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064Y1 -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064Y1
KR200466064Y1 KR2020110009816U KR20110009816U KR200466064Y1 KR 200466064 Y1 KR200466064 Y1 KR 200466064Y1 KR 2020110009816 U KR2020110009816 U KR 2020110009816U KR 20110009816 U KR20110009816 U KR 20110009816U KR 200466064 Y1 KR200466064 Y1 KR 200466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air
hole
gas
air inlet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
Priority to KR2020110009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0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0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0Baffles or like flow-distu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로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에는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가스 공급부와 상기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가스통공이 형성되며, 내부 바닥에는 가스통공과 나란히 위치하여 외기를 인입시키기 위한 외기 인입공을 형성하는 외기 인입부가 설치되는 바디; 원통 형태로 내부에 격판이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에 얹혀지되 원주면에는 복수의 가스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격판에는 상기 가스통공과 대응하는 삽입통공을 형성시키는 관부가 설치되며, 상기 외기 인입부 상단과 결합되는 외기 유입구를 형성하는 외기 유입관이 설치되는 스프레더; 원판형 부재로 상기 스프레더의 개방된 상부를 덮되 중심에는 상기 외기 유입구와 대응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이 관통구의 외측으로는 상기 삽입통공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 중 일부가 배출될 수 있는 복수의 수직염공들이 형성되는 버너캡; 상기 버너캡의 관통구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외기 유입관과 대응되어 외기를 상기 버너캡의 관통구로 안내하는 외기 안내공이 형성되는 외기 안내판; 및 상기 버너캡의 상면에 이격 설치되어 관통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상기 복수의 수직염공들로 안내하기 위한 외기 안내커버;를 포함하는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조리 용기의 중심부까지 가열할 수 있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열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Cup-type burner assembly}
본 고안은 공기가 혼합되어 분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점화하여 조리할 수 있는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는 상부에 조리 용기를 올려놓고 조리 용기의 하면 가장자리부를 가열하여 음식물 등을 데우는 장치로 이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는 가스 공급부와 연결되며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바디(10)와, 바디(10)의 내부 중심에 상기 가스 공급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한 분사노즐(20)과, 바디(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스와 공기를 혼합시켜 불출시키는 스프레더(30)와, 바디(10)의 측면에 지지되어 스프레더(30)의 외측으로 분출되는 혼합된 가스에 불꽃을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40)와, 가스 연소시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가스밸브를 개폐시키는 써머커플(50) 및 스프레더(30) 상부로의 가스 분출을 막아 점화를 안내하는 버너캡(6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꽃의 편심을 방지하고자 가스를 분출하는 분사노즐(20)을 바디(10)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스프레더(30)의 중앙 통로를 통해 가스 유로가 상기 분사노즐(20)과 연통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스프레더(30)에서 가스가 점화될 때에 조리 용기의 중심부를 제외한 가장자리부만 가열할 수 있어서 조리시간이 오래 걸리고,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조리 용기의 중심부를 가열할 수 있는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로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에는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가스 공급부와 상기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가스통공이 형성되며, 내부 바닥에는 가스통공과 나란히 위치하여 외기를 인입시키기 위한 외기 인입공을 형성하는 외기 인입부가 설치되는 바디;
원통 형태로 내부에 격판이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에 얹혀지되 원주면에는 복수의 가스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격판에는 상기 가스통공과 대응하는 삽입통공을 형성시키는 관부가 설치되며, 상기 외기 인입부 상단과 결합되는 외기 유입구가 형성된 외기 유입관이 설치되는 스프레더;
원판형 부재로 상기 스프레더의 개방된 상부를 덮되 중심에는 상기 외기 유입구와 대응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이 관통구의 외측으로는 상기 삽입통공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 중 일부가 배출될 수 있는 복수의 수직염공들이 형성되는 버너캡;
상기 버너캡의 관통구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외기 유입관과 대응되어 외기를 상기 버너캡의 관통구로 안내하는 외기 안내공이 형성되는 외기 안내판; 및
상기 버너캡의 상면에 이격 설치되어 관통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상기 복수의 수직염공들로 안내하기 위한 외기 안내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판에는, 상기 삽입통공과, 상기 삽입통공과 인접한 상기 가스 배출구들의 사이에 가스분배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기 유입관의 상단은, 상기 격판의 판면 높이보다 단차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기 안내판의 외기 안내공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구에는, 그 하부 내주면에 상기 버너캡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설치되고, 그 상부 내주면에 상기 버너캡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기 안내판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외기 안내커버는, 상기 지지돌기들 상단에 안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에 의하면, 조리 용기의 중심부까지 가열할 수 있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열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분해조립도,
도 6은 도 5의 저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도 3의 스프레더를 상세히 보인 도면 및
도 8은 도 6의 버너캡과 외기 안내판의 분해조립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는 바디(110), 스프레더(120), 점화플러그(130), 써머커플(140), 버너캡(150), 외기 안내판(160) 및 외기 안내커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110)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로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부(110a)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점화플러그(130)와 상기 써머커플(140)이 설치될 수 있는 연장부(111)가 한 쌍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내부 바닥에는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편심되어 가스 공급부(112)와 상기 공간부(110a)를 연통시키는 가스통공(110b)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통공(110b)에는 노즐(11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내부 바닥에는 가스통공(110b)과 나란히 위치하여 외기(外氣)를 인입시키기 위한 외기 인입공(113a)을 형성하는 외기 인입부(113)가 일정 높이로 설치된다.
