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413Y1 -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Google Patents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6413Y1 KR200466413Y1 KR2020090015557U KR20090015557U KR200466413Y1 KR 200466413 Y1 KR200466413 Y1 KR 200466413Y1 KR 2020090015557 U KR2020090015557 U KR 2020090015557U KR 20090015557 U KR20090015557 U KR 20090015557U KR 200466413 Y1 KR200466413 Y1 KR 20046641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member
- assembly
- horizontal
- window frame
- wind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part of which remains visi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4—L-shaped corner pieces having two articulated or flexible joined legs; Corner joints with variable angl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 창호 또는 금속 창호의 노출형 조립구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 본체에 유색 자유도를 갖는 마감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시켜서 우천에 따른 누수를 방지하고,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 프레임부재가 연결되고, 수직 방향으로 수직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조립구 본체; 및 상기 본체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본체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문프레임, 조립구, 마감재, 후크, 슬라이드
Description
본 고안은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 창호 또는 금속 창호의 노출형 조립구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 본체에 유색 자유도를 갖는 마감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시켜서 우천에 따른 누수를 방지하고,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합성수지제 창문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일반적으로 목재로 제작된 창호와 달리 경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창호는 가볍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므로 다가구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창호에는 창문프레임과 창짝이 포함된다. 상기 창짝은 열고 닫는 창문이고, 창문프레임(일명 창틀)은 벽에 고정되어 창짝을 지지하는 사각틀이다. 상기 합성수지 창문프레임은 경량금속으로 제작된 것과 달리 부식이나 마모에 강하고, 창짝을 열고 닫는데 마찰음이 없어 조용하며 또한 다양한 무늬를 씌울 수 있어 근래 창호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 창문프레임은 쉽게 용융 접합할 수 있는 합성수지의 특성을 가지므로 두 개의 나란한 수평프레임부재와 이에 직교하는 다른 두 개의 수직프레임부재의 단부를 용접함으로써 제작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합성수지제 창문프레임(11)은, 상호 평행한 두 개의 수평프레임부재(13)와, 상기 수평프레임부재에 직교하며 수평프레임부재의 양단부에 융착 결합하는 두 개의 수직프레임부재(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프레임부재(13) 및 수직프레임부재(15)의 내측면에는 창짝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부재(13)에 대한 수직프레임부재(15)의 융착결합은 별도의 융착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융착장치는 직각으로 배치된 수평프레임부재(13)의 단부와 수직프레임부재(15)의 단부에 열을 가하여 용융시킨 후 서로에 대해 가압 밀착시켜 용융된 부위가 융착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융착장치로 창문프레임(11)을 제작함에 있어서 수평프레임부재(13)의 단부와 수직프레임부재(15)의 융착면 단부가 어긋날 경우, 용접면이 외부로 튀어나와 외부 미관을 해치며, 튀어나온 정도가 클 경우에는 불량제품으로 분류하여 폐기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평프레임부재(13)와 수직프레임부재(15)의 연결 부위에 별도의 구조물인 조립구(미도시)가 사용된다. 상기 조립구는 비 노출형과, 외부 노출형의 두 가지 형태가 사용된다.
상기 비 노출형의 경우 창문프레임(11)의 내측 중공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조립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창문프레임(11) 색상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다만, 강도가 있는 알루미늄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노출형의 경우 창문프레임(11) 강도가 약한 합성수지 창호에서 사용되고, 외부 노출에 따라 조립구를 가려주는 커버가 필요하며, 조립구 자체에 유색으로 부분 가공이 곤란하다.
