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228Y1 - 유아용 코흡입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코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228Y1
KR200465228Y1 KR2020100009099U KR20100009099U KR200465228Y1 KR 200465228 Y1 KR200465228 Y1 KR 200465228Y1 KR 2020100009099 U KR2020100009099 U KR 2020100009099U KR 20100009099 U KR20100009099 U KR 20100009099U KR 200465228 Y1 KR200465228 Y1 KR 200465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eezers
nose
vent
main body
nasal aspi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685U (ko
Inventor
전철
Original Assignee
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철 filed Critical 전철
Priority to KR2020100009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22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6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2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61M1/784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by filtering, sterilising or disinfecting the exhaust air, e.g. swellable filte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47K7/043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B25B9/02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without sliding or pivotal connections, e.g. tweezers, onepiece to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mouth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 안에 있는 콧물을 쉽게 제거하는 코흡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흡입기를 입으로 빨아들일 때 강한 흡입력에 의해 콧물이 통기구로 나오지 않도록 하고 또한 코딱지제거를 위한 핀셋을 함께 수용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나 어린이들이 감기에 걸려 코가 나올 때 이를 쉽게 제거하기 위하여 코흡입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코흡입기의 구조는 관형태로 된 본체의 상측에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흡입된 코가 담아지는 저장통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코를 흡입하는 흡입부가 결합되고 후방에는 공기가 순환되는 통기구와 공기를 발생시키는 펌프손잡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콧물 등의 이물질의 점액이 강할 경우 펌프손잡이의 작동으로는 이물질이 잘 흡입되지 않아 통기구에 튜브관을 끼워 입으로 강하게 빨아들이도록 하고 있으나 이럴 경우 흡입력이 너무 강하여 이물질이 튜브관으로 삽입되어 막히게 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입안으로 들어가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콧속에 있는 코딱지를 제거할 때에는 별도의 핀셋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핀셋을 따로 보관하기 때문에 항상 필요할 때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강한 흡입력에 의해 콧물이 통기구로 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이물질 제거를 위한 핀셋을 코흡입기에 같이 수용하여 휴대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코흡입기{An snot inhaler}
본 고안은 유아들이 감기에 걸려 코가 막혔을 때 코 안에 있는 콧물을 쉽게 제거하는 코흡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잘 흡입되지 않는 콧물의 제거를 위하여 코흡입기를 입으로 빨아들일 때 강한 흡입력에 의해 콧물이 통기구로 나오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코딱지제거를 위한 핀셋을 함께 수용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흡입기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감기에 걸렸을 때 비염 등으로 인해서 콧속에 발생되는 콧물이나 고름 등의 이물질을 공기 흡입을 통해서 쉽게 빼내어 콧속을 깨끗하게 하도록 하는 기구이다.
도 8 내지 9는 동일 출원인이 출원한 종래의 코흡입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관형태로 되어 상측에는 공기배출구(110)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흡입된 콧물을 저장하는 저장통(120)이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는 코에 삽입되어 콧물이나 고름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200)가 결합되고 후방에는 코를 본체(100)로 빨아들이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통기구(130)가 형성되어 상기 통기구(130)에 펌프손잡이(300)가 결합된 구조이다.
따라서 아이들의 코가 막혔을 때 코흡입기의 흡입부(200)를 콧속에 넣은 상태에서 상기 펌프손잡이(300)를 누르면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구(110)로 빠져나갔다가 펌프손잡이(300)를 펴게 되면 공기가 펌프손잡이(300)로 흡입되면서 흡입부(200)를 통해 콧물이 흡입되어 콧물 등의 이물질을 콧속에서 빼내어 저장통(120)에 담아지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콧물 등의 이물질이 콧속의 깊은 곳에 있거나 점액이 강할 경우에는 펌프손잡이(300)의 작동만으로는 흡입력이 약하여 이물질의 제거가 잘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럴 경우 펌프손잡이(300)를 탈착한 후 통기구에 튜브관(400)을 끼워 입으로 강하게 빨아들여 강한 흡입력으로 점액이 진한 콧물도 모두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입으로 강하게 흡입하게 될 경우 그 흡입력이 너무 강하여 콧물 등의 이물질이 저장통(120)에 담아지지 않고 통기구(130)로 빨려들어가게 되면서 튜브관(400)을 막히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심할 경우에는 튜브관(400)을 통해 입으로 들어가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튜브관(400)의 중간에 이물질이 끼었을 경우에 제거를 하기가 상당히 불편하였다.
