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781Y1 -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 Google Patents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781Y1
KR200466781Y1 KR2020120002751U KR20120002751U KR200466781Y1 KR 200466781 Y1 KR200466781 Y1 KR 200466781Y1 KR 2020120002751 U KR2020120002751 U KR 2020120002751U KR 20120002751 U KR20120002751 U KR 20120002751U KR 200466781 Y1 KR200466781 Y1 KR 200466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vehicle
performance improving
insertion end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윤일
Original Assignee
고윤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윤일 filed Critical 고윤일
Priority to KR2020120002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통 형상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며, 원통 형상 내부로 스피커가 삽입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스피커 삽입단; 스피커 삽입단의 외측을 둘러싼 다각형 형태의 판 형상의 테두리로 형성되며, 상기 판 형상에는 다수의 공기 유통공이 형성되는 진동 접지부; 및 상기 진동 접지부와 맞닿은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 접지부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부터의 음향 진동을 전달받아, 공명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음향 접촉 마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Support for car audio speaker having enhanced audio performance structure}
본 고안은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피커 지지체 자체의 구조적 설계를 통해 음향 성능 및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용차 등의 차량은 다양한 카오디오(car audio)용 스피커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자인 탑승자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자세에서 좌우 2채널의 스테레오 재생을 듣기 때문에, 스피커는 계기패널 및 후방뿐만 아니라, 좌우의 전방 및 후방 도어에 함께 설치된다.
특히, 음향출력을 듣는 탑승자는 차량의 전방을 향한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대부분 좌우의 전방 및 후방 도어에 스피커를 설치하는 것은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해 필수적인 구조가 되고 있다.
그러나 좌우의 전방 및 후방 도어에는 유리를 수용하여야 하며, 컨트롤 패널을 구성하여야 하므로, 이용가능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특히 베이스 스피커(bass speaker)로 사용시 스피커에 의한 공명을 증대시켜 음압 데시벨을 높여 입체적 음향 구조를 형성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스피커에 의한 공명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조적 설계를 통해 스피커의 음압 데시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음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차량용 도어트림의 스피커그릴일체식 디포지트박스(특허츨원번호 제 10-1995-0062350호)
2. 차량용 스피커 어셈블리(SPEAKER ASSEMBLY FOR VEHICLE)(특허출원번호 제10-1996-0016168호)
3. 차량용 스피커 및 그 부착 구조(Speaker for vehicle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for)(특허출원번호 제10-2002-0070995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 지지체 자체의 단차를 이용해 스피커에 의한 공명을 위한 공간적 설계를 제공함으로써, 음향이 성능이 향상되어 전달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 도어 내부로 삽입되는 스피커 지지체 자체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 유통공과, 절삭단을 이용해 공명을 위한 공기 유통을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음압 데시벨을 높이고 음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우퍼 스피커일 경우 진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스피커 지지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음향 접촉 마진부에 대한 추가를 통해 스피커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진동을 확장시키도록 하기 위한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는, 원통 형상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며, 원통 형상 내부로 스피커가 삽입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스피커 삽입단; 스피커 삽입단의 외측을 둘러싼 다각형 형태의 판 형상의 테두리로 형성되며, 상기 판 형상에는 다수의 공기 유통공이 형성되는 진동 접지부; 및 상기 진동 접지부와 맞닿은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 접지부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부터의 음향 진동을 전달받아, 공명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음향 접촉 마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삽입단, 상기 진동 접지부 그리고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는, MDF 재질의 목질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목질 패널에 인쇄된 패턴을 삽입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삽입단은, 외측 삽입단과 내측 삽입단의 적층 구조를 갖으며, 상기 외측 삽입단과 상기 내측 삽입단 간에는 내주면 상에서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삽입단은, 상기 진동 접지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삽입단이 원통 형상의 중심방향으로 테두리가 상기 외측 삽입단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 삽입단은, 상기 외측 삽입단과 맞닿은 지점과 반대편 끝단에 원 형상의 테두리 상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삭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다각형 형상의 판 형상의 중앙부에 원통 형상의 상기 스피커 삽입단이 삽입되어 상기 내측 삽입단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돌출된 상기 내측 삽입단의 상부에는, 상기 외측 삽입단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와 맞닿는 지점의 반대편 끝단의 중앙에 제 1 공기 유통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다각형 형상의 판 형상에 상기 제 1 공기 유통공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만큼 