즉, 노출형 조립구를 사용시 창문프레임(11)이 유색일 경우, 조립구 또한 창문프레임(11)과 동일한 유색을 가져야 하며, 유색 조립구를 만들 경우 통상 조립구에 유색 공압출 처리를 하는 바, 이 경우 외관이 미려하나 고가의 설비(공압출기) 사용에 의해 원가 부담이 가중되고, 기초 금형과 유색 금형의 2개 금형 사용으로 인하여 투자비가 과다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마감재(미도시)를 사용할 경우 원가/투자비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으나, 상기 마감재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조립구에 부착할 경우, 창호의 사용 과정에서 상기 마감재가 조립구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감재를 조립구에 조립할 경우, 마감재와 조립구, 조립구와 창문프레임(11)간에 별도의 누수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우천시 각각의 조립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창호에 누수방지 구조를 도모하고자 할 경우, 상기 조립구를 양산할 수 있는 사출물의 구조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와 마감재와의 결합에 따른 복층 구조 구현이 가능하고, 우수에 의한 상기 본체와 마감재와의 연결부에서의 누수가 방지되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우천시 수평 및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와, 수평 및 수직 프레임부재 사이를 통한 누수가 배수구를 통해 창문프레임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되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탈착식 구조를 통해 양산 가능한 사출물 구조 구현이 가능하고, 마감재에 원하는 유색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써 유색 자유도 확보가 용이한 창문프레임용 조립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 방향으로 수평 프레임부재가 연결되고, 수직 방향으로 수직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조립구 본체; 및 상기 본체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를 지지하는 수평 지지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의 양측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편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우천에 따른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낙차식 배수 구조의 배수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배수구에는 망(網) 형태를 갖는 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의 중앙부 양 내벽과, 일측 양 내벽에는 상기 마감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더가 각각 일체로서 대향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중앙부 밑면과, 일측 중앙부 밑면에는 상기 마감재에 구비된 후크가 걸림결합되는 후크삽입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마감재는, 대소(大小) 2개의 몸체가 브라켓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양 몸체의 배면에는 슬라이드 돌기가 일체로서 각각 형성되며, 양 몸체의 저면에는 후크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마감재는, 유색(有色)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마감재가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써 본체와 마감재와의 결합에 따 른 복층 구조 구현이 가능하고, 우수에 의한 상기 본체와 마감재와의 연결부에서의 누수가 방지된다.
둘째, 우천시 수평 및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와, 수평 및 수직 프레임부재 사이를 통한 누수는 배수구를 통해 창문프레임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된다.
셋째, 상기 마감재가 탈착식 구조를 가지므로 양산 가능한 사출물 구조 구현이 가능하고, 마감재에 원하는 유색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색 자유도 확보가 용이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있어서의 조립구 본체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의 타측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있어서의 마감재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감재의 타측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가 수평 및 수직프레임부재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창문프레임은 크게 조립구 본체(100), 마감재(200), 수평 프레임부재(300), 수직 프레임부재(40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300)에는 체결나사(미도시)가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공(310)(320)(33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400)에는 체결나사(미도시)가 수직방향으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공(410)(420)(430)이 각각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는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110)와,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110)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300)에 각각 형성된 나사 체결공(310)(320)(330)과 일치하는 나사 안내공(111~1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20)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400)에 각각 형성된 나사 체결공(410)(420)(430)과 일치하는 나사 안내공(121~125)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110)의 양측 하단에는 수평 지지편(116)(117)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20)의 양측에는 수직 지지편(126)(12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평 지지편(116)(117)과 수직 지지편(126)(127)은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300)와 수직 프레임부재(400)를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20)에 수직 프레임부재(400)를 안착시키되,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400)에 형성된 나사 체결공(410)(420)(430)을 각각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20)의 나사 안내공(121~125)에 일치시킨 후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20)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수직 지지편(126)(127)은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400)의 양측에서 각각의 그 내부 좌측면 및 내부 우측면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400)은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20)에서의 좌우 또는 전후 유동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400)가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20)에 안착되어 그 유동이 방지되면, 전동 또는 수동 