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915Y1 -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915Y1
KR200466915Y1 KR2020120011507U KR20120011507U KR200466915Y1 KR 200466915 Y1 KR200466915 Y1 KR 200466915Y1 KR 2020120011507 U KR2020120011507 U KR 2020120011507U KR 20120011507 U KR20120011507 U KR 20120011507U KR 200466915 Y1 KR200466915 Y1 KR 200466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vinyl
socket
vinyl hou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남
Original Assignee
박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남 filed Critical 박길남
Priority to KR2020120011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9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9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를 구성하는 파이프에 보다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서로 연결되는 단부를 서로 끼워 연결하되 결합된 단부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비닐이 걸려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Fixing pad for vinyl hou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를 구성하는 파이프에 보다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고안은 서로 연결되는 단부를 서로 끼워 연결하되 결합된 단부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비닐이 걸려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의 속성재배나 동절기 재배를 위한 보온 시설로 비닐하우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그 규모에 따라 다르나 다수의 종횡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골조를 형성하고 그 골조 위에 비닐 필름을 덮어 구성된다.
이러한 비닐하우스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내지 4가 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의 일예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조(200)의 양측 외부에 비닐고정용 패드(100)를 설치하고 이 패드에 형성된 홈에 지그재그(zigzag)로 형성된 스프링을 이용하여 비닐필름을 고정시킨다.
즉,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긴 패드(100)의 홈에 비닐필름을 끼워 넣은 후 스프링을 끼워 비닐필름이 패드의 홈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여 비닐필름이 패드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패드는 통상적으로 6m 내외의 길이를 갖고, 하우스의 총 길이는 70내지 100m로 길게 설치되므로 여러 개의 패드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패드를 연결하는 방법의 일예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패드(100)들의 홈 내부에 커넥터(100c)를 끼운 후, 커넥터(100c)와 패드(100)를 관통하여 나사를 조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두 패드를 연결하는 방법은 일일이 커넥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연결부재를 구입하여야 하므로 농가에 많은 시각과 비용을 부담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패드 연결구조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개량된 패드 연결 구조는 패드의 일측 단부를 확장시켜 소켓부(100s)를 형성한 것이다. 즉, 패드(100)의 일측 단부을 확장시켜 그 내부에 다른 단부의 협폭부(100d)를 끼워 서로 결합한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패드 연결 구조는 소켓부(100s)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협폭부(100d)가 끼워지기에 충분한 폭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높이(Ts)가 낮아져 소켓부의 높이(Td)보다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소켓부의 높이(Ts)가 낮아질 경우 도 12 도시한 바와 같이 협폭부의 단부(100w)가 소켓부로부터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이렇게 노출되는 단부(100w)는 날카로워 비닐을 덮는 과정에서 비닐이 걸려 찢어지게 되며, 찢어진 부분은 비닐이 찢어지는 시발점이 되어 약한 바람 등에 의해서로 쉽게 비닐이 찢어져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67960호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67960호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017303호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0372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서로 연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결 부분에 비닐 등이 걸리지 않게 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패드의 단부에 형성된 소켓부에 끼워지는 다른 단부가 가려질 수 있도록 단부가림돌부를 형성하여 소켓부에 끼워진 패드의 단부가 돌출되지 않게 하여 외부의 옷깃이나 비닐필름이 걸리지 않게 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소켓부에 끼워지는 패드의 내부가 내면과 동일 평면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패드의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비닐이 돌출되는 부분에 의해 긁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골조의 외부에 설치되고 비닐필름이 고정되는 홈이 형성된 비닐 고정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일측 단부에는 다른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소켓부가 형성되되. 