정방향으로 회전한 지점의 테두리 상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절삭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제 1 공기 유통공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만큼 역방향으로 이동한 지점의 테두리 상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절삭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제 1 공기 유통공을 중심으로 역방항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만큼 이동된 지점에 형성된 상기 제 1 절삭단을 지난 지점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 2-1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제 1 공기 유통공을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만큼 이동된 지점에 형성된 상기 제 2 절삭단을 지난 지점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 2-2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와 맞닿은 곡선라인 부근에서 상기 진동 접지단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곡선라인의 일 측 끝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 3-1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와 맞닿은 곡선라인 부근에서 상기 진동 접지단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곡선라인의 다른 측 끝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 3-2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는, 상기 진동 접지부와 맞닿은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판 형상에 있어서 제 1 곡률(R1)을 갖는 곡선과 제 2 곡률(R2)을 갖는 곡선이 연결된 뒤, 상기 연결된 곡선이 대칭되게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률(R1)이 상기 제 2 곡률(R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는, 상기 진동 접지부과 맞닿은 상기 곡선라인 부근에서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 상에서 상기 곡선라인의 일 측 끝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 4-1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는, 상기 진동 접지부과 맞닿은 상기 곡선라인 부근에서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 상에서 상기 곡선라인의 다른 측 끝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 4-2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는, 상기 진동 접지부와 맞닿는 곡선라인과 반대되는 방향의 끝단의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의 평면상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 5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8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을 통해 볼트로 상기 진동 접지부와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다각형 형상의 판 형상의 중앙부에 원통 형상의 상기 스피커 삽입단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삽입단은, 원통형을 구성하는 양측 최상단 테두리 상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삭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는, 스피커 지지체 자체의 단차를 이용해 스피커에 의한 공명을 위한 공간적 설계를 제공함으로써, 음향 성능이 향상되어 전달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는, 차량 도어 내부로 삽입되는 스피커 지지체 자체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 유통공과, 절삭단을 이용해 공명을 위한 공기 유통을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음압 데시벨을 높이고 음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우퍼 스피커일 경우 진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는, 스피커 지지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음향 접촉 마진부에 대한 추가를 통해 스피커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진동을 확장시켜 음향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의 좌측면도(a) 및 우측면도(b)이다.
도 5는 도 1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의 평면도(a) 및 저면도(b)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로 스피커가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로 스피커가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의 좌측면도(a) 및 우측면도(b)이다. 도 5는 도 1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의 평면도(a) 및 저면도(b)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로 스피커가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는 스피커 삽입단(10), 진동 접지부(20), 그리고 음향 접촉 마진부(30)를 포함하며, 각각이 MDF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DF와 같은 목질 패널을 이용함으로써, 목질 패널 표면에 패턴이 인쇄 뒤, 스피커 삽입단(10), 그리고 진동 접지부(20)와 음향 접촉 마진부(30)가 결합된 상태로 잘라서 각각 형성한 뒤, 스피커 삽입단(10)을 진동 접지부(20)와 음향 접촉 마진부(30)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부착하여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DF 소재의 패널 표면에 패턴 인쇄가 간편하여 차량 내부에 삽입시에도 차량과 매칭시켜 특유의 브랜드를 나타내는 인쇄를 통해 브랜드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스피커 삽입단(10)은 진동 접지부(20)의 중앙에 원통 형상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며, 원통 형상 내부로 스피커(40)가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스피커 삽입단(10)은 외측 삽입단(11)과 내측 삽입단(12)의 적층 구조를 갖으며, 외측 삽입단(11)과 내측 삽입단(12) 간에는 내주면에 있어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즉, 외측 삽입단(11)과 내측 삽입단(12)의 외주면은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나, 내주면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가 형성되어 내측 삽입단(12)이 원통 형상의 중심방향으로 테두리가 외측 삽입단(11)에 비해 두껍게 형성된다. 한편, 내측 삽입단(12)에서 외측 삽입단(11)과 맞닿은 지점과 반대편 끝단에는 원통 형상의 테두리 상에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삭된 경사면(12a) 형성되어 있다.
