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019Y1 - 염색약 혼합용기 - Google Patents

염색약 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019Y1
KR200466019Y1 KR2020110009778U KR20110009778U KR200466019Y1 KR 200466019 Y1 KR200466019 Y1 KR 200466019Y1 KR 2020110009778 U KR2020110009778 U KR 2020110009778U KR 20110009778 U KR20110009778 U KR 20110009778U KR 200466019 Y1 KR200466019 Y1 KR 200466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ye
mixture
stopp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환
박균명
이상용
김주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20110009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0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염색약 혼합시에 사용되는 염색약 혼합용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구슬이나 교반용 막대기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주입된 염모제와 산화제를 교반시키는 용기 몸체부; 및 상기 용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제1 배출홈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에 의해 생성된 혼합제가 상기 제1 배출홈을 통해 인입될 경우, 상기 인입된 혼합제를 다시 상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 마개의 상부에는, 최종 배출된 상기 혼합제를 골고루 묻히거나 번지도록 복수 개의 빗살부가 형성되어 있는 염색약 혼합 용기가 제공된다.
이에, 본 고안은 구슬이나 막대기 등에 의한 염색약의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염색약의 주위로 오염을 방지하며, 빗없이도 간편하게 염색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염색약 혼합용기{MIXING VESSEL OF DYEING MATERIALS}
본 고안은 염색약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염색약 혼합시에 사용되는 염색약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머리에 염색을 하고자 한다면 일단 용기 안에 염색제와 산화제(두 물질을 합쳐 상황에 따라 '염색제' 또는 '혼합제'라고도 지칭함)를 섞은 후, 빗살이 나있는 빗을 이용하여 휘저움으로써, 상기 염색제와 산화제가 충분히 섞여지게 하여 염색을 한다.
이때, 염색제와 산화제를 담고 있는 용기는 통상 1회용의 용도에 맞는 재질로 제작되거나 비록 1회용이 아닌 여러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서의 재질로 제작되어도 통상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염색약을 섞는 과정에서 염색약이 외부로 튀거나, 사람의 머리에 바르고자 할 경우에 빗에 묻힌 염색약이 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여간 불편한 점이 아닐 수 없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1회용에 가까운 염색약용 혼합 용기는 통상적으로 액체 물질을 넣어두는 용기와는 구별되는 형태임에 틀림이 없다. 따라서, 머리에 염색하는 과정이나 염색약을 섞는 과정에서 염색약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는 염색약 혼합 용기가 필요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람의 손에 들린 빗이 아닌 통 내부에 삽입된 구슬이나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염색제와 산화제의 교반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염색약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대로 교반된 염색약을 사람의 손에 의해 눌러져 쉽게 외부로 토출시키고, 토출된 염색약(혼합제가)이 외부로 튀지 않고 바로 사람의 머리에 발라지도록 하는 염색약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르면, 복수 개의 구슬이나 교반용 막대기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주입된 염모제와 산화제를 교반시키는 용기 몸체부; 및 상기 용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제1 배출홈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에 의해 생성된 혼합제가 상기 제1 배출홈을 통해 인입될 경우, 상기 인입된 혼합제를 다시 상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 마개의 상부에는, 최종 배출된 상기 혼합제를 골고루 묻히거나 번지도록 복수 개의 빗살부가 형성되어 있는 염색약 혼합 용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른 상기 용기 마개는, 상기 혼합제를 최종 배출하도록 상부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되, 상기 빗살부의 사이사이마다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배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배출홈을 통하여 최종 배출된 혼합제는 빗살부에 골고루 묻혀지거나 번지게 하여 염색약이 튀지 않고 머리에 바로 바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른 상기 빗살부는, 휘어지는 성질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머리에 염색약을 골고루 바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른 상기 용기 마개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배출홈의 외주면에 형성된 불연속적인 걸림돌기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내주면의 윗 방향으로 상기 제2 배출홈을 형성하여 상부로 관통시키는 마개 고정부와; 상기 마개 고정부의 외곽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두거나 접촉하여 둘러싸고 있는 마개 외곽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용기 몸체부를 흔들거나 거꾸로 세워도 외부로 혼합제가 흘러나오는 현상을 없앨 수 있으며, 용기 몸체부와 용기 마개 사이의 혼합제 흐름을 적당하게 유지시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른 상기 용기 몸체부는, 연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하여 사람의 손에 의해 쉽게 눌러지도록 하여 혼합제의 최종 배출을 용이하게 도와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구슬이거나 교반용 막대기로 인하여, 