소켓부에는 패드의 다른 단부의 단부모서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가리는 단부가림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소켓부의 내부에 끼워진 단부가 소켓부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어 홈의 내부에 끼워지는 비닐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드의 협폭부의 내측에는 단부에 경사부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패드의 단부에 형성된 소켓부에 단부가림부를 형성하여 소켓부에 끼워지는 패드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여 돌출된 단부에 의해 비닐필름이나 작업자의 옷깃이 걸려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소켓부에 끼워지는 패드의 내부의 내면을 누르거나 두드려 안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게 함으로써 패드의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비닐이 돌출되는 부분에 의해 긁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의 연결 부분의 일예를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가 서로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가 연결되기 전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가 연결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가 연결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의 다른 일예의 연결 부분의 조립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의 일예의 사진
도 8은 통상의 비닐하우스를 구성하는 뼈대의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패드 연결부분의 일예의 조립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패드 연결부분의 다른 일예의 조립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패드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패드가 연결된 상태의 측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비닐 고정용 패드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비닐필름이나 작업자의 옷깃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연결부가 형성된 패드(100)에 관한 것으로서, 패드의 협폭부가 끼워지는 소켓부(100s)에 단부가림부(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패드(100)는 통상의 비닐하우스에서 비닐필름을 고정시키는 패드와 같이 길이가 6m 정도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 단부를 확장하여 소켓부(100s)가 형성되어 있다. 즉, 종단면이 "
Figure 112012101795505-utm00001
"자 형상을 이루는 긴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패드(100)는 두께가 얇은(0.5내지 1.5mm 정도) 판을 절곡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개방부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원형으로 말아 보강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100s)는 다른 단부 즉, 변형시키지 않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협폭부(100d)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 단부를 확장시켜 만들어지며, 이렇게 소켓부(100s)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소켓부(100s)가 확장됨에 따라 소켓부(100s)의 폭은 넓어지되, 높이(또는 두께)(Ts)가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소켓부(100s)의 높이가 낮아지면 소켓부(100s)에 끼워지는 협폭부(100d)의 단부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부(100s)의 개방된 부분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비닐필름이나 작업자의 옷깃이 단부에 걸려 찢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소켓부(100s)에 끼워진 단부모서리(100w)가 소켓부(100s)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가릴 수 있도록 상기한 단부가림부(1)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단부가림부(1)는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부(100s)의 양 측벽의 일부를 변형시켜 높이(Ts)를 높게 형성한 것으로 소켓부(100s)에 끼워진 협폭부(100d)의 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부가림부(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완만한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비닐필름이나 작업자의 옷깃이 스쳐도 걸리지 않아 비닐필름이나 옷깃이 걸려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100)은 일측 단부는 확장시켜 상기 소켓부(100s)를 형성하고, 타측단부는 축소시켜 협폭부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렇게 양단을 모두 형성하면 작업성이 떨어져 제작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소켓부(100s)만을 확장시키고 다른 부분은 협폭인 상태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는 협폭부(100d)라는 표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실제로 변형시키지 않은 패드 자체의 폭과 높이를 갖는 부분이다.
또한, 본 고안은 협폭부(100d)의 단부의 안쪽에 경사부(2)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100)의 개구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보강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보강부는 다른 부분보다 굵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켓부(100s)에 협폭부(100d)가 끼워졌을 때 소켓부(100s)의 내벽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되는 단부는 금속판의 단부와 같이 날카로워 패드의 홈에 비닐이 끼워졌을 때 이 돌출된 부분이 비닐필름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협폭부(100d)의 단부 내측을 누르거나 두드려 경사부(2)를 형성하여 협폭부(100d)의 내측 단부가 소켓부(100s)의 내벽의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1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곡된 보강주름(3)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주름(3)은 