진동 접지부(20)는 내측 삽입단(12)에서 외측 삽입단(11)과 맞닿은 지점과 반대편 끝단에 내측 삽입단(12)의 외측을 둘러싼 다각형 형태의 판 형상의 테두리로 형성되며, 해당 판 형상에는 제 1 공기 유통공(21), 제 2 공기 유통부(22), 그리고 제 3 공기 유통부(23)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진동 접지부(20)는 다각형 형상의 판 형상의 중앙부에 원통 형상의 스피커 삽입단(10)이 삽입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 1 절삭단(24a)과 제 2 절삭단(24b)이 제 1 공기 유통공(21)을 중심으로 양측에 절삭되어 형성된다.
제 1 절삭단(24a)과 제 2 절삭단(24b)으로 이루어진 절삭부(24)는 도어 트림에 부착시 공기가 스피커(40) 뒷편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스피커(40)의 떨림이 용이하게 되어 음향의 재생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한편, 제 1 공기 유통공(21)은 진동 접지부(20) 상에서 진동 접지부(20)와 음향 접촉 마진부(20)가 맞닿는 반대편 끝단의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된다.
제 2 공기 유통부(22)는 제 2-1 공기 유통공(22a)와 제 2-2 공기 유통공(20b)을 포함한다.
제 2-1 공기 유통공(22a)은 제 1 공기 유통공(21)을 중심으로 역방항(F1,도 2 상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만큼 이동하여 진동 접지부(20)의 테두리 상에 형성된 제 1 절삭단(24a)을 지난 지점 부근에 통공되어 형성된다.
제 2-2 공기 유통공(22b)은 제 1 공기 유통공(21)을 중심으로 정방향(F2, 도 2 상에서의 시계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만큼 이동하여 진동 접지부(20)의 테두리 상에 형성된 제 2 절삭단(24b)을 지난 지점에 통공되어 형성된다.
제 3 공기 유통부(23)는 제 3-1 공기 유통공(23a)와 제 3-2 공기 유통공(23b)을 포함한다.
제 3-1 공기 유통공(23a)은 진동 접지부(20)와 음향 접촉 마진부(30)가 맞닿은 도 2상의 곡선라인(A-A') 부근에서 진동 접지단(20)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도 2 상에서의 곡선라인(A-A')의 일 측 끝단인 A 지점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 3-2 공기 유통공(23b)은 진동 접지부(20)와 음향 접촉 마진부(30)가 맞닿은 도 2상의 곡선라인(A-A') 부근에서 진동 접지단(20)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도 2 상에서의 곡선라인(A-A')의 다른 측 끝단인 A' 지점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음향 접촉 마진부(30)는 진동 접지부(20)와 맞닿은 지점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곡률(R1)을 갖는 곡선과 제 2 곡률(R2)을 갖는 곡선이 연결된 뒤, 연결된 곡선이 대칭되게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 1 곡률(R1)이 상기 제 2 곡률(R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 접촉 마진부(30)는 판 형상에 제 4 공기 유통부(31) 및 제 5 공기 유통공(32)이 통공되어 형성된다.
제 4 공기 유통부(31)는 제 4-1 공기 유통공(31a)과 제 4-2 공기 유통공(31b)를 포함한다.
