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406Y1 - 라이너 용기 및 라이너 용기용 개폐캡 - Google Patents

라이너 용기 및 라이너 용기용 개폐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406Y1
KR200466406Y1 KR2020110008975U KR20110008975U KR200466406Y1 KR 200466406 Y1 KR200466406 Y1 KR 200466406Y1 KR 2020110008975 U KR2020110008975 U KR 2020110008975U KR 20110008975 U KR20110008975 U KR 20110008975U KR 200466406 Y1 KR200466406 Y1 KR 200466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opening
closing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489U (ko
Inventor
주유신
Original Assignee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064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4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4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 분말, 미립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라이너 용기 및 라이너 용기의 개폐캡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내부에 액상, 분말, 미립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랙시블 재질을 중첩 구성한 자루 형태의 용기(10) 상부와 하부에 투입구(11)와 배출구(1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11)와 배출구(12)에는 하부 외주연으로 용기에 융착 결합되는 융착 결합부(21)와 내주연에 결합 나사부(22)를 갖는 원통형의 캡 시트(20)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캡 시트의 결합 나사부에 외주연으로 결합 나사부(32)를 갖는 캡(30)을 나사 결합하되, 상기 배출구의 캡 시트에는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막(5)을 융착 결합하고, 상기 배출구의 캡(30) 내부에는 내주연과 이격되는 위치로 삽입 공간부(35)를 형성하도록 간격리브(36)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삽입 공간부(35)에 선단에 배출구의 차단막(5)을 절개하여 개봉할 수 있는 톱니 형상의 절단 톱니부(42)를 갖는 절단링(40)를 분리 가능하게 삽입 구성하여 제공하므로 내용물 저장의 기밀성 확보와 함께 용기 운반시 투입구에 의한 내용물 누출 방지를 위한 거치 사용이나 배출구에 의한 내용물 배출을 간편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라이너 용기 및 라이너 용기용 개폐캡{Riner container and cap for the riner container}
본 고안은 플랙시블 재질을 다중 중첩 구성한 자루 형태의 라이너 용기 상,하부에 마련되는 투입구와 배출구를 개폐캡으로 개폐하면서 액상, 분말, 미립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 및 배출 사용하되, 상기 배출구는 차단막에 의해 기밀 차단하여 개폐캡 내부에 결합되는 절단링에 의해 절단 개방하도록 사용하므로 배출구의 기밀성이 우수함은 물론 배출구의 개방 사용이 간편하게 제공되고, 그 밖에 용기 운반시 거치 사용이 간편하게 제공되는 라이너 용기 및 라이너 용기의 개폐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분말, 미립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 운반하는 용기는 플랙시블한 재질이나 그 밖에 하드한 재질, 예를 들면 수지나 금속 소재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특히, 플렉시블한 재질에 의해 제조되는 자루 형태의 용기는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내용물 저장 및 운반시 그 취급이 간편하며 공간 효율성이 우수한 여러 이점을 갖기 때문에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플렉시블한 재질에 의해 제조되는 자루 형태의 용기는 견고성이 취약하고, 용기의 투입구나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의 누출 우려를 갖기 때문에 기밀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플렉시블한 재질에 의해 제조되는 자루 형태의 용기에 의해 내용물을 저장 운반하는 경우 상기 플렉시블한 재질의 용기를 일정하게 거치 상태로 운반하기 곤란함은 물론 상기 용기의 상부 주입구나 하부 배출구를 일정한 거치 상태로 운반하기 곤란하여 운반시 충돌 충격에 의해 주입구나 배출구의 기밀 확보가 