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40Y1 -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640Y1
KR200465640Y1 KR2020100009374U KR20100009374U KR200465640Y1 KR 200465640 Y1 KR200465640 Y1 KR 200465640Y1 KR 2020100009374 U KR2020100009374 U KR 2020100009374U KR 20100009374 U KR20100009374 U KR 20100009374U KR 200465640 Y1 KR200465640 Y1 KR 200465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rame
coupling
multilayer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930U (ko
Inventor
최성규
최용혁
이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to KR2020100009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64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8Connecting; Fastening by forcing together the marginal portions of adjacent slabs o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3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snap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2003/3617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locking or snapping edges located in the thickness of the slab o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은 양측 단부에 각각 복층판과 인접한 복층판의 일면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가 마련되고, 중앙부에 전술한 제1 고정부와 직교되게 제1 결합부가 돌출된 제1 프레임과, 양측 단부에 각각 전술한 복층판과 인접한 전술한 복층판의 타면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가 마련되고 중앙부에 전술한 제2 고정부와 직교되며 전술한 제1 결합부와 탈착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돌출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전술한 복층판은 전술한 제1, 2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호 연결되고, 전술한 제1 결합부는 전술한 복층판과 인접한 전술한 복층판의 두께에 대응 가능하게 전술한 제2 결합부와 상호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된다.

Description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MULTI-LAYERED PLATE CONNECTING FRAME}
본 고안은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와 시공이 편리하고 견고한 체결력의 유지가 가능한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복층판은 폴리카보네이트, 유리강화섬유 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를 이용하여 공장과 창고, 수영장, 온실 등과 같은 건축물의 지붕 일부를 덮을 수 있게 제작하여 자연채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복층판은 일정한 면적을 지닌 제품을 상호 연결하고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건축물의 지붕에 시공되며, 이때는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은 면적이 넓으며 내부 공간이 큰 건축물의 경우 시공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복층판에 천공 작업을 하고 고정부재를 일일이 결합시키는 등의 번거로운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다.
또한, 복층판이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경우 비바람과 눈보라 또는 극심한 기온 변화 등의 물리, 화학적 충격에 장시간 노출되면 고정된 고정부재가 부식되면서 복층판의 고정부위에 취약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원활한 자연채광이 가능함은 물론, 시공과 설치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견고한 체결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고 이물질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은 양측 단부에 각각 복층판과 인접한 복층판의 일면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가 마련되고, 중앙부에 전술한 제1 고정부와 직교되게 제1 결합부가 돌출된 제1 프레임과, 양측 단부에 각각 전술한 복층판과 인접한 전술한 복층판의 타면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가 마련되고 중앙부에 전술한 제2 고정부와 직교되며 전술한 제1 결합부와 탈착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돌출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전술한 복층판은 전술한 제1, 2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호 연결되고, 전술한 제1 결합부는 전술한 복층판과 인접한 전술한 복층판의 두께에 대응 가능하게 전술한 제2 결합부와 상호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제1, 2 고정부가 각각 마련된 제1, 2 프레임 사이에 복층판이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에 따라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2 프레임에 각각 마련된 제1, 2 결합부의 상호 체결에 의하여 복층판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에 따라 제1, 2 결합부가 상호 접촉하는 면적을 가변함에 따라 다양한 두께의 복층판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고정 및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2 프레임이 탈착 가능한 구조이므로,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한 번거로운 조립 과정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를 줄여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우수한 내구성과 내부식성을 지닌 제품의 획득이 가능하며, 취성이 발생할 부분이 거의 없으므로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이 복층판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이 복층판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 사이에 복층판(400)이 결합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프레임(100)은 양측 단부에 각각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일면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110)가 마련되고, 중앙부에 제1 고정부(110)와 직교되게 제1 결합부(120)가 돌출된 구조이다.
제2 프레임(200)은 양측 단부에 각각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타면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210)가 마련되고, 중앙부에 제2 고정부(210)와 직교되며 제1 결합부(120)와 탈착 결합되는 제2 결합부(220)가 돌출된 구조이다.