상기 스프레더(120)는 원통 형태로 내부에 수평한 격판(121)이 구비되고, 원주면에는 가스 배출구(120a)들이 복수로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는 상기 버너캡(150)에 의해 덮히고, 하부는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격판(121)에는 상기 가스통공(110b)에 설치된 노즐(113)과 대응하여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삽입통공(122a)을 형성시키는 관부(122)가 하부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기립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격판(121)에는 상기 삽입통공(122a)과 상기 삽입통공(122a)과 인접한 상기 가스 배출구(120a)들의 사이에 만곡된 턱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통공(122a)을 기준으로 보다 떨어져 있는 상기 가스 배출구(120a)들로 가스가 균등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가스분배턱(12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한 가스분배턱(125)이 없다면 상기 삽입통공(122a)과 인접한 상기 가스 배출구(120a)들로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가스가 공급되어 불꽃이 편심될 수 있으나, 가스분배턱(125)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통공(122a)과 인접한 상기 가스 배출구(120a)들로 가스 공급 유로를 일부 방해하여 상기 삽입통공(122a)과 떨어져 있는 상기 가스 배출구(120a)들로 공급되는 가스량과 균형을 맞출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격판(121)에는 상기 삽입통공(122a)과 접하여 상기 바디(110)의 외기 인입부(113) 상단이 삽입 결합되어 외기를 안내하는 외기 유입구(123a)가 관통형성된 외기 유입관(123)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외기 유입관(123)의 상단은 상기 격판(121)의 판면 높이보다 단차지게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상기 외기 안내판(160)의 외기 안내공(160b)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점화플러그(130)는 상기 바디(110)의 어느 하나의 연장부(111)에 지지되어 상기 스프레더(120)의 원주면에 형성된 가스 배출구(120a)들로부터 배출되는 혼합 가스에 스파크를 일으켜 가스를 점화시킬 수 있다.
상기 써머커플(140)은 상기 바디(110)의 다른 하나의 연장부(111)에 지지되어 혼합가스의 연소시 화염의 온도를 감지하여 미 도시한 제어장치로 신호를 보내 가스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즉, 상기 써머커플(140)에서 화염의 온도를 검지하여 화염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장치로 신호를 보내면 가스는 계속적으로 공급이 되고, 화염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장치로 신호를 보내면 가스의 공급이 중단되어 외부로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버너캡(150)은 원판형 부재로 상기 스프레더(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조리 용기(C)의 국물이 스프레더(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스프레더(120)의 가스 유입구(121a)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버너캡(150)의 하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유도하여 스프레더(120)의 원주면에 형성된 가스 배출구(120a)들을 통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 상기 버너캡(150)의 중심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기 유입관(123)의 외기 유입구(123a)와 대응하는 관통구(150a)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 관통구(150a)의 외측으로는 상기 삽입통공(122a)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 중 일부가 버너캡(150)의 판면을 관통하여 상부로 배출될 수 있는 복수의 수직염공(150b)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너캡(150)의 관통구(150a) 하부 내주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151)가 상기 버너캡(150)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버너캡(150)의 관통구(150a)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버너캡(15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돌기(152)가 설치된다.
상기 외기 안내판(16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너캡(150)의 관통구(150a) 하부에 설치된 결합돌기(15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160a)이 형성되고, 상기 외기 유입관(123)이 강제끼움식으로 삽입되어 외기를 상기 버너캡(150)의 관통구(150a)로 안내하는 외기 안내공(160b)이 형성된다.
상기 외기 안내커버(17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버너캡(150)의 지지돌기(152)들 상단에 안착결합되어 관통구(150a)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상기 버너캡(150)의 상면 방향(방사상)으로 안내하여 상기 복수의 수직염공(150b)들로 외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고안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의 상부(미 도시한 조리 받침대)에 조리 용기(C)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가스 공급부(112)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가스는 노즐(113)을 통해 바디(110)의 공간부(110a)로 공급된다.
이후, 공간부(110a)로 공급된 가스는 관부(122)의 삽입통공(122a)으로 공급되며, 스프레더(120)와 가스레인지 상판(P) 사이로 인입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가스 배출구(120a)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점화플러그(130)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되면 배출되는 가스가 점화되어 조리 용기(C)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삽입통공(122a)을 통하여 스프레더(120)의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혼합된 가스 중 일부는 복수의 수직염공(150b)들로 배출되어 함께 연소된다.
