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392B1 - 컵 타입 버너 조립체 - Google Patents

컵 타입 버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392B1
KR101706392B1 KR1020110124615A KR20110124615A KR101706392B1 KR 101706392 B1 KR101706392 B1 KR 101706392B1 KR 1020110124615 A KR1020110124615 A KR 1020110124615A KR 20110124615 A KR20110124615 A KR 20110124615A KR 101706392 B1 KR101706392 B1 KR 101706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upper body
spreader
groove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547A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3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하면에 둘레방향으로 만곡된 상부홈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홈의 일단은 측면으로 개방되고 상기 상부홈의 타단은 상부로 개방되며, 그 중심에 제1관통구가 형성되는 상부바디; 상기 상부홈과 대응하는 하부홈이 형성되되 상기 하부홈의 일단은 상기 상부바디의 일단과 대응되고 상기 하부홈의 타단은 상기 상부바디의 타단과 연통되며, 그 중심에 상기 상부바디의 제1관통구와 대응하는 제2관통구가 형성되는 하부바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상부바디의 상부에 얹혀져 결합되되 상기 상부바디의 타단과 대응하는 천공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천공부를 둘러싸며 양측으로 둘레방향으로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이 설치되며, 그 중심에 상기 제1, 2관통구와 연통하는 제3관통구가 형성되는 상부바디커버; 원통 형태로서 하부는 상기 격벽 상단과 밀착되고, 원주면에 가스 배출구들이 복수로 형성되며, 그 중심에 상기 제3관통구와 연통되는 제4관통구를 형성하는 관부가 설치되며, 상기 관부의 외측으로 수평한 격판이 설치되며, 이 격판의 양측에는 상기 구획공간의 양단과 각각 연통하는 가스 유입구가 형성되는 스프레더; 상기 스프레더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여 상기 스프레더 상부로의 가스 분출을 차단하며, 중심에 상기 제4관통구와 연통하는 제5관통구가 형성되는 버너캡; 및 상기 제1,2,3,4,5관통구에 삽입되되 상단이 상기 버너캡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가 지지되어 조리용기의 과열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과열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컵 타입 버너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상부바디, 하부바디, 상부바디커버, 스프레더의 내부 가스 공급 유로를 변경하여 과열방지장치를 컵 타입 버너 조립체의 중심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컵 타입 버너 조립체 {Cup-type burner assembly}
본 발명은 버너의 중앙에 과열방지장치를 장착하여 조리시 조리용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컵 타입 버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가정, 식당 등에서 가스버너를 이용한 조리시 조리용기의 과열에 따른 가스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고령화 추세에서 부주의에 의한 과열사고에 의한 화재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가스버너의 과열사고 예방대책이 요구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가스버너에는 과열방지장치가 설치되는데, 이 과열방지장치는 통상 2가지 타입(벤츄리 타입 버너 및 컵 타입 버너)의 버너 중 구조적인 제약(아래에서 설명)으로 벤츄리 타입의 버너에만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컵 타입 버너 조립체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컵 타입 버너 조립체는 가스관과 연결되며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바디(10)와, 바디(10)의 내부 중심에 상기 가스관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한 분사노즐(20)과, 바디(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스와 공기의 혼합시키는 스프레더(30)와, 바디(10)의 측면에 지지되어 스프레더(30) 주위에 혼합된 가스에 불꽃을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50)와, 불꽃 연소시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가스밸브를 개폐시키는 써머커플(40) 및 스프레더(30) 상부로의 가스 분출을 막아 점화를 안내하는 버너캡(6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컵 타입 버너 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를 분출하는 분사노즐(20)이 바디(10)의 중앙에 위치하고, 스프레더(30)의 중앙 통로를 통해 가스 유로가 상기 분사노즐(20)과 연통 형성됨으로써 조리 용기 바닥면의 중앙부와 접촉이 필요한 과열방지장치를 컵 타입 버너 조립체의 중앙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컵 타입 버너 조립체의 중앙부에 과열방지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컵 타입 버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컵 타입 버너 조립체는,
하면에 둘레방향으로 만곡된 상부홈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홈의 일단은 측면으로 개방되고 상기 상부홈의 타단은 상부로 개방되며, 그 중심에 제1관통구가 형성되는 상부바디;
