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60Y1 - 화물 이동 감시장치 및 선회지지부를 구비한 지브 크레인 - Google Patents
화물 이동 감시장치 및 선회지지부를 구비한 지브 크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5560Y1 KR200465560Y1 KR2020110010751U KR20110010751U KR200465560Y1 KR 200465560 Y1 KR200465560 Y1 KR 200465560Y1 KR 2020110010751 U KR2020110010751 U KR 2020110010751U KR 20110010751 U KR20110010751 U KR 20110010751U KR 200465560 Y1 KR200465560 Y1 KR 2004655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ib
- cargo
- tension bar
- main
- pill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16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where only part of the column rotates, i.e. at least the bottom part is fix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 이동 감시장치 및 선회지지부를 구비한 지브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텐션바를 주기둥 보강부에 선회베어링을 이용하여 설치한 선회지지부를 구비하고 화물의 이동을 조작부재의 표시부를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회지지부에 의한 지브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고공의 지브나 화물을 보지 않고서도 조작부재의 표시부를 통해 화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된 주기둥과, 화물을 이동할 수 있도록 주기둥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브와, 상기 지브의 후단에 설치되는 웨이트와 함께 지브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누어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텐션바와, 상기 주기둥 또는 지브를 메인판넬의 신호로 감속모터를 통해 회전하도록 주기둥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화물을 들어 올리고 지브를 이동하게 지브에 설치되는 호이스트와, 상기 구동부 및 호이스트를 전기 신호로 작동시키는 조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브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한 지브 후단의 상측 고정부에 일측이 연결되는 텐션바는, 주기둥 하단을 보강하도록 형성되는 주기둥 보강부와, 상기 주기둥 보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선회베어링과, 상기 주기둥 보강부와 선회베어링을 구비한 선회지지부에 텐션바의 타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된 주기둥과, 화물을 이동할 수 있도록 주기둥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브와, 상기 지브의 후단에 설치되는 웨이트와 함께 지브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누어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텐션바와, 상기 주기둥 또는 지브를 메인판넬의 신호로 감속모터를 통해 회전하도록 주기둥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화물을 들어 올리고 지브를 이동하게 지브에 설치되는 호이스트와, 상기 구동부 및 호이스트를 전기 신호로 작동시키는 조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브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한 지브 후단의 상측 고정부에 일측이 연결되는 텐션바는, 주기둥 하단을 보강하도록 형성되는 주기둥 보강부와, 상기 주기둥 보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선회베어링과, 상기 주기둥 보강부와 선회베어링을 구비한 선회지지부에 텐션바의 타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물 이동 감시장치 및 선회지지부를 구비한 지브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션바를 주기둥 보강부에 선회베어링을 이용하여 설치한 선회지지부를 구비하고 화물의 이동을 조작부재의 표시부를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회지지부에 의한 지브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고공의 지브나 화물을 보지 않고서도 조작부재의 표시부를 통해 화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이동 감시장치 및 선회지지부를 구비한 지브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지브 크레인은 크레인의 한 종류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도는 것이 많아 선회크레인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무겁고 큰 부피를 가진 물건을 운반하기에 적합하여 건설현장이나 부두 하역장 등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지브 크레인은 주기둥, 지브, 구동부, 호이스트, 휴대용 원격제어기 및 팬던트 스위치 같은 조작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브 크레인은 회전방식에 따라 등록실용신안 제20-0452394호처럼 주기둥의 상부에 상부 구동부가 설치되는 상부회전식과, 등록실용신안 제20-0451697호와 같이 주기둥의 하부에 하부 구동부가 설치되는 하부회전식으로 구분된다.
상부회전식 지브크레인은 상부 구동부의 작동시 주기둥을 축으로 두고 지브가 회전하게 된다. 지브에는 화물을 들어 올릴 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브의 후단에 일정량의 웨이트가 설치된다.
상기한 하부회전식 지브 크레인은 하부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주기둥과 일체인 지브가 주기둥에 의해 선회하게 된다.
하부 회전식 지브 크레인에는 웨이트 균형 유지 기능을 분담하는 텐션바가 설치되는데, 주로 지브의 후단과 하부 구동부를 직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텐션바의 설치로 지브 크레인은 지브가 뒤틀리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게 되고 주기둥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선회 작동하게 된다.