또한 콧물과 먼지가 말라붙을 경우 코딱지로 변하게 되는데 이러한 코딱지는 코흡입기로 제거가 되지 않아 별도의 집게 형태의 핀셋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있는 것이나 상기 핀셋을 따로 보관하거나 휴대해야하기 때문에 필요할 때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코흡입기를 입으로 빨아들일 때 강한 흡입력에 의해 콧물이 통기구로 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핀셋을 코흡입기에 함께 수용하여 휴대성 및 편의성을 용이하게 제공토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의 내부에 통기구가 형성된 전방으로 다수의 걸림벽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걸림벽의 간격 사이로 공기는 통하면서 콧물 등의 이물질은 걸림벽에 걸려져 통기구로 흡입되지 않고 저장통으로 흘러내려 담아지도록 하고 코딱지 제거를 위한 핀셋을 펌프손잡이의 내측에 수용부를 형성하여 수용토록 함으로써 필요할 때 바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을 편의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강한 흡입력이 필요할 때 튜브관을 이용하여 흡입하여도 콧물 등의 이물질이 그대로 저장통으로 담아지게 되어 입으로 흡일할 때에도 사용이 용이한 것이고 또한 콧속에 코딱지를 제거하기 위한 핀셋을 코흡입기에 일체로 수용하여 필요할 때 찾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코흡착기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코흡착기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걸림벽에 이물질이 걸려진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코흡착기의 본체 내부에 형성된 걸림벽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등분되게 형성된 본체 내부에 다공판이 형성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펌프손잡이가 눌려지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펌프손잡이에 또다른 형태의 수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코흡착기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또 다른 구조의 코흡착기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코흡착기의 내부에 걸림벽이 형성된 본체와 핀셋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펌프손잡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코흡입기는 관형태로 되어 상측에는 공기배출구(1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흡입된 콧물을 저장하는 저장통(12)이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에는 코에 삽입되어 콧물이나 고름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20)가 결합되고 후방에는 코를 본체로 빨아들이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통기구(13)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의 통기구(13)가 형성된 전방으로 걸림벽(14)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구(13)가 형성된 부분에 핀셋(40)을 수용하는 수용부(31)가 형성된 펌프손잡이(30)가 결합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흡입부(20)가 결합된 부분에 커버(21)를 결합함으로써 아이들의 콧속으로 들어가는 흡입부(20)로 세균이나 먼지 등으로 더렵혀지지 않도록 커버(21)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들이 감기에 걸려 코가 막혔을 때 커버(21)를 제거한 후 상기 코흡입기의 흡입부(20)를 콧속에 삽입한 상태에서 펌프손잡이(30)의 펌핑 작동을 반복하여 공기가 통기구(13)를 통해 순환되어 콧물 등의 이물질이 공기와 같이 흡입하여 공기는 공기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되고 흡입된 이물질은 저장통(12)으로 담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콧물 등의 이물질이 점성이 강하여 잘 흡입되지 않을 때 펌프손잡이(30)를 제거하고 도 3과 같이 튜브관(32)을 상기 통기구(13)에 끼워 입으로 강하게 빨아들이면 콧물 등의 이물질이 강한 흡입력에 의해 흡입부(20)로 흡입되면서 이물질은 통기구(13)로 같이 흡입되지 않고 걸림벽(14)에 걸려져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저장통(12)에 담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벽(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로 되어 통기구(13)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통기구(13)에 끼워진 튜브관(32)을 통해 입으로 공기를 강하게 빨아들이게 되면 강한 흡입력으로 공기는 걸림벽(14)의 간격 사이로 순환이 되면서 통기구(13)로 흡입되고 콧물 등의 이물질은 걸림벽(14)에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벽(14)은 다수의 다공홈(15a)이 형성된 다공판(15)으로 형성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는 다공홈(15a)으로 순환되어 흡입되고 콧물 등의 이물질은 다공판(15)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공홈(15a)이 