곤란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플랙시블 재질을 다중 중첩 구성한 자루 형태의 라이너 용기 상,하부에 마련되는 투입구와 배출구를 개폐캡으로 개폐하면서 액상, 분말, 미립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 및 배출 사용하되, 상기 배출구는 차단막에 의해 기밀 차단하여 개폐캡 내부에 결합되는 절단링에 의해 절단 개방하도록 사용하므로 배출구의 기밀성이 우수함은 물론 배출구의 개방 사용을 간편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용기 운반시 거치 사용이 간편하게 제공되어 운반 편리성은 물론 충돌 충격에 의한 내용물 누출 방지 효과를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용기 배출구의 개폐캡을 차단막이 제외된 이중 개폐구조로 형성하여 제조 생산성 및 개방 사용의 편리성을 더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부에 액상, 분말, 미립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랙시블 재질을 중첩 구성한 자루 형태의 용기 상부와 하부에 투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에 하부 외주연으로 용기에 융착 결합하기 위한 융착 결합부를 형성하는 캡 시트와 상기 캡 시트에 나사 결합되는 캡으로 구성되는 상,하부 개폐 캡을 각각 결합 구성하되, 상기 하부 개폐 캡에는 캡 시트의 내부 관통공을 차단막으로 차단하도록 융착 결합하고, 상기 캡 내부에 내주연과 이격 위치로 설치되는 간격리브에 의해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여 선단 원주상에 캡 시트의 차단막을 절개하여 개봉하는 톱니 형상의 절단 톱니부를 갖는 절단링를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여 결합 구성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상,하부 개폐 캡에는 캡 시트의 상부 내주연에 단차 요홈부를 형성하여 캡 하부 외주연과 기밀 작동하도록 기밀링을 삽입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상부 개폐 캡의 캡 시트에는 외주연으로 "U" 형태의 지지구를 측방에서 수평으로 삽입 설치하도록 링 형태의 요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구에 의해 상부 개폐 캡을 별도 거치대에 거치 설치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하부 개폐 캡의 캡에는 간격리브 외측에 절단링을 밀착되게 파지하도록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내부에 액상, 분말, 미립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랙시블 재질을 중첩 구성한 자루 형태의 용기 상부와 하부에 투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에 하부 외주연으로 용기에 융착 결합하기 위한 융착 결합부를 형성하는 캡 시트와 상기 캡 시트에 나사 결합되는 캡으로 구성되는 상,하부 개폐 캡을 각각 결합 구성하되, 상기 하부 개폐 캡의 캡 시트에는 내부 관통공을 차단판으로 기밀 차단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차단판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각형 축공으로 일측이 캡 시트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을 축 결합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레버의 단부를 축 결합하여 상기 레버 회전으로 회전축을 회전시켜 차단판을 회전 개폐 조절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플랙시블 재질을 다중 중첩 구성한 자루 형태의 라이너 용기 상,하부에 마련되는 투입구와 배출구를 개폐캡으로 개폐하면서 액상, 분말, 미립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 및 배출 사용하되, 상기 배출구는 차단막에 의해 기밀 차단하여 개폐캡 내부에 결합되는 절단링에 의해 절단 개방하도록 사용하므로 배출구의 기밀성이 우수함은 물론 배출구의 개방 사용을 간편하게 제공함은 물론 용기 운반시 거치 사용이 간편하게 제공되어 운반 편리성은 물론 충돌 충격에 의한 내용물 누출 방지 효과를 우수하게 제공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용기 배출구의 개폐캡을 차단막이 제외된 이중 개폐구조로 형성하여 제조 생산성 및 개방 사용의 편리성을 더 우수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라이너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라이너 용기의 투입구 부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라이너 용기의 배출구 부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캡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도 5의 개봉 작동도.