드라이버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을 사용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20)의 밑면으로부터 체결나사를 각각 나사 안내공(121~125)으로 밀어 넣은 후 상기 체결나사를 돌리게 되면 체결나사는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400)의 나사 체결공(410)(420)(430)에 각각 파고 들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400)은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2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이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110)에 수평 프레임부재(300)를 안착시키되,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300)에 형성된 나사 체결공(310)(320)(330)을 각각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110)의 나사 안내공(111~115)에 일치시킨 후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110)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수평 지지편(116)(117)은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300)의 양측에서 각각 의 그 내부 좌측면 및 내부 우측면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300)은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110)에서의 좌우 또는 전후 유동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300)가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110)에 안착되어 그 유동이 방지되면, 상기 드라이버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110)의 밑면으로부터 체결나사를 각각 나사 안내공(111~115)으로 밀어 넣은 후 상기 체결나사를 돌리게 되면 체결나사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300)의 나사 체결공(310)(320)(330)에 각각 파고 들어 결합되면서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300)은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1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5개의 나사 안내공(111~115)중 4개의 나사 안내공(111,113,114,115)은 하우징의 일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된 반면에, 다른 1개의 나사 안내공(112)은 하우징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5개의 나사 안내공(121~125)중 4개의 나사 안내공(121,123,124,125)은 하우징의 일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된 반면에, 다른 1개의 나사 안내공(122)은 하우징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110)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20)에 수평 프레임부재(300)와 수직 프레임부재(400)가 각각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력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결합에 따른 결합면 전체에 걸쳐 고른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300)와 수직 프레임부재(400)가 접촉하는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우천에 따른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102)가 형성되며, 우수의 보다 신속한 배출을 위해 상기 배수구(102)는 낙차식 배수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102)에는 방충망(網) 형태를 갖는 합성수지제 커버(104)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 양 내벽과, 일측 양 내벽에는 후술하는 마감재(200)가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가이더(118a)(118b)가 각각 1쌍씩 일체로서 대향 형성되고, 본체(100)의 중앙부 밑면과, 일측 중앙부 밑면에는 상기 마감재(200)에 구비된 후크(216)(226)가 걸림결합되는 후크삽입홈(119a)(119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합성수지외에 알루미늄, SUS 등 여러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200)는 상기 본체(100)상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즉,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대소(大小) 2개의 몸체(210)(220)가 브라켓(230)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양 몸체(210)(220)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더(118a)(118b)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ㅠ'자형 단면의 슬라이드 돌기(214)(224)가 일체로서 각각 형성되며, 양 몸체(210)(220)의 저면에는 상기 후크삽입홈(119a)(119b)에 착탈되는 후크(216)(2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 몸체(210)(220)는 우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내면의 선단부가 수직하게 절곡된 절곡부(212)(222)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 고안에서 상기 마감재는 유색(검정색)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마감재(200)는 상기 본체(100)에 대응하여 합성수지외에 알루미늄, SUS 등 여러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100)가 수평 및 수직프레임부재(300)(400)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 부호 240은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300)상에안착되어 상기 소 마감재(220)와 매치되는 제 1보조 마감재이고, 도면부호 250은 상기 수직프레임부재(400)상에 안착되어 상기 대 마감재(210)와 매치되는 제 2보조 마감재이다.
도 6에서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본체(100)이고, 초록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수평 및 수직프레임부재(300)(400)이며, 검정색(중앙부)으로 표시된 부분이 마감재(200)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110)에 수평 프레임부재(300)가 안착되고, 본체(100)의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20)에 수직 프레임부재(400)가 안착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부터 마감재(200)가 안착되어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재(200)는 대,소 몸체(210)(220)가 슬라이드 돌기(214)(224) 및 후크(216)(226)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가이더(118a)(118b) 및 후크삽입홈(119a)(119b)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써 본체(100)와 마감재(200)와의 결합에 따른 복층 구조 구현이 가능하고, 우수에 의한 상기 본체와 마감재와의 연결부에서의 누수가 방지된다.
또한, 우천시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110)(120)와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레임부재(300)(400) 사이를 통한 누수는 상기 배수구(102)를 통해 창문프레임(도 1의 11)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된다.
