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296B1 -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 Google Patents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296B1
KR101207296B1 KR1020110087483A KR20110087483A KR101207296B1 KR 101207296 B1 KR101207296 B1 KR 101207296B1 KR 1020110087483 A KR1020110087483 A KR 1020110087483A KR 20110087483 A KR20110087483 A KR 20110087483A KR 101207296 B1 KR101207296 B1 KR 101207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housing
pin
to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경
강수훈
안세일
정의석
정의한
함준영
신만수
유재영
장준
허달
Original Assignee
김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경 filed Critical 김주경
Priority to KR102011008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에 결합된 플러그를 힘들이지 않고 분리할 있도록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플러그의 두 개 핀이 통과하는 통공과 양측에 돌출된 축봉을 갖는 탑하우징과, 상기 탑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와, 상기 축봉이 끼워지는 축공이 구비된 미들하우징과, 상기 통공 직하방에 배치되며 일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접속단자를 구비한 베이스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월등히 작은 힘으로도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콘센트의 내부에 추가 설치되는 부품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전선을 당기더라도 플러그 및 전선이 손상되지 않고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Concent having Plug Easy Sepa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가정이나 각종의 업소에서 사용하는 매립형 또는 이동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콘센트에 결합된 플러그를 힘들이지 않고 분리할 있도록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가정이나 각종의 업소에 설치된 콘센트는 각종 전기 장치들에 연결된 플러그를 삽입하여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바, 콘센트의 단자와 플러그의 핀이 충분한 힘으로 밀착되지 않고 헐거운 경우에는 접촉저항에 의한 발열로 인하여 화재 발생의 우려가 높으므로 반드시 콘센트의 단자가 플러그의 핀을 충분한 탄력으로 조여 주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할 때 플러그의 핀이 콘센트의 핀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사용에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에 따라서는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아내는 일이 힘겨우므로 플러그 몸체가 아닌 전선을 잡고 당겨 내는 경우도 빈번하며, 이러한 경우 플러그 내부의 전선이 끊어지거나 접촉 불량을 야기하고 심한 경우에는 전선 간에 도통되는 단락 사고가 발생하여 화재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으며, 그 대표적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러그 몸체는 짧고 뭉툭한 형태이므로 손으로 잡기가 불편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도1로 보인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10797호(고안의 명칭: 손잡이를 갖는 플러그;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함)에 의하여 "일측면으로 한쌍의 플러그핀(31,31')이 돌출 형성되며, 콘센트(C)에 삽입되어 각종 전자기기로 전원을 인가하는 매개체인 플러그(1)에 있어서, 몰딩성형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플러그 본체(2)의 타측면으로 손가락 삽입공(41)을 갖는 손잡이(4)를 상기 본체(2)와 일체로 구성시켜, 콘센트(C)로의 플러그 (1)삽입 또는 분리작업시 손가락의 힘이 손잡이(4)를 통해 본체(2)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를 갖는 플러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1에 의하면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아내기 위하여 손가락을 손잡이(4)에 끼우고 당기면 콘센트의 단자에 결합된 플러그의 핀이 효과적으로 뽑혀 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1에 의하면 손가락을 충분히 끼울 수 있는 크기로 손잡이(4)를 만들어야 하므로 플러그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얼마간 사용하다보면 손잡이(4)가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강제로 뽑아내기 위하여 여전히 과도한 힘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콘센트의 외부에 버튼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버튼에 의하여 삽입된 플러그 몸체 또는 플러그 핀을 밀어 내도록 한 구조를 갖는 형태된 시도가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시도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플러그의 핀을 밀어 내도록 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5-0024530(발명의 명칭: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이하 '인용발명2'라 함) 및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플러그 몸체를 밀어 내도록 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32383(발명의 명칭: 매입형 플러그 간편 분리콘센트; 이하 '인용발명3'이라 함)이 있으며,
또 다른 형태로는 레버를 눌러 래크 기어의 연동으로 플러그를 외부로 밀어 내도록 한 대한민국등록특허 0976783(발명의 명칭: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벽체 매립형 콘센트; 이하 '인용발명4'라 함)이 있다.
