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242Y1 -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 Google Patents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242Y1
KR200467242Y1 KR2020110001230U KR20110001230U KR200467242Y1 KR 200467242 Y1 KR200467242 Y1 KR 200467242Y1 KR 2020110001230 U KR2020110001230 U KR 2020110001230U KR 20110001230 U KR20110001230 U KR 20110001230U KR 200467242 Y1 KR200467242 Y1 KR 200467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p
opening
tube contain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906U (ko
Inventor
이종순
Original Assignee
이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순 filed Critical 이종순
Priority to KR2020110001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24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9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9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2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33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81/3244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arranged parallel or concentrically and permitting simultaneous dispensing of the two materials without prior 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염색약과 같이 제 1 및 2 제로 분리 보관되고 등량 취출과 동시에 나선형 돌기 또는 홈 형태의 나사산에 의해 용이하게 완벽히 혼합된 상태로 사용되는 형태의 2성분 제제를 효과적으로 보관하고 사용하기 위한 플립캡 타입의 이중격실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립캡 타입의 이중격실 튜브용기는, 하부 격벽에 의해 제 1 및 제 2 격실로 나뉘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쇼울더에 조립되며,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와 연통되는 토출공이 형성되는 환형결착부를 갖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환형결착부의 내주연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 격벽의 상단면과 이어지며, 상기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와 상기 토출공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형성하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되는 원통상의 연결 부재와; 상기 원통상의 연결 부재의 상기 홀 내로 체결되며, 중앙에 상기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와 상기 토출공을 연결하는 연결통로인 교차로 홀이 형성된 연결 통로 부재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토출공을 개폐하는 돌기부가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뚜껑으로 형성되는 플립 캡(flip cap)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FLIP CAP TYPE TUBE VESSEL HAVING DOUBLE COMPARTMENT}
본 고안은 2성분 제제를 일정한 소정의 비율로 용이하게 혼합하여 취출(取出: squeezing) 가능한 플립캡(flip cap)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염색약과 같이 제 1 제와 제 2 제로 분리 보관되고 사용을 위해서는 등량 취출하여 혼합된 상태로 사용되는 형태의 2성분 제제가 각각의 격실 내에 별도 구획 보관되고 사용을 위한 스퀴징(squeezing)시에는 상기한 2성분 제제가 소정의 일정한 비율로 나선상의 꽈배기 형태로 용이하게 혼합시켜 취출될 수가 있는 플립캡 타입의 이중격실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플립캡 구조체에 의하여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높이는 한편, 소정 비율로의 2성분 제제의 일정한 취출 및 혼합이 가능하므로, 2성분 제제의 정량 혼합이 가능하며, 용기의 구조가 간단함은 물론, 용기의 제조 용이성이 우수하고,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제 및 제 2 제 보관 용기를 별도로 제조하고 보관하여야 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편리하며, 염색제의 경우 스퀴징 후 바로 빗질이나 손으로 문지르는 등의 작업에 의해 별도의 혼합 작업 없이도 바로 염색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2성분 제제의 형태로 사용되는 전형적인 예로서는, 알칼리제 및 염료 중간체로 된 제 1 제와 산화제로 된 제 2 제로 구성되는 염색약과, 제 1 접착성분으로 된 제 1 제와 제 2 접착 성분 및 경화촉진제로 된 제 2 제로 구성되는 접착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염색약 용기나 2액형 접착제 용기의 구조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염색약 수납 용기를 예로 들어 모발의 염색을 포함하여 언급하기로 한다.
먼저, 모발의 구조를 살펴보면 모발은 비늘 형태로 적층된 모표피 또는 모소피(cuticle)와, 멜라닌 색소를 다량 포함하는 모피질(cortex)과, 그리고 모발 중심부의 다공부인 모수질(medulla)로 구성된다.
근자에 이르러, 백모를 흑모로 염색하는 종래의 모발 염색 형태 외에도, 개성을 표현하고 멋을 즐기려는 목적으로 흑모를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염색약의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더불어 염색약도 매우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어 있다.
염색약은 사용 목적 또는 염색의 유지 기간에 따라 블리치제(bleaching agent), 영구 염모제, 반영구 염모제, 일시적 염모제로 대별될 수 있으며, 또한 염색약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 산화형, 산성형 및, 염기성형으로 구분될 수 있고, 염모제의 유래에 따라 합성 염모제 또는 천연 염모제로 나눌 수도 있으나,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염색약은 합성의 산화형 영구 염모제이다.