도 9는 본 고안의 라이너 용기를 컨테이너에 의해 저장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 라이너 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하부 개폐 캡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차단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라이너 용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액상, 분말, 미립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랙시블 재질을 중첩 구성한 자루 형태의 용기(10) 상부와 하부에 투입구(11)와 배출구(1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11)와 배출구(12)에 하부 외주연으로 용기에 융착 결합하기 위한 융착 결합부(21)를 형성하는 캡 시트(20)와 상기 캡 시트에 나사 결합되는 캡(30)으로 구성되는 상,하부 개폐 캡(100)(200)을 각각 결합 구성하되, 상기 하부 개폐 캡(200)에는 캡 시트(20)의 내부 관통공(20a)을 차단막(5)으로 차단하도록 융착 결합하고, 상기 캡(30) 내부에 내주연과 이격 위치로 설치되는 간격리브(36)에 의해 삽입 공간부(35)를 형성하여 선단 원주상에 캡 시트의 차단막(5)을 절개하여 개봉하는 톱니 형상의 절단 톱니부(42)를 갖는 절단링(40)를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여 결합 구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하부 개폐 캡(100)(200)에는 캡 시트(20)의 상부 내주연에 단차 요홈부(25)를 형성하여 캡(30) 하부 외주연과 기밀 작동하도록 기밀링(26)을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개폐 캡(100)의 캡 시트(20)에는 외주연으로 "U" 형태의 지지구(50)를 측방에서 수평으로 삽입 설치하도록 링 형태의 요홈부(24)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구에 의해 상부 개폐 캡을 별도 거치대에 거치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구(50)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300) 상부의 거치대(320)에 거치하도록 설치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개폐 캡(200)의 캡(30)에는 간격리브(36) 외측에 절단링(40)을 밀착되게 파지하도록 지지돌기(37)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복수의 플랙시블 재질을 중첩 구성한 자루 형태의 용기(10) 상부 투입구(11)에 설치된 상부 개폐 캡(100)의 캡(30)을 캡 시트(20)에서 분리하여 개방한 후 내부에 액상, 분말, 미립 형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개폐 캡(100)의 캡(30)을 다시 캡 시트(20)에 나사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용물을 저장한 라이너 용기는 별도의 컨테이너(300) 내부에 적재하여 운반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 라이너 용기가 플랙시블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용기의 상부 주입구(11)에 설치된 상부 개폐 캡(100)을 별도 거치대에 거치하는 형태로 운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상부 개폐 캡(100)의 외주연에 링 형태로 형성된 요홈부(24)에 "U" 형태의 지지구(50)를 측방에서 수평으로 삽입하고, 상기 지지구(50)를 별도 거치대에 거치하는 형태로 운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10)의 하부 배출구(12)에 결합된 하부 개폐 캡(200)은 용기(10)에 융착 결합된 캡 시트(20)와 캡(30)을 나사 결합하되, 상기 캡 시트(20)의 내부 관통공(20a)을 차단막(5)으로 차단함과 함께 상기 캡 시트의 상부 내주연에 형성된 단차 요홈부(25)에 기밀링(26)이 삽입되어 캡(30) 외주연과 밀착되어 내용물의 누출이 차단되는 기밀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라이너 용기를 운반한 후 상기 용기(10)의 하부 배출구(12)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개폐 캡(200)의 캡 시트(20)에서 캡(30)을 나사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캡(30) 내부에 내주연과 간격리브(36) 사이의 삽입공간부(35)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절단링(40)을 분리한다.
