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830Y1 - 일체형 전기방석 - Google Patents

일체형 전기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830Y1
KR200466830Y1 KR2020110011637U KR20110011637U KR200466830Y1 KR 200466830 Y1 KR200466830 Y1 KR 200466830Y1 KR 2020110011637 U KR2020110011637 U KR 2020110011637U KR 20110011637 U KR20110011637 U KR 20110011637U KR 200466830 Y1 KR200466830 Y1 KR 200466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electric cushion
chair
coupling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선
Original Assignee
조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선 filed Critical 조남선
Priority to KR2020110011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8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 부분과 앉는 부분을 동시에 덮을 수 있는 일체형 전기방석으로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결합띠를 구비하여 의자에 어떠한 형태로든지 자유자재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착용감과 안전성이 강화된 일체형 전기방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전기방석은 의자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를 동시에 덮을 수 있도록 세로 대비 가로의 길이가 2배이상인 일체형 전기방석으로서,
상기 전기방석은 전기방석을 의자에 고정시키기 위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결합띠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띠는 내부에 전기방석이 삽입되어 전기방석을 세로 방향으로 둘러감싸면서 전기방석과 결합하는 삽입부;
상기 결합띠를 상기 의자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의 양단에 연결된 형태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양단에 부착된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띠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은 의자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으면서도 하나의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고, 또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결합띠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어떠한 종류 또는 크기의 의자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전기방석{Unified heating pad}
본 고안은 전기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 부분과 앉는 부분을 동시에 덮을 수 있는 일체형 전기방석으로서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로운 결합띠를 구비하여 어떠한 종류의 의자에도 어떠한 형태로든지 자유자재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착용감과 안전성이 강화된 일체형 전기방석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기방석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방석은 의자의 앉는 부분에 설치되어, 지극히 국부적인 온열작용만을 수행하게 되므로 빠른 보온 및 온열 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엉덩이 이외의 다른 부분까지 따뜻하게 하고 싶은 사용자의 요구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도 2와 같이 의자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 부분을 동시에 따뜻하게 할 수 있도록 의자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 부분이 연결밴드(19)에 의해 연결된 형태의 전기방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방석은 수직으로 설치된 등받이 부분으로 인하여 이를 의자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어서 전기방석을 의자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수단(18)을 구비하게 되었다.
문제는 이러한 결합수단(18)이 전기방석의 가장자리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의자의 형태에 따라 결합수단의 위치를 변경하고 싶어도 변경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방석은 의자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 부분이 연결밴드(19)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전기방석의 가장자리에는 의자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18)이 고정된 형태로 제작되어서, 의자용 전기방석이외의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고, 나아가 의자에서의 설치위치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 부분과 앉는 부분을 동시에 덮을 수 있는 일체형 전기방석으로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결합띠를 구비하여 의자에 어떠한 형태로든지 자유자재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착용감과 안전성이 강화된 일체형 전기방석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전기방석은 의자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를 동시에 덮을 수 있도록 세로 대비 가로의 길이가 2배이상인 일체형 전기방석으로서,
상기 전기방석은 전기방석을 의자에 고정시키기 위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결합띠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띠는 내부에 전기방석이 삽입되어 전기방석을 세로 방향으로 둘러감싸면서 전기방석과 결합하는 삽입부;
상기 결합띠를 상기 의자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의 양단에 연결된 형태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양단에 부착된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띠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전기방석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함몰부는 상기 결합띠의 폭과 일치하는 폭을 가지고, 함몰부의 깊이는 결합띠의 두께와 동일하다.
