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51Y1 - 복합 창틀 - Google Patents

복합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651Y1
KR200465651Y1 KR2020120004330U KR20120004330U KR200465651Y1 KR 200465651 Y1 KR200465651 Y1 KR 200465651Y1 KR 2020120004330 U KR2020120004330 U KR 2020120004330U KR 20120004330 U KR20120004330 U KR 20120004330U KR 200465651 Y1 KR200465651 Y1 KR 200465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ide wall
guide rail
fram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환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이엔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15Frames mad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Frames made of plas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with different frame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창틀에 관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제 1, 2창틀간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외부의 찬 공기가 실내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복합창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창틀은, 단면상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 수평방향으로 결합수단이 구비된 제 1사이드 월과, 상기 제 1사이드 월의 타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1수평부와, 상기 제 1수평부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제 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 1가이드레일의 일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2사이드 월과, 상기 제 1사이드 월의 하측 수평방향 대칭형으로 형성된 제 1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3사이드 월과, 상기 제 3사이드 월의 상측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수평부와, 상기 제 2수평부의 중간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2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2가이드레일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엔드 월과, 상기 엔드 월의 하측 수평방향 대칭형으로 형성된 제 2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제 2프레임과;
상기 제 1, 2프레임의 제 2, 3사이드 월의 각 상단에 대칭형으로 형성된 제 1, 2단열재 지지부재에 구비된 단열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 1, 2창틀간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외부의 찬 공기가 실내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복합 창틀{MULTI WINDOWS FRAME}
본 고안은 복합창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면상 일측에 마련된 P.V.C 재질의 제 2창틀 일측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을 갖춘 제 1창틀로 이루어진 복합창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2012년 02월 15일자로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 20-2012-0001141호 및 2012년 04월 18일자로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 20-2012-0003158호에 대한 국내우선권주장 출원이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창틀 내부에서 다수의 창문을 슬라이드 시키며 개폐하는 복합창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알려져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0242645호의 "창문용 창틀의 구조"가 대표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이하, "창틀"이라 칭하며, 편의상 일부 구성의 명칭은 다르게 칭한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종래의 창틀(WD)은 제 1, 2창틀(WD1)(WD2)로 이루어지는데, 제 1창틀(WD1)은 단면상 일측으로 목재보조창틀(WW)의 돌출면(KN)이 삽입되도록 요입부(HL)가 형성되고, 이 요입부(HL)의 대향하는 타측에는 브라켓홈(BH)이 형성되며, 이 브라켓홈(BH)의 단부에는 브라켓 이탈방지턱(BT)이 형성되어 있다.
이 브라켓 이탈방지턱(BT)은 후술하는 제 2창틀(WD2)의 일측에 마련된 브라켓(BK)의 받침턱(BKT)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브라켓(BK)은 제 2창틀(WD2)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다수의 피스(PC)에 의해 등간격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1, 2창틀(WD1)(WD2)은 도 1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 박스형태로 결합하고, 그 내부에 창호(DR)를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마련된 브라켓(BK)과 브라켓홈(BH)간의 정렬이 어긋날 경우, 내, 외측 창틀의 결합이 않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 1, 2창틀(WD1)(WD2)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하자가 발생하여 교체 수리하고자 할 때, 상기한 제1창틀(WD1)의 브라켓 이탈방지턱(BT)에 삽입 고정된 상태의 브라켓(BK)의 받침턱(BKT) 모서리가 상호 교차되며 고정되므로, 실질적으로 분리가 되지 않는 구성으로서, 불가피하게 제 1, 2창틀(WD1)(WD2) 전체를 다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 1창틀(WD1)과 제 2창틀(WD2) 간에 서로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외기가 실내로 전도되며 실내 온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 2창틀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결합된 제 1, 2창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기가 실내로 전도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건물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 1창틀과, 상기 제 1창틀 일측에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건물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 2창틀로 이루어진 복합창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창틀은;
단면상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1사이드 월과, 상기 제 1사이드 월의 상, 하 양단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결합수단과, 상기 제 1사이드 월의 타측 중간부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1수평부와, 상기 제 1수평부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제 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 1가이드레일의 일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2사이드 월과, 상기 제 1사이드 월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1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3사이드 월과, 상기 제 3사이드 월의 상측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수평부와, 상기 제 2수평부의 중간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2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2가이드레일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엔드 월과, 상기 엔드 월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제 2프레임과;
상기 제 1, 2프레임의 제 2, 3사이드 월의 각 상단에 대칭형으로 형성된 제 1, 2단열재 지지부재에 구비된 단열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제 2창틀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시공 생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된 내, 외측 창틀의 분리도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측 창틀에 마련된 단열부재에 의해 추운 동절기의 외기가 실내로 전도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난방 효과를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
