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250Y1 -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250Y1
KR200466250Y1 KR2020100009569U KR20100009569U KR200466250Y1 KR 200466250 Y1 KR200466250 Y1 KR 200466250Y1 KR 2020100009569 U KR2020100009569 U KR 2020100009569U KR 20100009569 U KR20100009569 U KR 20100009569U KR 200466250 Y1 KR200466250 Y1 KR 200466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film
light shielding
vehicle
insect repellent
weathe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057U (ko
Inventor
김오규
홍은수
Original Assignee
홍은수
김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은수, 김오규 filed Critical 홍은수
Priority to KR2020100009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25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0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2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7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projections, grooves or channe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창문 주위 내장재에 장착되며 웨더스트립이 부착된 웨더스트립; 이 웨더스트립에 착탈되고, 테두리가 프레임에 고착되어 팽팽한 상태가 유지된 망사 형태의 방충 겸용 차광막; 및 상기 방충 겸용 차광막에 장착된 안전 손잡이;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웨더스트립에 방충 겸용 차광막이 견고히 결합되어 창문을 열고 주행하는 도중에도 방충 겸용 차광막이 탈리되는 현상이 줄어들고, 방충 겸용 차광막이 탈리되더라도 탈리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Assembly to preventing insect and obstructing light for vehicles }
본 고안은 차량의 창문 주위에 부착되는 방충 겸용 차광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창문 주위 내장재에 부착되어 창문이 개방되어도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면서 모기, 날파리, 파리 등을 포함한 해충의 차량 내부 진입이 차단되도록 된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경제적인 소득이 증가하고 생활이 안정되면서 건강과 여가 생활에 대한 관심도가 날로 증대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여가 생활을 즐기기 위한 방편 중의 하나로 차량을 이용하여 야외로 이동한 후, 레저를 즐기는 문화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차량을 이용하여 통상 여름철 캠핑시에는 별도의 숙박 시설을 이용하지 않거나, 오지에서 캠핑시에는 차량에 탑승한 채로 휴식을 하거나 숙면을 취하게 된다. 또한 장기간 탑승시에는 차내 공기의 산소 부족현상 등을 방지하고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해 창문이 개방된 상태로 휴식을 취하게 된다.
휴식을 취할 때, 해충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걸 차단하기 위해 창문을 올리고 에어컨을 가동시키면 연료 소비가 증가한다. 반대로, 연료 소비를 줄이기 위해 창문을 내리면 햇빛과 해충의 유입으로 휴식에 방해가 된다.
또한, 창문을 내린 상태에서 운전할 때, 갑자기 해충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거나 또는 운전자가 해충을 잡기 위해 취하는 순간 핸들을 놓쳐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한편, 캠핑이 보통 숲이나 물가 등의 야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창문이 개방된 상태로 휴식을 취할 경우에는 해충이 개방된 창문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어 휴식이 방해된다. 따라서 차내에서 모기향을 피우기도 하는데, 모기향을 피우는 방법은 차량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므로 매우 위험하다.
