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151A -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8151A KR20230108151A KR1020220003593A KR20220003593A KR20230108151A KR 20230108151 A KR20230108151 A KR 20230108151A KR 1020220003593 A KR1020220003593 A KR 1020220003593A KR 20220003593 A KR20220003593 A KR 20220003593A KR 20230108151 A KR20230108151 A KR 202301081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unit
- feces
- suction force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06010063659 Aver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930 Low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2—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 E01H1/1213—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in situ treatment of excr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에서 반려동물의 대변을 흡입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력 발생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력 발생부로부터 흡입력을 전달받아 대변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상기 흡입부와 상기 흡입력 발생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대변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흡입력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외에서 반려동물의 대변을 흡입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한 가구를 구성하는 인원수가 점차 축소되고 있다. 더욱이, 근래에는 1인 가구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을 입양하는 가정이 많아졌다.
이로 인해 반려동물을 동반하여 외출을 하거나 야외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야외에서 반려동물의 대변처리에 대한 어려움의 호소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56107호(2021.05.18 등록)는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용 위생장갑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위생적으로 수거 처리하기 위한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용 위생장갑에 있어서, 손에 착용할 수 있는 비닐재료의 장갑형 본체부; 본체 부의 입구 측에 형성되고, 본체 부를 뒤집으면 서로 결합하여 내부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본체 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거친 표면의 소제부를 더 포함하며, 밀폐부는 비닐장갑의 손목측 말단을 절취하기 위한 절취선과, 한 쌍의 절취선에 의해 형성되는 절취묶음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절취선의 말단에 과도한 절취를 방지하기 위한 곡선부가 형성되며, 곡선부는 인접한 곡선부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곡선부의 말단에 과도한 절취를 방지하기 위한 원형절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2629호(2014.02.06 등록)는 애완동물용 배변처리봉투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접힘부로 연결되는 상판 및 하판, 일측에 외부로 개방되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접힘부 주위의 상판 및 하판 내면에 개방부가 고정되며, 다단으로 접혀 상판 및 하판 사이에 수용되는 봉지 및 상판 및 하판에 동일하게 형성되고, 양단이 접힘부 상에 위치하는 절취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비닐, 장갑 등을 이용하여 보호자가 직접 반려동물의 대변을 손으로 집거나, 봉투에 밀어 넣어 처리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대변이 보호자의 손에 묻거나 미끄러져 떨어지는 등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야외에서 반려동물의 대변을 흡입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력 발생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력 발생부로부터 흡입력을 전달받아 대변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상기 흡입부와 상기 흡입력 발생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대변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흡입력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력 발생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력 발생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흡입 노즐부재; 일측이 상기 제1 흡입 노즐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흡입 노즐부재; 및 상기 제1 흡입 노즐부재와 상기 제2 흡입 노즐부재 사이를 연결하면서 길이를 조절하기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저장부; 및 상기 액체 저장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액체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부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부의 입구에 설치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양방향 모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야외에서 반려동물의 대변을 흡입하여 수거함으로써, 보호자가 직접 손으로 대변을 집거나 봉투에 밀어 넣지 않아도 되어, 대변의 감촉이 손에 전달되는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제거함은 물론, 편리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손에 대변이 묻거나 미끄러트리는 실수 없이 매우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흡입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흡입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10)는, 본체부(100), 흡입력 발생부(200), 흡입부(300), 저장부(400), 전원공급부(5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일측에 흡입부(300)가 형성되고, 내부에 흡입력 발생부(200), 저장부(400), 전원공급부(5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일측에 흡입부(300)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흡입부(30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공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보호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원통, 사각통 등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흡입력 발생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전원공급부(5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흡입력 발생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입력 발생부(200)는, 모터(210), 흡입팬(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21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전원공급부(5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해당 발생시킨 회전력을 흡입팬(220)으로 전달한다.
흡입팬(220)은, 모터(210)에 연결되며, 모터(2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흡입부(30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흡입력 발생부(200)로부터 흡입력을 전달받아 대변을 흡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흡입부(300)는, 본체부(10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400)는, 흡입부(300)와 흡입력 발생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흡입부(300)로부터 흡입된 대변을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부(400)는, 흡입부(300)와 흡입력 발생부(200) 사이에 형성되되, 본체부(10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입부(200)로부터 흡입되는 대변이 하강하면서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부(400)는, 대변을 담기 위해 반원통, 사각통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부(400)는, 상부에 입구가 구비되어, 대변이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대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부(400)는, 상부에 입구가 구비되되, 입구쪽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흡입부(300)를 통해 흡입된 대변이 용이하게 저장부(400)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부(400)는, 본체부(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된 대변을 제거하고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공급부(500)는, 흡입력 발생부(2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5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10)는, 필터부(600)를 더 포함한다.
