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225B1 - 뽑기 편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 - Google Patents

뽑기 편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225B1
KR101227225B1 KR1020110096682A KR20110096682A KR101227225B1 KR 101227225 B1 KR101227225 B1 KR 101227225B1 KR 1020110096682 A KR1020110096682 A KR 1020110096682A KR 20110096682 A KR20110096682 A KR 20110096682A KR 101227225 B1 KR101227225 B1 KR 10122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outlet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선
Original Assignee
유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선 filed Critical 유상선
Priority to KR1020110096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의 단자와 콘센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간편하게 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어린이 등이 콘센트에 젓가락 등의 도전체를 끼워도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성이 향상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로, 몸체(12)의 전면에 말단이 외측으로 굴곡된 2개의 전원 단자(14)를 갖는 플러그(10)와; 앞판(20a)에 상기 플러그(10)의 몸체(12)가 삽입되는 몸체 삽입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삽입홈(21)의 바닥면(22)에는 상기 2개의 전원 단자(14)가 소정의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는 폭으로 단자삽입구멍(23)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삽입구멍(23)이 형성된 바닥면(22)의 배면 좌우측에는 단자삽입구멍(23)으로 끼워진 플러그(10)의 전원단자(14) 말단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원공급단자(24)가 설치되고, 뒷판(20b) 내측에 상기 단자삽입구멍(23)으로 삽입된 전원단자(14)를 전원공급단자(24)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누름판(25)이 스프링(26)으로 지지설치된 콘센트(20); 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뽑기 편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 { A Plug and plug socket set}
본 발명은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플러그는 콘센트에서 빼는 것이 힘들고 콘센트가 매립된 벽체와 가구 또는 가전제품 사이의 틈이 좁을 경우 빼는 것이 불편하여 그대로 끼운 채로 방치하게 됨으로써 대기전원이 소모되어 전력낭비를 초래하였던 바, 본 발명은 플러그의 단자와 콘센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간편하게 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어린이 등이 콘센트에 젓가락 등의 도전체를 끼워도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성이 향상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가정이나 사무실을 비롯한 각종 건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가전제품을 비롯한 각종 전기제품에 연결된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해 벽체의 전면으로 노출된 매립형이나 외부로 노출된 외부용 콘센트 등이 있다.
한편, 종래의 콘센트는 그 사연에 플러그의 접속단자(접속봉)를 접속하기 위한 안내구조로서 접속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상기 접속구멍과 일치하는 판상의 접속단자가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는 접속단자를 콘센트의 접속구멍을 통하여 삽입하면 그 접속구멍과 일치하는 저부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면서 전원을 연결하게 되는바, 이와 같은 접속상태는 감전예방 또는 플러그의 이탈에 따른 갑작스런 단속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당한 긴밀성을 유지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기제품의 사용 후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콘센트의 앞 부분에 공간이 협소한 경우 즉 콘센트가 매립된 벽면과 전기제품과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플러그를 잡아당기는 것이 어려워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시킨 상태로 방치하는 경우가 허다하였으므로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콘센트는 어린이 등이 호기심으로 젓가락 등을 삽입하게 될 경우 감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접속구멍에 동시에 단자가 삽입되어야만 개방되도록 접속구멍 내측에 차단판을 설치하는 구조의 콘센트도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구조의 콘센트는 가격이 높아지고 차단판이 원활히 회동되지 못하는 경우 플러그를 삽입하거나 분리하는데 오히려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기도 했었다.
본 출원인이 검색한 바에 의하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특허공개 제2005-24530호의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공개특허 제2006-89582호의 전기콘센트에서의 원터치 탈착 전기플러그, 등록특허 제666036호의 플러그의 이탈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공개특허 제2008-105230호의 간소화된 플러그의 탈거구조가 마련된 콘센트, 공개특허 제2009-60502호의 콘센트 분리형 자동 플러그, 공개특허 제2011-60042호의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된 종래기술은 콘센트에 버튼이나 레버 등을 설치하여 이들 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콘센트에 끼워진 플러그를 탈거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로서 콘센트의 부품 수가 많아지는 것은 물론 조립공수가 많아짐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버튼이나 레버를 상당한 힘을 가하여 조작하여야 했었으므로 역시 힘이 들게 되는 것은 물론 반복적인 조작과정에서 부품에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많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의 단자와 콘센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간편하게 뽑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어린이 등이 콘센트에 젓가락 등의 도전체를 끼워도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성이 향상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거나 탈거하는 데 전혀 힘이 들지 않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플러그의 탈거가 용이하고, 반복적인 삽입 및 탈거에도 불구하고 플러그나 콘센트가 파손되는 일이 없는 내구성을 갖는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체로 이루어진 몸체의 전면에 말단이 외측으로 굴곡된 2개의 전원 단자를 갖는 플러그; 전면에 상기 플러그의 몸체가 삽입되는 몸체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삽입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2개의 전원단자가 소정의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는 