상기 상부홈과 대응하는 하부홈이 형성되되 상기 하부홈의 일단은 상기 상부바디의 일단과 대응되고 상기 하부홈의 타단은 상기 상부바디의 타단과 연통되며, 그 중심에 상기 상부바디의 제1관통구와 대응하는 제2관통구가 형성되는 하부바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상부바디의 상부에 얹혀져 결합되되 상기 상부바디의 타단과 대응하는 천공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천공부를 둘러싸며 양측으로 둘레방향으로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이 설치되며, 그 중심에 상기 제1, 2관통구와 연통하는 제3관통구가 형성되는 상부바디커버;
원통 형태로서 하부는 상기 격벽 상단과 밀착되고, 원주면에 가스 배출구들이 복수로 형성되며, 그 중심에 상기 제3관통구와 연통되는 제4관통구를 형성하는 관부가 설치되며, 상기 관부의 외측으로 수평한 격판이 설치되며, 이 격판의 양측에는 상기 구획공간의 양단과 각각 연통하는 가스 유입구가 형성되는 스프레더;
상기 스프레더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여 상기 스프레더 상부로의 가스 분출을 차단하며, 중심에 상기 제4관통구와 연통하는 제5관통구가 형성되는 버너캡; 및
상기 제1,2,3,4,5관통구에 삽입되되 상단이 상기 버너캡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가 지지되어 조리용기의 과열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과열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홈과 상기 하부홈은, 'U'자 형태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일단에는, 분사노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열방지장치는, 상기 상부바디커버의 제3관통구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몸체와, 상기 센서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이 조리용기의 바닥과 접촉 가능한 온도센서와, 상기 하부바디의 제2관통구 및 상기 상부바디의 제1관통구를 통해 기립되어 상기 센서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바디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스프레더의 가스 배출구로 배출되는 혼합 가스에 불꽃을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타입 버너 조립체에 의하면, 상부바디, 하부바디, 상부바디커버, 스프레더의 내부 가스 공급 유로를 변경하여 과열방지장치를 컵 타입 버너 조립체의 중심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컵 타입 버너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타입 버너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분해해서 보인 분해도, 및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타입 버너 조립체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타입 버너 조립체는 상부바디(110), 하부바디(120), 상부바디커버(130), 스프레더(140), 써머커플(150), 점화플러그(160), 버너캡(170) 및 과열방지장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바디(110)는 하면에 'U'자 형태의 상부홈(111)이 형성되되 이 상부홈(111)의 일단(111a)은 측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그 타단(111b)은 상부로 개방되게 연장된다.
또, 상기 상부바디(110)의 중심에는 제1관통구(112)가 형성되며, 외측 둘레에는 상기 하부바디(120)와 일체로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볼트공(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바디(110)의 일측에는 상기 써머커플(150), 점화플러그(160)를 결합시키도록 연장된 한 쌍의 결합부(113)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하부바디(120)는 상면에 상기 'U'자 형태의 상부홈(111)과 대응하여 내부에 가스 공급 유로를 형성하는 'U'자 형태의 하부홈(121)이 형성되고, 그 일단은 상기 상부바디(110)의 일단(111a)과 대응되게 측면으로 개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상부바디(110)의 타단(111b)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 상기 하부바디(120)의 중심에는 상기 상부바디(110)의 제1관통구(112)와 대응하는 제2관통구(122)가 형성되어 상기한 과열방지장치(180)가 이들 제1, 2관통구(112)(122)를 관통하여 기립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바디(120)의 일단에는 외부의 가스관(도시 생략)이 연결되는 분사노즐(N)이 배치된다.
상기 상부바디커버(13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상부바디(110)의 상부에 얹혀져 결합되되 상기 상부바디(110)의 타단(111b)과 대응하는 천공부(131)가 형성되며, 중심에 상기 제1, 2관통구(112)(122)와 연통하는 제3관통구(13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부바디커버(130)의 상면에는 상기 천공부(131)를 둘러싸며 양측으로 연장되어 둘레방향으로 구획공간(133a)을 형성하는 격벽(133)이 기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스프레더(140)는 원통 형태로서 개방된 상부는 상기 버너캡(170)에 의해 덮히고, 하부는 상기 상부바디커버(130)의 격벽(133) 상단과 밀착되어 상기 상부바디커버(130)의 구획공간(133a)을 폐쇄한다.
또, 상기 스프레더(140)는 원주면에 가스 배출구(141)들이 복수로 형성되며, 중심에는 상기 상부바디커버(130)의 제3관통구(132)와 연통되는 제4관통구(142)를 형성하는 관부(143)가 기립 설치된다.