이때, 상기 절단링(40)은 간격리브(36)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37)에 의해 밀착 파지되어 외력에 의해 강제 분리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리된 절단링(40)은 선단 원주상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절단 톱니부(42)를 캡 시트(20)의 내부 관통공(20a)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관통공(20a)을 차단하고 있는 차단막(5)을 절단하여 배출구(12)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구(12)를 통해 배출하도록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라이너 용기는 상기 하부 배출구(12)에 설치되는 개폐 캡(200')을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하부 외주연으로 용기에 융착 결합하기 위한 융착 결합부(21)를 형성하는 캡 시트(20')와 상기 캡 시트에 나 결합되는 캡(30')으로 결합 구성하되, 상기 캡 시트의 내부 관통공(20a')을 차단판(60)으로 기밀 차단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차단판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각형 축공(61)으로 일측이 캡 시트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65)을 축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레버(67)의 단부를 축 결합하여 상기 레버 회전으로 회전축을 회전시켜 차단판을 회전 개폐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로서, 20b는 차단판(60) 외주연에 결합되는 오링(62)이 탄발 밀착되는 캡 시트의 내부 개폐공, 66은 레버(67)의 각형 축홈(68)이 삽입되는 각형 축봉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하부 개폐 캡(200')은 용기(10)에 융착 결합된 캡 시트(20')와 캡(30')을 나사 결합하되 상기 캡 시트의 내부 관통공(20a')을 차단판(60)으로 기밀 차단하여 내용물의 누출이 차단되는 기밀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부 개폐 캡을 개방하여 내용물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하부 개폐 캡(200')의 캡 시트(20')에서 캡(30')을 나사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캡 시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레버(67)에 의해 회전축(65)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캡 시트의 내부 관통공(20a')을 차단하고 있는 차단판(60)을 회전시켜 상기 관통공(20a')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판(60)의 회전 정도에 따라 관통공(20a')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구(12)를 통해 배출하도록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라이너 용기에 적용된 개폐캡을 전술한 라이너 용기 이외의 라이너 용기에 적용하여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개폐캡의 작동 및 작용 효과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10: 용기 11: 투입구
12: 배출구 20,20': 캡 시트
21: 융착 결합부 22: 결합 나사부
30,30': 캡 32: 결합 나사부
35: 삽입 공간부 36: 간격리브
40: 절단링 42: 절단 톱니부
37: 지지돌기 26: 기밀링
24: 요홈부 50: 지지구
60: 차단판 61: 각형 축공
65: 회전축 67: 레버
62: 오링 100,200,200': 개폐 캡

Claims (6)

  1. 내부에 액상, 분말, 미립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랙시블 재질을 중첩 구성한 자루 형태의 용기(10) 상부와 하부에 투입구(11)와 배출구(1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11)와 배출구(12)에 하부 외주연으로 용기에 융착 결합하기 위한 융착 결합부(21)를 형성하는 캡 시트(20)와 상기 캡 시트에 나사 결합되는 캡(30)으로 구성되는 상,하부 개폐 캡(100)(200)을 각각 결합 구성하되, 상기 하부 개폐 캡(200)에는 캡 시트(20)의 내부 관통공(20a)을 차단막(5)으로 차단하도록 융착 결합하고, 상기 캡(30) 내부에 내주연과 이격 위치로 설치되는 간격리브(36)에 의해 삽입 공간부(35)를 형성하여 선단 원주상에 캡 시트의 차단막(5)을 절개하여 개봉하는 톱니 형상의 절단 톱니부(42)를 갖는 절단링(40)를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여 결합 구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개폐 캡(100)(200)에는 캡 시트(20)의 상부 내주연에 단차 요홈부(25)를 형성하여 캡(30) 하부 외주연과 기밀 작동하도록 기밀링(26)을 삽입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폐 캡(100)의 캡 시트(20)에는 외주연으로 "U" 형태의 지지구(50)를 측방에서 수평으로 삽입 설치하도록 링 형태의 요홈부(24)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구에 의해 상부 개폐 캡을 별도 거치대에 거치 설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개폐 캡(200)의 캡(30)에는 간격리브(36) 외측에 절단링(40)을 밀착되게 파지하도록 지지돌기(37)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용기.
  5. 내부에 액상, 분말, 미립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랙시블 재질을 중첩 구성한 자루 형태의 용기(10) 상부와 하부에 투입구(11)와 배출구(1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11)와 배출구(12)에 하부 외주연으로 용기에 융착 결합하기 위한 융착 결합부(21)를 형성하는 캡 시트(20)(20')와 상기 캡 시트에 나사 결합되는 캡(30)(30')으로 구성되는 상,하부 개폐 캡(100)(200')을 각각 결합 구성하되, 상기 하부 개폐 캡(200')의 캡 시트(20')에는 내부 관통공(20a')을 차단판(60)으로 기밀 차단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차단판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각형 축공(61)으로 일측이 캡 시트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65)을 축 결합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레버(67)의 단부를 축 결합하여 상기 레버 회전으로 회전축을 회전시켜 차단판을 회전 개폐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용기.