제 4-1 공기 유통공(31a)은 진동 접지부(20)와 음향 접촉 마진부(30)가 맞닿은 도 2상의 곡선라인(A-A') 부근에서 음향 접촉 마진부(30) 상에 형성되며, 도 2 상에서의 곡선라인(A-A')의 일 측 끝단인 A 지점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 4-2 공기 유통공(31b)은 진동 접지부(20)와 음향 접촉 마진부(30)가 맞닿은 도 2상의 곡선라인(A-A') 부근에서 음향 접촉 마진부(30) 상에 형성되며, 도 2 상에서의 곡선라인(A-A')의 다른 측 끝단인 A' 지점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 5 공기 유통공(32)은 음향 접촉 마진부(30) 상에서 진동 접지부(20)와 음향 접촉 마진부(20)가 맞닿는 반대편 끝단의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스피커(40)는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8개의 고정홀(41)을 통해 볼트로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와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절삭된 경사면(12a)과 인접한 스피커(40)의 후단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이 최대화된다. 이후, 스피커 삽입단(10)에서 단차의 높은 곳에 해당되는 내측 삽입단(12)을 통해 스피커(40)의 떨림을 위한 공명이 증대된 뒤, 스피커 삽입단(30)에서 단차가 낮은 외측 삽입단(11)을 통해 스피커(34)에 대한 떨림이 용이하게 되어 스피커(40)를 통해 출력되는 음압 데시벨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제 1 절삭단(24a)과 제 2 절삭단(24b)을 포함하는 절삭부(24), 제 1 공기 유통공(21), 제 2 공기 유통부(22), 제 3 공기 유통부(23), 제 4 공기 유통부(31) 및 제 5 공기 유통공(32)이 형성되어,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가 도어 트림에 장착시, 내부 공간에서의 스피커(40)의 떨림이 증대되어 음의 재생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음향 접촉 마진부(30)는 진동 접지부(20)에서 연장되어 진동 접지부(20)를 통해 스피커(40)로부터의 음향 진동을 전달받아, 공명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음압 데시벨을 향상시킨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로 스피커가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는 도 1 내지 도 7에서의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에서 스피커 삽입단(10)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진동 접지부(20)의 내부형 스피커 삽입단(10a)이 형성된다.
한편, 내부형 스피커 삽입단(10a)은 최상단 테두리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삭된 경사면(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경사면(11a)이 형성된 반대편 최상단 테두리에도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삭된 경사면이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삭된 경사면(11a)과 경사면(11a)이 형성된 반대편 최상단 테두리에도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삭된 경사면을 통해 음향의 공명 현상에 있어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스피커(40)에 의해 수행되는 음압 데시벨을 향상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스피커 삽입단
11: 외측 삽입단
12: 내측 삽입단
20: 진동 접지부
21: 제 1 공기 유통공
22: 제 2 공기 유통부
22a: 제 2-1 공기 유통공
22b: 제 2-2 공기 유통공
23: 제 3 공기 유통부
23a: 제 3-1 공기 유통공
23b: 제 3-2 공기 유통공
30: 음향 접촉 마진부
31: 제 4 공기 유통부
31a: 제 4-1 공기 유통공
31b: 제 4-2 공기 유통공
32: 제 5 공기 유통공
40: 스피커
41: 고정홀

Claims (21)

  1. 원통 형상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며, 원통 형상 내부로 스피커가 삽입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스피커 삽입단;
    스피커 삽입단의 외측을 둘러싼 다각형 형태의 판 형상의 테두리로 형성되며, 상기 판 형상에는 다수의 공기 유통공이 형성되는 진동 접지부; 및
    상기 진동 접지부와 맞닿은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 접지부를 통해 상기 스피커로부터의 음향 진동을 전달받아, 공명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음향 접촉 마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삽입단, 상기 진동 접지부 그리고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는,
    MDF 재질의 목질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목질 패널에 인쇄된 패턴을 삽입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삽입단은,
    외측 삽입단과 내측 삽입단의 적층 구조를 갖으며, 상기 외측 삽입단과 상기 내측 삽입단 간에는 내주면 상에서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삽입단은,
    상기 진동 접지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삽입단이 원통 형상의 중심방향으로 테두리가 상기 외측 삽입단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측 삽입단은,
    상기 외측 삽입단과 맞닿은 지점과 반대편 끝단에 원 형상의 테두리 상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삭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다각형 형상의 판 형상의 중앙부에 원통 형상의 상기 스피커 삽입단이 삽입되어 상기 내측 삽입단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돌출된 상기 내측 삽입단의 상부에는,