하부 회전식 지브 크레인에서 지브의 후단과 하부 공동부에 연결되는 텐션바는 주기둥의 회전시 지브가 뒤틀리지 않도록 한다.
하부 구동부에 연결되는 텐션바는 주기둥과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지브의 후단에 연결되기 때문에 고정상태에 있는 지브의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브 크레인은 초과 하중을 인식하지 못하고 들어올리기 때문에 상부 회전식인 경우 주기둥과 지브의 연결부에 해당하는 상부 구동부의 베어링에 부하를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회전식 지브 크레인은 초과 하중을 들어 올리게 되면 하부 구동부에 부하가 집중되어 베어링이 손상되고 주기둥의 회전도 원활하지 못하여 오작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브 크레인은 상하부 회전식 모두 지브의 선단에 호이스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훅크에 걸린 화물을 들어 올리고 회전속도를 초과해 회전시키면 지브에 부하가 걸려 흔들리면서 뒤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브 크레인에는 인양 하중 초과를 감지하는 경보장치가 등록특허 제10-0586506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화물의 이동 경로나 하역 위치를 감시하는 기능은 없어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브 크레인은 일정 하중 이하는 대부분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고 무선 원격제어기 또는 팬던트 스위치로 조작하게 되는데, 조작시 지브와 화물보다 낮은 위치에서 위를 올려다보면서 작업하기 때문에 목의 피로가 누적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레인 운전자는 크레인보다 지브나 화물보다 낮은 위치에서 지브 크레인이 주변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관찰하면서 운전하도록 되어 있어 운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52394호,
(특허문헌 2)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51697호,
(특허문헌 3) 국내 등록특허 제10-0586506호,
본 고안의 목적은, 지브의 선회시 주기둥 둘레를 함께 선회하면서 지브를 지지하도록 주기둥 하단에 텐션바를 설치함으로써, 지브의 균형을 유지하고 지브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기둥의 하단에 설치된 선회베어링에 하측 고정부를 이용하여 텐션바를 설치함으로써, 지브의 선회시 텐션바도 따라서 회전하면서 지브를 지지하여 지브가 뒤틀리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의 이동을 감시장치를 통해 감시함으로써, 고공의 지브와 화물을 올려다 보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여 화물의 하역에 따른 안전사고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지브 크레인은 지면에 고정된 주기둥과, 화물을 이동할 수 있도록 주기둥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브와, 상기 지브의 후단에 설치되는 웨이트와 함께 지브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누어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텐션바와, 상기 주기둥 또는 지브를 메인판넬의 신호로 감속모터를 통해 회전하도록 주기둥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화물을 들어 올리고 지브를 이동하게 지브에 설치되는 호이스트와, 상기 구동부 및 호이스트를 전기 신호로 작동시키는 조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브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한 지브 후단의 상측 고정부에 일측이 연결되는 텐션바는, 주기둥 하단을 보강하도록 형성되는 주기둥 보강부와, 상기 주기둥 보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선회베어링과, 상기 주기둥 보강부와 선회베어링을 포함한 선회지지부에 텐션바의 타측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선회베어링은 주기둥 보강부에 텐션바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형성되도록 수평 보강판의 하부에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선회베어링은, 텐션바를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보강판이 부착된 지지판의 상부에 돌출된 연결판을 구비한 하측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지브 크레인에는 화물의 이동 감시할 수 있도록 주기둥에 설치되는 수신감지부와, 화물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의 위치에 설치되는 발신기와, 화물의 상부에서 감시할 수 있도록 지브의 선단에 설치되는 CCTV와, 수신감지부와 발신기 및 CCTV의 신호를 판단하여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유선 또는 무선 신호에 의해 영상이 출력되도록 조작부재에 설치되는 표시부를 구비한 화물 이동 감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발신기는 수신감지부에 화물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브의 선단, 호이스트, 훅크, 화물 등에 설치되는 지브용 발신기, 호이스트용 발신기, 훅크용 발신기, 화물용 발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어부는 다수 발신기의 위치를 감지한 수신감지부의 신호를 연산 처리후 조작부재의 표시부에 정보를 출력하여 화물의 이동 위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화물의 위치를 감시장치를 통해 감시함으로써 화물의 하역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물의 이동을 휴대용 원격제어기나 팬던트스위치의 표시부를 