상기 인용발명2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도2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30)의 접속봉(31)이 삽입되어 전원이 연결되도록 접속구멍(21) 및 그 내측 저부에 접속단자(22)가 구성된 통상의 콘센트(20)에 있어서,
콘센트(20)의 상면 일측에는 누름버턴(10)을 구성하되 그 저부의 콘센트(20)내측에는 수직작동간(11)을 일체로 구성하여 스프링(16)에 탄력 설치하고 수직작동간(11)의 저부에는 시이소작동간(12)을 이와 직교되게 일단의 축핀(14)으로 유동되게 설치하는 한편, 시이소작동간(12)의 일단은 일측 지렛대(13)상부의 장공(13')을 통하여 유동핀(15)으로 축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로 된 것이어서,
상기 레버(10)를 누름에 따라 시이소작동간(12)이 접속봉(31)을 밀어내도록 하여 플러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바,
실제로 레버(10)를 눌러 플러그의 접속봉(31)을 밀어 내는 힘은 플러그의 두 개 접속봉(31)이 아니하고 하나의 접속봉(31)에 국한하여 가하여 지므로 불균형하여 효과적으로 분리되기 어렵고 이와 같이 결속봉(31)을 밀어서 뽑아내자면 매우 많은 힘이 들어 오히려 종래와 같이 플러그를 직접 빼내는 경우보다 오히려 더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인용발명3을 살펴보면 이는 도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1)가 삽입되는 콘센트(4)의 몸체 일측에 버튼(2)이 탄력 설치되고, 그 하단에 지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는 레버(6)가 설치며, 레버(6)의 일단이 콘센트(4)에 진입된 플러그(1)에 접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인용발명3은 버튼(2)을 누름에 따라 진입된 레버(6)가 회동하면서 일단이 플러그(1)를 밀어 내도록 하는 것인바, 이 경우에도 버튼(2)을 눌러 플러그(1) 몸체를 밀어 내자면 플러그를 직접 빼내는 경우보다 오히려 더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콘센트(4)의 내부에 부피가 큰 부품을 사용하게 되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경우 콘센트(4)의 부피가 과대하여 적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인용발명4에 의하면, 이는 도4로 보인 바와 같이 콘센트 본체(10) 내부에 플러그(1)를 밀어내기 위한 플러그 분리유도봉(60)을 설치하고, 분리 유도봉(60)의 구동을 위하여 노브(70) 및 래크, 래크 기어(50,62)가 구비된 것으로, 노브(70)를 밀어 주면 래크, 래크 기어(50,62)가 연동되어 플러그 분리 유도봉(60)이 플러그(1) 몸체를 바깥으로 밀어 내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역시 노브(70)를 누르는 힘으로 플러그(1) 몸체를 밀어 내자면 플러그를 직접 빼내는 경우보다 오히려 더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콘센트(4)의 내부에 부피가 큰 부품을 사용하게 되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경우 콘센트(4)의 부피가 과대하여 적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도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플러그를 쉽게 뽑아 낼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추가 설치되는 부품으로 인하여 콘센트의 부피를 크게 하여 적용에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시도들이 실 생활에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10797호(고안의 명칭:손잡이를 갖는 플러그)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5-0024530(발명의 명칭: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32383(발명의 명칭:매입형 플러그 간편 분리 콘센트) 대한민국등록특허 0976783(발명의 명칭: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벽체 매립형 콘센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용발명들에 비하여 월등히 작은 힘으로도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콘센트의 내부에 추가 설치되는 부품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콘센트 규격과 동일 규격으로 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전선을 당기더라도 플러그 및 전선이 손상되지 않고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플러그의 두 개 핀이 삽입되는 통공과 플러그의 두 개 핀과 결합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접속단자가 내장되는 공지의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의 두 개 핀이 통과하는 통공과, 양측에 돌출된 축봉을 갖는 탑하우징과, 상기 탑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와, 상기 축봉이 끼워지는 축공이 구비된 미들하우징과, 상기 통공 직하방에 배치되며 일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접속단자를 구비한 베이스하우징으로 구성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플러그나 전선을 일측으로 젖혀주면 탑하우징이 미들하우징의 공간부 내에서 축봉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플러그의 핀이 접속단자의 개구부로 이동하므로 쉽게 이탈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플러그의 핀이 탑하우징의 통공에 끼워진 플러그를 아무런 저항없이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매우 작은 힘으로도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탑하우징이 미들하우징에서 회동하도록 함과 아울러 접속단자의 일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단순한 구조로 된 것이므로 종래의 콘센트에 비하여 추가 되는 부품수가 거의 없게 되어 종래의 일반 콘센트와 같은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일반 콘센트를 대체하여 널리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플러그 몸체나 전선을 가볍게 밀어나 일측으로 젖혀 주는 정도의 힘만으로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는 과정에서 전선이 손상되거나 단락을 일으키는 사고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손잡이를 갖는 플러그를 보인 사시도.