산성염료 및 염기성염료는 일시적으로 모발에 흡착되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른 탈색 문제로 인하여, 산화 염료가 영구 염모제(퍼머넨트 헤어다이(permanent hair dye))에 주로 사용되며, 산화염료는 디아민계 화합물과 같이 산화되어 발색하는 색원물질로서 염모 시에는 수용성이지만 시간 경과에 따른 화학반응에 의해 불용성이 되어 모발 속에 잔류한다.
산화형 염색약은 제 1 제와 제 2 제로 구성되며, 제 1 제는 염료 중간체인 디아민계 화합물과 알칼리제의 혼합물이, 그리고 제 2 제는 산화제로 구성된다.
여기서, 염료 중간체는 산화제와 혼합되면 염료로 바뀌면서 발색하게 되며, 하기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염료 중간체를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하면 그에 따른 다양한 색상을 만들 수가 있다.
ㆍ흑색: p-페닐렌디아민
ㆍ다갈색-흑갈색: p-톨루엔디아민
ㆍ적색: 모노니트로-p-페닐렌디아민
ㆍ다갈색: p-아미노페놀
ㆍ황갈색: o-아미노페놀
ㆍ암갈색-적자색: p-페닐렌디아민 + p-아미노페놀
제 1 제 중에 포함된 알칼리제는 모발의 모소피(cuticle) 층을 팽윤(swelling), 연화(softening)시켜서 모피질(cortex) 내부로 염료가 용이하게 침투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산화제의 작용을 촉진시킨다.
상기한 알칼리제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암모니아와 모노에탄올아민을 들 수 있으며, 암모니아는 염색의 지속성이 양호하고 휘발성이므로 모발 손상을 줄일 수는 있으나, 냄새가 강하고 자극적이라는 단점이 있는 반면, 모노에탄올아민은 두피 자극성이 낮고 무취(無臭)이나 비휘발성 물질이므로 모발에 잔류하여 모발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고 모발에의 침투가 늦다는 단점이 있다.
제 2 제인 산화제는 모발의 모피질(cortex) 내에 다량 분산 분포되어 있는 천연색소인 멜라닌을 탈색시키고, 염료 중간체에 작용하여 염료를 생성함으로써 발색하도록 만든다.
산화제로서는 통상적으로 과산화수소수가 사용되며, 멜라닌을 제거하여 탈색시키기 위한 블리치(Bleaching: 표백)를 목적으로 사용되며, 동양인의 경우 염색염료 중간체를 사용하지 않고 블리치하게 되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일부 잔류하게 되는 멜라닌에 의해 황갈색 모발로 염색되며, 천연색 염색 시에는 멜라닌으로 인해 색상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으므로 블리치하면서 원하는 색상으로 염색하게 된다.
한편, 염색 정도는 모발의 질(Texture), 색상, 모발의 굵기, 모발의 손상 정도, 온도, 모근으로부터의 거리, 염색약 도포 시간, 제 1 제의 pH, 제 2 제의 농도, 제 1 제 및 제 2 제의 배합량과 같은 다양한 파라메타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제 1 제 및 제 2 제의 배합량과 도포 시간은 특히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모발 염색약은 대부분 염료 중간체와 알칼리제가 담긴 염모제용 튜브용기와 산화제가 담긴 튜브용기로 구분되어져 있으며, 상기한 튜브용기의 재질은 통상적으로 수지재 또는 금속재이다.
따라서 모발의 염색을 위해서는 제 1 제인 염모제와 제 2 제인 산화제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야만 하므로, 별도의 혼합 용기를 준비하고 염모제와 산화제가 담긴 각각의 튜브용기로부터 적당량을 짜낸 다음, 균질하게 혼합한 후, 혼합물을 브러시에 묻혀 모발에 빗질하고, 일정 시간 경과시키는 것에 의해 염모제와 산화제의 반응에 의해 원하는 색상으로 모발이 염색된다.