통해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고공의 화물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서도 화물의 위치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브의 후단과 주기둥의 하단을 텐션바로 연결하여 선회하도록 함으로써, 지브에 대한 지지를 웨이트와 나누어 지지할 수 있어 선회 베어링에 무리한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 지브의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물을 들어 올린 지브가 선회할 때 웨이트 외에 주기둥의 하단에 연결 설치된 텐션바도 선회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지지함으로써, 지브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은 물론 지브의 흔들림을 감소시켜 뒤틀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션바가 주기둥의 하단에 설치된 선회베어링에 연결되기 때문에 선회하는 지브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지브를 지지하기 때문에 지브의 균형 유지가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브 크레인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지브 크레인에 설치된 선회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선회지지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지브 크레인에 구비되는 화물 이동 감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지브 크레인에 설치된 선회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선회지지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지브 크레인에 구비되는 화물 이동 감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브 크레인(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된 주기둥(4)과, 화물을 이동할 수 있도록 주기둥(4)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브(6)와, 상기 지브(6)의 후단에 설치되는 웨이트(8) 외에 지브(6)의 후단과 주기둥(4)의 하단을 연결하여 지브(6)를 지탱할 수 있도록 더 설치되는 텐션바(10)를 구비한 선회지지부(12)와, 상기 주기둥(4) 또는 지브(6)를 메인판넬(P)의 신호로 감속모터(M)를 통해 회전하도록 주기둥(4)에 설치되는 구동부(14)와, 화물을 들어 올리고 지브(6)를 이동하게 지브(6)에 설치되는 호이스트(16)와, 상기 구동부(14) 및 호이스트(16)를 전기 신호로 작동시키는 조작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한 텐션바(10) 중 지브(6) 상부에 설치되는 텐션바는 공지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선회지지부(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브(6) 후단의 상측 고정부(38a)에 일측이 연결되고 주기둥(4) 하단에 설치된 선회베어링(36)에 형성된 하측 고정부(38b)에 타측이 연결되는 텐션바(10)를 구비한다.
텐션바(10)는, 상측 고정부(38a)와 하측 고정부(38b)를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설치 후 지브(6)를 지탱할 수 있도록 턴버클(40)로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텐션바(10)는, 지브(6)를 지탱하도록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지브 크레인(2)의 하중 용량에 따라 웨이트(8)와 함께 병행하여 설치할 수 있다.
텐션바(10)가 연결되는 선회베어링(36)은, 주기둥(4) 하단의 주기둥 보강부(42)에 텐션바(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보강판(43)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 설치된다.
주기둥 보강부(42)의 중간에 설치되는 선회베어링(36)은, 도 3(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브(6)의 선회시 주기둥(4)의 둘레를 따라 텐션바(10)가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텐션바(10)를 지지하게 된다.
텐션바(10)는 지브(6)의 선회시 이동하면서 지브(6)를 지지하기 때문에 지브(6)의 뒤틀림을 용이하게 방지하고 균형도 정확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텐션바(10)는 선회베어링(36)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보강판(343)이 부착된 지지판(35)의 상부에 돌출된 연결판(37)을 구비한 하측 고정부(38b)에 연결된다.
이러한 하측 고정부(38b)에 설치되는 텐션바(10)는 지브(6)에 지지력이 작용하더라도 선회베어링(36)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어 지브(6)에 대한 지지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텐션바(10)에 작용하는 지지력은 주기둥 보강부(42)의 수평보강판(43) 하부에 설치되는 선회베어링(36)에 의해 발생되고 유지된다.
또한, 상기 지브 크레인(2)에는 화물의 하역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화물 이동 감시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화물 이동 감시장치(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의 이동 감시 및 이동 경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주기둥(4)에 설치되는 수신감지부(24)를 구비한다.
상기 수신감지부(24)는 발신기(26)들의 신호를 통해 화물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발신기(26)에는, 지브(6)의 선단에 설치되는 지브용 발신기(26a), 호이스트용 발신기(26b) 및 훅크용 발신기(26c) 등이 있다.