폭으로 단자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삽입구멍이 형성된 바닥면의 배면 좌우측에 는 단자삽입구멍으로 끼워진 플러그의 말단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원공급단자가 설치되고, 배면 내측에 상기 단자삽입구멍으로 삽입된 전원 단자를 전원공급단자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누름판이 스프링으로 지지설치된 콘센트; 로 이루어지는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눌러서 삽입하고 옆으로 돌려주는 것에 의해 플러그의 전원단자가 콘센트의 전원공급단자에 접속하게 되며, 플러그를 탈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플러그를 누른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플러그의 전원단자 말단이 단자삽입구멍을 통해 외부로 이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간편하게 탈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종래의 콘센트에서와 같이 힘을 주어 당겨야 할 필요가 없으며, 콘센트의 구조 또한 단순화되고 부품수도 줄어들게 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콘센트의 내부에 설치된 전원공급단자는 특수한 형태로 이루어진 플러그의 전원단자만 접속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어린이가 호기심으로 젓가락을 콘센트의 단자삽입구멍에 끼우더라도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안전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와 콘센트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끼우는 초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플러그를 회동시켜 콘센트의 전원단자에 접속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플러그(10)와 콘센트(20)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몸체(12)의 전면에 말단이 외측으로 굴곡된 2개의 전원 단자(14)를 갖는 플러그(10)와;
앞판(20a)에 상기 플러그(10)의 몸체(12)가 삽입되는 몸체 삽입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삽입홈(21)의 바닥면(22)에는 상기 2개의 전원 단자(14)가 소정의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는 폭으로 단자삽입구멍(23)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삽입구멍(23)이 형성된 바닥면(22)의 배면 좌우측에는 단자삽입구멍(23)으로 끼워진 플러그(10)의 전원단자(14) 말단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원공급단자(24)가 설치되고, 뒷판(20b) 내측에 상기 단자삽입구멍(23)으로 삽입된 전원단자(14)를 전원공급단자(24)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누름판(25)이 스프링(26)으로 지지설치된 콘센트(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10)와 콘센트(20)는 외관상으로는 일반적인 플러그와 콘센트와 크게 다르지 않은데, 다만 플러그(10)의 전원단자(14) 말단이 외측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과, 콘센트(20)의 몸체 삽입홈(21)의 바닥면(22)에 형성된 단자삽입구멍(23)의 형태가 다를 뿐이다.
한편, 상기 콘센트(20)의 단자삽입구멍(23) 내측에 설치된 누름판(25)은 압축코일형 스프링(26)에 의해 외측으로 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누름판(25)은 플러그(10)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삽입구멍(23)을 밀폐시킴으로써 콘센트(20)의 내부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가리게 된다.
상기 콘센트(20)의 몸체 삽입홈(21)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플러그(10)의 몸체(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로 회동가능하며, 몸체 삽입홈(21)의 바닥면(22)에 형성된 단자삽입구멍(23)은 원형으로 형성된 중간 부분(23a)과 이 중간 부분(23)의 상하 또는 좌우측에는 플러그(10)의 전원단자(14) 말단이 삽입가능하도록 연장된 외곽부분(23b)으로 이루어져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의 전원단자(14)를 상기 외곽부분(23b)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내측으로 누르게 되면 전원단자(14)에 의해 누름판(25)이 밀리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플러그(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도 각도로 돌려주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의 양측 전원단자(14)가 콘센트(20)의 내부에 설치된 전원공급단자(24)에 접속되어 통전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단자(24)에는 플러그(10)의 전원단자(14) 말단이 전원공급단자(24)와 직교상태를 이루는 위치 즉, 통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홈(25a)이 형성되어 있어 플러그(10)를 콘센트(20)에 삽입시킨 후 손으로 회동시키면 플러그(10)의 전원단자(14)가 단자 홈(25a)에 끼워지는 것을 손감각으로 느끼게 되므로 플러그(10)의 회동 각도를 알맞게 맞추어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전원공급단지(24)에는 전선(24a)이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콘센트(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프링(26)은 콘센트(20)의 뒷판(20b)의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 안치부(27)에 안치되어 누름판(26)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콘센트(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단자(24)는 콘센트(20)의 앞판(20a) 내측에 형성된 몸체 삽입홈(21)의 바닥면(22)에 안치되며, 별도의 고정나사 나 고정리브 등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공급단지(24)는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지 않게 되며, 전선(24a)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젓가락 등이 삽입되더라도 숨어있는 전원공급단자에 접촉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는 동작 및 탈거하는 동작을 힘들이지 않고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의해 플러그를 탈거하는 것이 어려웠던 종래의 플러그와 콘센트 기구를 사용할 경우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플러그를 콘센트에 끼운 상태로 방치하게 됨으로써 대기전력이 낭비되었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콘센트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단자는 외부에서 젓가락 등을 삽입하더라도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어린이 등이 감전사고를 당하게 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플러그는 기존의 직선형 전원단자를 갖는 플러그의 전방에 말단이 외측으로 굴곡된 전원단자를 갖는 어댑터 형태로 제작하여 부착함으로써 사용이 가능하며, 콘센트 또한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수도 적으므로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한 이점도 있다.
10 : 플러그 12 : 몸체
14 : 전원단자 20 : 콘센트
20a : 앞판 20b : 뒷판;
21 : 몸체 삽입홈 22 : 바닥면
23 : 단자삽입구멍 23a : 중간 부분
23b : 외곽 부분 24 : 전원공급단자
24a : 전선 25 : 누름판
25a : 단자 홈 26 : 스프링
27 : 스프링 안치부