필터부(600)는, 흡입력 발생부(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이에 따라, 흡입부(300)를 통해 흡입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흡입력 발생부(200)로 인입되어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부(600)는, 눈에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미세 먼지, 박테리아, 곰팡이 등을 걸러주는 HEPA 필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부(600)는, 흡입력 발생부(200)의 일측에 해당하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10)는, 스위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는, 본체부(100)의 외측에 형성되며, 보호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공급부(500)에서 흡입력 발생부(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킨다.
즉, 스위치를 온 시키면 흡입력 발생부(200)가 구동되어 흡입력을 발생시켜 흡입부(300)를 통해 대변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며, 스위치를 오프 시키면 흡입력 발생부(2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10)는, 야외에서 반려동물의 대변을 흡입하여 수거함으로써, 보호자가 직접 손으로 대변을 집거나 봉투에 밀어 넣지 않아도 되어, 대변의 감촉이 손에 전달되는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제거함은 물론, 편리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손에 대변이 묻거나 미끄러트리는 실수 없이 매우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흡입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흡입부(300)는, 제1 흡입 노즐부재(310), 제2 흡입 노즐부재(320), 조절부재(330)를 포함한다.
제1 흡입 노즐부재(310)는, 본체부(1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흡입 노즐부재(310)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본체부(10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으로 제2 흡입 노즐부재(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흡입 노즐부재(320)는, 일측이 제1 흡입 노즐부재(31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흡입 노즐부재(320)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외면에 복수개의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흡입 노즐부재(320)는, 제1 흡입 노즐부재(3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제1 흡입 노즐부재(310)의 내면과 밀착되어 흔들리지 않게 삽입될 수 있다.
조절부재(330)는, 제1 흡입 노즐부재(310)와 제2 흡입 노즐부재(320) 사이를 연결하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절부재(330)는, 제1 흡입 노즐부재(310)의 다른 일측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홈, 스프링, 볼을 포함한다.
고정홈은, 조절부재(330)의 내면에 형성되어, 스프링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은, 일단이 고정홈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단에 볼이 체결되어, 볼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볼은, 스프링의 일단에 체결되어, 제2 흡입 노즐부재(310)의 외면에 구비된 삽입홈에 삽입 또는 이탈된다.
즉, 제2 흡입 노즐부재(320)를 밀거나 잡아당기면 볼이 눌려 스프링이 탄성 압축되면서 볼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제2 흡입 노즐부재(3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 흡입 노즐부재(320)를 원하는 길이로 이동시킨 후 정지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볼이 삽입홈에 삽입되어 제1 흡입 노즐부재(310)와 제2 흡입 노즐부재(320)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10)는, 흡입부(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보호자의 요통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10)는, 본체부(100), 흡입력 발생부(200), 흡입부(300), 저장부(400), 전원공급부(500), 액체 저장부(700), 액체 분사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흡입력 발생부(200), 흡입부(300), 저장부(400), 전원공급부(500)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액체 저장부(700)는, 본체부(100)의 외부에 형성되어, 액체를 저장한다.
여기서, 액체는, 소독제, 탈취제, 물 등 다양한 액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액체 저장부(700)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구비되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체 분사부(800)는, 액체 저장부(7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액체 저장부(700)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액체 분사부(800)는, 액체 저장부(7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외부 압력에 의한 누름동작을 수행하여 액체 저장부(700)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액체 분사부(800)는 상하 압력에 따라 유동되어, 압력 차이에 따라 액체 저장부(700)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미스트로 분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10)는, 액체 저장부(700)에 저장된 액체의 종류에 따라 소독제를 분사하여 대변에 존재하는 세균을 소독하거나, 탈취제를 분사하여 대변의 냄새를 제거하거나, 물을 분사하여 대변 본 자리를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10)는,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10)는, 본체부(100), 흡입력 발생부(200), 흡입부(300), 저장부(400), 전원공급부(500), 개폐부(9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흡입력 발생부(200), 흡입부(300), 저장부(400), 전원공급부(500)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개폐부(900)는, 저장부(400)의 입구에 형성되어, 저장부(400)의 입구를 개폐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개폐부(900)는, 개폐부재(910), 양방향 모터부재(9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부재(910)는, 저장부(400)의 입구에 설치되며, 양방향 모터부재(920)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한다.