이외에 방충망을 창문에 설치하는 경우, 이 방충망은 창문을 형성하는 차문의 외면에 자석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었지만 외관상 혐오스럽고, 반복적인 사용이나 장시간 이용시 자석의 고정력이 저하되어 부착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충망이 외부에 부착되므로 방충망을 부착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할 경우, 방충망이 차량으로부터 탈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 내부의 창문 주위 내장재에 웨더스트립이 장착되고 이 웨더스트립에 방충 겸용 차광막이 착탈이 쉬우면서도 견고히 장착됨으로써, 방충 겸용 차광막에 의한 차량의 외관미 훼손이 방지되고, 방충 겸용 차광막이 주행중 탈리되는 현상이 적어지도록 된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방충 겸용 차광막의 일부가 차량 외부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의 사이드 미러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어 안전 운행이 향상된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방충 겸용 차광막에는 고리가 달린 안전 손잡이가 장착되어 차량의 손잡이에 고리가 착탈됨으로써, 안전 손잡이를 잡아당겨 방충 겸용 차광막이 손쉽게 웨더스트립에서 분리될 수 있고, 주행중 방충 겸용 차광막의 탈리범위가 제한되도록 된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창문 주위 내장재에 장착되도록 외면에 부착수단이 형성된 웨더스트립; 및 이 웨더스트립에 착탈되고, 테두리가 프레임에 고착된 방충 겸용 차광막;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웨더스트립의 단면 중 양단부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양단부의 종단 형상은 정점이 양단부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게 치우친 유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웨더스트립의 단면에서 양단부 중 높이가 높은 일단부가 창문과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고, 높이가 낮은 일단부가 창문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착수단은 웨더스트립의 외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되고, 이 접착제층의 외면에 코팅막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충 겸용 차광막이 웨더스트립으로부터 탈리된 경우, 방충 겸용 차광막의 탈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방충 겸용 차광막과 상기 프레임의 고착 부위에 설치된 걸림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프레임과 방충 겸용 차광막의 결합부위에 장착되는 고정부; 차량 내부 손잡이에 착탈되는 고리부; 고정부와 고리부 사이의 연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안전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는 코일 스프링, 탄성 와이어 링, 고무밴드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충 겸용 차광막은 사이드 미러의 투영을 보기 위한 상기 홑겹부와, 이 홑겹부 이외의 다중겹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홑겹부와 다중겹부는 방충 겸용 차광을 위한 직물, 합성수지, 차광 필름,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홑겹부와 다중겹부는 별도 제작되어 열융착, 접착 또는 봉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홑겹부와 다중겹부는 직조로 제조되는 경우에서, 홑겹부와 다중겹부의 경계부위는 메시의 크기가 변경되어 직조됨으로써, 홑겹부와 다중겹부가 연속적으로 직조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홑겹부(121)와 다중겹부(122)는 차광 색깔과 다수의 공극을 갖는 차광 필름으로 형성되고,
차광 필름은 상기 홑겹부(121)부는 다중겹부(1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광 색깔이 엷으면서 차광 색깔 농도가 낮고, 공극 직경이 크면서 공극 간격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과 방충 겸용 차광막의 결합은, 프레임을 감싸는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방충 겸용 차광막의 단부가 개재되면 봉제 또는 열융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웨더스트립이 차량 내부의 창문 주위 내장재에 고정되고, 이 웨더스트립에 방충 겸용 차광막이 착탈되므로, 차량의 외관미가 보존되고, 창문을 열고 주행하는 도중에도 방충 겸용 차광막이 탈리되는 현상이 적어진다.
또한, 차량의 손잡이에 착탈되는 안전 손잡이의 고리에 의해 주행중 방충 겸용 차광막이 탈리되더라도 탈리범위를 제한함과 더불어 탈리된 차광막이 도로에 떨어지지 않아 후행 차량의 안전운행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안전 손잡이를 잡아당겨 방충 겸용 차광막을 웨더스트립으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방충 겸용 차광막의 일부위를 통해 사이드 미러에 투영된 상황을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어 차량의 안전운행이 향상된다.
차량 내부에서 아이들이 에어컨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수면을 취할 때도 창문을 열 수 있어 해충의 유입이 차단되면서 안전하게 휴식을 취하게 되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창문을 열어 외부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에어컨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어 연료 소비가 절감된다.
웨더스트립에 방충 겸용 차광막이 손쉽게 탈부착되므로 운전 중에도 탈부착이 가능하고, 차량 운행 중 잠깐의 휴식이나 수면을 위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랑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웨더스트립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방충 겸용 차광막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도 4a의 다른 실시 예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랑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웨더스트립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방충 겸용 차광막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도 4a의 다른 실시 예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100)는, 차량 내부의 창문 주위 내장재(101)에 장착되도록 외면에 부착수단이 형성된 웨더스트립(110); 이 웨더스트립(110)에 장착되는 망사 형태의 방충 겸용 차광막(120); 이 방충 겸용 차광막(120)이 웨더스트립(110)에서 탈리된 경우,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탈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방충 겸용 차광막(120)에 설치된 걸림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웨더스트립(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 겸용 차광막(120) 장착되었을 경우 창문을 완전히 가릴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고, 창문 주위 내장재(101)의 4방면에 대해 고착 또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웨더스트립(110)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다수로 제작될 수 있다.
