프(17)는 케이스(13)의 내부에서 각 플러그 지지체(15)의 한쪽 옆에 하나씩 배치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17)는 플러그 누름조작 시 전원이 ON 또는 OFF되는 상태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램프(17)의 점등 및 소등을 위한 회로구성은 공지의 회로구성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전원 ON/OFF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수단으로 발광부재(20)를 제공한다.
상기 발광부재(20)는 케이스(13)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램프(17)에서 조사되는 빛을 받아 발광하는 수단으로서, 케이스(13)의 플러그 삽입홀(10)을 조성하는 벽체(18)의 바깥둘레에 끼워지는 구조로 장착되며, 이렇게 장착된 상태에서 벽체(18)에 형성되어 있는 양쪽의 절개부(19)를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이때의 노출되는 부분을 통해 발광상태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발광부재(20)가 플러그 삽입홀(10)의 벽면쪽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전원 ON 상태에서 식별력을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a 및 3b,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재(20)는 벽체(18)의 둘레를 감싸는 원형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발광부재(20)의 내주면에는 중심을 향하는 안쪽으로 돌출되는 2곳의 노출부(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노출부(21)는 발광부재(2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이어지는 띠 모양의 돌출부로 이루어지게 되고, 벽체(18)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로 돌출됨과 더불어 절개부(19)의 내에 꼭맞게 끼워지게 되며,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 노출부(21)는 절개부(19) 내에서 안내를 받으면서 위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20)의 외주면 일측에는 하단 위치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광 도입부(22)가 형성되고, 이때의 광 도입부(22)는 케이스(13)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17)가 있는 위치까지 근접되도록 연장되어 있어서, 램프(17) 점등 시의 빛이 광 도입부(22)를 통해 유도되어 발광부재(20) 전체로 확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재(20)는 투명 또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 등 다양한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20)의 상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양쪽 2곳에 돌출부(25)가 형성되며, 이때의 돌출부(25)가 플러그의 전선연결부위에 접촉됨에 따라 발광부재(20)의 상하 움직임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즉, 플러그 하강 시에는 그 전선연결부위에 접촉하는 돌출부(25)가 눌려지면서 발광부재(20) 전체도 아래로 눌려질 수 있게 되고, 플러그 상승 시에는 스프링 복원력으로 발광부재(20) 전체가 위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발광부재(20)는 각 플러그 삽입홀(10)의 벽체(18)에 하나씩 낱개로 장착되는 단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미도시), 또는 서로 이웃하는 2개가 하나로 묶인 2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20)의 경우, 케이스(13)측과 발광부재(20)측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스프링(2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상하 유동가능한 구조를 통해 플러그의 누름조작 시 이와 함께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프링(23)은 발광부재(20)의 저면, 즉 2구 형태의 발광부재(20) 사이를 연결하는 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돌기(28a)와 케이스(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절연판(27), 즉 접지접점(12)가 형성되어 있는 절연판(27)의 상면에 있는 스프링 고정돌기(28b) 사이에 상단과 하단이 지지되면서 발광부재(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광부재(20)는 플러그 전선연결부위와 접하는 돌출부(25)에 의해 플러그 누름 조작 시 함께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재(20)가 단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스프링(23)의 탄력 지지를 받을 수 있게 되고, 또는 이웃하는 2개가 하나로 묶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2구 형태가 함께 스프링(23)의 탄력 지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을 때 내측의 원터치 스위치로 인해 높이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의 높이차를 보상하기 위한 수단으로 케이스(13)의 상면에는 돌출링(24)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링(24)은 케이스(13)의 상면에서 플러그 삽입홀(10)의 주변을 따라 링 모양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형태로서, 케이스 상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이용하여 플러그 상승위치, 즉 전원 OFF 시 플러그가 올라와 있는 위치에서 플러그의 접지접속단자(F)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링(24)의 양편 2곳에는, 즉 플러그 삽입홀(10)에 있는 2곳의 절개부(19)와 연장되는 위치에는 끊김구간이 형성되고, 이렇게 돌출링(24)의 끊김구간 위치에 발광부재(20)의 돌출부(25)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광부재(20)의 돌출부(25)는 돌출링(24)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동시에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케이스 상면으로 노출되어, 플러그 삽입 시 플러그 전선연결부위와 접촉되면서 눌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콘센트의 케이스(13)에 있는 플러그 삽입홀(10)에 플러그를 꽂으면 플러그 지지체(15)가 하강하면서 가동접점(14)도 같이 하강하게 되고, 이렇게 하강하는 가동접점(14)은 고정접점(11)과 접속되어 전원 ON 상태가 됨과 더불어 램프(17)에 전원이 인가되어 램프(17) 또한 점등된다.
