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73Y1 -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 - Google Patents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573Y1
KR200465573Y1 KR2020110010695U KR20110010695U KR200465573Y1 KR 200465573 Y1 KR200465573 Y1 KR 200465573Y1 KR 2020110010695 U KR2020110010695 U KR 2020110010695U KR 20110010695 U KR20110010695 U KR 20110010695U KR 200465573 Y1 KR200465573 Y1 KR 200465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rotating body
door lock
torsion spring
connec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110010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04Lock assembling or 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티스의 작동 회동체에 연결핀이 올바르게 연결되지 못해 발생되는 도어락의 잠금/해정 상태불량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인증이 이루어지면 회동체의 관통공에 연결핀이 삽입되는 것으로 모티스의 데드볼트 또는 래치볼트를 연동시켜 해정이 가능하게 하는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는 상기 관통공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장착홈이 형성된 제1 회동체; 상기 제1 회동체의 상기 장착홈에 선단이 삽입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토션 스프링의 말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1 회동체를 일측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 회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Rotating assembly for doorlock}
본 고안은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모티스의 작동 회동체에 연결핀이 올바르게 연결되지 못해 발생되는 도어락의 잠금/해정 상태불량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락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락 장치에는 실외에서 출입문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열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락의 잠금과 해정을 하는 기계식 도어락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도어락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비밀번호, 지문인식 또는 카드인식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 과정에 의해, 전자석과 클러치를 이용하여 데드 볼트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식 도어락과 모터 및 모터에 의해 데드볼트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식 도어락이 주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 구조가 간단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은 모터 구동식이 더욱 선호되고 있다.
이하, 모터 구동식 전자 도어락의 모티스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모터 구동식 전자 도어락의 모티스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도 1과 같이, 모티스 본체에는 전자 도어락의 인증부에 인증이 이루어지면 작동하는 구동모터(1)와, 이 구동모터(1)의 회전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클러치 핀(2)과, 이 클러치 핀(2)의 말단에 연결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편(5)과, 이 슬라이드편(5)에 연결되어 이동되며 반호 형상을 갖는 안내판(6)과, 이 안내판(6)에 의해 이동되는 연결핀(7) 및 내부에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연결핀(7)이 이동되어 관통공에 인입되면 상호 연동되는 제1 회동체(3) 및 제2 회동체(4)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 1의 H1은 손잡이축 샤프트가 삽입되기 위한 샤프트 결합홈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종래의 모티스는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구동모터(1)가 구동되어 클러치 핀(2)을 통해 안내판(6)을 밀어 연결핀(7)을 제1 회동체(3)와 제2 회동체(4)에 인입시켜 연동(클러치 연동)시킴으로써 도어락의 해정이 가능하였다. 즉, 제2 회동체(4)는 데드볼트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클러치가 단락된 상태(연결핀이 회동체 관통공에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회동체(3)만 회동된 상태를 이루지만 사용인증이 이루어지면 클러치가 연결(회동체의 관통공에 연결핀이 인입된 상태)됨으로써 문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개방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모티스의 클러치 구조는 도 2와 같이 사용부하에 의해 제1 회동체(3)와 제2 회동체(4)가 일정각도로 틀어진 상태에서 회동체의 관통공(h1,h2)에서 연결핀(7)이 인출 및 인입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된다(즉, 관통공(h1,h2)이 어긋나는 경우 삽입된 연결핀(7)은 이동되기 어렵다). 여기서 도 2의 미설명부호 '9'는 레버로서 데드볼트나 레치볼트와 연동되기 위한 연결장치이다.
이에 따라 연결핀(7)이 회동체(3,4)의 관통공(h1,h2)에 인입되지 못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실외측에서 도어락의 인증이 이루어져도 사용자는 도어락을 해정하지 못해 문을 개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티스의 작동 회동체에 연결핀이 올바르게 연결되지 못해 발생되는 도어락의 잠금/해정 상태의 인식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인증이 이루어지면 회동체의 관통공에 연결핀이 삽입되는 것으로 모티스의 해정이 가능하게 하는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는 상기 관통공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장착홈이 형성된 제1 회동체; 상기 제1 회동체의 상기 장착홈에 선단이 삽입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토션 스프링의 말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1 회동체를 일측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 회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2 회동체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2 회동체에서 제1 회동체가 토션 스프링에 의해 정위치(탄성력에 일측으로 자동복귀된 위치)를 항상 유지하여 연결핀의 연결을 원활히 함으로써 회동체의 연결시 연결핀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 인식부의 잠금/해정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장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터 구동식 전자 도어락의 모티스의 클러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가 사용부하에 의해 틀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동체와 제2 회동체가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동체와 제2 회동체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동체와 제2 회동체가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동체와 제2 회동체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는 제1 회동체(30)와 제2 회동체(40)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토션 스프링(80)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제1 회동체(30)에는 도 4와 같이 샤프트 결합홈(H1)이 중심에 형성된다. 이 샤프트 결합홈(H1)으로는 내측 손잡이축이 연결되어 내측에서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측면(평면상에서의 측면)에는 연결핀(70; 도 3)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31)이 형성된다.
아울러, 평면상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깊이만큼 장착홈(33)이 형성되는데, 이 장착홈(33)은 도 4와 같이 토션 스프링(80)의 선단(81)이 삽입된다. 또한 제1 회동체(30)의 측면에는 제2 회동체(40)의 연결턱(41)에 간섭되는 돌출단(32)이 연장형성된다. 이 돌출단(32)은 회동각도 제한의 용도나 제2 회동체(40)와 연동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된다.
한편, 제2 회동체(40)는 토션 스프링(80)의 말단(82)이 장착되는 장착홈(42)이 형성된다. 또한 토션 스프링(80)의 결합시(제1 회동체와 제2 회동체의 결합시)에 토션 스프링(8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제2 회동체(40)의 상부면에는 원형의 스프링 고정홈(4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회동체(40)에는 제1 회동체(30)의 돌출단(32)과 맞닿도록 평면상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턱(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동체(40)의 전방으로는 돌출단이 형성되고 돌출단에는 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회동 조립체는 제1 회동체(30)가 제2 회동체(40)에 토션 스프링(80)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제1 회동체(30)가 제2 회동체(40)에서 일정 반경으로 회동(무부하 회동) 되었다가 다시 토션 스프링(80)에 의해 원상태로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어 관통공(31)의 위치가 틀어져서 연결핀(70)이 올바르게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도 3과 같이 회동체 베이스(50)에 고정된 연결핀(70)이 선택적으로 제1 회동체(30)의 관통공(31)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으로 제1 회동체(30)와 제2 회동체(40)는 상호 연동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 3과같이 연결핀(70)이 회동체 베이스(50)에 형성된 경우에는 제1 회동체(30), 제2 회동체(40) 및 회동체 베이스(50)는 연결핀(70)이 제1 회동체(30)의 관통공(31)에 결합되면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들 레버에 연결된 데드볼트나 래치볼트 등이 연동되어 모티스의 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즉, 손잡이 축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티스의 데드볼트와 레치볼트가 모티스 내부로 인입됨).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설명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0-0001969호(고안의 명칭: 걸쇠 자동 돌출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의 중심 사상을 벗어난 사항에 대한 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회동체(40)에서 제1 회동체(30)가 토션 스프링(80)에 의해 정위치(탄성력에 일측으로 자동복귀된 위치)를 항상 유지하여 연결핀(70)의 이동을 원활히 함으로써 회동체(30,40)의 연결시 연결핀(70)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 인식부의 잠금/해정에 대한 인식오류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장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30: 제1 회동체 31: 관통공
32: 돌출단 33: 장착홈
40: 제2 회동체 41: 연결턱
42: 장착홈 43: 홈
45: 스프링 고정홈 50: 회동체 베이스
70: 연결핀 80: 토션 스프링

