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039Y1 - 디지털 시계 - Google Patents

디지털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039Y1
KR200466039Y1 KR2020120009556U KR20120009556U KR200466039Y1 KR 200466039 Y1 KR200466039 Y1 KR 200466039Y1 KR 2020120009556 U KR2020120009556 U KR 2020120009556U KR 20120009556 U KR20120009556 U KR 20120009556U KR 200466039 Y1 KR200466039 Y1 KR 200466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lock
minute
display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산
Original Assignee
김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산 filed Critical 김산
Priority to KR2020120009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0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039Y1/ko
Priority to PCT/KR2013/007156 priority patent/WO20140654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0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by controlling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diod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8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and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s of which represents the time, i.e. combinations of G04G9/02 and G04G9/08
    • G04G9/009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and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s of which represents the time, i.e. combinations of G04G9/02 and G04G9/08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7/00Indicating the time optically by electric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시계에 관한 것으로, 시계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시계본체(110)와; 상기 시계본체(110)의 전면판(114)에 매시간별로 하나씩 구비되는 분 표시패널(122)을 포함하며, 실시간 시각에 따라 해당 시의 분 표시패널(122)이 점등되어 해당 분을 00부터 59까지 숫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상기 시계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설정시각, 날짜, 알람시각, 타이머를 포함한 정보 설정 입력을 위한 조작을 할 수 있는 입력부(116)와;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입력된 설정시각을 기준으로 시간을 카운트하여 실시간 시각을 산출하고, 산출된 실시간 시각에 따라 상기 분 표시패널(122)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각 시의 정각 위치에서 분을 숫자로 표시하여 정확한 시각이 표시되고, 시각의 인식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시계{DIGITAL CLOCK}
본 고안은 디지털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원주상에 매시간별로 각각 구비되는 12개의 분 표시패널이 구비되어, 실시간 시각에 따라 해당 시에 위치한 분 표시 패널에 해당 분이 표시되게 함으로써 현재 시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시계 및 그 시간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계는 사용자에게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는 것을 주기능으로 하는 것으로, 크게 아날로그 시계와 디지털 시계로 구분된다.
아날로그 시계는 1시간 단위의 시간과 1분 단위 및 1초 단위를 나타낼 수 있는 눈금과, 일정 주기로 회전하는 시침, 분침 및 초침이 눈금을 가리킴으로써 시간을 나타낸다.
그러나 위와 같은 아날로그 시계는 1부터 12까지의 숫자로 표시되어 시는 표시된 그래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나, 분은 1부터 12까지의 숫자를 통해 계산해 내어야 하므로, 시계를 보는 법을 학습하지 않은 사용자는 시계가 나타내는 시간을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침이 가리키는 숫자를 통해 분을 계산해 내야할 뿐만 아니라, 분의 경과에 따라 시침이 정각을 가리키고 있지 않으므로 시계의 시 및 분을 단시간에 인식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아날로그 시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숫자를 학습한 사람이라면 누구나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현재 시, 분 및 초를 숫자로 표시함으로써 시간을 나타내는 디지털 시계가 이용된다.