이렇게 램프(17)가 점등되면 이때의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은 발광부재(20)로 확산되면서 발광부재(20) 전체가 환하게 켜지면서 사용자가 전원 ON 상태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원 ON 시 발광부재(20)의 노출부(21)는 물론 케이스 상면쪽으로 노출되는 돌출부(25) 전체가 발광하게 되므로, 전원 ON 상태임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플러그를 꽂으면서 1회 누르게 되면 원터치 스위치(16)가 작동하여 플러그 지지체(15)가 하강 지지됨과 더불어 전원이 연결되며, 이때의 접속된 플러그 삽입홀측 램프(17) 및 발광부재(20)도 점등 및 발광되어 전원 ON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반대로, 꽂혀 있는 상태의 플러그를 재차 누르면 원터치 스위치(16)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플러그 지지체(15)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이 차단되면서 플러그 삽입홀측 램프(17) 및 발광부재(20)도 소등되어 전원 OFF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원터치 방식의 간단한 누름조작으로 순차적인 전원 ON/OFF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전원 ON/OFF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발광부재 및 플러그 핀 노출방지를 위한 돌출링 등을 구비함으로써,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도 전원을 ON/OFF 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전원 ON/OFF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등 사용 시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 : 플러그 삽입홀 11 : 고정접점
12 : 접지접점 13 : 케이스
14 : 가동접점 15 : 플러그 지지체
16 : 원터치 스위치 17 : 램프
18 : 벽체 19 : 절개부
20 : 발광부재 21 : 노출부
22 : 광 도입부 23 : 스프링
24 : 돌출링 25 : 돌출부
26 : 핀 홀 27 : 절열판
28a,28b : 스프링 고정돌기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삽입홀(10)을 가지며, 내부에는 고정접점(11)과 접지접점(12)이 장착되어 있는 조립형의 케이스(13);
    상기 케이스(13)에 있는 플러그 삽입홀(10)의 바닥쪽에 배치되어 플러그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며, 플러그 핀과 접속되는 가동접점(14)을 가지는 플러그 지지체(15);
    상기 플러그 지지체(15)의 저부에 위치되어 함께 동작하면서 플러그 지지체(15)의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를 순차적으로 규제하는 원터치 스위치(16);
    상기 케이스(13)에 있는 플러그 삽입홀(10)의 벽체(18) 둘레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발광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3)의 내부에서 각 플러그 삽입홀(10)의 위치에 하나씩 배속되면서 전원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17);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재(20)는, 상기 케이스(13)에 있는 플러그 삽입홀(10)의 벽체(18) 둘레에 장착되는 동시에 벽체(18)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19)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램프(17)에서 조사되는 빛을 받아 발광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발광부재(20)는 벽체(18)의 둘레를 감싸는 원형으로서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노출부(21)를 이용하여 벽체(18)의 절개부(19) 내에 삽입되는 구조로 장착되며,
    상기 발광부재(20)의 외주면 일측에는 케이스(13)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17)가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빛을 유도할 수 있는 광 도입부(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재(20)는 개별적으로 또는 이웃하는 2개가 하나로 묶인 형태로 스프링(23)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케이스(13)의 상면에는 플러그 삽입홀(10)의 주변을 따라 돌출링(24)이 형성되어 플러그가 가지는 접지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발광부재(20)의 상단부에는 케이스(13)의 플러그 삽입홀(10) 주변에 형성되는 돌출링(24)의 끊김구간에 위치됨과 더불어 돌출링(24)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플러그의 전선연결부위와 접촉가능한 돌출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08037A 2014-01-22 2014-01-22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KR101460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037A KR101460051B1 (ko) 2014-01-22 2014-01-22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037A KR101460051B1 (ko) 2014-01-22 2014-01-22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051B1 true KR101460051B1 (ko) 2014-11-10

Family

ID=5228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037A KR101460051B1 (ko) 2014-01-22 2014-01-22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0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411Y1 (ko) * 2002-11-01 2003-02-05 최선주 절전형 콘센트
KR101207296B1 (ko) * 2011-08-30 2012-11-30 김주경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1234349B1 (ko) * 2012-10-19 2013-02-15 (주)대성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411Y1 (ko) * 2002-11-01 2003-02-05 최선주 절전형 콘센트
KR101207296B1 (ko) * 2011-08-30 2012-11-30 김주경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1234349B1 (ko) * 2012-10-19 2013-02-15 (주)대성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9167B2 (en) Linear solid-state lighting with voltage sensing mechanism free of fire and shock hazards
US9502832B1 (en) Duplex receptacle having a plurality of LEDs to illuminate the sockets
EP2948713B1 (en) End cap for a tubular light source
EP1811615B1 (en) Safety Lampholder and Method for Avoiding Accidental Electric Shock Caused by Lampholder
KR101373216B1 (ko) 감전보호 베이스를 가지는 직관형 엘이디램프
US7332686B2 (en) Remote control electrical switch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JP2013536546A (ja) 電動デバイス用ハウジング
KR101460051B1 (ko)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JP2009516339A (ja) 触れても安全なソケット
WO2015127579A1 (zh) 紧急感应插座面板安全灯
TWI600039B (zh) Press the switch structure
WO2014191208A1 (en) A lighting device assembly and a method of mounting a lighting device assembly
KR101615665B1 (ko) 직관 램프
CN206727352U (zh) 带发光指示开关按钮的插座
KR101606632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기 접속장치
CN105321746A (zh) 一种按压开关指示装置
CN204632635U (zh) 发光按键装置以及包括其的电气设备
CN210957196U (zh) 发光指示母插
CN209266745U (zh) 双控插座
KR200353683Y1 (ko) 양선 연결 온·오프 스위치
CN105180031A (zh) 吸顶灯
CN203800246U (zh) 一种单相插头
CN204516616U (zh) 一种组合开关
KR20160026181A (ko)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