웨더스트립(110)은 도 3에서 보듯이,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이면서 일단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타단부보다 높은 형태로, 기존의 웨더스트립을 개조하여 제작된다. 본 고안의 웨더스트립(110)은 고무, 실리콘 및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제작 가능하다.
웨더스트립(110)의 단면에서 높이가 높은 일단부가 창문측으로 배치되면서 높이가 낮은 일단부가 창문에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높이가 낮은 일단부를 통해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테두리가 수월하게 수용된다.
또한, 웨더스트립(110)의 양단부의 종단(110a,110b) 형태는 각 종단(110a,110b)의 정점이 양단부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게 치우치면서 유선형으로 제작된다.
웨더스트립(110)이 장착된 상태에서 보면, 높이가 높은 일단부에서 종단(110a)의 정점이 창문측으로 치우친 형상이고, 높이가 낮은 일단부에서 종단(110b)의 정점이 창문 반대측으로 치우친 형성이다.
이는 방충 겸용 차광막(120)이 장착될 때,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테두리가 낮은 높이를 갖는 일단부의 종단(110b)의 탄성을 극복하는 동시에 쉽게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웨더스트립(110)의 단면에서 양선단부의 종단(110a,110b) 형상으로 인해 양선단부 간의 공간이 넓게 형성되므로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테두리 수용이 용이하다.
또한, 방충 겸용 차광막(120)이 웨더스트립(110)으로부터 결합을 해제시킬 때, 높이가 낮은 일단부의 종단(110b)에 형성된 유선부위의 안내에 따라 방충 겸용 차광막(120)이 웨더스트립(110)으로부터 손쉽게 결합이 해제된다.
웨더스트립(110)의 부착수단은 웨더스트립(110)의 외면에 접착제층(111)이 형성되고, 이 접착제층(111)의 외면에 코팅막(112)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코팅막(112)은 종이 또는 비닐 재질로 접착제층(111)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접착제층(111)은 겔 또는 고체 상태로 웨더스트립(110)이 내장재(101)에 부착되어 반영구적으로 고착될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갖는다.
따라서, 웨더스트립(110)은 내장재(101)의 창문 근처 부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코팅막(112)이 제거되어 내장재(101)의 창문 근처 부위에 접착제층(111)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또한, 웨더스트립(110)의 부착수단은 접착제, 양면 테이프, 고무 자석, 벨크로 테이프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웨더스트립(110)을 내장재(101)에 장착시 현장에서 직접 이용되고, 고무 자석 또는 벨크로 테이프는 웨더스트립(110)과 내장재(101)에 각각 암수 기능의 부분이 장착되어 이용된다.
한편, 방충 겸용 차광막(12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통과할 수 있으면서 모기, 파리 등의 해충의 통과를 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메시(mesh)를 갖는 망사형태이다.
방충 겸용 차광막(120)은 직물, 합성 수지, 실리콘 ,방염처리된 유리섬유 또는 다수의 공극(121a,122a)을 갖는 차광 필름 등의 재질로 제작된다. 실리콘은 실처럼 가늘게 뽑아 이용되고, 방충 겸용 차광막(120)이 철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직물인 경우, 방충 겸용 차광막(120)은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를 보기 위한 홑겹부(121)와, 이 외의 다중겹부(122)로 이루어진다.
홑겹부(121)는 사이드 미러에 투영된 영상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메시를 가지는 직물이고, 최소의 면적은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의 투영을 볼 수 있을 정도이다.
또한, 홑겹부(121)는 메시가 없는 비닐, 차광 필름 등의 합성 수지가 이용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홑겹부(121)를 통해 사이드 미러에 투영된 상황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운행중 외부 바람에 의해 파열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
다중겹부(122)는 홑겹부(121) 이외의 면적을 가지고, 방충 겸용 차광 기능을 수행하면서 자외선 차단 기능도 얻을 수 있을 정도의 메시를 가지는 직물이며, 따라서 창문에 부착된 썬팅 필름 정도의 차광율을 갖는다.
도 4a에서 보듯이, 방충 겸용 차광막(120)을 직조할 때 메시를 좁게 하여 다중겹부(122)를 직조한 다음, 연이어 메시를 넓게 하여 홑겹부(121)을 직조하여 다중겹부(122)와 홑겹부(121)의 연결부위가 외견상으로 표시 나지 않도록 제작된다. 물론 홑겹부(121)을 먼저 직조한 다음 다중겹부(122)를 직조하여도 무방하다.