현재 디지털 시계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40578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접목시켜 구현되고 있으나, 대부분 시간의 표시는 시, 분, 초의 숫자 나열로 표시되는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시간별 분을 나타내는 분 표시패널이 각각 구비되어, 실시간 시각에 따라 해당 시의 분 표시패널이 점등되어 해당 분을 숫자로 표시하는 새로운 방식의 디지털 시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 표시패널이 시계본체 전면판의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는 매시간 정각의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실시간 시각의 시를 정각의 위치에서 정확하게 표시되는 디지털 시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표준시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실시간 시각을 갱신 보정하여 정확한 시각을 나타내는 디지털 시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전원이 구비되어, 주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일정한 시간 동안 시간을 카운트 하는 카운터가 계속해서 작동되고, 입력부를 통해 사전에 입력된 설정 정보가 그대로 유지되는 디지털 시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시계는, 시계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시계본체와; 상기 시계본체의 전면판에 매시간별로 하나씩 구비되는 분 표시패널을 포함하며, 실시간 시각에 따라 해당 시의 분 표시패널이 점등되어 해당 분을 00부터 59까지 숫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시계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설정시각, 날짜, 알람시각, 타이머를 포함한 정보 설정 입력을 위한 조작을 할 수 있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설정시각을 기준으로 시간을 카운트하여 실시간 시각을 산출하고, 산출된 실시간 시각에 따라 상기 분 표시패널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되는 설정시각, 날짜, 알람시각, 타이머를 포함한 각종 설정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설정시각을 기준으로 시간을 카운트하여 실시간 시각을 산출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를 통해 산출된 실시간 시각에 따라 상기 분 표시패널의 점등을 제어하는 MPU(Microprocessor Unit);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 표시패널은 상기 시계본체 전면판의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는 매시간 정각의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에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표준시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실시간 시각을 갱신 보정하는 시간 동기화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주전원의 전원이 차단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메모리, 카운터 및 MPU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이 더 구비된다.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시계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분을 나타내는 분 표시패널이 매시간별로 하나씩 구비되어, 실시간 시각에 따라 해당 시의 분 표시패널이 점등되어 해당 분을 00분부터 59분까지의 숫자로 표시된다. 즉, 해당 시의 분 표시패널만이 점등되고, 나머지 시의 분 표시패널은 소등된 상태에서 점등된 분 표시패널에 해당 분이 숫자로 표시된다.
또한, 분 표시패널이 시계본체 전면판의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는 매시간 정각의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에는 없던 새로운 형식으로 시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간 시각의 시를 정각의 위치에서 정확하게 표시하고 분을 숫자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시간에 현재 시각을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시간 동기화수단에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표준시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실시간 시각을 갱신 보정 하므로, 정확한 시각이 표시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조전원에 의해 주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일정한 시간 동안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가 계속해서 작동되고, 입력부를 통해 사전에 입력된 설정 정보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주전원이 차단 후 다시 공급되는 경우 시간 및 설정을 다시 입력하지 않아도 주전원 차단 전의 상태가 유지되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계의 구성 중,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시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디지털 시계의 구성 중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시계는, 시계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시계본체(110), 시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 시각 설정을 위한 입력부(116), 시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본체(110)는 시계의 외각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112)과, 상기 프레임(112)의 전면에 구비되는 평면의 전면판(114)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112)의 후면에는 평면의 후면판이 구비되며, 상기 전면판(114)과 후면판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12), 전면판(114) 및 후면판은, 도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이나, 다각형 등의 다른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계본체(110)의 전면판(114)에는 디스플레이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실시간 시각 및 시계의 설정 정보를 외부에서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분 표시패널(122)이 포함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 표시패널(122)은 매시간 별로 하나씩 구비되며, 실시간 시각의 분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 표시패널(122)은 실시간 시각에 따라 해당 시의 분 표시패널(122)이 점등되어, 해당 분이 00부터 59까지의 숫자로 표시된다. 