도2 내지 도4는 공지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각종 콘센트를 보인 설명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를 삽입하기 전의 콘센트를 보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를 삽입한 상태의 콘센트를 보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의 작동 원리를 보인 설명도.
도9는 도6의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의 작동을 보인 종단면도.
도10은 도6의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한 첫 번째 동작을 보이는 종단면도.
도11은 도10의 상태에서 플러그를 완전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두 번째 동작을 보인 종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설명도.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탑하우징의 수평 상태 유지를 위한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LED 및 리플렉터의 예를 보인 설명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의 외관을 도5,6으로 도시하였으며, 도7에 그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러그(50)의 두 개 핀이 삽입되는 통공(11)과 플러그(50)의 두 개 핀과 결합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접속단자(31)가 내장되는 공지의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50)의 두 개 핀이 통과하는 통공(11)과, 양측에 돌출된 축봉(12)을 갖는 탑하우징(10)과, 상기 탑하우징(1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21)와, 상기 축봉(12)이 끼워지는 축공(22)이 구비된 미들하우징(20)과, 상기 통공(11) 직하방에 배치되며 일방으로 개구부(32)가 형성된 접속단자(31)를 구비한 베이스하우징(30)으로 구성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를 제안한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플러그(50)의 삽입시 밀착되고 플러그(50)가 회동하여 분리되는 시점까지 플러그(50)를 수용하고 있게 되며, 플러그(50)의 두 개핀이 관통하는 통공(11)을 구비하고, 양측 둘레면에 축봉(12)이 형성된 탑하우징(10)과, 상기 탑하우징(10) 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21)가 구비되고 공간부(21) 양측에는 상기 탑하우징(10)의 축봉(12)을 수용하기 위한 축공(22)이 요입 형성된 미들하우징(20)이 준비된다. 상기 탑하우징(10)의 축봉(12)은 미들하우징(20)의 축공(22)에 끼워져 이를 중심으로 도면상 우측 하방으로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탑하우징(10)과 미들하우징(20)은 베이스하우징(30) 위에 조립되는 바, 베이스하우징(30)에는 도7로 보인 바와 같은 개구부(32)를 가진 접속단자(31)와, 개구부(32) 양측으로 세워 설치되는 협지체(33)가 복수 개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접속단자(31)와 협지체(33)는 항상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지지벽(39)이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협지체(33)는 세워 설치된 중심봉(39')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실시예에 의한 동작을 도8내지 도11로 도시하였다.