형성된 다공판(15)을 본체(10) 내부에 형성토록 하기 위하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를 통기구(13)가 형성된 부분이 나사결합 등의 분리결합되게 등분되게 성형하면 제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펌프손잡이(30)의 중앙에 형성된 수용부(31)는 핀셋(40)의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게 형성된 다리가 구분되게 끼워지는 수용부(31)로 형성함으로써 핀셋(40)을 수용부(31)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펌프손잡이(30)를 누르면 도 6과 같이 내부에 수용된 다리가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게 형성된 핀셋(40)도 같이 눌려지게 되면서 펌프손잡이(30)의 펌핑작동에 핀셋(40)의 일정한 각도로 벌어진 다리가 동시에 접혀지면서 탄성효과가 더해져 펌핑작동을 더욱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31)를 핀셋(40)의 다리의 형상처럼 구분되게 형성하지 않고 원통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핀셋(40)을 어느 방향으로 수용하여도 쉽게 수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핀셋(40)의 헤드부에는 마개(41)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펌프손잡이(30)의 수용부(31)에 핀셋(40)을 수용하면서 마개(41)가 결합되도록 하여 수용된 핀셋(40)이 빠지지 않도록 되면서 펌프손잡이(30)에 수용된 핀셋(4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수용성과 외관을 보기 좋도록 한 것이다.
상기 펌프손잡이(30)와 마개(41)는 고무재질로 재작되는 것으로 고무재질의 특성상 서로 닿게되면 미끄러지지 않고 뻣뻣하게 되면서 잘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정각도로 벌어진 핀셋(40)의 다리가 수용부(31)의 내부에 밀착되어 수용부(31)에서 핀셋(40)이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고 여기에 마개(41)로 인해서 고무재질의 뻣뻣함으로 분리가 쉽게 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개(41)에는 고리(42)를 형성하여 핀셋(40)의 사용을 위하여 펌프손잡이(30)에서 핀셋(40)을 분리할 때 핀셋(40)의 탈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핀셋(40)은 아이들의 콧속에 딱딱하게 굳은 코딱지 등을 제거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것으로 아이들의 콧속에 핀셋(40)을 넣어 코딱지를 제거할 때 콧속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핀셋(40)을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하거나 금속으로 제작된 핀셋(40)의 집게부에 실리콘재질의 캡(43)을 끼우도록 하여 상처가 발생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구(11)에 음향발생기(16)를 장착하여 펌프손잡이(30)를 작동하여 공기가 빠져나갈 때 공기가 음향발생기(16)를 통해 공기배출구(11)로 배출되면서 음향발생기(16)에서 소리가 나도록 하여 아이들이 콧속의 이물질을 흡입할 때 공포심을 없애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펌프손잡이(30)로 이물질의 흡입이 잘 안될 때 통기구(13)에 튜브관(32)으로 교체하여 흡입력이 강한 입으로 강하게 흡입하게 되면 통기구(13) 전방에 형성된 걸림벽(14)에 의해서 공기는 흡입되고 이물질은 걸림벽(14)에 걸려져 저장통(12)에 담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콧속에 있는 코딱지 등의 제거를 위한 핀셋(40)을 펌프손잡이(30)에 수용토록 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면서 찾는 시간을 단축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0: 본체 11: 공기배출구
12: 저장통 13: 통기구
14: 걸림벽 15: 다공판
15a: 다공홈 16: 음향발생기
20: 흡입부 21: 커버
30: 펌프손잡이 31: 수용부
32: 튜브관
40: 핀셋 41: 마개
42: 고리 43: 캡

Claims (7)

  1. 관형태로 되어 상측에는 공기배출구(1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흡입된 콧물을 저장하는 저장통(12)이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콧물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20)가 결합되고 이를 보호하는 커버(21)가 결합되고 후방에는 공기를 배출,흡입되는 통기구(13)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의 통기구(13)가 형성된 전방으로 걸림벽(14)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13)가 형성된 본체(10)의 후방에 핀셋(40)을 수용하는 수용부(31)가 형성된 펌프손잡이(30)가 결합되어 이물질이 공기가 배출,흡입되는 통기구로 빠져나가지 않고 걸림벽에 걸려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코흡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벽(14)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코흡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벽(14)을 본체(10)를 통기구(13)가 형성된 부분이 분리결합되도록 성형하여 본체(10)의 내부에 다수의 다공홈(15a)이 형성된 다공판(15)으로 된 