염모제와 산화제의 교반이 적당히 이루어져, 원활하게 외부로 혼합제를 배출시킴으로써, 손에 들린 빗의 의존도로부터 탈피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 몸체부와 용기 마개간의 정밀 밀봉 결합 관계로 인하여, 흔들거나 거꾸로 세워도 혼합제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사이의 혼합제 흐름을 적당하게 유지시켜 혼합체를 배출할 수 있어, 손에 들린 빗의 의존도로부터 탈피시킬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용기 마개 상의 빗살부 사이사이마다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배출홈의 구비로 인하여, 제2 배출홈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배출된 혼합제가 바로 빗살부의 주위로 번지고 묻혀지게 되어, 별도의 사람 손을 거치지 않고서도 바로 사람의 머리에 염색약을 바를 수 있으며, 염색약이 튀지않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염모제와 산화제를 외부로 노출없이 교반할 수 있는 용기 몸체부와 용기 마개의 구조로 인하여, 염색시 무한정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달성된다. 더욱 나아가서는 재사용으로 인하여, 소비자에게 염색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생산자에게 원가를 절감시키는 있는 잇점을 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약 혼합 용기(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막대기(1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시 필요한 용기 몸체부(110)의 상단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시 필요한 용기 마개(120)의 하부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20)의 상부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염색약 혼합 용기 예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약 혼합 용기(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막대기(1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약 혼합 용기(100)는 용기 몸체부(110), 용기 마개(120) 및 복수 개의 구슬(130) 혹은 여러 형태의 교반용 막대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러 형태(141, 142, 143)의 교반용 막대기(140)는 도 3과 같이 나타 내었다.
먼저, 본 고안의 용기 몸체부(110)는 머리 염색에 필요한 염모제와 산화제가 주입될 경우 주입된 염모제와 산화제를 교반시키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염모제와 산화제의 교반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용기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이후에 설명될 복수 개의 구슬(130)이 투입되거나 교반용 막대기(131)를 삽입하여 교반시킨다.
따라서, 복수 개의 구슬(130)이 투입된 상태에서 용기 몸체부(110)를 흔들면, 용기 몸체부(110)의 내에 존재하는 염모제와 산화제가 복수 개의 구슬(130)과 부딪쳐 더욱 더 용기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교반이 이루어지게 되거나 교반용 막대기(140)를 삽입하여, 용기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교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용기 몸체부(110)는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1회용 플라스틱 용기 형태가 아닌 재사용이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며, 상부만이 개방된 밀폐된 구조를 갖는다. 쉽게 말하면 음료수 병과 같은 구조를 이룰 것이다. 여기서, 개방된 상부 구조를 제1 배출홈(111)이라 명명한다.
이를 종합하면, 결국 본 고안의 용기 몸체부(110)는 상부에 제1 배출홈(111)을 구비한 채 내부 공간을 갖고 밀폐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제1 배출홈(111)은 염색을 하고자하는 사람의 의도에 의하여 산화제와 염모제가 용기 몸체부(110)의 내부로 투입될 투입구 역할을 하면서도 이후에 설명될 용기 마개(120)와 결합시, 염모제와 산화제 간 교반된 결과인 혼합제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방출구의 역할을 갖기도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용기 마개(120)는 용기 몸체부(110)의 상단에 형성된 제1 배출홈(111)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결합 후, 용기 몸체부(110)의 교반에 의해 생성된 혼합제가 용기 몸체부(110)의 제1 배출홈(111)을 통해 용기 마개(120)의 내부로 인입될 경우, 상기 인입된 혼합제가 다시 용기 마개(120)의 상부로 배출되는데 용이하도록 용기 마개(12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제2 배출홈(이후의 도 4에서 '122'로 표기함)을 구비하는 구조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용기 몸체부(110)와 용기 마개(120)의 결합 구조는 도 1 및 도 4에서 설명하며, 제2 배출홈(122)의 구조는 이후의 도 5 및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무엇보다도, 용기 몸체부(110)로부터 최종 배출된 혼합제가 제2 배출홈(122)에 의해 용기 몸체부(110)의 상단에서 토출될 경우, 용기 몸체부(110)의 상단으로 토출된 혼합제가 사람의 인위적인 동작에 의해 또는 자연적인 현상에 의해 용기 몸체부(110)의 상단 주위로 골고루 번질 수 있게끔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용기 몸체부(110)의 상단에는 복수 개의 빗살부(121)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복수 개의 빗살부(121)에 대해서도 이후의 도 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구슬(130)과 교반용 막대기(1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있는 염모제와 산화제 간의 교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끔 사람의 의도에 따라 흔들거나 휘저을 경우 용기 몸체부(110)의 내부와 마찰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유발시키는 도구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구슬(130)과 교반용 막대기(140)는 기존의 회전에 의하여 두 물질을 섞는 회전 기구와 마찬가지로 그와 동일한 수준의 교반 작업을 할 수 있으면서도 단가면에서 가격이 낮아 경제성이 높으며, 회전 기구와 같이 불필요한 구조를 용기 몸체부(110)와 같은 내부 구조에 적용되지 않아도 되어 또한 경제성을 보장하여 준다.