먼저, 도8에 본 발명의 기본 작동을 설명하기 개념적으로 보였으며, 도9에는 플러그(50)가 콘센트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구부(32)가 구비되고, 통상의 콘센트 접속단자(31)와 동일한 규격 및 탄성 재질로 제작되어 플러그(50)의 핀(51)이 삽입되는 경우 충분한 탄력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된 접속단자(31)가 플러그(50)의 핀(51)이 삽입되는 위치 직 하방에 배치되고 지지벽(39)으로 지지되어 고정되며, 개구부(32) 양측으로 협지체(33)가 세워져 고정됨으로써 플러그(50)의 핀(51)의 삽입시 접속단자(31)와 접속되고 협지체(33)에 의하여 핀(51)의 무단 이탈을 억제하도록 막고 있으므로 안정된 상태로 접속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기 장치의 사용이 종료되어 플러그(50)를 뽑아야 할 경우에는 도10으로 보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약간만 플러그(50)를 회동시키거나 전선을 잡고 가볍게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시키면 플러그(50)를 수용하고 있는 탑하우징(10)이 축봉(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플러그(50)의 핀(51)이 접속단자(31)의 개구부(32)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협지체(33)의 저항이 있기는 하나 플러그(50)의 핀(51)은 협지체(33)의 탄력을 이기고 협지체(33)를 누르면서 점선으로 보인 상태에서 실선으로 보인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 완료한 후 도11로 보인 바와 같이 점선으로 보인 상태에서 실선으로 보인 상태로 플러그(50)를 뽑으면 협지체(33)와 플러그(50)의 핀(51)의 접촉면적이 적으므로 쉽게 이탈될 수 있는 것이며, 콘센트와 플러그(50)는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콘센트의 접속단자(31)에 끼워진 플러그(50)의 핀(51)이 회동하면서 접속단자(31)의 개구부(32)로 이동하고, 협지체(33)의 탄력을 이용하여 쉽게 탈거될 수 있는 것이어서 플러그(50)를 적은 힘으로도 분리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12로 보인 바와 같이 협지체(33)가 없이 접속단자(31)의 탄성만으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접속단자(31)의 개구부(32) 양측을 좁게 구부린 협지부(34)를 형성하고, 협지부(34)를 제외한 접속단자(31)의 양측에 지지벽(39)을 세워 고정하면 플러그(50)의 핀(51)이 삽입되는 경우 핀을 물고 있는 접속단자(31)의 협지부(34)가 핀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플러그(50)의 핀(51)이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러그(50)를 회동시키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으로 탑하우징(10)이 축봉(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플러그(50)의 핀(51)이 접속단자(31)의 협지부(34) 탄력을 이기고 회동하면서 이탈되는 것이며, 협지부(34)와의 물림 면적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플러그(50)를 뽑아 내어 쉽게 분리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탑하우징(10)이 항상 수평으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미들하우징(20)에 지지턱(35)을 형성하고, 미들하우징(20)의 축봉(12)에 끼운 코일스프링(36)의 일단을 탑하우징(10) 일측에 돌출된 걸림턱(37)에 걸며, 상기 코일스프링(36)의 타단을 미들하우징(2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38)(도13에 점선으로 표시함)에 걸어 줌으로써 평상시 탑하우징(10)이 코일스프링(36)의 탄력으로 지지턱(35)에 걸려 수평을 유지하고 작동시에는 코일스프링(36)의 탄력을 이기고 탑하우징(10)이 미들하우징(20)의 공간부(21)에서 회동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동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콘센트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LED(40)를 미들하우징(20)에 매설하고 이에 의하여 발광되는 빛이 반투명이며 적색, 녹색 등의 색상으로 착색된 도14로 보인 바와 같은 리플렉터(41)에 의하여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5 내지 도7에는 2개의 반원형 리플렉터(41)를 사용하여 탑하우징(10)의 주변에서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쉽게 눈에 띌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으며, 리플렉터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등을 다양하게 하여 매립형이나 이동형 콘센트 등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한 공지 요소들을 결합시켜 변형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탑하우징 11:통공 12:축봉
20:미들하우징 21:공간부 22:축공
30:베이스하우징 31:접속단자 32:개구부
33:협지체 34:협지부 35:지지턱
36:코일스프링 37:걸림턱 38:돌기
39:지지벽 39':중심봉 40:LED
41:리플렉터 50:플러그 51:핀

Claims (4)

  1. 플러그의 두 개 핀이 삽입되는 통공과 플러그의 두 개 핀과 결합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접속단자가 내장되는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의 두 개 핀이 통과하는 통공과 양측에 돌출된 축봉을 갖는 탑하우징과,
    상기 탑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와, 상기 축봉이 끼워지는 축공이 구비된 미들하우징과,