전기방석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함몰부와 돌출부가 반복되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으며, 함몰부는 결합부의 폭과 일치하는 폭을 가지고, 엠보싱의 높이는 결합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전기방석은
미끄럼방지를 위한 하부외피층,
상기 하부외피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1~2Cm의 두께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겹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겹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종이부직포,
상기 종이부직포의 상부에 위치하는 페딩,
상기 페딩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외피층, 및
발열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선은 전기방석의 가로 방향으로 폴리에스테르 겹면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되, 상기 가로 방향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전선은 폴리에스테르 겹면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은 의자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으면서도 하나의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고, 또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결합띠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어떠한 종류 또는 크기의 의자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전기방석의 앉는 부분에 전기방석의 대부분을 위치하게 설치할 수도 있고, 등받이 부분에 전기방석의 대부분이 위치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방석이 무릎부분까지 내려오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큰 의자든 작은 의자이든 자유자재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은 일인용 의자뿐아니라 벤치와 같이 2인용 의자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결합띠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는 바닥에 깔고 이를 소형 전기장판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은 결합띠에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전기방석의 표면에는 세로방향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의자에 완벽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은 발열선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어느 부분이 접히든지 전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전기방석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이 의자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의 결합띠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XX'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이 의자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
도 7은 세로방향으로 엠보싱이 형성된 전기방석의 사시도,
도 8은 도 5에서 Y부분을 확대하여 그 구성요소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서의 발열선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이 의자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200)은 의자(100)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를 동시에 덮을 수 있도록 세로 대비 가로의 길이가 2배이상인 전기방석으로서, 전기방석(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띠(3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다.
결합띠(300)는 전기방석(200)을 의자(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는 전기방석(200)의 일단에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완전히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제작된다. 도 4는 본 고안에서의 결합띠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의 결합띠(300)는 삽입부(310), 결합부(320) 및 결합수단(330)을 포함하고 있다.
삽입부(310)는 전기방석(200)이 삽입되어 결합띠(300)와 전기방석(200)을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이는 중앙으로 전기방석(200)이 삽입되면 전기방석(200)의 단면과 같은 형태가 된다. 삽입부(310)의 직경은 전기방석(200)이 삽입부(310)에 삽입되었을 경우에 전기방석(200)과 삽입부(310)가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전기방석(200)의 단면에서의 둘레의 길이와 삽입부(310)의 둘레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삽입부(310)의 둘레의 길이를 약간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320)는 삽입부(310)의 양단에 연결된 부분으로서, 이는 결합띠(300)를 의자(100)와 결합시켜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연장된 부분이다. 따라서 결합부(320)의 길이는 최소한 의자(100)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게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부에는 결합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부착될 수도 있다. 길이조절수단의 예시로서는 가방끈과 같은 어깨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결합수단(330)은 결합부(320)의 양단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결합수단(330)을 이용하여 결합부(320)의 양단이 서로 결합하게 된다. 결합수단(330)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시로서, 버클, 벨크로테이프, 단추, 단순한 매듭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전기방석(200)은 사람이 수시로 일어나고 앉는 의자(100)에 설치되므로, 사람의 이동에 의해 그 위치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의 결합띠(300)는 단순한 띠가 아니라, 그 결합시의 유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미끄럼방지수단은 결합띠(300)와 전기방석(200) 및 의자(100)와의 마찰력을 최대화시켜서 전기방석(200)이 일단 설치된 이후에는 그 유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그 예시로서 결합띠(300)의 표면에 오돌토돌하게 형성된 작은 돌기를 형성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만약 결합띠가 직물로 직조된 것이라면 직조과정에서 결합띠의 표면에 오돌토돌한 면이 형성되도록 직조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3에서 XX' 부분의 단면도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띠(300)의 삽입부(310)에 의해 전기방석(200)과 결합띠(300)가 결합하고, 결합띠(300)의 결합부(320)에 의해 결합띠(300)와 의자(100)가 결합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결합띠(300)를 매개로 전기방석(200)과 의자(100)가 완전히 결합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는 2개의 결합띠(300)를 사용하여 전기방석(200)이 의자(100)에 고정된 것을 도시하였는데, 도 6과 같이 전기방석(200)을 위로 올리거나 또는 등받이 부분이 큰 의자(100)에 사용하기 위하여 전기방석(200)을 위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결합띠(300)의 위치를 변경하면 된다. 도 3에서 화살표는 결합띠(300)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음을 표시한 것이다.
도 2와 같은 종래의 전기방석에서는 의자(100)에 결합시키는 수단이 전기방석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기방석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은 아무런 제한이 없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은 벤치와 같은 2인용 의자에 앉는 부분에만 설치된 전기방석으로도 사용하고, 이 경우에 결합띠는 각각 전기방석의 양단을 의자의 앉는 부분과 결합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은 종래의 전기방석에서는 의자에 결합시키는 수단(18)이 항상 전기방석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바닥에 깔고 사용할 경우에 결합수단때문에 불편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결합띠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로 바닥에 깔고 소형 매트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기방석은 사용자가 수시로 앉았다 일어나게 되는데,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은 단순히 의자의 앉는 부분만 덮는 것이 아니라, 의자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 부분을 동시에 덮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기방석이 의자의 하부방향으로 빠질 가능성이 많다.