도 1의 가)와 나)는 종래 복합창틀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창틀의 제 1창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의 가)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창틀의 제 1, 2창틀 결합방법을 보인 일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창틀의 제 1창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측 단면도이고,
도 5는 결합이 완료된 본 고안에 따른 복합창틀의 제 1, 2창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의 가)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창틀 제 1창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측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복합창틀(10)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제 1창틀(100)은 제 1, 2프레임(110)(130)으로 이루어진다.(이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부호만 달리 붙여서 설명한다)
제 1프레임(110)은 제 1사이드 월(111)과 결합수단(112)과 수평부(113)와 제 1가이드레일(114)과 제 2사이드 월(115)과 제 1단열재 지지부재(116)과 제 1지지부재(117)로 이루어진다.
제 1사이드 월(111)은 일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제 1사이드 월(111)의 상, 하 수평방향으로 결합수단(112)이 구비된다.
결합수단(112)은 제 1, 2결합부재(112a)(112b)로 이루어지는데, 상측에 구비된 제 1결합부재(112a)는 단면상 호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 2창틀(200) 단면상 상측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제 2결합부재(112b)는 상기한 제 1결합부재(112a)와 대향하는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 제 2결합부재(112b)의 단부 상측에는 고정용 돌기(112b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112)은 후술하는 작용에서 제 2창틀(200)의 일측이 삽입되며 결합된다.
한편, 상기한 제 1사이드 월(111)의 일측 수평방향으로 제 1수평부(113)가 형성되고, 이 제 1수평부(113)의 중간부분에 제 1가이드레일(114)이 마련되어 있다.
제 1가이드레일(114)은 단면상 지팡이의 손잡이처럼 형성된 상단 수평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창문의 로울러가 구름운동(Rolling)할 수 있도록 평면상 호형의 수평부(114a)가 형성된다.
이 제 1가이드레일(114)의 일측 수직방향으로 제 2사이드 월(115)이 형성되는데, 이 제 2사이드 월(115)의 상단 일측에는 제 1단열재 지지부재(11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제 1, 2사이드 월(111)(115)의 하측 수평방향으로 제 1지지부재(117)가 대칭형으로 형성된다.
이 제 1지지부재(117)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트인 형상으로 형성해도 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힌 형상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제 1프레임(110)의 일측으로 제 2프레임(130)이 구비된다.
제 2프레임(130)은 제 3사이드 월(131)과 제 2단열재 지지부재(132)와 제 2수평부(133)와 제 2가이드레일(134)과 엔드 월(135)과 제 2지지부재(136)로 이루어진다.
제 3사이드 월(131)은 일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일측에 상술한 제 1단열재 지지부재(116)와 대칭형으로 제 2단열재 지지부재(132)가 마련되며, 이 제 1, 2단열재 지지부재(116)(132) 사이에 단열부재(20)가 구비된다.
일측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 1, 2단열재 지지부재(116)(132)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서 투입된 단열부재(20)인 아존(경화된 폴리우레탄)의 경화 후, 밀링작업으로 하측("A"표시부위)을 절개하여 제 1, 2프레임(110)(130) 2개의 구성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한편, 제 3사이드 월(131)의 상측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수평부(133)의 중간부분에 제 2가이드 레일(134)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데, 이 제 2가이드레일(134)도 상기한 제 1가이드 레일(114)과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창문의 로울러가 원활하게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상단에 수평부(13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가이드레일(134)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엔드 월(135)이 형성되며, 이 엔드 월(135)의 하측 방향으로 제 2지지부재(136)가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지지부재(136) 역시 상술한 제 1지지부재(117)와 마찬가지로 하부가 트인 형상으로 형성해도 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힌 형상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복합창틀(10)의 제 1, 2창틀(100)(200)의 결합방법과 그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 1, 2창틀(100)(200) 공히,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결합하여 사각형 창틀의 형태를 갖춘 뒤, 제 2창틀(200)의 일측을 제 1창틀(100)의 결합수단(112)의 제 1, 2결합부재(112a)(112b) 사이에 삽입하면 결합이 완료되며,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제 1, 2창틀(100)(200)을 벽체에 시공하면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제 1, 2창틀(100)(200)은 제 1창틀(100) 일측에 상, 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결합수단(112)에 의해 별도의 체결부재, 다시 말해서, 피스볼트나 타가를 시공하지 않아도 된다.
그 이유로는, 제 1, 2결합부재(112a)(112b)가 제 2창틀(200)의 단면상 일측 상, 하 방향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호형으로 이루어진 제 1결합부재(112a)의 내측으로 제2창틀(200)의 상측이 구속되기 때문에 견실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도 6의 가)와 나)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창틀(10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제 1사이드 월(111)의 일측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결합수단(112) 의 제 1, 2결합부재(112a)(112b)를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적용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 하, 좌, 우 사각형 형태로 결합된 제 1창틀(100)이 제 2창틀(200)과 결합할 때, 제 1, 2결합부재(112a)(112b)중 어느 하나만 있어도 결과적으로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2창틀(200)과 견실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 1창틀(100)의 결합수단(112)에 의해 제 2창틀(200)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시공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며, 결합수단(111)에 의해 결합된 제 1, 2창틀(100)(200)의 분리도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나아가, 제 1창틀(100)의 제 1, 2프레임(110)(130) 사이에 마련된 단열부재(300)에 의해 추운 동절기의 외기가 실내로 전도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난방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더 나아가, 상술한 제 1, 2수평부(113)(133)는 도시한 바를 기준하여 상기한 엔드 월(135)이 마련된 일측으로 갈 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가 형성되어 우천시 창틀에 고인 빗물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복합창틀 20 : 단열재
100, 200 : 제 1, 2창틀 110, 130 : 제 1, 2프레임
111, 115 : 제 1, 2사이드 월 112 : 결합수단
113 : 수평부 114, 134 : 제 1, 2가이드레일
116, 132 : 제 1, 2단열재 지지부재 117,136 : 제 1, 2지지부재
131 : 제 3사이드 월 133 : 제 2수평부
135 : 엔드 월