이하에서는,용기 몸체부(110)의 상단 구조와, 용기 마개(120)에 대한 상,하부의 보다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시 필요한 용기 몸체부(110)의 상단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시 필요한 용기 마개(120)의 하부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20)의 상부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몸체부(110)의 상단에는 염모제와 산화제의 투입과 염모제와 산화제의 교반된 결과인 혼합제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입출구의 역할을 제1 배출홈(111)이 용기 몸체부(110)의 상단 중앙부근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배출홈(111)의 외주면(111a)에는 용기 마개(120)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불연속적인 걸림돌기(11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111b)는 용기 마개(12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홈(123b)에 대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반면,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120)의 하부에는, 대향하고 있는 제1 배출홈(111)의 외주면(111a)에 형성된 불연속적인 걸림돌기(111b)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내주면(123a)에 걸림홈(123b)을 형성하여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의 용기 마개(120)의 하부에는 내주면(123a)의 윗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2 배출홈(122)을 형성하여 상부로 관통시키는 마개 고정부(123)와 마개 고정부(123)의 외곽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두거나 접촉하여 둘러싸고 있는 마개 외곽부(124)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배출홈(122)은 결국 용기 마개(120)의 하단 내에 있는 마개 고정부(123)의 내부 일단에서 시작하여 용기 마개(120)의 상단까지 연장되어진 관통구을 의미한다. 이러한 복수 개의 관통구는 용기 몸체부(110) 내에서 교반된 혼합제가 지나는 경로 역할을 하면서도 적당량의 혼합제가 토출되도록 매우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하여, 본 고안의 마개 고정부(123)는 내부에 있는 걸림홈(123b)이 용기 몸체부(110)의 걸림돌기(111b)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염색약 혼합 용기(100)가 거꾸로 서 있을 경우에도 외부로 새지 않도록 깊숙이 박힌 내주면(123a)를 갖고 있어 용기 몸체부(110)의 상단과 결합시 밀폐된 공간이 크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반면, 마개 고정부(123)를 애워싸고 있는 마개 외곽부(124)는 마개 고정부(123)를 보호하면서도 용기 몸체부(110)의 상단과 용기 마개(120)의 하단이 결합할 시 상호 위아래로 맞닿는 면이 밀착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 마개(120)의 상부에는 앞서 설명한 복수 개의 제2 배출홈(122)이 외부 표면상에 표출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2 배출홈(122)은 용기 마개(120)의 내부를 통과한 혼합제를 최종 배출하도록 상부의 중앙 부근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빗살부(121)의 사이사이마다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으로 골고루 분포하여 용기 마개(120)의 상단에 빗살부(121)가 형성될 경우, 빗살부(121)의 사이사이마다 제2 배출홈(122)이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용기 마개(120)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진 빗살부(121)의 사이사이마다 제2 배출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면, 최종적으로 배출된 혼합제는 사람의 의도에 따라 용기 몸체부(110)가 눌러져 그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에 따라 토출되기 때문에 제2 배출홈(122)의 주위로 번져 빗살부(121)의 전체로 까지 확장하여 번지거나 무쳐지게 함으로써, 염색하는데 매우 편리함을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압력에 따라 쉽게 용기 몸체부(110)가 눌러지도록 본 고안의 용기 몸체부(110)는 연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비슷하게, 본 고안의 빗살부(121)는 사람의 머리에 염색할 시 빗살부(121)로 번진 혼합제가 사람의 머리에 쉽게 묻혀지도록 휘어지는 성질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빗살부(121)는 용기 마개(120)의 상단에 흩어진 혼합제가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촘촘히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 몸체부(110)와 용기 마개(120)의 세부적인 구조에 의하여 몸체를 흔들어서 간편하게 염색약을 교반시켜 머리에 염색을 할 수 있으며, 위생적이고, 오염을 방지하며, 빗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염색약 혼합 용기 110 : 용기 몸체부
111 : 제1 배출홈 111a : 외주면
111b : 걸림돌기 120 : 용기 마개
121 : 빗살부 122 : 제2 배출홈
123 : 마개 고정부 123a : 내주면
123b : 걸림홈 124 : 마개 외곽부
130 : 구슬 140 : 막대기

Claims (5)

  1. 복수 개의 구슬(130)이나 교반용 막대기(140)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주입된 염모제와 산화제를 교반시키는 용기 몸체부(110); 및