Claims (2)

  1. 인증이 이루어지면 회동체(30,40)의 관통공(31)에 연결핀(70)이 삽입되는 것으로 모티스의 데드볼트 또는 래치볼트를 연동시켜 해정이 가능하게 하는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30,40)는 상기 연결핀(70)이 삽입되는 상기 관통공(31)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깊이의 장착홈(33)이 형성된 제1 회동체(30);
    상기 제1 회동체(30)의 상기 장착홈(33)에 선단(81)이 삽입되는 토션 스프링(80); 및
    상기 토션 스프링(80)의 말단(82)이 삽입되는 장착홈(4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회동체(30)를 일측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 회동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체(40)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80)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홈(4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
KR2020110010695U 2011-12-01 2011-12-01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 KR200465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95U KR200465573Y1 (ko) 2011-12-01 2011-12-01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95U KR200465573Y1 (ko) 2011-12-01 2011-12-01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573Y1 true KR200465573Y1 (ko) 2013-02-27

Family

ID=5135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95U KR200465573Y1 (ko) 2011-12-01 2011-12-01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700A (ko) * 2013-06-25 2015-01-05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티스의 레버 핸들 조립체
KR200486962Y1 (ko) * 2017-07-17 2018-07-18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의 래치볼트 해정 구조체
CN111042668A (zh) * 2019-11-22 2020-04-21 广东亚太天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不联动锁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128A (ko) * 2008-03-19 2009-09-23 이경옥 장류의 박스형 포장을 위한 비닐 실링 공급장치
KR20110003836U (ko) * 2009-10-13 2011-04-20 비전엑스아시아 주식회사 차량용 바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110008451U (ko) * 2010-02-24 2011-08-31 주식회사 아이레보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128A (ko) * 2008-03-19 2009-09-23 이경옥 장류의 박스형 포장을 위한 비닐 실링 공급장치
KR20110003836U (ko) * 2009-10-13 2011-04-20 비전엑스아시아 주식회사 차량용 바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110008451U (ko) * 2010-02-24 2011-08-31 주식회사 아이레보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700A (ko) * 2013-06-25 2015-01-05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티스의 레버 핸들 조립체
KR101968274B1 (ko) 2013-06-25 2019-08-13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모티스의 레버 핸들 조립체
KR200486962Y1 (ko) * 2017-07-17 2018-07-18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의 래치볼트 해정 구조체
CN111042668A (zh) * 2019-11-22 2020-04-21 广东亚太天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不联动锁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838B1 (ko) 디지털 도어락
KR101263446B1 (ko) 모티스 도어록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200465573Y1 (ko) 도어락의 회동 조립체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CN109577750B (zh) 一种电子锁
KR200464252Y1 (ko) 전자식 도어락의 클러치 구조체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KR101333324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US20150135781A1 (en) Locking system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JP5659194B2 (ja) 引戸錠
KR102318846B1 (ko) 도어락의 멀티 모션 핸들
KR100922504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CN205297045U (zh) 锁闩的电控机构
KR101765329B1 (ko)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0542647B1 (ko) 모티스록 잠금장치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CN216130715U (zh) 一种保险柜的门锁结构
CN211342176U (zh) 一种电机锁体的机械应急装置及电机锁体
KR102575824B1 (ko) 도어락 모티스
CN112240131A (zh) 一种电机锁体的机械应急装置及电机锁体
JPH11117592A (ja) 引き出し回転型クレモン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