또한, 상기 관부(143)의 외측으로는 수평한 격판(144)이 설치되고, 이 격판(144)의 양측에는 상기 구획공간(133a)의 양단과 각각 연통하는 가스 유입구(144a)가 한 쌍으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써머커플(150)은 상기 상부바디(110)의 다른 하나의 결합부(113)에 지지되어 혼합가스의 연소시 화염의 온도를 감지하여 미 도시한 제어장치로 신호를 보내 가스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즉, 상기 써머커플(150)에서 화염의 온도를 검지하여 화염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장치로 신호를 보내면 가스는 계속적으로 공급이 되고, 화염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장치로 신호를 보내면 가스의 공급이 중단되어 외부로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점화플러그(160)는 상기 상부바디(110)의 어느 하나의 결합부(113)에 지지되어 상기 스프레더(140)의 원주면에 형성된 가스 배출구(141)들로부터 배출되는 혼합 가스에 스파크를 일으켜 불꽃을 점화시킬 수 있다.
상기 버너캡(170)은 원판형 부재로 상기 스프레더(14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조리용기의 국물이 스프레더(1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스프레더(140)의 가스 유입구(144a)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버너캡(170)의 하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유도하여 스프레더(140)의 외주부에 형성된 가스 배출구(141)들을 통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 상기 버너캡(170)의 중심에는 상기 스프레더(140)의 제4관통구(142)와 연통하는 제5관통구(171)가 형성된다.
상기 과열방지장치(180)는 조리용기의 과열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크게 센서몸체(181)와, 온도센서(182)와, 지지부(183)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몸체(181)는 원형관 형태로서 상기 상부바디커버(130)의 제3관통구(132)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온도센서(182)는 상기 센서몸체(18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이 조리용기의 바닥과 직접 접촉하여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는바, 접촉식 온도 센서라면 공지된 모든 종류의 온도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83)는 상기 하부바디(120)의 제2관통구(122) 및 상기 상부바디(110)의 제1관통구(112)를 통해 기립되어 상기 센서몸체(181)를 지지하며, 상기 하부바디(120)의 저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컵 타입 버너 조립체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컵 타입 버너 조립체의 상부(미 도시한 조리 받침대)에 조리용기를 올려놓으면 조리용기의 바닥이 조리 받침대보다 상부에 위치한 온도센서(182)와 접촉하게 된다.
한편, 노즐(N)을 통해 'U'자 형태의 상, 하부홈(111)(121)의 내부로 공급된 가스는 상부바디(110)의 타단(111b) 및 상부바디커버(130)의 천공부(131)을 통해 상기 상부바디커버(130)의 상면에 양측으로 형성된 구획공간(133a)으로 나눠져 공급된다.
이후, 구획공간(133a)으로 공급된 가스는 스프레더(140)의 가스 유입구(144a)를 통해 유입된 후, 가스 배출구(141)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점화플러그(160)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되면 배출되는 가스가 점화되어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아울러, 부주의에 의해 조리용기의 바닥이 과열될 경우(음식물의 수분이 모두 증발한 상태), 온도센서(182)가 조리용기의 과열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장치로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장치는 가스관의 가스 공급 통로를 차단하여 소화함으로써 부주의에 의한 조리용기의 과열로 인한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컵 타입 버너 조립체에 의하면, 상부바디(110), 하부바디(120), 상부바디커버(130), 스프레더(140)의 내부 가스 공급 유로를 변경하여 과열방지장치(180)를 컵 타입 버너 조립체의 중심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하면에 둘레방향으로 만곡된 상부홈(111)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홈(111)의 일단(111a)은 측면으로 개방되고 상기 상부홈(111)의 타단(111b)은 상부로 개방되며, 그 중심에 제1관통구(112)가 형성되는 상부바디(110);
    상기 상부홈(111)과 대응하는 하부홈(121)이 형성되되 상기 하부홈(121)의 일단은 상기 상부바디(110)의 일단(111a)과 대응되고 상기 하부홈(121)의 타단은 상기 상부바디(110)의 타단(111b)과 연통되며, 그 중심에 상기 상부바디(110)의 제1관통구(112)와 대응하는 제2관통구(122)가 형성되는 하부바디(120);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상부바디(110)의 상부에 얹혀져 결합되되 상기 상부바디(110)의 타단(111b)과 대응하는 천공부(131)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천공부(131)를 둘러싸며 양측으로 둘레방향으로 구획공간(133a)을 형성하는 격벽(133)이 설치되며, 그 중심에 상기 제1, 2관통구(112)(122)와 연통하는 제3관통구(132)가 형성되는 상부바디커버(130);
    원통 형태로서 하부는 상기 격벽(133) 상단과 밀착되고, 원주면에 가스 배출구(141)들이 복수로 형성되며, 그 중심에 상기 제3관통구(132)와 연통되는 제4관통구(142)를 형성하는 관부(143)가 설치되며, 상기 관부(143)의 외측으로 수평한 격판(144)이 설치되며, 이 격판(144)의 양측에는 상기 구획공간(133a)의 양단과 각각 연통하는 가스 유입구(144a)가 형성되는 스프레더(140);