또한, 화물에 부착되는 화물용 발신기(26d)는, 화물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고자 할 경우 화물에 더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지브용 발신기(26a), 호이스트용 발신기(26b), 훅크용 발신기(26c)의 신호를 수신감지부(24)를 통해 감지한 후 연산 처리하게 된다.
제어부(30)는 발신기(26)들의 신호를 수신감지부(24)를 통해 감지하고 연산 처리한 후 후술한 조작부재(20)의 표시부(34)에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30)의 신호에 의해 화물의 위치가 표시부(34)에 표시됨에 따라 운전자는 고공을 보지 않아도 용이하게 화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물 이동 감시장치(22)에는 화물보다 높은 위치에서 화물을 감시할 수 있도록 지브(6)의 선단에 CCTV(28)가 설치되어 있다. CCTV(28)는 화물보다 높은 위치에서 화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브 크레인(2)의 안전 운전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한 수신감지부(24), 발신기(26) 및 CCTV(28)는, 사용이 편리하도록 조작부재(20)를 조작하면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즉, 조작부재(20)의 조작을 제어부(30)가 감지하게 되면, 수신감지부(24), 발신기(26), 조작부재(20)의 표시부(34), CCTV(28) 등은 유선 또는 무선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고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에는 수신감지부(24), 발신기(26), 조작부재(20), 표시부(34), CCTV(28)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재(20)에는 수신감지부(24)와 발신기(26) 및 CCTV(28)의 정보가 제어부(30)의 유선 또는 무선 신호에 의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표시부(34)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34)에는, 수신감지부(24)가 감지한 발신기(26)의 위치를 통해 화물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표시부(34)에 표시되는 화물의 위치 정보는 화물의 하역 정보로 활용되고 하역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재(20)의 표시부(34)는 조작부재(20)의 조작시 화물의 이동위치를 표시하기 때문에 고공의 지브(6) 및 화물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불편을 덜 수 있다.
즉, 고공의 지브나 화물을 조작부재(20)의 표시부(34)를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고공을 자주 올려다봄으로써 운전자가 받는 목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부재(20)에 표시부(34)를 설치함으로써, 크레인 운전자는 높이 위치한 화물을 직접 올려 보지 않아도 지브 크레인(2)의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조작부재(20)는 휴대용 원격제어기(20a) 또는 펜던트스위치(20b) 중 하나가 사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조작부재(20)를 조작하면 메인판넬(P)은 호이스트(16)를 작동시켜 훅크(44)에 걸려 있는 화물을 들어 올리게 된다.
이때, 조작부재(20)를 조작하면 제어부(30)는 이를 감지한 후 수신감지부(24), 발신기(26) 및 CCTV(28) 등을 작동시킨다.
지브(6)에 설치된 호이스트(16)가 화물을 들어 올리게 되면, 조작부재(20)를 조작해 하역 위치로 지브(6)를 작동시킨다.
상기한 지브(6)는, 조작부재(20)의 조작을 감지한 메인판넬(P)이 상부 구동부(14)의 감속모터(M)를 작동시키면 선회기어에 의하여 일측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상부 구동부(14)의 작동으로 지브(6)는 일방향으로 선회하게 되고 화물은 지브(6)의 회전에 따라 하역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화물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지브(6)를 회전시키면, 지브(6)는 화물의 반작용으로 인해 흔들리면서 뒤틀리는 힘을 받게 되지만 웨이트(8) 및 텐션바(10)에 의하여 지지된다.
주기둥 보강부(42)를 축으로 두고 선회베어링(36)에 연결된 텐션바(10)는 선회베어링(36)에 의해 회전하면서 지브(6)를 지지하게 된다. 즉, 지브(6)가 화물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회전할 때 화물의 반작용에 의해 흔들리더라도 지브(6)는 텐션바(10)에 의해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호이스트(16)를 통해 화물을 들어 올린 지브(6)는 웨이트(8)와 텐션바(10)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웨이트(8)와 텐션바(10)는 지브(6)가 화물을 들어 올릴 때 지브(6)에 가중되는 하중을 분담함으로써 뒤틀림을 방지하여 균형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화물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지브(6)가 선회하게 되면, 텐션바(10)는 지브(6)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지브(6)의 선회 속도에 맞춰 주기둥(4)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지브(6)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브(6)가 호이스트(16)를 통해 화물을 들어 올리고 화물을 하역 위치로 이동할 때 발신기(26)들은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즉, 지브용 발신기(26a), 호이스트용 발신기(26b), 훅크용 발신기(26c)나 필요에 의해 더 설치된 화물용 발신기(26d)들의 송신 신호를 수신감지부(24)가 감지하게 된다.