고정용 패드가 측방으로 굽혀지지 않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부(100s)를 형성할 때 폭 방향으로 넓히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보강주름(3)이 없을 경우에는 소켓부(100s)를 형성하기 위해 소켓부(100s)를 넓히면 소켓부(100s)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으나, 보강주름(3)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 주름의 일부가 펼쳐짐에 의해 소켓부(100s)의 폭이 넓어져 소켓부 자체의 두께는 얇아지지 않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100)의 샘플 사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협폭부(100d)의 단부의 단부모서리(100w)가 단부가림부(1)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단부가림부(100w)에 비닐필름이나 옷깃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1: 단부가림부
2: 경사부
3: 보강주름
100: 패드
100s: 소켓부
100d: 협폭부
100w: 단부모서리

Claims (3)

  1. 비닐하우스의 골조(200)의 외부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양 가장자리의 안쪽에 길이 방향으로 비닐필름이 고정되는 홈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양 가장자리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원형으로 말아 보강부(110)를 형성한 비닐 고정용 패드(100)에 있어서,
    상기 패드(100)의 일측 단부에는 다른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소켓부(100s)가 형성되되,
    상기 소켓부(100s)의 협폭부와 이어지는 안쪽 단부에는 다른 양 가장자리보다 돌출되어 패드의 다른 단부의 단부모서리(100w)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가려 비닐필름이나 작업자의 옷깃이 스쳐도 걸리지 않아 비닐필름이나 옷깃이 걸려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호형상으로 단부가림부(1)가 더 형성되고,
    상기 패드(100)의 협폭부(100d)의 내측에는 단부가 소켓부(100s)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경사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드(100)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곡된 보강주름(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
  2. 삭제
  3. 삭제
KR2020120011507U 2012-12-07 2012-12-07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 KR200466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507U KR200466915Y1 (ko) 2012-12-07 2012-12-07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507U KR200466915Y1 (ko) 2012-12-07 2012-12-07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915Y1 true KR200466915Y1 (ko) 2013-05-13

Family

ID=5371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507U KR200466915Y1 (ko) 2012-12-07 2012-12-07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9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69B1 (ko) * 2013-08-22 2014-02-10 김길수 비닐하우스용 비닐의 고정패드의 구조
KR102461638B1 (ko) * 2021-06-28 2022-11-18 한호진 비닐하우스 패드의 연결부 성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194Y1 (ko) * 2004-05-12 2004-08-21 조찬행 비닐하우스용 비닐패드
KR200402845Y1 (ko) * 2005-09-29 2005-12-06 김용태 비닐하우스의 비닐 고정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194Y1 (ko) * 2004-05-12 2004-08-21 조찬행 비닐하우스용 비닐패드
KR200402845Y1 (ko) * 2005-09-29 2005-12-06 김용태 비닐하우스의 비닐 고정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69B1 (ko) * 2013-08-22 2014-02-10 김길수 비닐하우스용 비닐의 고정패드의 구조
KR102461638B1 (ko) * 2021-06-28 2022-11-18 한호진 비닐하우스 패드의 연결부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915Y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용 패드
CA2692365A1 (en) Device for connecting prefabricated concrete sections
JP2017021186A5 (ja) フレーム、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フレームの締結方法
US20060096234A1 (en) Roofing clip for metal roofing
US20120231201A1 (en) Profile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file element
JP6247046B2 (ja) 温室及び温室用骨組み材
JP3138583U7 (ko)
KR20120006314A (ko) 티바와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KR101430366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KR20120002046U (ko) 꼬리 고정부를 구비하는 수평인출방식의 케이블타이
WO2008073837A3 (en) Rectangular/ square spiral ducting systems with flange connecto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TWI633040B (zh) 安全鋼扣結構
US9097010B2 (en) Device for securing one face wall mesh to vertical rebar and standard concrete forms
CN105284017B (zh) 连接器
JP4096789B2 (ja) 天井枠
CN205414015U (zh) 新型电线镀锌铁管折弯结构
JP2009542270A5 (ko)
KR102360533B1 (ko) 보일러 튜브 프로텍터
CN203798858U (zh) 紧固电线电表箱
US6471270B1 (en) Insulation installing tool
CN206257125U (zh) 一种清洁工具杆接头结构
KR101035640B1 (ko) 관체의 교차부위 고정장치
KR102058474B1 (ko) 공동건물의 에어덕트 시공을 위한 슬리브에 슬리브캡의 결속장치
JP4096788B2 (ja) 天井枠
JP5253837B2 (ja) 格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