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867Y1 - 비데의 본체 구조 - Google Patents

비데의 본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867Y1
KR200467867Y1 KR2020100011953U KR20100011953U KR200467867Y1 KR 200467867 Y1 KR200467867 Y1 KR 200467867Y1 KR 2020100011953 U KR2020100011953 U KR 2020100011953U KR 20100011953 U KR20100011953 U KR 20100011953U KR 200467867 Y1 KR200467867 Y1 KR 200467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
hole
nozzle
bid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734U (ko
Inventor
이승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2020100011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86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7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7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8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비데의 본체 구조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노즐 설치부와, 상기 노즐 설치부의 일측에 건조장치 설치부가 설치되는 비데의 본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공간부에 생성된 결로수를 전방으로 이동시기 위해 하방에서 전방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며, 전방에는 상기 결로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외부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비데의 본체 구조{Main frame structure of bidet}
발명은 비데의 본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환경 및 온수탱크의 가열 온도 등에 의해 본체의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전방으로 안내하여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킴으로써, 응축된 결로수에 의한 감전 사고를 예방하고, 본체의 내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비데의 본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세정 변좌를 일컫는 것으로 호텔, 여관 등의 숙박업소는 물론 일반 가정 내 배변 설비인 좌변기에 설치되어 용변 후 적정 수압의 세정 수로 항문 및 그 주변을 세정함으로써,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뒷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일종의 위생 설비이다.
이러한, 비데는 본체와, 세정 수를 공급받아 일정 온도로 가열/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세정 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항문 및 국부를 세정하는 노즐 어셈블리와, 상기 노즐 어셈블리를 전후로 동작시키는 구동장치와, 세정 후 노즐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비데의 본체는 외부 환경 및 온수탱크의 가열 온도 등에 의해 내부에 결로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결로수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 장치들에 영향을 주어 PBA 누수 전류를 발생시킬 염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비데는 PBA 누수 전류에 의한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어 시급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결로수를 신속히 안내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가 없어 본체의 내부가 쉽게 오염되거나, 장치의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환경 및 온수탱크의 가열 온도 등에 의해 본체의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전방으로 안내하여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킴으로써, 응축된 결로수에 의해 PBA 누수 전류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결로수에 의해 본체의 내부 공간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데의 본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실시예들은,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하부케이스 상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일 방향을 따라서 연장해서 설치되는 노즐 설치부와, 상기 노즐 설치부의 일측에 건조장치 설치부가 설치되는 비데의 본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및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전방에 위치되는 바닥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후방에 위치되는 바닥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로는 상기 하부케이스로부터 상기 상부케이스를 향하여 돌출하는 격벽들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전방으로부터 상기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로 상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바닥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후방으로부터 상기 전방을 향해서 1.5°~ 2.5° 경사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은, 상기 노즐 설치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전방의 측벽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1관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은, 상기 노즐 설치부의 타측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전방의 상기 측벽, 그리고 상기 건조장치 설치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관통홀은 홀 형태이고, 상기 제 2 관통홀은 슬릿 형태이고, 및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전방의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 2 관통홀보다 더 작은 거리로 이격된다.
상기 격벽들은 상기 노즐 설치부 및 상기 건조장치 설치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본체의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결로수 발생에 의한 PBA 누수 전류 발생을 방지하고, PBA 누수 전류 발생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결로수가 본체의 내부에 장시간 잔류하지 않기 때문에 본체의 내부가 쉽게 오염되지 않으며, 본체의 내부에 잔류하는 결로수로 인해 인접 장치들에서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온수탱크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온수탱크 구조에서 하부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비데의 온수탱크 구조에서 하부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본체 구조는, 하부케이스(110)와,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20)가 구비되는 본체(100)와,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노즐 설치부(111)와, 상기 노즐 설치부(111)의 일측에 건조장치 설치부(112)가 설치되는 비데의 본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상기 공간부에 생성된 결로수를 전방으로 이동시기 위해 하방에서 전방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며, 전방에는 상기 결로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외부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113, 1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부에는 노즐이 구비되는 노즐 어셈블리(130)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130)의 일측에는 노즐을 전후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을 건조시키기 위한 노즐 건조장치(미도시)가 상기 노즐 어셈블리(130)를 기준으로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노즐 설치부(111)의 전방에 노즐이 전후로 출몰할 수 있는 노즐 홀이 형성되고, 건조장치 설치부(112)에는 더운 공기가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탈취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일측에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미도시)과, 조작을 위한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즐 어셈블리(130), 구동부(140), 건조장치(미도시) 및 조작부는, 이미 공지된 구성들이므로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부케이스(110)의 기울기는 1.5 ~ 2.5°의 기울기 각을 갖도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기울기 각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케이스(110)의 상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케이스(110) 자체가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배출홀은, 노즐 고정부의 일측 끝단에 원 형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1관통홀(115) 및, 상기 건조장치 끝단에 타측은 건조장치 고정부 끝단 인접하게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제2관통홀(11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관통홀(115)과 제2관통홀(116)은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는 한정하지 않고 더 많은 개수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홀(116)은, 하부케이스(110)의 양측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형상은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노즐 고정부의 일측 끝단에 원 형태로 형성된 제1관통홀(115)은 하부케이스(110)의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하부케이스(110)의 본체(100)와 전방으로 함께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10)의 상면에는 노즐 설치부(1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원 형태의 제1관통홀(115)로 결로수를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부(113) 및, 상기 건조장치 설치부(11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 형태의 제2관통홀(116)로 결로수를 안내하기 위한 제2안내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안내부(113)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좁아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격벽(113a)과, 상기 제1관통홀(115)으로부터 상기 제1격벽(113a) 방향으로 연장된 후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격벽(113b) 및, 상기 제1격벽(113a)과 상기 제2격벽(113b)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단부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전면 끝단과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3격벽(113c)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안내부(114)는 제1안내부(113)의 타측에 해당하는 하부케이스(110)의 일측 후방에서 전방으로 좁아지게 연장되어, 결로수가 슬릿 형태의 제2관통홀(116)로 안내된 후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관통홀(115)과 제2관통홀(116)의 주변은 부식이 되지 않는 금속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속으로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결로수가 배출되는 제1관통홀(115)과 제2관통홀(116)은 물이 자주 고이면서 배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을 적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데를 사용하는 도중에 외부환경 및 온수탱크의 구동에 의해 본체(100)의 내부에 결로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제1안내부(113) 및 제2안내부(114)가 본체(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결로수를 안내하며, 안내되는 결로수는 제1관통홀(115)과 제2관통홀(116)이 형성된 부위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안내되어 배출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본체(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본체(100)의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결로수 발생에 의한 PBA 누수 전류 발생을 방지하고, PBA 누수 전류 발생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로수가 본체(100)의 내부에 장시간 잔류하지 않기 때문에 본체(100)의 내부가 쉽게 오염되지 않으며, 본체(100)의 내부에 잔류하는 결로수로 인해 인접 장치들에서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본체 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본체 110: 하부케이스
111: 노즐 설치부 111a: 노즐 홀
112: 건조장치 설치부 112a: 탈취홀
113: 제1안내부 113a: 제1격벽
113b: 제2격벽 113c: 제3격벽
114: 제2안내부 115: 제1관통홀
116: 제2관통홀 120: 상부케이스
130: 노즐 어셈블리 140: 구동부