    상기 통공 직하방에 배치되며 일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개구부 양측에 세워 설치되어 상기 탑하우징의 통공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의 핀이 접속단자에 접속되도록 잡아주는 협지체를 구비하여서 된 베이스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하우징에 지지턱을 형성하고, 미들하우징의 축봉에 끼운 코일스프링의 일단을 탑하우징 일측에 돌출된 걸림턱에 걸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을 미들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에 걸어 고정하여 평상시 탑하우징이 코일스프링의 탄력으로 지지턱에 걸려 수평을 유지하고 작동시에는 코일스프링의 탄력을 이기고 탑하우징이 미들하우징의 공간부에서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4. 삭제
KR1020110087483A 2011-08-30 2011-08-30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1207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483A KR101207296B1 (ko) 2011-08-30 2011-08-30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483A KR101207296B1 (ko) 2011-08-30 2011-08-30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296B1 true KR101207296B1 (ko) 2012-11-30

Family

ID=4756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483A KR101207296B1 (ko) 2011-08-30 2011-08-30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2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051B1 (ko) * 2014-01-22 2014-11-10 (주)대성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KR101509128B1 (ko) 2014-12-30 2015-04-07 김기풍 회전개폐형 플러그 고정수단이 구비된 통신장비랙용 전원분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797Y1 (ko) 1998-06-19 2001-02-01 심민보 손잡이를 갖는 플러그
JP2006032176A (ja) * 2004-07-16 2006-02-02 Ricoh Co Ltd 電源プラグ装置
KR100898238B1 (ko) * 2007-12-01 2009-05-18 신유경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797Y1 (ko) 1998-06-19 2001-02-01 심민보 손잡이를 갖는 플러그
JP2006032176A (ja) * 2004-07-16 2006-02-02 Ricoh Co Ltd 電源プラグ装置
KR100898238B1 (ko) * 2007-12-01 2009-05-18 신유경 콘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051B1 (ko) * 2014-01-22 2014-11-10 (주)대성 발광부재를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KR101509128B1 (ko) 2014-12-30 2015-04-07 김기풍 회전개폐형 플러그 고정수단이 구비된 통신장비랙용 전원분배장치
WO2016108435A1 (ko) * 2014-12-30 2016-07-07 김기풍 회전개폐형 플러그 고정수단이 구비된 통신장비랙용 전원분배장치
US10199772B2 (en) 2014-12-30 2019-02-05 Ki Poong KIM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with rotary opening/closing type plug fixing means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r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94097B2 (en) Battery packs and method of assembling battery packs
US6692284B1 (en) Electrical socket and plug
TWI262628B (en) Electrical safety outlet and power cord
US20150104960A1 (en) Safe outlet
TW201415733A (zh) 具旋轉插頭結構之插座
US7311533B1 (en) Light socket structure
TW201427204A (zh) 具有防塵蓋的插座及電子裝置
KR101207296B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1690219B1 (ko) 콘센트 안전장치
US8622758B2 (en) Rotatable plug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rotatable plug
US5854456A (en) Line switch having a parallel arrangement between conducting plates with piercing tips and the electrical cord
US20140227902A1 (en) Safety socket
TWI429143B (zh) Safety socket (1)
KR101569717B1 (ko) 절전형 회전 콘센트
KR200416360Y1 (ko) 인입출이 가능한 건축용 콘센트
US20170244205A1 (en) Power socket extension lead
TWI429144B (zh) Safety socket (2)
WO2020024124A1 (zh) 插座结构
TWI701870B (zh) 插座改良結構
JP3195045U (ja) マグネット付きプラグ
CN212908218U (zh) 一种安全插座
KR20050106726A (ko) 콘센트
KR20080003145U (ko) 콘센트 안전커버
KR101227225B1 (ko) 뽑기 편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
KR200165498Y1 (ko) 플러그 분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