또한 전기방석(200)에 결합띠(300)를 결합시키게 되면 그 결합띠가 걸려서 착석시 다소 불편하게 느낄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전기방석(200)의 상부외피층에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함몰부를 형성시킨다. 도 7은 세로방향으로 함몰부가 형성된 전기방석의 사시도이다. 여기서의 함몰부는 반드시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함몰부에 의해 전기방석(200)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출부(210)와 함몰부(220)가 존재하게 된다. 다만, 착석감을 고려하여 함몰부(220)와 돌출부(210)의 높이차이는 결합띠(300)의 두께 정도로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함몰부(220)의 폭은 결합띠(30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함몰부에 결합띠가 결합하면 거의 평면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몰부(220)에 결합띠(300)가 결합하면 함몰부에 의해 전기방석(200)은 그 유동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함몰부의 높이가 매우 작으므로 착석시 불편감이 전혀 없게 된다.
한편, 전기방석에 설치된 발열선은 사용자의 체중이 반복적으로 의자에 작용하면서 발열선의 변형 또는 절곡이 발생할 수 있는데, 나아가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방석(200)은 의자(100)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 부분을 동시에 덮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앉는 부분과 등받이 부분이 연결된 부분은 거의 직각으로 휘게 될 수 있어, 이 부분의 발열선은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안전방석은 의자의 크기, 형태 및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의자(100)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 부분을 균등하게 덮을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 6과 같이 등받기 부분을 많이 덮을 수 있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사용 중에도 그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의자(100)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 부분의 수직으로 꺽이는 부분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3에서는 A부분이 연결부분이었으나, 도 6에서는 B부분이 연결부분이 된다.
이에 수직으로 꺽이는 연결부분의 발열선이 과도한 스트레스로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많은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된 문제점으로부터 발열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기방석을 도 8과 같은 구조로 제작한다. 도 8은 전기방석의 부분단면분리도로서, 이는 도 5에서 Y부분을 확대하여 그 구성요소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의 전기방석(200)은 하부외피층(210), 폴리에스테르 겹면(220), 종이부직포(240), 페딩(250), 상부외피층(260) 및 발열선(230)을 포함하고 있다.
하부외피층(210)은 의자(100)에 접하는 부분으로서, 이는 전기방석(200)을 보호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은 하부외피층(2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는 폴리에스테르를 여러장 겹쳐서 그 두께가 1 내지 2Cm정도되게 한다.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의 두께가 얇으면 발열선(230)을 충분히 보호하기 어렵고, 두께가 두꺼우면 발열선(230)의 열이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어렵다.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에는 발열선(230)이 삽입되거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종이부직포(240)는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이는 전기방석(200)의 봉제시 상부외피층(260)이 늘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페딩(250)은 종이부직포(24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는 쿠션감을 주기도 하고, 아울러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의 표면에 노출된 전선부분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상부외피층(260)은 페당의 상부에 위치하는 최상층이며, 이는 극세사원단, 비닐, 천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세사원단을 사용한다.
본 고안에서의 발열선(230)은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는 본 고안의 의한 전기방석(200)은 어느 부분이든 수직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내부에 설치된 발열선(230)을 일반적인 전기방석(200)보다도 더욱 잘 보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열선(230)은 발열을 할 경우에는 팽창하나 발열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수 수축하게 되므로, 발열선(230) 전체를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의 내부에 전부 삽입시키면 발열선(230)이 제대로 수축과 팽창을 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발열선(230)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발열선(230)의 양 끝단은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의 상부로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의 상부로 노출된 발열선 부분은 발열선이 전기방석의 단면 중앙에서 상부방향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있게 되고, 아울러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더욱 많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발열선(230)이 폴리에스테르 겹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등받이 부분과 앉는 부분 사이의 접히는 부분(도 3에서 A, 도 6에서 B)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의 발열선(230)은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고안에서의 발열선(230)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열선(230)은 가로 방향으로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발열선(230)을 연결하는 세로방향의 발열선(230)은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로서 전기방석(200)의 접힐 수 있는 부분의 발열선(230)은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발열선(23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전기방석(200)의 제조방법은
먼저,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여러장 겹쳐서 두께가 1 내지 2Cm인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의 중간에 바늘과 같이 일단은 뽀족하고, 타단은 발열선(230)이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를 구비한 관통기구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의 내부로 발열선(230)을 삽입하여 발열선(230)이 삽입된 폴리에스테르 겹면(220)을 만든다.