    상기 용기 몸체부(110)의 상단에 형성된 제1 배출홈(111)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에 의해 생성된 혼합제가 상기 제1 배출홈(111)을 통해 인입되고, 상기 인입된 혼합제를 다시 상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마개(120);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 마개(120)의 상부에는, 최종 배출된 상기 혼합제를 골고루 묻히거나 번지도록 복수 개의 빗살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약 혼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마개(120)는,
    상기 혼합제를 최종 배출하도록 상부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되, 상기 빗살부(121)의 사이사이마다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배출홈(1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염색약 혼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부(121)는, 휘어지는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염색약 혼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마개(12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배출홈(111)의 외주면(111a)에 형성된 불연속적인 걸림돌기(111b)에 결합되도록 내주면(123a)에 걸림홈(123b)을 구비하며, 상기 내주면(123a)의 윗 방향으로 제2 배출홈(122)을 형성하여 상부로 관통시키는 마개 고정부(123)와;
    상기 마개 고정부(123)의 외곽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두거나 접촉하여 둘러싸고 있는 마개 외곽부(124);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염색약 혼합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부(110)는, 연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염색약 혼합용기.
KR2020110009778U 2011-11-04 2011-11-04 염색약 혼합용기 KR200466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778U KR200466019Y1 (ko) 2011-11-04 2011-11-04 염색약 혼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778U KR200466019Y1 (ko) 2011-11-04 2011-11-04 염색약 혼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019Y1 true KR200466019Y1 (ko) 2013-03-25

Family

ID=5138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778U KR200466019Y1 (ko) 2011-11-04 2011-11-04 염색약 혼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01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9269A (ja) 1997-12-17 1999-07-06 Yutaka Kitazawa 乾燥性流動体塗布具
KR200262433Y1 (ko) 2001-08-21 2002-03-18 최영길 두발 염색용 브러쉬
KR100646256B1 (ko) 2005-10-28 2006-1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염모제 용기
KR200441218Y1 (ko) 2007-12-07 2008-07-30 정봉옥 모발염색용 도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9269A (ja) 1997-12-17 1999-07-06 Yutaka Kitazawa 乾燥性流動体塗布具
KR200262433Y1 (ko) 2001-08-21 2002-03-18 최영길 두발 염색용 브러쉬
KR100646256B1 (ko) 2005-10-28 2006-1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염모제 용기
KR200441218Y1 (ko) 2007-12-07 2008-07-30 정봉옥 모발염색용 도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4062B2 (en) Kit comprising two receptacles and an applicator
KR101104258B1 (ko)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8356927B1 (en) Universal hand mixer
KR200441218Y1 (ko) 모발염색용 도포기
KR101226964B1 (ko) 크림 및 젤 타입 염모제 튜브 용기
KR200466019Y1 (ko) 염색약 혼합용기
US20060283726A1 (en) Hair colorant applicator
US8893728B2 (en) Versatile hair color applicator and related kits and methods
KR102182329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KR200424587Y1 (ko) 염모제 혼합용 브러쉬
KR200456825Y1 (ko) 염모제 용기
KR101489350B1 (ko) 브러시가 구비된 염색약 튜브
KR200466740Y1 (ko) 염모제 용기
US20090320867A1 (en) Hair Dyeing Device
JP2010126228A (ja) 2剤混合吐出機構及び2剤混合吐出容器
KR200469449Y1 (ko) 이종 염색약을 갖는 염색도구
KR200469450Y1 (ko) 새치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KR200467242Y1 (ko)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US20130068771A1 (en) Multi-Dye Container
US20240023687A1 (en) Modular Multi-Chamber Fluid Dispenser
KR20190137336A (ko)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JPH0977150A (ja) 2液混合化粧料
KR200441381Y1 (ko) 약제분출용 감압장치
KR102398528B1 (ko)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GB2370264A (en) Hair dye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