즉, 상기 분 표시패널(122)은 실시간 시각에 따라 해당 시의 분 표시패널(122)만이 점등되고 나머지 다른 시의 분 표시패널(122)은 소등된 상태에서, 상기 점등된 분 표시패널(122)에 해당 분이 숫자로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 분 표시패널(122)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114)의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는 매시간 정각의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12시간을 기준으로하여 동일 원주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하는 각 정각의 위치에 하나씩 총 1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 표시패널(122)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24시간을 기준으로 총 2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렬로 배열되는 등 매시간마다 배분되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 표시패널(122)은 LCD 창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 표시패널(122)은 매시간별로 하나씩의 LCD 창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시계 전면판(114) 전체가 LCD 판으로 구성되어 매시간별로 각각의 위치에 숫자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 표시패널(122)은 LCD 외에도 LED, AMOLED 등 제어를 통해 숫자와 같은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어떠한 표시소자든 사용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분 표시패널(122)의 일측에는 매시간 정각을 표시하는 식별자(124)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식별자(124)는 정각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기호, 문자, 눈금 등의 어떠한 것으로든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식별자(124)는 도 1에서는 눈금으로 표시되었으나, 원형이나 다각형 등의 기호로써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시를 나타내는 숫자로써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식별자(124)는 LED 램프로써 구성되어, 실시간 시각의 해당 시에 점등됨으로써 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자(124)가 LED 램프로써 구성된 경우, 1초 단위로 점멸됨으로써 실시간 시각의 해당 시를 표시함과 동시에, 초의 경과를 표시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날짜 표시패널(126) 및 기타 표시패널(128)이 더 포함된다. 상기 날짜 표시패널(126)은 상기 전면판(114)의 일측에 구비되어 현재의 날짜와 요일 등을 표시하며, LCD나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타 표시패널(128)은 알람의 설정여부를 표시하거나, AM/PM을 표시하며, 역시 LCD나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114) 중앙의 공간에는 문자, 사진 등의 이미지를 삽입하여 장식과 광고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계본체(110)의 일측에는 소리출력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소리출력부(150)는 알람을 설정하였을 경우, 해당 알람 시간이 되었을 때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소리출력부(150)는 아래에서 설명할 입력부(116)를 누를 때마다 소리를 출력하여 입력부(116)의 정상 동작 여부를 외부로 표시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시계본체(110)의 일측에는 입력부(116)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116)는 상기 프레임(112)의 일측에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시계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설정시각, 날짜, 알람시각, 타이머를 포함한 정보 설정 입력을 위한 조작을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6)는 일반적인 시계의 버튼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시계본체(110)의 전면판(114)과 후면판 사이의 공간에는 제어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입력된 설정시각을 기준으로 시간을 카운트하여 실시간 시각을 산출하고, 산출된 실시간 시각에 따라 상기 분 표시패널의 점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부(116)를 통한 알람시각, 타이머 설정에 따라, 설정된 알람시각 시점 및 타이머 시점에 소리를 내도록 아래에서 설명할 소리출력부(15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메모리(132), 카운터(134), MPU(136) 등으로 구성된다.
메모리(132)는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설정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모리(132)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입력, 설정되는 설정시각, 날짜, 알람시각, 타이머를 포함한 각종 설정정보로 이루어 진다. 상기 메모리(132)는 정보의 저장, 삭제가 자유로운 플래시 메모리로 구현이 가능하며, 데이터의 저장, 삭제가 용이한 다른 저장매체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카운터(134)는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입력된 설정시각을 기준으로 시간을 카운트하여 실시간 시각을 산출한다. 즉, 상기 카운터(134)를 통해 실시간 시각이 계속해서 산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운터(134)에는 수정진동자와 같은 발진체가 구비되어, 일정한 시간 간격의 펄스를 발생시켜 시간을 카운트한다.
MPU(Microprocessor Unit,136)는 상기 카운터(134)를 통해 산출된 실시간 시각에 따라 상기 분 표시패널(122)의 점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카운터(134)를 통해 산출되는 실시간 시각에 따라 해당 시의 분 표시패널(122)을 점등하고, 상기 점등된 분 표시패널(122)에 해당 분을 표시하도록 점등을 제어한다. 이때, 해당 시 외의 다른 분 표시패널(122)들은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카운터(134)에는 시간 동기화수단(135)이 더 구비된다. 상기 시간 동기화수단(135)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표준시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실시간 시각을 갱신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 동기화수단(135)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표준시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위성 통신 등과 같은 다른 무선수단을 통해 표준시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계본체(110)의 일측에는 주전원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주전원부(1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주전원부(140) 외에, 상기 제어부(13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138)이 제어부(130)에 구비된다. 상기 보조전원(138)은 주전원부(140)의 전원이 차단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어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전원(138)은 상기 주전원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일정량 축전해 두었다가, 상기 주전원부(140)의 전원이 차단된 후에, 상기 제어부(130)를 구성하는 메모리(132), 카운터(134) 및 MPU(136)에 전기를 공급한다. 이는, 상기 주전원부(140)가 차단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메모리(132), 카운터(134) 및 MPU(136)가 계속해서 동작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시계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시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시계본체(110)의 주전원부(140)를 통해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20)에 전기가 공급되면 시계가 구동된다. 상기 시계의 구동이 준비되면, 입력부(116)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하는 설정시각이 입력되고, 입력된 설정시각은 MPU(136)를 통해 카운터(134)로 전달되고, 메모리(132)에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134)는 상기 설정시각을 기준으로 시간을 카운트하여 실시간 시각을 산출한다. 상기 카운터(134)는 전원이 공급되는 순간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발생하여 시간을 카운트하고 있다가, 상기 MPU(136)로부터 전달받은 설정시각을 기준으로 카운트되는 시간을 더하여 실시간 시각을 계속해서 산출해 낸다.