여기서, 복층판(400)은 제1, 2 고정부(110, 210) 사이에 고정되어 상호 연결되며, 제1 결합부(120)는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두께에 대응 가능하게 제2 결합부(220)와 상호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고안의 주요부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1 프레임(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일면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부재로 날개(102)와 제1 결합편(104)과 연결편(106)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날개(102)는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일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며 제1 고정부(110)가 일단부에 각각 마련된 부분이다.
날개(102)는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일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빗물 등의 유체가 원활하게 흘러내리며 제거될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제1 고정부(110)는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일면 가장자리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커버편(112)과 제1 걸림편(114)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제1 커버편(112)은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목(401)의 단부로부터 한 쌍의 것이 연장되며 목(401)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머리(402)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부분이다.
제1 걸림편(114)은 제1 커버편(112)의 단부로부터 목(401)의 양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고 목(401)에 탈착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 결합편(104)은 날개(102)의 타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는 부분이며, 연결편(106)은 제1 결합편(104)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 결합편(104)은 후술할 제2 결합부(22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 결합부(110)가 외측면에 마련되며, 제1 결합부(120)는 제1 결합편(104)의 외측면에 제1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산(122)과, 인접한 산(122) 사이에 골(124)이 형성되는 톱니 형상으로 제작된다.
제1 결합부(120)의 형상은 보다 큰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후술할 제2 결합부(220) 또한 제1 결합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편(106)은 제1 결합편(104)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날개(102) 및 제1 고정부(110)에 의하여 제1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고정 지지되는 복층판(400)의 하중을 적절히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한편, 제2 프레임(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0)과 함께 상호 체결되어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을 연결하는 부재로 기판(202)과 제2 결합편(204)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기판(202)은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며 제2 고정부(210)가 단부에 각각 마련된 부분이다.
제2 고정부(210)는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타면 가장자리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커버편(212)과 제2 걸림편(214)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제2 커버편(212)은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타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목(401')의 단부로부터 한 쌍의 것이 연장되며 목(401')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머리(402')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부분이다.
제2 걸림편(214)은 제2 커버편(212)의 단부로부터 목(401')의 양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고 목(401')에 탈착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2 결합편(204)은 기판(202)의 중앙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면서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 제1 결합부(120)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220)가 마련되며, 제2 결합부(220)는 제2 결합편(204)의 내측면에 제2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산(222)과, 인접한 산(222) 사이에 골(224)이 형성되는 톱니 형상으로 제작된다.
한편, 제1 프레임(100)에는 날개(102)의 타단부로부터 각각 제1 결합편(104)과 직교되게 연장되는 걸림턱(108)과, 걸림턱(108)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결합편(104)과 연결편(106)이 형성하는 개구부(109)를 마감하는 제3 프레임(300)이 더 포함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개구부(109)는 제3 프레임(300)에 의하여 마감된 상태에서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결로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프레임(300)은 양단부가 각각 날개(102)의 타단부 상면을 감싸고 단면이 원호 형상인 마감편(310)과, 마감편(310)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며 개구부(109)에 삽입되는 체결편(320)과, 체결편(32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걸림턱(108)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330)를 포함한다.
이때, 제3 프레임(300)은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과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도 한다.
마감편(310)의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은 제1 프레임(100)의 날개(102)와 같이 빗물과 같은 유체가 원활하게 흘러내려 제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프레임(100)에는 구조적 강도를 위하여 제1 보강편(130)이 마련되고, 복층판(400)과의 원활한 체결 동작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1 회동홈(140)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보강편(130)은 날개(102)의 타단부와 제1 결합편(104)의 외측면이 만나는 부위에 제1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1 회동홈(140)은 제1 보강편(130)의 표면으로부터 제1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보강편(130)의 표면은 제1 결합편(104)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는 복층판(400)과 체결되는 과정에서 날개(102)의 타단부와 제1 결합편(104)의 외측면이 만나는 부위에 발생하기 쉬운 취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 구조라 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동홈(140)은 제1 보강편(130)에서 함몰되어 없어진만큼의 공간이 제1 결합편(104)에 대하여 날개(102)가 회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구조로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일면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또는 교체 수리를 위하여 분리할 경우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200)에는 제1 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구조적 강도를 위하여 제2 보강편(230)이 마련되고, 복층판(400)과의 원활한 체결 동작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2 회동홈(240)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보강편(230)은 기판(202)과 제2 결합편(204)의 외측면이 만나는 부위에 제2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 회동홈(240)은 제2 보강편(230)의 표면으로부터 제2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보강편(230)의 표면은 제2 결합편(204)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는 복층판(400)과 체결되는 과정에서 기판(202)과 제2 결합편(204)의 외측면이 만나는 부위에 발생하기 쉬운 취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 구조라 할 수 있다.