양방향 모터부재(920)는, 개폐부재(91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양방향 모터부재(920)는, 전원공급부(5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개폐부재(910)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개폐부재(9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저장부(400)의 입구를 개방시켜 저장부(400)의 입구를 통해 대변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대변이 저장부(400)에 유입된 이후에 개폐부재(910)를 다른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저장부(400)의 입구를 폐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10)는, 대변이 저장부(400)에 저장된 이후에 저장부(400)의 입구를 폐쇄시킴으로써, 본체부(100)가 흔들리거나 뒤집히더라도 저장부(400)에 저장된 대변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100 : 본체부
110 : 손잡이
200 : 흡입력 발생부
210 : 모터
220 : 흡입팬
300 : 흡입부
310 : 제1 흡입 노즐부재
320 : 제2 흡입 노즐부재
330 : 조절부재
400 : 저장부
500 : 전원공급부
600 : 필터부
700 : 액체 저장부
800 : 액체 분사부
900 : 개폐부
910 : 개폐부재
920 : 양방향 모터부재
100 : 본체부
110 : 손잡이
200 : 흡입력 발생부
210 : 모터
220 : 흡입팬
300 : 흡입부
310 : 제1 흡입 노즐부재
320 : 제2 흡입 노즐부재
330 : 조절부재
400 : 저장부
500 : 전원공급부
600 : 필터부
700 : 액체 저장부
800 : 액체 분사부
900 : 개폐부
910 : 개폐부재
920 : 양방향 모터부재
Claims (5)
-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력 발생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력 발생부로부터 흡입력을 전달받아 대변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상기 흡입부와 상기 흡입력 발생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대변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흡입력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 발생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 발생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흡입 노즐부재;
일측이 상기 제1 흡입 노즐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흡입 노즐부재; 및
상기 제1 흡입 노즐부재와 상기 제2 흡입 노즐부재 사이를 연결하면서 길이를 조절하기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저장부; 및
상기 액체 저장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액체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3593A KR20230108151A (ko) | 2022-01-10 | 2022-01-10 |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3593A KR20230108151A (ko) | 2022-01-10 | 2022-01-10 |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8151A true KR20230108151A (ko) | 2023-07-18 |
Family
ID=8742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3593A KR20230108151A (ko) | 2022-01-10 | 2022-01-10 |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08151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2629B1 (ko) | 2013-08-02 | 2014-02-13 | 주식회사 나우리아이티 | 애완동물용 배변처리봉투 |
KR102256107B1 (ko) | 2019-08-16 | 2021-05-25 | 백호준 |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용 위생장갑 |
-
2022
- 2022-01-10 KR KR1020220003593A patent/KR20230108151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2629B1 (ko) | 2013-08-02 | 2014-02-13 | 주식회사 나우리아이티 | 애완동물용 배변처리봉투 |
KR102256107B1 (ko) | 2019-08-16 | 2021-05-25 | 백호준 |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용 위생장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9595637U (zh) | 清洁设备和清洁装置 | |
US4185355A (en) | Apparatus for cleaning up animal feces deposits | |
CN209252673U (zh) | 真空吸尘器 | |
CN101889556B (zh) | 真空清洁器具的附件 | |
KR102018521B1 (ko) | 상황별 효율적인 청소가 용이한 무선 청소기 | |
US20050015916A1 (en) | Wet-dry vacuum cleaning device | |
CN101247750A (zh) | 手持机械式软表面修复(ssr)装置及其使用方法 | |
MX2007011804A (es) | Dispositivo de restauracion de superficie suave y metodo de uso. | |
JP2007144118A (ja) | 介護用洗浄装置 | |
CN208600263U (zh) | 一种新型键盘消毒杀菌装置 | |
JP4502973B2 (ja) | 装着型排泄装置 | |
US20230102609A1 (en) | Ear and nose cleaning device | |
KR20230108151A (ko) | 반려동물용 대변 수거 장치 | |
WO2019225384A1 (ja) | 洗浄ヘッド及び洗浄装置 | |
KR100526115B1 (ko) | 애완동물용 진공청소기 헤드 조립체 | |
JP3130483U (ja) | 介護用温水洗浄装置 | |
KR100572771B1 (ko) | 애완동물용 진공청소기 헤드 조립체 | |
JP2002165821A (ja) | 排泄物処理装置 | |
CN113303587A (zh) | 一种多功能医用清洁刷 | |
KR200448183Y1 (ko) | 핸드형 진공청소기 | |
JP2000051313A (ja) | 排泄物処理器 | |
JPS624288Y2 (ko) | ||
KR920006770Y1 (ko) | 귀지 청소기 | |
KR200342597Y1 (ko) | 방향제를 갖는 진공청소기 | |
KR200254938Y1 (ko) | 집진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미용 테이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