수신감지부(24)가 감지한 신호는 제어부(30)가 연산 처리하여 화물의 이동 정보를 조작부재(20)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작부재(20)를 조작하여 화물의 이동 정보를 확인하게 되면 표시부(34)에는 제어부(30)에서 수신된 화물의 이동 정보가 출력되어 표시된다.
상기한 표시부(34)에 화물의 이동 정보를 출력시킨 상태에서 지브 크레인(2)을 운전하는 경우에는, 고공의 지브나 화물을 보지 않고 표시부(34)의 정보만 보고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고 하역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지브 크레인(2)은 지브(6) 및 고공의 화물을 보지 않아도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및 목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지브(6)에 설치된 CCTV(28)는 화물보다 높은 위치에서 화물을 하역할 때까지 표시부(34)를 통해 화물을 볼 수 있도록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CCTV(28) 및 화물의 이동 감시장치(22)는, 발신기(26)들을 이용한 화물의 위치 확인과 CCTV(28)영상을 통해 화물의 위치와 이동 경로를 이중으로 감시하고 확인할 수 있어 화물의 하역에 따른 안전운전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지브 크레인(2)은, 하중 용량에 따라 웨이트(8) 또는 텐션바(10) 중 어느 하나만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텐션바(10)를 주기둥(4) 하단에 선회베어링(36)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지브(6)를 따라 회전하면서 지브(6)를 지지하여 균형을 유지하고 크레인의 구조물이 안정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화물을 하역할 때 발신기(26)들의 신호를 연산처리한 제어부(30)가 표시부(34)에 화물의 이동 위치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고공의 지브 및 화물을 보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하역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4: 주기둥 6: 지브(Jib)
8: 웨이트(Weight) 10: 텐션바(Tension Bar)
12: 선회지지부 14: 구동부
16: 호이스트(Hoist) 20: 조작부재
22: 화물 이동 감시장치 24: 수신감지부
26: 발신기 26a: 지브용 발신기
26b: 호이스트용 발신기 26c: 훅크용 발신기
26d: 화물용 발신기 28:CCTV
30: 제어부 34: 표시부
36: 선회베어링 38a: 상측 고정부
38b: 하측 고정부 42: 주기둥 보강부
43: 수평 보강판 44: 훅크
P: 메인판넬 M: 감속모터
8: 웨이트(Weight) 10: 텐션바(Tension Bar)
12: 선회지지부 14: 구동부
16: 호이스트(Hoist) 20: 조작부재
22: 화물 이동 감시장치 24: 수신감지부
26: 발신기 26a: 지브용 발신기
26b: 호이스트용 발신기 26c: 훅크용 발신기
26d: 화물용 발신기 28:CCTV
30: 제어부 34: 표시부
36: 선회베어링 38a: 상측 고정부
38b: 하측 고정부 42: 주기둥 보강부
43: 수평 보강판 44: 훅크
P: 메인판넬 M: 감속모터
Claims (6)
-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주기둥(4)과, 구동부(14) 및 호이스트(16)를 구비하고 상기 주기둥(4)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브(6)와, 상기 지브(6)를 지지하는 웨이트(8)가 설치되는 후단과 주기둥(4)의 하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텐션바(10)와, 상기 구동부(14)의 감속모터(M) 및 호이스트(16)를 제어하도록 메인판넬(P)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조작부재(20)를 구비하되,
화물의 하중에 따른 부하를 주기둥(4)의 상 하부 측으로 분산시키고 지브(6)의 회전시 주기둥(4)을 선회하면서 지브(6)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브(6)의 후단 상측 고정부(38a)에 상기 텐션바(10)의 일측단이 설치되는 지브 크레인(2)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 설치된 상기 주기둥(4)의 하부에는, 상기 텐션바(10)의 타측단이 연결되는 하측 고정부(38b)를 형성하면서 주기둥 보강부(42)의 수평보강판(43) 아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선회베어링(36)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감시장치 및 선회지지부를 구비한 지브크레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751U KR200465560Y1 (ko) | 2011-12-02 | 2011-12-02 | 화물 이동 감시장치 및 선회지지부를 구비한 지브 크레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751U KR200465560Y1 (ko) | 2011-12-02 | 2011-12-02 | 화물 이동 감시장치 및 선회지지부를 구비한 지브 크레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5560Y1 true KR200465560Y1 (ko) | 2013-02-25 |