이때, 제2 회동홈(240)은 제2 보강편(230)에서 함몰되어 없어진만큼의 공간이 제2 결합편(204)에 대하여 기판(202)이 회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구조로 복층판(400)과 인접한 복층판(400)의 일면 가장자리를 고정하거나 또는 교체 수리를 위하여 분리할 경우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200)에는 제1 결합부(120)와의 용이하고 원활한 체결을 유도하기 위하여 결합 유도편(250)이 더 포함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즉, 결합 유도편(250)은 제2 결합편(204)의 단부로부터 제2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점차 넓어지게 제2 결합편(204)과 경사를 이루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1 결합편(104)의 단부가 결합 유도편(250)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삽입되면서 제2 결합편(204)과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원활한 자연채광이 가능함은 물론, 시공과 설치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체결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고 이물질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제1 프레임 102...날개
104...제1 결합편 106...연결편
108...걸림턱 109...개구부
110...제1 고정부 112...제1 커버편
114...제1 걸림편 120...제1 결합부
122...산 114...골
130...제1 보강편 140...제1 회동홈
200...제2 프레임 202...기판
204...제2 결합편 210...제1 고정부
212...제2 커버편 214...제2 걸림편
220...제2 결합부 222...산
224...골 230...제2 보강편
240...제2 회동홈 250...결합 유도편
300...제3 프레임 310...마감편
320...체결편 330...후크
400...복층판 401, 401'...목
402, 402'...머리

Claims (12)

  1. 양측 단부에 각각 복층판과 인접한 복층판의 일면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가 마련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 고정부와 직교되게 제1 결합부가 돌출된 제1 프레임; 및
    양측 단부에 각각 상기 복층판과 인접한 상기 복층판의 타면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가 마련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2 고정부와 직교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탈착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돌출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복층판은 상기 제1, 2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복층판과 인접한 상기 복층판의 두께에 대응 가능하게 상기 제2 결합부와 상호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되는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복층판과 인접한 상기 복층판의 일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며 상기 제1 고정부가 일단부에 각각 마련된 날개와,
    상기 날개의 타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는 제1 결합편과,
    상기 제1 결합편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편의 외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날개는 상기 복층판과 인접한 상기 복층판의 일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날개의 타단부와 상기 제1 결합편의 외측면이 만나는 부위에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보강편과,
    상기 제1 보강편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형성된 제1 회동홈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1 보강편의 표면은 상기 제1 결합편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복층판과 인접한 상기 복층판의 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며 상기 제2 고정부가 단부에 각각 마련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중앙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는 제2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편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마련되는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복층판과 인접한 상기 복층판의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목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목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머리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한 쌍의 제1 커버편과,
    상기 제1 커버편의 단부로부터 상기 목의 양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목에 탈착 결합되는 제1 걸림편을 포함하는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복층판과 인접한 상기 복층판의 타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목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목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머리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한 쌍의 제2 커버편과,
    상기 제2 커버편의 단부로부터 상기 목의 양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목에 탈착 결합되는 제2 걸림편을 포함하는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편의 외측면에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산과, 인접한 산 사이에 골이 형성되는 톱니 형상인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편의 내측면에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산과, 인접한 산 사이에 골이 형성되는 톱니 형상인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날개의 타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1 결합편과 직교되게 연장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편과 상기 연결편이 형성하는 개구부를 마감하는 제3 프레임이 더 포함되는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양단부가 각각 상기 날개의 타단부 상면을 감싸고 단면이 원호 형상인 마감편과,