    상기 외측 삽입단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와 맞닿는 지점의 반대편 끝단의 중앙에 제 1 공기 유통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다각형 형상의 판 형상에 상기 제 1 공기 유통공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만큼 정방향으로 회전한 지점의 테두리 상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절삭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제 1 공기 유통공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만큼 역방향으로 이동한 지점의 테두리 상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절삭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제 1 공기 유통공을 중심으로 역방항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만큼 이동된 지점에 형성된 상기 제 1 절삭단을 지난 지점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 2-1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제 1 공기 유통공을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만큼 이동된 지점에 형성된 상기 제 2 절삭단을 지난 지점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 2-2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와 맞닿은 곡선라인 부근에서 상기 진동 접지단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곡선라인의 일 측 끝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 3-1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와 맞닿은 곡선라인 부근에서 상기 진동 접지단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곡선라인의 다른 측 끝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 3-2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는,
    상기 진동 접지부와 맞닿은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판 형상에 있어서 제 1 곡률(R1)을 갖는 곡선과 제 2 곡률(R2)을 갖는 곡선이 연결된 뒤, 상기 연결된 곡선이 대칭되게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률(R1)이 상기 제 2 곡률(R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는,
    상기 진동 접지부과 맞닿은 상기 곡선라인 부근에서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 상에서 상기 곡선라인의 일 측 끝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 4-1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는,
    상기 진동 접지부과 맞닿은 상기 곡선라인 부근에서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 상에서 상기 곡선라인의 다른 측 끝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 4-2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는,
    상기 진동 접지부와 맞닿는 곡선라인과 반대되는 방향의 끝단의 상기 음향 접촉 마진부의 평면상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 5 공기 유통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8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을 통해 볼트로 상기 진동 접지부와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접지부는,
    다각형 형상의 판 형상의 중앙부에 원통 형상의 상기 스피커 삽입단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삽입단은,
    원통형을 구성하는 양측 최상단 테두리 상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삭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KR2020120002751U 2012-04-04 2012-04-04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KR200466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751U KR200466781Y1 (ko) 2012-04-04 2012-04-04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751U KR200466781Y1 (ko) 2012-04-04 2012-04-04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781Y1 true KR200466781Y1 (ko) 2013-05-07

Family

ID=5371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751U KR200466781Y1 (ko) 2012-04-04 2012-04-04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78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291A (ja) 2000-11-29 2002-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JP2004147125A (ja) 2002-10-24 2004-05-20 Sanyo Electric Co Ltd スピーカ
JP2005311908A (ja) 2004-04-23 2005-11-04 Fujitsu Ten Ltd スピー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291A (ja) 2000-11-29 2002-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JP2004147125A (ja) 2002-10-24 2004-05-20 Sanyo Electric Co Ltd スピーカ
JP2005311908A (ja) 2004-04-23 2005-11-04 Fujitsu Ten Ltd スピー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4413B2 (en) Loudspeaker system for motor vehicles utilizing cavities formed by supporting structures
JP4226774B2 (ja) 一体音響システムを備えたトリムパネル
CN101536538B (zh) 平面内扬声器
JP5822459B2 (ja) スピーカユニット
CN106341753B (zh) 框架轨集成式重低音音箱组件及方法
CN101448679A (zh) 车辆支承结构中的带通音箱
CN112172706B (zh) 机动车、扶手箱及车载低音模组
JP6277412B2 (ja) スピーカおよびこの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移動体装置
KR200466781Y1 (ko) 음향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 지지체
US200400474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sound quality of automotive audio
JP2007099132A (ja) 自動車のパッケージトレー及びその補強構造
US9253562B2 (en) Vehicle loudspeaker module
CN109660912A (zh) 车载音箱以及汽车
CN210247023U (zh) 一种可外接式的便于隐藏固定的汽车音响
CN101707731B (zh) 一种阵列传输线有源车载音响系统
US9774947B2 (en) Subwoofer structure for vehicle
CN219728048U (zh) 座椅和具有其的车辆
CN219236774U (zh) 中控台总成和车辆
CN218661616U (zh) 车载音响系统及车辆
CN109862465B (zh) 车载音箱以及汽车
CN212125003U (zh) 汽车
CN216960109U (zh) 一种车载低音箱结构以及含有该车载低音箱结构的汽车
CN217495968U (zh) 车辆
JP5343036B2 (ja) 車載用音響装置
CN114979906A (zh) 一种车载声重放系统的扬声器系统以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