한편, 복수의 수직염공(150b)들은 조리 용기 및 가스 배출구(120a)의 화염에 의해 외기가 차단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르면 외기가 외기 인입공(113a) 및 외기 유입구(123a)를 통해 도면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버너캡(150)의 상면으로 공급되어 복수의 수직염공(150b)들로 외기가 공급되어 안정적인 연소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에 의하면, 조리 용기의 중심부까지 가열할 수 있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열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로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부(110a)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에는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가스 공급부(112)와 상기 공간부(110a)를 연통시키는 가스통공(110b)이 형성되며, 내부 바닥에는 가스통공(110b)과 나란히 위치하여 외기를 인입시키기 위한 외기 인입공(113a)을 형성하는 외기 인입부(113)가 설치되는 바디(110);
    원통 형태로 내부에 격판(121)이 구비되어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얹혀지되 원주면에는 복수의 가스 배출구(120a)가 형성되고, 상기 격판(121)에는 상기 가스통공(110b)과 대응하는 삽입통공(122a)을 형성시키는 관부(122)가 설치되며, 상기 외기 인입부(113) 상단과 결합되는 외기 유입구(123a)가 형성된 외기 유입관(123)이 설치되는 스프레더(120);
    원판형 부재로 상기 스프레더(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되 중심에는 상기 외기 유입구(123a)와 대응하는 관통구(150a)가 형성되며, 이 관통구(150a)의 외측으로는 상기 삽입통공(122a)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 중 일부가 배출될 수 있는 복수의 수직염공(150b)들이 형성되는 버너캡(150);
    상기 버너캡(150)의 관통구(150a)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외기 유입관(123)과 대응되어 외기를 상기 버너캡(150)의 관통구(150a)로 안내하는 외기 안내공(160b)이 형성되는 외기 안내판(160); 및
    상기 버너캡(150)의 상면에 이격 설치되어 관통구(150a)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상기 복수의 수직염공(150b)들로 안내하기 위한 외기 안내커버(170);
    를 포함하는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121)에는,
    상기 삽입통공(122a)과, 상기 삽입통공(122a)과 인접한 상기 가스 배출구(120a)들의 사이에 가스분배턱(12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관(123)의 상단은,
    상기 격판(121)의 판면 높이보다 단차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기 안내판(160)의 외기 안내공(160b)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150a)에는,
    그 하부 내주면에 상기 버너캡(150)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결합돌기(151)가 설치되고, 그 상부 내주면에 상기 버너캡(15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돌기(1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안내판(160)에는,
    상기 결합돌기(15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16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안내커버(170)는,
    상기 지지돌기(152)들 상단에 안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KR2020110009816U 2011-11-07 2011-11-07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KR200466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16U KR200466064Y1 (ko) 2011-11-07 2011-11-07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16U KR200466064Y1 (ko) 2011-11-07 2011-11-07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064Y1 true KR200466064Y1 (ko) 2013-03-26

Family

ID=5138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816U KR200466064Y1 (ko) 2011-11-07 2011-11-07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0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98B1 (ko) * 2013-04-10 2014-04-30 씨티엠(주) 가스버너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625A (ja) * 1994-11-25 1996-08-06 Rinnai Corp バーナ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12836A (ja) * 1995-10-20 1997-05-02 Sun Wave Ind Co Ltd ガスコンロのバーナーキャップ
KR20070053914A (ko) * 2005-11-22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드 더블 버너
KR20100069017A (ko) * 2008-12-15 2010-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625A (ja) * 1994-11-25 1996-08-06 Rinnai Corp バーナ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12836A (ja) * 1995-10-20 1997-05-02 Sun Wave Ind Co Ltd ガスコンロのバーナーキャップ
KR20070053914A (ko) * 2005-11-22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드 더블 버너
KR20100069017A (ko) * 2008-12-15 2010-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98B1 (ko) * 2013-04-10 2014-04-30 씨티엠(주) 가스버너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1102B (zh) 燃气燃烧器装置以及包括其的烹饪装置
RU2498157C2 (ru) Система горелок бытовой газовой плиты
KR20180024635A (ko)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877B1 (ko) 빌트인용 가스버너
KR20140022561A (ko) 컵 타입 버너
KR200466064Y1 (ko)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KR101230041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헤드 구조
KR101787388B1 (ko) 가스버너
KR101301436B1 (ko) 컵 타입 버너 장치
JP5164594B2 (ja) 加熱調理器
CN101799159A (zh) 上进风大功率燃烧器
JP5980255B2 (ja) コンロ用バーナ
KR101247895B1 (ko) 컵 타입 버너
KR10190901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레인지
KR101304847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101300899B1 (ko) 버너
EP3473928A1 (en) Radial flame plate and gas burner using same
KR200483096Y1 (ko)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
KR10076357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렌지
KR20130038591A (ko) 컵 타입 버너
KR101706392B1 (ko) 컵 타입 버너 조립체
KR100990442B1 (ko) 세라믹판형 버너
CN215637157U (zh) 燃烧器及燃气灶
CN216079796U (zh) 一种用于燃气灶的燃烧器
KR20130050071A (ko) 컵 타입 버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