이어서, 상기 MPU(136)는 상기 카운터(134)가 산출해내는 실시간 시각을 전달받아 분 표시패널(122)의 점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카운터(134)로부터 전달받은 실시간 시각이 3시 25분인 경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각 3시에 위치한 분 표시패널(a)이 점등되어, 25가 숫자로 표시된다. 이때, 3시에 위치한 분 표시패널(a)을 제외한 나머지 분 표시패널들은 소등된 상태이다. 그리고, 계속해서 실시간 시각이 산출되고, 상기 3시에 위치한 분 표시패널(a)은 1분마다 표시가 갱신되어 59분까지 표시된다. 다음으로, 3시 59분이 지나 4시가 되면, 상기 3시에 위치한 분 표시패널(a)이 소등되는 동시에 4시에 위치한 분 표시패널(b)이 점등되면서 00이 숫자로 표시된다.
상기 카운터(134)에서는 계속해서 실시간 시각을 산출하며, 주기적으로 시간 동기화수단(135)에 의해 실시간 시각이 갱신 보정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134)는 상기 갱신 보정된 실시간 시각으로부터 카운트되는 시간을 더하여 실시간 시각을 계속해서 산출해 낸다.
상기 시간 동기화수단(135)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표준시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카운터(134)에서 산출하는 실시간 시각과 표준시간의 오차를 보정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설정시각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상기 시간 동기화수단(135)을 통해서 실시간 시각이 산출된다.
그러나, 상기 시간 동기화수단(135)이 표준시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이 불가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설정시각을 입력함으로써 시계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시계를 사용중에 상기 주전원부(140)의 전기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는 보조전원(138)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구동이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주전원부(140)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카운터(134)에 의한 실시간 시간 산출이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전원부(140)의 전기 공급이 재개되면 시계는 별도의 설정 입력을 하지 않고 이전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벽시계를 예로 들었으나, 벽시계 이외에 탁상시계, 손목시계 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 시계본체 112 : 프레임
114 : 전면판 116 : 입력부
120 : 디스플레이부 122 : 분 표시패널
124 : 식별자 126 : 날짜 표시패널
128 : 기타 표시패널 130 : 제어부
132 : 메모리 134 : 카운터
135 : 시간 동기화수단 136 : MPU(Microprocessor Unit)
138 : 보조전원 140 : 주전원부
150 : 소리출력부

Claims (5)

  1. 시계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시계본체(110)와;
    상기 시계본체(110)의 전면판(114)에 매시간별로 하나씩 구비되는 분 표시패널(122)을 포함하며, 실시간 시각에 따라 해당 시의 분 표시패널(122)이 점등되어 해당 분을 00부터 59까지 숫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상기 시계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설정시각, 날짜, 알람시각, 타이머를 포함한 정보 설정 입력을 위한 조작을 할 수 있는 입력부(116)와;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입력된 설정시각을 기준으로 시간을 카운트하여 실시간 시각을 산출하고, 산출된 실시간 시각에 따라 상기 분 표시패널(122)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설정되는 설정시각, 날짜, 알람시각, 타이머를 포함한 각종 설정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132)와;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입력된 설정시각을 기준으로 시간을 카운트하여 실시간 시각을 산출하는 카운터(134)와;
    상기 카운터(134)를 통해 산출된 실시간 시각에 따라 상기 분 표시패널(122)의 점등을 제어하는 MPU(Microprocessor Unit,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 표시패널(122)은,
    상기 시계본체(110) 전면판의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는 매시간 정각의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134)에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표준시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실시간 시각을 갱신 보정하는 시간 동기화수단(13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에는,
    주전원부(140)의 전원이 차단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메모리(132), 카운터(134) 및 MPU(136)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13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계.