  6. 라이너 용기의 개폐캡에 있어서,
    하부 외주연으로 용기에 융착 결합하기 위한 융착 결합부(21)를 형성하는 캡 시트(20)와 상기 캡 시트에 나사 결합되는 캡(30)으로 구성하되, 상기 캡 시트(20)의 내부 관통공(20a)은 차단막(5)으로 차단하도록 융착 결합하고, 상기 캡(30) 내부에 내주연과 이격 위치로 설치되는 간격리브(36)에 의해 삽입 공간부(35)를 형성하여 선단 원주상에 캡 시트의 차단막(5)을 절개하여 개봉하는 톱니 형상의 절단 톱니부(42)를 갖는 절단링(40)를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여 결합 구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용기용 개폐캡.
KR2020110008975U 2011-03-11 2011-10-07 라이너 용기 및 라이너 용기용 개폐캡 KR2004664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14 2011-03-11
KR20110002014 2011-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89U KR20120006489U (ko) 2012-09-20
KR200466406Y1 true KR200466406Y1 (ko) 2013-04-18

Family

ID=5138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975U KR200466406Y1 (ko) 2011-03-11 2011-10-07 라이너 용기 및 라이너 용기용 개폐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40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231A (ja) 1998-11-18 1999-08-17 Toppan Printing Co Ltd 液体容器用注出栓
WO1999051504A1 (en) 1998-04-01 1999-10-14 Ladislav Stephan Karpisek A valve assembly for liner bags of containers having a liner puncture/piercing means
JP2603682Y2 (ja) * 1997-09-01 2000-03-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紙容器の開封装置付き注出口
US7762528B2 (en) 2006-05-03 2010-07-27 Sotralentz S.A.S. Drain valve for pallet-type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682Y2 (ja) * 1997-09-01 2000-03-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紙容器の開封装置付き注出口
WO1999051504A1 (en) 1998-04-01 1999-10-14 Ladislav Stephan Karpisek A valve assembly for liner bags of containers having a liner puncture/piercing means
JPH11222231A (ja) 1998-11-18 1999-08-17 Toppan Printing Co Ltd 液体容器用注出栓
US7762528B2 (en) 2006-05-03 2010-07-27 Sotralentz S.A.S. Drain valve for pallet-typ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89U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1596B2 (ja) キャップ及び蓋付容器
JP5613440B2 (ja) キャップ及び蓋付容器
CA2518987A1 (en) Container units for drugs, drug containers, and rubber closures
JP2019182539A (ja) ボトルキャップ
JP5478413B2 (ja) 60リットル内袋複合容器及び薬液排出チューブ
EP1910175B1 (en) Packaging with sealing lid and method for filling the package.
JP6619582B2 (ja) 樹脂製の二重蓋式注出具
FR3019148A1 (fr) Contenant metallique comportant un goulot adapte a recevoir un element d'obturation du type capsule a vis
JP2011246128A (ja) 容器のキャップ構造
JP6831267B2 (ja) 詰め替え容器
JP2008100767A (ja) ボトルキャップ
US20130008808A1 (en) Bottle cap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JP6050993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注出容器
KR200466406Y1 (ko) 라이너 용기 및 라이너 용기용 개폐캡
JP6444221B2 (ja) 積層剥離容器
TW201628936A (zh) 密封包裝容器
JP3139281U (ja) ボトルキャップ
JP6417958B2 (ja) 注出口部材
JP4393835B2 (ja) 開閉機構付きスパウト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JP2016068959A (ja) 液体収納容器
JP6227518B2 (ja) 受皿ユニット、およびこれとポンプユニットとを備えたディスペンサ容器用のポンプシステム
JP2020121733A (ja) チューブ容器
JP7472455B2 (ja) 注出口組立体、注出口付き容器、注出口及び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