Claims (5)

  1.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하부케이스 상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일 방향을 따라서 연장해서 설치되는 노즐 설치부와, 상기 노즐 설치부의 일측에 건조장치 설치부가 설치되는 비데의 본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및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전방에 위치되는 바닥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후방에 위치되는 바닥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로는 상기 하부케이스로부터 상기 상부케이스를 향하여 돌출하는 격벽들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전방으로부터 상기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격벽들로부터 이격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로 상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바닥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본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후방으로부터 상기 전방을 향해서 1.5°~ 2.5°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본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은,
    상기 노즐 설치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전방의 측벽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1관통홀; 및
    상기 노즐 설치부의 타측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전방의 상기 측벽, 그리고 상기 건조장치 설치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본체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은 홀 형태이고,
    상기 제 2 관통홀은 슬릿 형태이고, 및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전방의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 2 관통홀보다 더 작은 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본체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상기 노즐 설치부 및 상기 건조장치 설치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본체 구조.
KR2020100011953U 2010-11-19 2010-11-19 비데의 본체 구조 KR200467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53U KR200467867Y1 (ko) 2010-11-19 2010-11-19 비데의 본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53U KR200467867Y1 (ko) 2010-11-19 2010-11-19 비데의 본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34U KR20120003734U (ko) 2012-05-30
KR200467867Y1 true KR200467867Y1 (ko) 2013-07-15

Family

ID=4661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953U KR200467867Y1 (ko) 2010-11-19 2010-11-19 비데의 본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8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985B1 (ko) * 2014-06-25 2018-05-16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장치
KR102504980B1 (ko) * 2016-02-29 2023-03-02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CN107354985A (zh) * 2017-09-08 2017-11-17 广东新欧智能卫浴有限公司 一种智能座便器的喷杆装置
CN111910722B (zh) * 2020-06-09 2022-03-04 宁波吉田智能洁具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859A (ja) 2000-09-18 2002-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ロータンク一体衛生洗浄装置
JP2003313921A (ja) * 2002-04-23 2003-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局部洗浄装置
KR200427886Y1 (ko) * 2006-07-04 2006-10-02 (주)유진엠플러스 비데 조절장치
JP2006283400A (ja) 2005-03-31 2006-10-19 Toto Ltd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859A (ja) 2000-09-18 2002-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ロータンク一体衛生洗浄装置
JP2003313921A (ja) * 2002-04-23 2003-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局部洗浄装置
JP2006283400A (ja) 2005-03-31 2006-10-19 Toto Ltd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200427886Y1 (ko) * 2006-07-04 2006-10-02 (주)유진엠플러스 비데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34U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867Y1 (ko) 비데의 본체 구조
JP2016050468A (ja) トイレ装置、及び、大便器ユニット
US20160338554A1 (en) Hand dryer apparatus
JP2016044397A (ja) 衛生洗浄装置
JP2016056554A5 (ko)
JP4891198B2 (ja) 建具
US20080148786A1 (en) Detergent Dispensing Unit
ITTO20090021U1 (it) Dispositivo di eliminazione di odori per apparecchi sanitari a sciacquo.
JP5626870B2 (ja) 収納一体型便器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282971B1 (ko) 자동 손 세척기
KR200464684Y1 (ko) 비데의 온수탱크 구조
KR102453232B1 (ko)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수건걸이
JP2020033849A (ja) 衛生洗浄装置
JP2006255232A (ja) 自動手洗乾燥装置
CN206144743U (zh) 压缩机组件用隔音装置及压缩机组件
JP2008164232A (ja) 換気口
KR200328192Y1 (ko) 핸드 드라이어
JP6726894B2 (ja) 便器装置
KR20200042770A (ko) 비데용 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JP2018031212A (ja) 衛生洗浄装置
KR20120042372A (ko) 좌변기 탈취장치
JP2017061806A (ja) 便器装置
KR102125642B1 (ko) 애완동물용 차량 시트커버
JP6172602B2 (ja) 洗浄槽付き流し台
JP3985842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