홑겹부(121)와 다중겹부(122)의 다른 실시예로 도 4b에서 보듯이,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 이어지는 부위에 별도의 중간부재를 매개로 봉제, 열융착 또는 접착제등이 포함된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중간부재는 직물이거나 경ㆍ연질의 합성 수지, 유리섬유, 고무 및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방충 겸용 차광막(120) 전체에 대해 홑겹으로 한 다음, 이 홑겹에 다른 홑겹 또는 다중겹이 다중겹부(122)의 면적만큼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다중겹부(122)는 직조로 이루어짐이 좋다.
홑겹부(121)와 다중겹부(122)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c에서 보듯이, 차광 필름에 다수의 공극(121a,122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광 필름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창문에 부착시키는 색깔이 있는 썬팅지와 유사하지만 주행시 외부 바람에 의한 파열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
차광필름은 유ㆍ무색의 비닐류 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대체될 수 있고, 여기서 설명은 차광필름으로 한다.
차광 필름은 홑겹부(121)와 다중겹부(122)에 대해 색깔 농도에 따라 상호 다른 차광율을 가진다. 차광 필름의 색깔 농도는 홑겹부(121)의 경우 사이드 미러의 투영을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이고, 다중겹부(122)의 경우 차광 기능을 하는 정도이다.
또한, 홑겹부(121)의 공극(121a)은 다중겹부(122)의 공극(122a) 보다 직경이 크고 공극 간의 간격이 넓다. 이는 홑겹부(121)를 통해 사이드 미러의 영상을 수월하게 확인하기 위함이고, 다중겹부(122)의 차광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차광 필름은 상기 홑겹부(121)부는 다중겹부(1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광 색깔이 엷으면서 차광 색깔 농도가 낮고, 공극 직경이 크면서 공극 간격이 넓다.
여기서, 공극(121a,122a)은 펀칭으로 형성된 구멍으로, 공극(121a,122a)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홑겹부(121)의 공극(121a)은 구멍이 아닌 차광 필름의 색깔이 제거된 투명한 부위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방충 겸용 차광막(120)은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테두리가 도 5에 도시된 프레임(140)에 결합된다.
이때,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테두리가 프레임(140)을 직접 감싼 후 봉제, 접착 또는 열융착으로 부착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확대되어 일부 절개된 부위에서 보듯이. 프레임(140)을 감싸는 연결부재(141)의 양단부에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테두리가 개재된 후 봉제, 접착 또는 열융착으로 부착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141)는 직물 재질 또는 고무를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고무 재질일 경우 대략 "U"자형이면서 양단부의 간격이 짧게 형성되어 프레임(140)에 억지끼움으로 장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프레임(140)은 웨더스트립(110)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부위로, 철(steel)을 포함한 금속류, 알루미늄을 포함한 비철금속 또는 PVC를 포함한 합성 수지, FRP를 포함한 유리섬유(fiber glass) 등의 경질의 재질은 물론 탄성 재질로도 제작된다.
이때, 프레임(140)은 웨더스트립(110)에 수용되는 부분으로, 프레임(140)이 탄성 재질의 경우 보관할 때 접어서 보관할 수도 있을 정도의 복원력을 갖는 탄성을 갖도록 제작된다.
프레임(140)은 한 가닥이 굴곡되어 제작될 경우 맞접촉되는 양단부는 편철(142)로 압착되어 결합되거나 용접으로 결합된다.
또한, 프레임(140)은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4방면에 대해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그 크기는 웨더스트립(110)에 수용되는 정도의 크기로 제작된다.