Claims (2)

  1. 절연체로 이루어진 몸체(12)의 전면에 말단이 외측으로 굴곡된 2개의 전원 단자(14)를 갖는 플러그(10)와;
    앞판(20a)에 상기 플러그(10)의 몸체(12)가 삽입되는 몸체 삽입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삽입홈(21)의 바닥면(22)에는 상기 2개의 전원 단자(14)가 소정의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는 폭으로 단자삽입구멍(23)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삽입구멍(23)이 형성된 바닥면(22)의 배면 좌우측에는 단자삽입구멍(23)으로 끼워진 플러그(10)의 전원단자(14) 말단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원공급단자(24)가 설치되고, 뒷판(20b) 내측에 상기 단자삽입구멍(23)으로 삽입된 전원단자(14)를 전원공급단자(24)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누름판(25)이 스프링(26)으로 지지설치된 콘센트(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판(25)에는 플러그(10)의 전원 단자(14) 말단이 전원공급단자(24)와 직교상태를 이루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단자 홈(2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뽑기 편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
  2. 삭제
KR1020110096682A 2011-09-26 2011-09-26 뽑기 편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 KR10122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682A KR101227225B1 (ko) 2011-09-26 2011-09-26 뽑기 편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682A KR101227225B1 (ko) 2011-09-26 2011-09-26 뽑기 편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225B1 true KR101227225B1 (ko) 2013-01-28

Family

ID=4784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682A KR101227225B1 (ko) 2011-09-26 2011-09-26 뽑기 편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2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783A (ko) * 1999-11-23 2001-06-15 노희권 전원 연결기구
KR200239658Y1 (ko) * 2001-01-29 2001-10-26 (주)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전기콘센트와 플러그의 탈부착 장치
KR20110080111A (ko) * 2010-01-04 2011-07-12 탁도윤 회전식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783A (ko) * 1999-11-23 2001-06-15 노희권 전원 연결기구
KR200239658Y1 (ko) * 2001-01-29 2001-10-26 (주)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전기콘센트와 플러그의 탈부착 장치
KR20110080111A (ko) * 2010-01-04 2011-07-12 탁도윤 회전식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838B1 (en) Universal-conversion power cable
JP3186041U (ja) プラグ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CN106463888B (zh) 凹型电连接器、相对应的凸型电连接器和包括凸型电连接器和凹型连接器的连接组件
CN105048232A (zh) 一种挂式移动插座
KR101690219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0846134B1 (ko) 공동주택용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KR101445273B1 (ko) 원터치형 콘센트
KR101227225B1 (ko) 뽑기 편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
KR20150136390A (ko) 안전콘센트
KR101626608B1 (ko) 벽면 매설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박스
KR200416360Y1 (ko) 인입출이 가능한 건축용 콘센트
CN204927751U (zh) 一种挂式移动插座
US20160276815A1 (en) Faux electrical socket-outlet
KR100823898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200414962Y1 (ko) 플러그 연결구
KR101773798B1 (ko)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전성을 더한 플러그
KR100427847B1 (ko)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KR200313692Y1 (ko) 매입형 4구 콘센트의 접지구조
JP3200118U (ja) イヤホンオスメスコネクタ固定連接構造
KR100840947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CN215955613U (zh) 一种带收纳功能的壁挂式充电插座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102258409B1 (ko) 다방향 콘센트가 구비된 전기 어댑터
KR20110053298A (ko) 전기 플러그를 뽑지않은 상태로 전기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소켓
CN210007078U (zh) 转接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