여기서 제 1 제인 염모제와 제 2 제인 산화제는 통상적으로 1:1의 부피비로 혼합하도록 제형화되며, 만일 제 2 제인 산화제의 양이 제 1 제인 염모제의 양에 비하여 과량으로 혼합되면 급격한 반응으로 인하여 모발의 탈색이 과도하게 진행된다거나 염색이 급격히 진행될 우려가 있고, 반면에 제 2 제인 산화제의 양이 제 1 제인 염모제의 양에 비하여 소량으로 혼합되면 반응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어 모발 염색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될 우려가 있으며, 이들 양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지표 색상 가이드가 무의미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모발을 원하는 정확한 색상으로 염색하는 것이 곤란해 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 1 제인 염모제와 제 2 제인 산화제를 정확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시판중인 대부분의 모발 염색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용기에 제 1 제인 염모제와 제 2 제인 산화제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모발의 염색시간 조절 및 원하는 모발의 색상을 얻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서, 다양한 이중격실 튜브용기가 제안되어 있으며, 그 전형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0,467,265호(2005.01.11일 등록)는 제 1 제와 제 2 제로 분리된 기존의 염색약 재료를 하나의 튜브에 분리하여 저장 및 보관하다가 필요시에 입구를 간단히 절단하여 서로 다른 이종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염색약 충진용 이중튜브를 제안하고 있으나, 내측 용기가 외측 용기의 외벽에 이격하게 그 내부에 수용되고 내측 용기의 입구부가 외측 용기의 입구부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이중 용기 구조이므로 제작이 용이하지 않으며 경제적이지 못하고 특히 크림 타입의 내용물에 주로 적용되는 스퀴징 타입의 연질 용기에는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 2006-0081268호(2006.07.12일 공개)는 2종 이상의 내용물들이 인위적인 외력에 의해 파손이 되는 별개의 포장수단에 의거 포장된 상태로 하나의 용기 중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2종 이상의 물질의 혼합 및 배출이 하나의 용기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용기를 개시(開示)하고 있으나, 인위적인 외력에 의한 상기한 포장 수단의 확실하고도 일정한 파손을 담보하기 곤란하며 특히 용기 내에서 2종 이상의 내용물이 완전 혼합되어야 하므로 크림 타입의 내용물에는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199,207호(2000.07.29. 등록)는 튜브용기의 하단부가 열융착 되고 튜브용기 내에는 두 부분의 구획 공간부를 형성하고, 구획 공간부의는 인출구 일단에 A 및 B의 염모제 인출구를 형성하되, 그 둘레부에 나사 형성 뚜껑이 체결되는 염모제 튜브용기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 튜브 용기는 2가지 성분을 격벽으로 구획된 하나의 이중 용기 내에 수용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나사 캡으로 체결한다는 점에서 사용 편의성이 열등할 뿐만 아니라 나사 캡의 회전에 의해 양 성분이 캡 내부에서 혼합되어 화학적 반응을 초래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정 비율로의 2성분 제제의 취출이 가능하여 2성분 제제의 정량 혼합이 용이하면서도, 개폐 조작이 용이하여 높은 사용 편의성을 가지며, 간단한 용기 구조로 인하여 높은 경제성 및 제작 용이성을 가지는 이중격실 튜브용기의 개발이 당업계에 요청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염색약과 같이 제 1 제와 제 2 제로 분리 보관되고 사용을 위해서는 등량 취출과 동시에 나선형 돌기 또는 홈 형태의 나사산에 의해 용이하게 완벽히 혼합된 상태로 사용되는 형태의 2성분 제제를 효과적으로 보관하고 사용하기 위한 이중격실 튜브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개폐 조작이 용이하여 높은 사용 편의성을 가지는 이중격실 튜브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간단한 용기 구조로 인하여 높은 경제성 및 제작 용이성을 가지는 이중격실 튜브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제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는, 하부 격벽에 의해 제 1 격실과 제 2 격실로 나뉘어지고 하단부는 씰링부를 형성하는 튜브용기의 그 상단 외주연부에 상부 격벽을 가지는 쇼올더가 융착되며, 상기 하부 격벽의 상단면은 상기 상부 격벽의 하단면과 이어지며 상기 쇼울더는 상기 상부 격벽에 의해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쇼울더에 조립되며,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와 연통되는 토출공이 형성되는 환형결착부를 갖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환형결착부의 내주연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 격벽의 상단면과 