한편, 걸림수단은 도 1에서 보듯이, 방충 겸용 차광막(120)에 장착된 안전 손잡이(130)이다. 이 안전 손잡이(130)는 방충 겸용 차광막(120)과 프레임(140)의 결합부위에 봉제, 접착 또는 열융착으로 결합되는 고정부(131)와, 차량 내부 손잡이에 착탈되는 고리부(133)와, 고정부(131)와 고리부(133) 사이의 연결부(13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안전 손잡이(130)는 고리부(133)가 차량 내부의 손잡이에 결합되어 방충 겸용 차광막(120)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웨더스트립(110)으로부터 탈리되었을 때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탈리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고정부(131)는 프레임(140)이 결합된 방충 겸용 차광막(120)과 결합되는 부분에 고정되고, 방충 겸용 차광막(120)을 웨더스트립(11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고정부(131)를 파지하여 잡아당기게 된다.
연결부(132)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어 고리부(133)가 손잡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창문을 닫았을 때 창문에 끼이지 않도록 고무 밴드, 코일 스프링 또는 와이어 탄성 링 등의 탄성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고리부(133)는 도 1에서와 같이, 후크 형상으로 차량 내부 손잡이에 쉽게 체결되고, 체결해제는 사용자의 별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제작됨이 좋다.
한편, 웨더스트립(110), 방충 겸용 차광막(120), 안전 손잡이(130), 프레임(140) 등을 포함한 구성요소의 형태는 창문의 다양한 형태에 상응한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안전 손잡이(130)의 결합 위치는 차량 내부 손잡이 위치에 따라 가변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의 조립순서를 도면에 의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창문 주위 내장재(101)의 4방면에 대해 웨더스트립(110)이 부착된다. 이때 웨더스트립(110)은 내장재(101)와 접착제층, 접착제, 양면 테이프(112), 벨크로 테이프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고착 또는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여기서, 웨더스트립(110)은 창문의 작동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창문에 근접되게 부착되도록 함이 좋다.
이 웨더스트립(110)에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테두리가 수용되고, 보다 정확하게는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테두리에 부착된 프레임(140)이 웨더스트립(110)에 수용된다.
여기서,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장착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대각선 양단부를 웨더스트립(110)에 먼저 수용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가압하게 되면 방충 겸용 차광막(120)이 웨더스트립(110)에 손쉽게 장착된다.
이후, 안전 손잡이(130)의 고리부(133)가 차량 내부의 손잡이에 결합된다.
이로써, 창문에 대한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100)의 조립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방충 겸용 차광막(120)과 웨더스트립(110)의 체결 해제는 이용자가 안전 손잡이(130)의 고리부(133)를 차량 손잡이로부터 결합을 해제시킨 다음, 고정부(131)를 잡아당김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110...웨더스트립,
111...접착제층 112...코팅막,
120...방충 겸용 차광막 130...안전 손잡이,
140...프레임.

Claims (13)

  1.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창문 주위 내장재(101)에 장착되도록 외면에 부착수단이 형성된 웨더스트립(110);
    상기 웨더스트립(110)에 착탈되고, 테두리가 프레임(140)에 고착된 방충 겸용 차광막(120); 및
    상기 방충 겸용 차광막(120)이 상기 웨더스트립(110)으로부터 탈리된 경우, 상기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탈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방충 겸용 차광막(120)과 상기 프레임(140)의 고착 부위에 설치된 걸림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프레임(140)과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결합부위에 장착되는 고정부(131);
    차량 내부 손잡이에 착탈되는 고리부(133); 및
    고정부(131)와 고리부(133) 사이의 연결부(13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안전 손잡이(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스트립(110)의 단면 중 양단부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양단부의 종단(110a,110b) 형상은 정점이 양단부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게 치우친 유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스트립(110)의 단면에서 양단부 중 높이가 높은 일단부가 창문과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고, 높이가 낮은 일단부가 창문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웨더스트립(110)의 외면에 접착제층(111)이 형성되고, 이 접착제층(111)의 외면에 접착제층(111)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막(112)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2)는 코일 스프링, 탄성 와이어 링, 