Family
ID=5135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10751U KR200465560Y1 (ko) | 2011-12-02 | 2011-12-02 | 화물 이동 감시장치 및 선회지지부를 구비한 지브 크레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556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73523A (zh) * | 2020-06-12 | 2020-08-25 | 大连华锐重工冶金设备制造有限公司 | 一种双回转悬臂吊 |
US20220002119A1 (en) * | 2018-10-29 | 2022-01-06 | Boosup UM | Tower crane having improved safet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3212U (ko) * | 2008-06-20 | 2009-12-30 | 주명자 | 소형선박 구난용 크레인 |
JP2011063346A (ja) | 2009-09-15 | 2011-03-31 | Tadano Ltd | クレーン装置における位置検出装置 |
-
2011
- 2011-12-02 KR KR2020110010751U patent/KR20046556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3212U (ko) * | 2008-06-20 | 2009-12-30 | 주명자 | 소형선박 구난용 크레인 |
JP2011063346A (ja) | 2009-09-15 | 2011-03-31 | Tadano Ltd | クレーン装置における位置検出装置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002119A1 (en) * | 2018-10-29 | 2022-01-06 | Boosup UM | Tower crane having improved safety |
CN111573523A (zh) * | 2020-06-12 | 2020-08-25 | 大连华锐重工冶金设备制造有限公司 | 一种双回转悬臂吊 |
CN111573523B (zh) * | 2020-06-12 | 2023-08-29 | 大连华锐重工焦炉车辆设备有限公司 | 一种双回转悬臂吊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97266B2 (en) | Cran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verload protection of such a crane | |
US10472214B2 (en) | Cran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verload protection of such a crane | |
EP2753568B1 (en) | Crane control | |
RU2499762C2 (ru) |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воротом поворотной части башенного крана | |
US20050098520A1 (en) | Mobile crane having a superlift device | |
EP2447202A1 (en) | Lifting hook device | |
US8840158B2 (en) | Lifting beam | |
WO2014201886A1 (zh) | 吊重摆角、吊重载荷或吊重姿态的监测方法与装置及起重机 | |
CN107697820B (zh) | 吊车防侧翻系统 | |
CN113443561B (zh) | 起重机及起重机的监视装置 | |
JP5824206B2 (ja) | 吊荷旋回装置 | |
KR200465560Y1 (ko) | 화물 이동 감시장치 및 선회지지부를 구비한 지브 크레인 | |
CN208120584U (zh) | 一种用于地铁施工垂直输送系统的翻渣装置 | |
CN105384090A (zh) | 起重机的自动架设 | |
JPH0853290A (ja) | クレーンの吊荷監視装置 | |
US20230391588A1 (en) | Lifting gear, and method for determining slack rope on the lifting gear | |
WO2019004958A2 (en) | TRAPPER THAT CAN PIVOT A VEHICLE IN THE AIR | |
JP2001002369A (ja) | クレーンの吊荷監視装置 | |
US11772943B2 (en) | Monitoring device for winch drum | |
JP7119371B2 (ja) | クレーンおよび情報表示方法 | |
KR102005853B1 (ko) | 타워크레인의 텔레스코핑 작업시 흔들림 감지장치 | |
JP3101211B2 (ja) | フックブロック警報装置 | |
JP4461161B2 (ja) | 放射性物質輸送・貯蔵用容器の吊下装置 | |
CN110654979A (zh) | 一种监控管理系统及方法 | |
KR101121689B1 (ko) | 크레인 하중센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