Claims (5)

  1.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건물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 1창틀과, 상기 제 1창틀 일측에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건물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 2창틀로 이루어진 복합창틀에 있어서,
    상기 제 1창틀은:
    단면상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1사이드 월과, 상기 제 1사이드 월의 상, 하 양단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결합수단과, 상기 제 1사이드 월의 타측 중간부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1수평부와, 상기 제 1수평부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제 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 1가이드레일의 일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2사이드 월과, 상기 제 1사이드 월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1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3사이드 월과, 상기 제 3사이드 월의 상측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수평부와, 상기 제 2수평부의 중간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2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2가이드레일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엔드 월과, 상기 엔드 월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제 2프레임과;
    상기 제 1, 2프레임의 제 2, 3사이드 월의 각 상단에 대칭형으로 형성된 제 1, 2단열재 지지부재에 구비된 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 1사이드 월의 단면상 상측에 구비된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제 1결합부재에 대향하는 하측에 구비된 제 2결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결합부재는 단면상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결합부재는 단부 상측 길이방향으로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창틀의 일측을 상기 결합수단의 상기 제 1결합부재와 상기 제 2결합부재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 1창틀과 상기 제 2창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가이드 레일은 단면상 지팡이 손잡이 모양으로 형성된 상단 수평방향으로 창문의 로울러가 구름운동(Rolling)할 수 있도록 평면상 호형으로 수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틀.
  5. 삭제
KR2020120004330U 2012-02-15 2012-05-23 복합 창틀 KR20046565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141 2012-02-15
KR20120001141 2012-02-15
KR20120003158 2012-04-18
KR2020120003158 2012-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651Y1 true KR200465651Y1 (ko) 2013-03-04

Family

ID=5135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330U KR200465651Y1 (ko) 2012-02-15 2012-05-23 복합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591B1 (ko) * 2013-03-26 2014-06-02 김선자 멀티 창호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190139065A (ko) 2018-06-07 2019-12-17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개량형 창틀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906Y1 (ko) * 2006-09-30 2006-12-29 전용복 알루미늄 창틀
KR100704265B1 (ko) 2007-01-12 2007-04-09 문수용 단열 및 조립성이 우수한 창호용 문틀프레임
JP2010150874A (ja) * 2008-12-26 2010-07-08 Ykk Ap株式会社 建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906Y1 (ko) * 2006-09-30 2006-12-29 전용복 알루미늄 창틀
KR100704265B1 (ko) 2007-01-12 2007-04-09 문수용 단열 및 조립성이 우수한 창호용 문틀프레임
JP2010150874A (ja) * 2008-12-26 2010-07-08 Ykk Ap株式会社 建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591B1 (ko) * 2013-03-26 2014-06-02 김선자 멀티 창호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190139065A (ko) 2018-06-07 2019-12-17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개량형 창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823B1 (ko) 창호의 단열 및 강도 보강구조
KR101326055B1 (ko) 커튼월
KR200475150Y1 (ko)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101198280B1 (ko)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KR200465651Y1 (ko) 복합 창틀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20100001238U (ko) 모듈형 3짝 창호
KR100396299B1 (ko) 창틀부재
KR20170068729A (ko) 커튼월의 수직바 연결재
CN104018759B (zh) 一种多功能节能防盗窗及其型材
KR102151243B1 (ko)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KR101160203B1 (ko) 한옥 축부구조
CN102767254A (zh) 明框隔热幕墙
CN203416676U (zh) 一种单体钢架大棚
KR200451683Y1 (ko) 지붕 패널 고정 프레임
KR102105357B1 (ko) 단열 창호
CN204574402U (zh) 复合型框架空调箱体
KR101467446B1 (ko) 단열 창호
KR102010239B1 (ko) 물넘침 방지 및 창문 이탈방지를 위해 턱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틀프레임
KR20100010439U (ko) 누수방지용 단열창호
KR20170069311A (ko) 단열미서기창이 일체로 설치된 단열커튼월
KR102080850B1 (ko) 탈부착식 방충망 레일 프레임이 구비된 시스템 창호
KR100996270B1 (ko) 창틀의 상,하부 프레임 구조
KR101635535B1 (ko) 열전도 차단형 커튼월
KR100704265B1 (ko) 단열 및 조립성이 우수한 창호용 문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