고무밴드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 겸용 차광막(120)은 사이드 미러의 투영을 보기 위한 상기 홑겹부(121)와, 이 홑겹부(121) 이외의 다중겹부(1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홑겹부(121)와 다중겹부(122)는 방충 겸용 차광을 위한 직물, 합성수지, 차광 필름, 유리섬유, 철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홑겹부(121)와 다중겹부(122)는 별도 제작되어 열융착, 접착 또는 봉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홑겹부(121)와 다중겹부(122)는 직조로 제조되는 경우에서, 상기 홑겹부(121)와 다중겹부(122)의 경계부위는 메시의 크기가 변경되어 직조됨으로써, 상기 홑겹부(121)와 다중겹부(122)가 연속적으로 직조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홑겹부(121)와 다중겹부(122)는 차광 색깔과 다수의 공극을 갖는 차광 필름으로 형성되고,
    차광 필름은 상기 홑겹부(121)부는 다중겹부(1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광 색깔이 엷으면서 차광 색깔 농도가 낮고, 공극 직경이 크면서 공극 간격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40)과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결합은, 상기 프레임(140)을 감싸는 연결부재(141)의 양단부에 상기 방충 겸용 차광막(120)의 단부가 개재되면 봉제, 접착 또는 열융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KR2020100009569U 2010-09-10 2010-09-10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KR200466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569U KR200466250Y1 (ko) 2010-09-10 2010-09-10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569U KR200466250Y1 (ko) 2010-09-10 2010-09-10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57U KR20120002057U (ko) 2012-03-20
KR200466250Y1 true KR200466250Y1 (ko) 2013-04-12

Family

ID=4617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569U KR200466250Y1 (ko) 2010-09-10 2010-09-10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2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80U (ko) 2020-10-15 2022-04-22 이승주 결합이 가능한 차량용 햇빛 가리개 겸 방충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4395B (zh) * 2015-05-29 2019-01-04 徐府实业股份有限公司 车用遮阳装置
AT518772B1 (de) * 2016-06-21 2018-01-15 Sepp Krassnig Mag Sonnenblende für ein Kfz-Seitenfenster
KR102424892B1 (ko) * 2020-01-28 2022-07-25 김용로 모기장겸용 차량용 커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394U (ko) * 1994-07-23 1996-02-14 정석종 차량용 통풍망
KR200192791Y1 (ko) * 2000-03-15 2000-08-16 이한흥 차량용 방충장치
KR200252472Y1 (ko) * 2001-08-01 2001-11-23 남종희 차량용 방충망
KR100836508B1 (ko) * 2007-10-12 2008-06-09 박정원 자동차모기장 겸용 햇빛가리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394U (ko) * 1994-07-23 1996-02-14 정석종 차량용 통풍망
KR200192791Y1 (ko) * 2000-03-15 2000-08-16 이한흥 차량용 방충장치
KR200252472Y1 (ko) * 2001-08-01 2001-11-23 남종희 차량용 방충망
KR100836508B1 (ko) * 2007-10-12 2008-06-09 박정원 자동차모기장 겸용 햇빛가리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80U (ko) 2020-10-15 2022-04-22 이승주 결합이 가능한 차량용 햇빛 가리개 겸 방충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57U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3878B2 (en) Thermally insulated cover for baby stroller
KR200466250Y1 (ko) 차량용 방충 겸용 차광막 조립체
US8684063B2 (en) Window covering having cord shrouds
KR102116841B1 (ko) 차량용 텐트
KR20090013053U (ko) 차양막부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
US20170049196A1 (en) Overarching Membrane Garment
KR200433475Y1 (ko) 대형 차량용 방충망
JP3173305U (ja) 日除け用マスク
KR20090012369U (ko) 자동차용 차단막
KR200393589Y1 (ko) 차량용 방충망
KR20110029046A (ko) 리본 틀을 구성한 망 또는 방충망
KR200433434Y1 (ko) 차량용 차양막
KR200423904Y1 (ko) 부분 또는 전체 개폐되는 차량용 다기능 방충망
KR102558689B1 (ko) 차량용 착탈식 방풍 방충막
CN103112335A (zh) 一种后侧车门车窗防护网
KR200402697Y1 (ko) 차량용 차양
KR200415610Y1 (ko) 차량용 해충 침입 방지장치
KR200363697Y1 (ko) 차광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방충망
KR20210002549U (ko) 방충겸용 차량 차양막장치
CN216969281U (zh) 车辆的帘布和具有其的车辆
JP3235420U (ja) タープ
KR200336080Y1 (ko) 자동차 도어용 방충망
KR200370970Y1 (ko) 차량용 방충장치
JP3191764U (ja)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
KR200496775Y1 (ko) 차량용 차양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