이어지며, 상기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와 상기 토출공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형성하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되는 원통상의 연결 부재와; 상기 원통상의 연결 부재의 상기 홀내로 체결되며, 중앙에 상기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와 상기 토출공을 연결하는 연결통로인 다각(多角) 교차로 홀이 상하로 형성되는 연결 통로 부재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토출공을 개폐하는 돌기부가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뚜껑으로 형성되는 플립 캡(flip cap)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교차로 홀의 내주연으로는 나선형 돌기 또는 나선형 홈 형태의 나사산이 상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차로 홀은, 상기 환형 결착부의 걸림턱에 의해 에워싸는 원형 영역에 대응되는 최종 돌출구로서의 중앙 원형홀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원형홀로부터 다각형의 변을 향하는 다수개의 방사홀로 상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 원형홀은 그 상단이 상기 환형 결착부의 걸림턱에 의해 에워싸는 원형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토출공과 연통되는 최종 돌출구이고, 상기 다수개의 방사홀은 그 상단부가 상기 환형 결착부의 걸림턱에 의해 막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 및 교차로 홀의 형태는 삼각,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마름모, 또는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는 염색약과 같이 제 1 제와 제 2 제로 분리 보관되고 사용을 위해서는 등량 취출하여 혼합된 상태로 사용되는 형태의 2성분 제제를 이중격실 내에 효과적으로 분리 보관함과 아울러, 2성분 제제를 소정의 일정한 비율로 취출과 함께 용이하면서도 완벽한 혼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개폐 조작이 용이하여 높은 사용 편의성을 가지며, 튜브용기는 높은 생산성을 가지는 압출성형으로 제작하고 플립 캡과 쇼올더는 별도로 사출 성형한 후 열융착에 의해 간단히 접합 가능하므로 높은 생산성 및 제작 용이성을 가지며 간단한 용기 구조로 인하여 경제성이 높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원통상(圓筒狀)의 연결 부재와 연결 통로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원터치 캡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1)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원통상(圓筒狀)의 연결 부재와 연결 통로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의 원터치 캡(30)의 사시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면, 그 주요 구성은 하부 격벽(13)에 의해 제 1 격실(11)과 제 2 격실(12)로 나뉘어지는 튜브용기(18)의 상단 외주연부에 상부 격벽(17)을 가지는 쇼올더(15)가 융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쇼올더(15)에 조립되며,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토출공(32)이 형성된 환형 결착부(33)를 갖는 캡 본체(31)와; 상기 캡 본체(31)의 환형 결착부(33)의 내주연에서 연결 통로를 갖도록 중앙에 홀(41)이 형성되는 원통상의 연결 부재(40)와; 상기 원통상의 연결 부재(40)의 상기 홀(41) 내로 압입 방식으로 체결되며, 중앙에 상기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와 상기 토출공을 연결하는 연결통로인 교차로 홀이 상하로 형성되는 연결 통로 부재(50)와; 상기 캡 본체(31)에 힌지(35)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토출공(32)을 개폐하는 돌기부(34a)가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뚜껑(34)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캡 본체(31)와 뚜껑(34)을 합쳐서 원터치 캡(30)이 된다.
또한, 상기한 튜브용기(18)의 하단부는 고주파 열융착 등과 같은 적절한 공지의 수단에 의해 씰링부(14)를 형성하며, 튜브용기(18) 내의 상기한 하부 격벽(13)의 상단면은 상기한 상부 격벽(17)의 하단면과 접합되어 이어지며, 상기 쇼올더(15)는 상부 격벽(17)에 의해 제 1 개구(16a) 및 제 2 개구(16b)를 형성한다.
한편, 캡 본체(31)의 중앙에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 1 개구(16a) 및 제 2 개구(16b)와 연통되는 토출공(32)이 형성되는 환형 결착부(3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환형 결착부(33)의 내주연에 상기 제 1 개구(16a) 및 제 2 개구(16b)와 상기 토출공(32)을 연결하는 연결 통로를 갖도록 중앙에 홀(41)이 형성된 중공(中空)의 원통상(圓筒狀)의 연결 부재(40)가 설치된다. 즉, 중공(中空)의 원통상(圓筒狀)의 연결 부재(40)의 상측은 상기 환형 결착부(33)의 걸림턱(33a)에 걸려 압입 고정결합된다.