또한, 상기 마감재(200)가 탈착식 구조를 가지므로 양산 가능한 사출물 구조 구현이 가능하고, 마감재(200)에 원하는 유색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색 자유도 확보가 용이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창문프레임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있어서의 조립구 본체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의 타측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에 있어서의 마감재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감재의 타측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프레임용 조립구가 수평 및 수직프레임부재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창문프레임 17 : 가이드레일
100 : 본체 110 :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
116,117 : 수평 지지편 120 :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
126,127 : 수직 지지편 200 : 마감재
210 : 대몸체 220 : 소몸체
214,224 : 슬라이드 돌기 216,226 : 후크
300 : 수평 프레임부재 400 : 수직 프레임부재
Claims (8)
- 수평 방향으로 수평 프레임부재가 연결되고, 수직 방향으로 수직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조립구 본체; 및상기 본체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되,상기 본체의 내벽에는 상기 마감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더;가 각각 일체로 대향 형성되고,상기 본체의 밑면에는 상기 마감재에 구비된 후크가 걸림 결합되는 후크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상기 수평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와;상기 수직 프레임부재가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수평 프레임부재 지지부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를 지지하는 수평 지지편이 각각 형성되고,상기 수직 프레임부재 지지부의 양측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부재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편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우천에 따른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낙차식 배수 구조의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구에는 망(網) 형태를 갖는 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더는, 상기 본체의 중앙부 양 내벽과, 일측 양 내벽에 각각 일체로서 대향 형성되고,상기 후크삽입홈은, 상기 본체의 중앙부 밑면과, 일측 중앙부 밑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마감재는,대소(大小) 2개의 몸체가 브라켓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양 몸체의 배면에는 슬라이드 돌기가 일체로서 각각 형성되며, 양 몸체의 저면에는 후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마감재는,유색(有色)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5557U KR200466413Y1 (ko) | 2009-12-01 | 2009-12-01 |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5557U KR200466413Y1 (ko) | 2009-12-01 | 2009-12-01 |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5638U KR20110005638U (ko) | 2011-06-09 |
KR200466413Y1 true KR200466413Y1 (ko) | 2013-04-15 |
Family
ID=4929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5557U KR200466413Y1 (ko) | 2009-12-01 | 2009-12-01 |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6413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75854B1 (fr) * | 2017-12-27 | 2021-04-30 | Schuco Int Kg | Chassis forme de profiles |
KR200495612Y1 (ko) * | 2020-05-21 | 2022-07-08 | 유한회사 성지산업 | 조립식 창틀 및 창호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3305Y1 (ko) * | 1997-07-30 | 1999-08-02 | 이종학 | 창문틀의 연결장치 |
KR100522556B1 (ko) * | 2005-04-26 | 2005-10-19 | 김정렬 | 모서리 보강재가 삽입된 조립식 창호의 모서리 연결구 및이를 이용한 조립식 창호구조 |
KR100653133B1 (ko) * | 2005-01-31 | 2006-12-01 |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 창틀 |
KR100747157B1 (ko) * | 2005-12-26 | 2007-08-07 | 김정렬 | 창틀 모서리 보강조립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
-
2009
- 2009-12-01 KR KR2020090015557U patent/KR20046641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3305Y1 (ko) * | 1997-07-30 | 1999-08-02 | 이종학 | 창문틀의 연결장치 |
KR100653133B1 (ko) * | 2005-01-31 | 2006-12-01 |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 창틀 |
KR100522556B1 (ko) * | 2005-04-26 | 2005-10-19 | 김정렬 | 모서리 보강재가 삽입된 조립식 창호의 모서리 연결구 및이를 이용한 조립식 창호구조 |
KR100747157B1 (ko) * | 2005-12-26 | 2007-08-07 | 김정렬 | 창틀 모서리 보강조립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5638U (ko) | 2011-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1599B1 (ko) | 가구 도어틀 | |
KR101578646B1 (ko) | 창틀용 누수차단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200466413Y1 (ko) |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 |
KR101242606B1 (ko) |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 |
KR101531963B1 (ko) |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구조 | |
KR101869263B1 (ko) | 하부프레임에 착탈식 레일판을 장착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 |
JP4493099B2 (ja) | 止水ブロック、及び該止水ブロックを備えた建具 | |
KR20040041899A (ko) |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복합창호 | |
KR20170055191A (ko) |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 |
JP4267582B2 (ja) | 建具 | |
KR102112223B1 (ko) | 슬림형 여닫이창 | |
KR200305822Y1 (ko) |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복합창호 | |
JP4028492B2 (ja) | 浴室建具の止水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浴室建具 | |
ITMI20062335A1 (it) | Profilato per pannelli di box doccia cabine sauna e simili serramento comprendente tale profilato e metodo per realizzare tale profilato | |
KR101753037B1 (ko) |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 |
JP2016199845A (ja) | シート挟持装置 | |
EP1254625B1 (en) | Shower booth and relative sealing system | |
JP2018150702A (ja) | 建具 | |
TWI301863B (ko) | ||
KR102434847B1 (ko) | 창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
KR102690305B1 (ko) | 천장 점검구 | |
KR20140001369A (ko) | 슬라이드 개폐형 창문틀의 커먼 프레임 및 그 설치 구조 | |
TWM303265U (en) | Dew-proofing structure of aluminum window | |
KR0134598Y1 (ko) | 창문용 환기구 골조 | |
KR20230107080A (ko) | 창호 배수공 커버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