걸림벽(14)을 형성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다공홈(15a)으로 순환되고 콧물 등의 이물질은 다공판(15)에 걸려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코흡입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31)는 핀셋(40)의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게 형성된 다리가 구분되게 끼워지는 수용부(31)로 형성하여 핀셋(40)을 수용부(31)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토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코흡입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40)의 헤드부에 마개(41)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펌프손잡이(30)의 수용부(31)에 핀셋(40)을 수용하면서 마개(41)가 끼워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코흡입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41)에는 고리(42)를 형성하여 핀셋(40)을 펌프손잡이(30)에서 분리할 때 탈착이 용이토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코흡입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40)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하거나 금속으로 제작된 핀셋(40)의 집게부에 실리콘재질의 캡(43)을 끼워 사용시 콧속에 긁힘 등의 상처가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코흡입기.
KR2020100009099U 2010-08-31 2010-08-31 유아용 코흡입기 KR200465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099U KR200465228Y1 (ko) 2010-08-31 2010-08-31 유아용 코흡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099U KR200465228Y1 (ko) 2010-08-31 2010-08-31 유아용 코흡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85U KR20120001685U (ko) 2012-03-08
KR200465228Y1 true KR200465228Y1 (ko) 2013-02-07

Family

ID=4660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099U KR200465228Y1 (ko) 2010-08-31 2010-08-31 유아용 코흡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22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7621A (en) * 1989-01-26 1992-12-01 Surgicraft Limited Fluid extractors
KR19990011938U (ko) * 1998-09-29 1999-03-25 이창연 콧물 흡입기구
KR19990017525U (ko) * 1999-01-14 1999-05-25 이창연 콧물흡입기구
KR200181500Y1 (ko) * 1999-12-13 2000-05-15 이창연 콧물 흡입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7621A (en) * 1989-01-26 1992-12-01 Surgicraft Limited Fluid extractors
KR19990011938U (ko) * 1998-09-29 1999-03-25 이창연 콧물 흡입기구
KR19990017525U (ko) * 1999-01-14 1999-05-25 이창연 콧물흡입기구
KR200181500Y1 (ko) * 1999-12-13 2000-05-15 이창연 콧물 흡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85U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0896B2 (en) Earwax cleaner
US108137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al of earwax and particulates
WO2014073625A1 (ja) 湿式吸引アタッチメント
US9764103B2 (en) Salt puffer
KR200467793Y1 (ko) 코 세척기
JP2009195488A (ja) 電気掃除機
US6991638B2 (en) Ear vacuum
KR200465228Y1 (ko) 유아용 코흡입기
JP5993645B2 (ja) 鼻汁吸引器
EP1474186B1 (en) Infant nasal aspirator
TW201628545A (zh) 用於電動吸塵器之吸嘴
US2787267A (en) Device for administering medicine
WO2018026619A1 (en) Electronic aspirator
RU87082U1 (ru) Носовой аспиратор, присоединяемый к очистительному устройству вакуумного действия
RU87083U1 (ru) Носовой аспиратор, присоединяемый к очистительному устройству вакуумного действия
KR200441185Y1 (ko) 코흡입기
JP2016030050A (ja) 電気掃除機
CN217366666U (zh) 一种吸鼻涕器
KR102534264B1 (ko) 콧물 흡입기구
CN220801157U (zh) 一种儿童口腔便携开关防滑吸唾管
JP7424627B2 (ja) 鼻汁吸引器
JP3198901U (ja) 電気掃除機用喉異物除去具
KR20230108151A (ko)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KR200279591Y1 (ko) 콧물 흡입기
JP2006000788A (ja) 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