또한, 상기 원통상의 연결 부재(40)의 상기 홀(41)내로 체결되며, 중앙에 상기 제 1 개구(16a) 및 제 2 개구(16b)와 상기 토출공(32)을 연결하는 연결통로인 교차로 홀(51)이 형성된 연결 통로 부재(50)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홀(41)이 삼각형상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마름모, 또는 사다리꼴 형태 등의 다양한 다각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차로 홀(51)도 다양한 형태의 다각 교차로 홀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원통상(圓筒狀)의 연결 부재(40)와 연결 통로 부재(50)가 강제 압입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일체형으로 동시 사출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연결 통로 부재(50)를 상세히 설명하며, 중공 형상의 삼각통형으로서, 하측면으로는 쇼올더(15)의 제 1 개구(16a) 및 제 2 개구(16b)와 연통되는 상기 교차로 홀(51)이 상하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교차로 홀(51)은 환형 결착부(33)의 걸림턱(33a)에 의해 에워싸는 원형 영역에 대응되는 최종 돌출구로서의 중앙 원형홀(52)이 형성되고,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중앙 원형홀(52)로부터 삼각형의 세변을 향하는 3개의 방사홀(5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중앙 원형홀(52)은 그 상단이 환형 결착부(33)의 걸림턱(33a)에 의해 에워싸는 원형 영역에 대응하여 토출공(32)과 연통되는 최종 돌출구이고, 상기 방사홀(53)은 그 상단부는 상기 환형 결착부(33)의 걸림턱(33a)에 의해 막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교차로 홀(51)의 내주연으로는 나사산(54)(나선형 돌기 또는 홈의 모양)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 통로 부재(50)의 교차로 홀(51)의 내주연에 상하로 형성된 나사산(54)(나선형 돌기 또는 홈의 모양)이 구비되고, 방사홀(53) 및 최종 토출구로서의 좁아진 형태의 중앙 원형홀(5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크림 타입 또는 젤 타입의 제 1 제 및 제 2 제가 상호 트위스트(twist)상으로 좁아진 공간으로 혼합 및 배출이 이루어져 보다 혼합 및 취출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쇼올더(15)의 상부 격벽(17)의 하단부에는 홈(17a)을 형성하여 하부 격벽(13)의 상단부를 삽지(揷止)한 상태에서 열융착 등과 같은 적절한 공지의 접합 수단에 의해 융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원터치 캡(30)의 뚜껑(34)의 중앙 하단부에는 상기 토출공(32)의 외주연 경사면과 그 내주연이 당접(堂接)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환형 림(34b)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한 토출공(32)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해당 위치에 돌기부(34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돌기부(34a)는 그 단부가 반구형인 원통상 형태이나,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외주 경사면을 가지는 원뿔 형태일 수도 있으며, 본 고안에 있어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토출공(32)을 갖는 토출부(도면 번호 미부여)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으나, 평면 형태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환형 림(34b) 및/또는 돌기부(34a)는 플립 캡(34)과 같은 동일한 소재,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보다 확실한 기밀(氣密) 유지를 위하여 이 부분은 이중 사출에 의한 실리콘 러버와 같은 엘라스토머(elastomer)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단부가 반구형인 원통상 형태로 할 수도 있으나 전체적으로 상협하광의 외주 경사면을 가지는 대체적으로 원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한편, 튜브용기(16) 및 하부 격벽(13)은 가요성(可橈性: flexible)소재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로 제작될 수 있지만, 알루미늄 적층 복합 수지재 또는 알루미늄 박막재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원터치 캡(30)의 캡 본체(31)의 전면 상단부와 뚜껑의 전면 하단부에는 각각 플립 홈(31b) 및 (34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손가락을 가볍게 튕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뚜껑(34)을 간단하고도 편리하게 열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튜브용기(18)를 손으로 가볍게 눌러 짜주게 되면 제 1 격실(11) 및 제 2 격실(12) 내에 충진되어 있는 제 1 제(21) 및 제 2 제(22)는 각각 쇼올더(15)의 제 1 개구(16a) 및 제 2 개구(16b)를 통과한 다음, 나사산(54)이 형성된 교차로 홀(51)의 중앙 원형홀(52) 및 방사홀(53)내에서 크림 타입 또는 젤 타입의 제 1 제 및 제 2 제가 상호 트위스트(twist)상으로 꽈배기 형태로 혼합되어 최종 토출구로서의 중앙 원형홀(52)의 상단을 통해 토출공(32)으로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1c는 뚜껑 안착 턱이다.