KR2020120009556U 2012-10-22 2012-10-22 디지털 시계 KR200466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556U KR200466039Y1 (ko) 2012-10-22 2012-10-22 디지털 시계
PCT/KR2013/007156 WO2014065494A1 (ko) 2012-10-22 2013-08-08 디지털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556U KR200466039Y1 (ko) 2012-10-22 2012-10-22 디지털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039Y1 true KR200466039Y1 (ko) 2013-04-03

Family

ID=50544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556U KR200466039Y1 (ko) 2012-10-22 2012-10-22 디지털 시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6039Y1 (ko)
WO (1) WO20140654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512A (ko) 2018-02-12 2019-08-21 정승진 향이 나오는 알람시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8348A (ja) 1996-10-22 1998-05-12 Gatsuken Toy Hobby:Kk 玩具時計
KR200367305Y1 (ko) 2004-08-06 2004-11-09 소상범 엘이디 무브먼트 시계
JP2008309635A (ja) 2007-06-14 2008-12-25 Ricoh Elemex Corp デジタル時計
KR20120011984A (ko) * 2010-07-29 2012-02-09 박혜경 엘이디를 이용한 시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8348A (ja) 1996-10-22 1998-05-12 Gatsuken Toy Hobby:Kk 玩具時計
KR200367305Y1 (ko) 2004-08-06 2004-11-09 소상범 엘이디 무브먼트 시계
JP2008309635A (ja) 2007-06-14 2008-12-25 Ricoh Elemex Corp デジタル時計
KR20120011984A (ko) * 2010-07-29 2012-02-09 박혜경 엘이디를 이용한 시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512A (ko) 2018-02-12 2019-08-21 정승진 향이 나오는 알람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5494A1 (ko)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41807A1 (en) Analog Type Watch and Time Set Method
CN110462528B (zh) 用于调节电子手表的工作频率的方法
US9022643B2 (en) Analog electronic timepiece with fast-setting hands
JP2009541772A (ja) Ledディスプレイ時計及びその時間表示方法
JP2021131395A (ja) 電子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0466039Y1 (ko) 디지털 시계
CN100514228C (zh) 在模拟显示装置和表的计时器之间的同步方法
US6205090B1 (en) Automatically correctable clock
JP6874457B2 (ja) 情報表示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6394008B2 (ja) 電子時計及び日時データの修正方法
US73592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a correct time and date when initially activating a clock
TW200304056A (en) Prayer clock
JP6507714B2 (ja) 電子時計
JP2017075818A (ja) 電子時計および電子時計の表示制御方法
CN210666372U (zh) 一种具有提示功能的手表
US20080056072A1 (en) Daylight saving time adjustment method and timepiece employing the method
CN219496904U (zh) 采用双色发光进行刻度指示的电子表装置
JP6410025B2 (ja) 電子時計
JP2014032067A (ja) 電波修正時計、及び時刻修正方法
JPS6111673Y2 (ko)
JP2017227588A (ja) 時刻設定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時刻設定方法
JP6089018B2 (ja) ガスデマンド監視装置
JP2006266997A (ja) 腕時計
KR100869495B1 (ko) 전광판 기능을 갖는 시계
JP2017075816A (ja) 電子時計および電子時計の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