    상기 스프레더(14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여 상기 스프레더(140) 상부로의 가스 분출을 차단하며, 중심에 상기 제4관통구(142)와 연통하는 제5관통구(171)가 형성되는 버너캡(170); 및
    상기 제1,2,3,4,5관통구(112)(122)(132)(142)(171)에 삽입되되 상단이 상기 버너캡(17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가 지지되어 조리용기의 과열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과열방지장치(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타입 버너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홈(111)과 상기 하부홈(121)은,
    'U'자 형태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타입 버너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110)와 상기 하부바디(120)의 일단에는,
    분사노즐(N)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타입 버너 조립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방지장치(180)는,
    상기 상부바디커버(130)의 제3관통구(132)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몸체(181)와, 상기 센서몸체(18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이 조리용기의 바닥과 접촉 가능한 온도센서(182)와, 상기 하부바디(120)의 제2관통구(122) 및 상기 상부바디(110)의 제1관통구(112)를 통해 기립되어 상기 센서몸체(181)를 지지하는 지지부(18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타입 버너 조립체.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110)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스프레더(140)의 가스 배출구(141)로 배출되는 혼합 가스에 불꽃을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타입 버너 조립체.
KR1020110124615A 2011-11-25 2011-11-25 컵 타입 버너 조립체 KR101706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615A KR101706392B1 (ko) 2011-11-25 2011-11-25 컵 타입 버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615A KR101706392B1 (ko) 2011-11-25 2011-11-25 컵 타입 버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547A KR20130058547A (ko) 2013-06-04
KR101706392B1 true KR101706392B1 (ko) 2017-02-15

Family

ID=4885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615A KR101706392B1 (ko) 2011-11-25 2011-11-25 컵 타입 버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0566B (zh) * 2019-07-30 2020-09-1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灶具火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4186A (ja) 2006-12-27 2008-07-17 Rinnai Corp 鍋底温度センサ付きガスコンロ
KR101247895B1 (ko) 2011-10-10 2013-03-26 주식회사 동양 컵 타입 버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877B1 (ko) * 2010-12-16 2013-05-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빌트인용 가스버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4186A (ja) 2006-12-27 2008-07-17 Rinnai Corp 鍋底温度センサ付きガスコンロ
KR101247895B1 (ko) 2011-10-10 2013-03-26 주식회사 동양 컵 타입 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547A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972B2 (en) Burner designed for wide range of input rates
US9127838B2 (en) Gas burner for cooking appliances
KR20140022561A (ko) 컵 타입 버너
RU2609814C2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с обращенным внутрь пламенем
KR20140137721A (ko) 이중 버너 형태의 가스 버너
KR101260877B1 (ko) 빌트인용 가스버너
KR20180024635A (ko)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452135B1 (ko) 컵 타입 버너
KR101301436B1 (ko) 컵 타입 버너 장치
KR102102148B1 (ko) 가스버너
KR101374278B1 (ko) 가스버너구조체
KR101706392B1 (ko) 컵 타입 버너 조립체
KR101247895B1 (ko) 컵 타입 버너
KR101203962B1 (ko) 빌트인용 가스버너
JP6434250B2 (ja) ガスバーナー
KR20130038591A (ko) 컵 타입 버너
KR101215950B1 (ko) 빌트인용 가스버너
KR20130050071A (ko) 컵 타입 버너 장치
KR200473375Y1 (ko) 가스레인지용 버너 조립체
KR101300899B1 (ko) 버너
KR101215955B1 (ko) 빌트인용 가스버너
KR200466064Y1 (ko) 컵 타입 버너 어셈블리
KR101457547B1 (ko) 가스버너
KR20090006533U (ko) 가스버너용 점화장치
KR20130003300U (ko) 컵 타입 버너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