    상기 마감편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며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10. 삭제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기판과 상기 제2 결합편의 외측면이 만나는 부위에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보강편과,
    상기 제2 보강편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형성된 제2 회동홈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2 보강편의 표면은 상기 제2 결합편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제2 결합편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점차 넓어지게 상기 제2 결합편과 경사를 이루는 결합 유도편이 더 포함되는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KR2020100009374U 2010-09-07 2010-09-07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KR200465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374U KR200465640Y1 (ko) 2010-09-07 2010-09-07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374U KR200465640Y1 (ko) 2010-09-07 2010-09-07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30U KR20120001930U (ko) 2012-03-15
KR200465640Y1 true KR200465640Y1 (ko) 2013-03-04

Family

ID=5135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374U KR200465640Y1 (ko) 2010-09-07 2010-09-07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31Y1 (ko) * 2018-12-06 2019-07-01 제희광 복층패널 연결용 프레임
KR200490323Y1 (ko) 2018-05-02 2019-10-28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복층패널 이음연결용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55Y1 (ko) * 2018-07-13 2020-06-18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투광 복층판의 모서리 연결부재
KR102366496B1 (ko) * 2021-05-24 2022-02-23 김정호 설치 시공비 절감을 위한 온실 구조물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861A (ja) * 1998-11-09 1999-10-26 Gantan Beauty Ind Co Ltd 縦葺き屋根構造
KR20040039267A (ko) * 2004-02-10 2004-05-10 박춘상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200423646Y1 (ko) * 2006-05-22 2006-08-09 송주근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KR20100040828A (ko) * 2010-04-01 2010-04-21 이동신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861A (ja) * 1998-11-09 1999-10-26 Gantan Beauty Ind Co Ltd 縦葺き屋根構造
KR20040039267A (ko) * 2004-02-10 2004-05-10 박춘상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200423646Y1 (ko) * 2006-05-22 2006-08-09 송주근 벽체 또는 천장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KR20100040828A (ko) * 2010-04-01 2010-04-21 이동신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23Y1 (ko) 2018-05-02 2019-10-28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복층패널 이음연결용 프레임
KR200489531Y1 (ko) * 2018-12-06 2019-07-01 제희광 복층패널 연결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30U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8390B1 (en) A roof window with an insulating element
KR200465640Y1 (ko) 복층판 연결용 프레임
RU2715469C2 (ru) Дистанционная рамка для стеклопакетов
US20180179750A1 (en) Roof structure and roof element
NZ590193A (en) Tilt slab concrete wall with elongate structural sheet metal members in vertical and transverse directions connected to sheet metal decking sheets and with edge channels adapted to nest adjacent wall panels
KR200387949Y1 (ko) 케노피 지붕 구조물에 설치되는 차양판 마감용 골재 조립체
KR100468460B1 (ko)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WO2010027123A2 (en) Frame for noise barrier enabling to adjust connection angle
KR101087737B1 (ko) 건축물 지붕
KR200491855Y1 (ko) 투광 복층판의 모서리 연결부재
KR200341889Y1 (ko) 마감재와 버팀 지지대가 부착된 샌드위치 패널
CN201224957Y (zh) 工业与民用节能建筑屋面复合板
KR101345717B1 (ko) 조립식 패널
KR200494910Y1 (ko) 온실용 용마루
JP6571120B2 (ja) 建物の屋根構造、および、排水装置
CN218149462U (zh) 一种多功能复合板材
KR101347399B1 (ko) 블록형 외단열 패널 프레임
KR200490323Y1 (ko) 복층패널 이음연결용 프레임
JP3840636B2 (ja) 硬質屋根材の取付構造
JP3941861B2 (ja) 硬質屋根材
JP2023062573A (ja) 強化サンドイッチ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JP4163470B2 (ja) 硬質屋根材
JP2022055567A (ja) 乾式壁材の横継ぎ部雨仕舞い構造
JP4344278B2 (ja) 補強パネル体
JP3995198B2 (ja) 硬質屋根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