마지막으로 하부외피층(210), 발열선(230)이 삽입된 폴리에스테르 겹면(220), 종이부직포(240), 페딩(250), 상부외피층(260)을 적층하고 가장자리를 봉제하여 완성한다.
100:의자
200:전기방석
300:결합띠
310:삽입부
320:결합부
330:결합수단

Claims (4)

  1. 의자의 앉는 부분과 등받이를 동시에 덮을 수 있도록 세로 대비 가로의 길이가 2배이상인 일체형 전기방석으로서,
    상기 전기방석은 전기방석을 의자에 고정시키기 위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결합띠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띠는
    전기방석이 삽입되어 전기방석을 세로 방향으로 둘러감싸면서 전기방석과 결합하는 삽입부;
    상기 결합띠를 상기 의자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의 양단에 연결된 형태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양단에 부착된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방석은
    미끄럼방지를 위한 하부외피층,
    상기 하부외피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1~2Cm의 두께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겹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겹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종이부직포,
    상기 종이부직포의 상부에 위치하는 페딩,
    상기 페딩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외피층, 및
    발열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선은 전기방석의 가로 방향으로 폴리에스테르 겹면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되, 상기 가로 방향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전선은 폴리에스테르 겹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기방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띠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기방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석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결합띠의 폭과 일치하는 폭을 가지고,
    상기 함몰부의 깊이는 결합띠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기방석.
  4. 삭제
KR2020110011637U 2011-12-28 2011-12-28 일체형 전기방석 KR200466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637U KR200466830Y1 (ko) 2011-12-28 2011-12-28 일체형 전기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637U KR200466830Y1 (ko) 2011-12-28 2011-12-28 일체형 전기방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830Y1 true KR200466830Y1 (ko) 2013-05-08

Family

ID=5367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637U KR200466830Y1 (ko) 2011-12-28 2011-12-28 일체형 전기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8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626A (ko) * 2019-01-15 2020-07-2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리콘복합발열체를 이용한 발열벤치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626A (ko) * 2019-01-15 2020-07-2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리콘복합발열체를 이용한 발열벤치덮개
KR102255243B1 (ko) * 2019-01-15 2021-05-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리콘복합발열체를 이용한 발열벤치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9551B2 (ja) マット、このマットに連結可能な枕及び寝袋、これらを連結した寝具
CN102497795A (zh) 座位功能护套
CN102595976B (zh) 装配有动态靠背的用于小孩的容纳结构
AU2008249011A1 (en) Carrying device
US3517963A (en) Chair insert with upholstered appearance
US6485100B1 (en) Outdoor chair cover
US8079099B1 (en) Wrap for convalescent use, particularly for wheelchairs
US20170238733A1 (en) Collapsible Pillow Mat
JP5508588B1 (ja) 敷き寝具
KR101842468B1 (ko) 소파 침대 겸용 매트리스
KR200466830Y1 (ko) 일체형 전기방석
KR101231233B1 (ko) 다용도 전기온열매트
US4892357A (en) Child's portable auxiliary seat cushion with upper body support ridge
JP2007330698A (ja) クッションを備えたマッサージ椅子
KR101318915B1 (ko) 다중 절첩 베개
CN211459661U (zh) 一种枕头
US20120244324A1 (en) Thermo-pressed cushioning support device
KR100517903B1 (ko) 다기능 유아용 포대기
TWI786014B (zh) 墊體組
JP4595163B2 (ja) ソファー用暖房器具
JP3077281U (ja) 椅子用座布団及び椅子用背凭れカバー
TWI271172B (en) Variational combination method of cushion
JP3213646U (ja) ミニクッション
JP3207444U (ja) マット
JPH05158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