이상, 본 고안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10: 본체
11: 제 1 격실 12: 제 2 격실
13: 하부 격벽 14: 씰링부
15: 쇼올더
16a: 제 1 개구 16b: 제 2 개구
17: 상부 격벽
17a,17b: 홈 18: 튜브용기
21: 제 1 제 22: 제 2 제
30: 원터치(one-touch) 캡
31: 캡 본체 31a: 뚜껑 재치부(載置部)
31b: 플립 홈 32: 토출공
33: 환형 결착부
34: 뚜껑 34a: 돌기부
34b: 환형 림 34c: 플립 홈
35: 힌지(hinge)
40: 원통상(圓筒狀)의 연결 부재 41: 홀
50: 연결 통로 부재
51: 교차로 홀 52: 중앙 원형홀
53: 방사홀 54: 나선형 돌기 또는 홈 형태의 나사산

Claims (5)

  1. 하부 격벽에 의해 제 1 격실과 제 2 격실로 나뉘어지고 하단부는 씰링부를 형성하는 튜브용기의 그 상단 외주연부에 상부 격벽을 가지는 쇼올더가 융착되며, 상기 하부 격벽의 상단면은 상기 상부 격벽의 하단면과 이어지며 상기 쇼울더는 상기 상부 격벽에 의해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쇼울더에 조립되며,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와 연통된 토출공이 형성되는 환형결착부를 갖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환형결착부의 내주연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 격벽의 상단면과 이어지며, 상기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와 상기 토출공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형성하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된 원통상의 연결 부재와,
    상기 원통상의 연결 부재의 상기 홀 내로 체결되며, 중앙에 상기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와 상기 토출공을 연결하는 연결통로인 교차로 홀이 형성된 연결 통로 부재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토출공을 개폐하는 돌기부가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뚜껑으로 형성되는 플립 캡(flip cap)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로 홀의 내주연으로는 나선형 돌기 또는 나선형 홈 형태의 나사산이 상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로 홀은, 상기 환형 결착부의 걸림턱에 의해 에워싸는 원형 영역에 대응되는 최종 돌출구로서의 중앙 원형홀과 상기 중앙 원형홀로부터 연장되는 다수개의 방사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원형홀은 그 상단이 상기 환형 결착부의 걸림턱에 의해 에워싸는 원형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토출공과 연통되는 최종 돌출구이고, 상기 다수개의 방사홀은 그 상단부가 상기 환형 결착부의 걸림턱에 의해 막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및 교차로 홀의 형태가 삼각,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마름모, 또는 사다리꼴의 다각(多角)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KR2020110001230U 2011-02-14 2011-02-14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KR200467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30U KR200467242Y1 (ko) 2011-02-14 2011-02-14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30U KR200467242Y1 (ko) 2011-02-14 2011-02-14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06U KR20120005906U (ko) 2012-08-22
KR200467242Y1 true KR200467242Y1 (ko) 2013-06-03

Family

ID=5138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230U KR200467242Y1 (ko) 2011-02-14 2011-02-14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24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904B1 (ko) 2010-08-18 2012-07-13 최복윤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904B1 (ko) 2010-08-18 2012-07-13 최복윤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06U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258B1 (ko)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11148854B2 (en) Dispenser and process
US7637679B2 (en) Dispenser and process
KR101226964B1 (ko) 크림 및 젤 타입 염모제 튜브 용기
US6460546B1 (en) Cartridge for hair dye dispenser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1165904B1 (ko)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TWI611777B (zh) 包含具有顏料容納空間之塗抹部件之唇部彩妝容器
WO2008021641A2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hair color
JP2002154587A (ja) 即席混合されるべき二つの製品を分離して収容し、同時に分配するための装置
US6976495B2 (en) Cosmetic applicator and storage container
US7217052B2 (en) Applicator for applying an oxidative hair dye and method of repeatedly dyeing individual hair strands uniformly or non-uniformly with same
KR200441218Y1 (ko) 모발염색용 도포기
KR200467242Y1 (ko)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US20060283726A1 (en) Hair colorant applicator
KR200489731Y1 (ko) 이종 내장체 토출용 동심 노즐을 구비한 이중용기
KR20200129228A (ko)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KR101886139B1 (ko) 색상 혼합이 용이한 매니큐어 용기
KR200466740Y1 (ko) 염모제 용기
JP2002179118A (ja) 毛髪梳き具付き二液混合注出容器
KR101619948B1 (ko) 2줄 튜브형 저장용기
KR102009607B1 (ko)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US20240023687A1 (en) Modular Multi-Chamber Fluid Dispenser
KR200371123Y1 (ko) 구획된 내부를 갖는 튜브
KR101918474B1 (ko) 내용물 혼합이 가능한 염색용기
KR200162606Y1 (ko) 색소 재료가 들어있는 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