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222Y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222Y1
KR200465222Y1 KR2020110005061U KR20110005061U KR200465222Y1 KR 200465222 Y1 KR200465222 Y1 KR 200465222Y1 KR 2020110005061 U KR2020110005061 U KR 2020110005061U KR 20110005061 U KR20110005061 U KR 20110005061U KR 200465222 Y1 KR200465222 Y1 KR 200465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grooves
groove
position limit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650U (ko
Inventor
야-핑 린
Original Assignee
야-핑 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핑 린 filed Critical 야-핑 린
Priority to KR2020110005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22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6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6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절연 본체, 2개의 고정단자, 덮개체 및 복수 개의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 본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2개의 세로 격벽 및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2개의 삽입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삽입 홈과 상기 세로 격벽 사이는 제1 간격을 가지며,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삽입 홈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 표면에 돌출된 로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부와 상기 세로 격벽 사이는 가로 방향의 간격을 가지며, 상기 덮개체는 압착 표면, 2개의 측면, 2개의 위치 제한 볼록부, 각각 상기 위치 제한 볼록부에 설치된 2개의 로킹 홈 및 각각 상기 로킹 홈 안에 있는 2개의 로킹 바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 홈과 상기 측면 사이는 제2 간격을 가지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로킹 바에 잠금 연결되며,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절연 본체에 삽입 설치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본 고안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특히 덮개체의 변형 및 케이블의 탈락을 방지하며 압착 강도를 증가시킨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 커넥터(10)는 절연 본체(11), 덮개체(12) 및 복수 개의 단자(13)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본체(11)는 베이스 플레이트(11a) 및 2개의 측벽(11b)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13)들은 상기 절연 본체(11)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a)에 설치되고, 상기 각 측벽(11b)에는 걸림 홈(11c)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체(12)는 2개의 측면(12a) 및 2개의 각각 상기 측면(12a)으로부터 볼록하게 튀어나온 볼록부(12b)을 구비한다. 상기 덮개체(12)가 상기 절연 본체(11)를 덮을 때, 상기 덮개체(12)의 상기 볼록부(12b)는 상기 절연 본체(11)의 상기 걸림 홈(11c)에 삽입된다. 그러나 상기 볼록부(12b)는 상기 덮개체(12)의 상기 측면(12a)에 설치되기에, 상기 덮개체(12) 또는 상기 절연 본체(11)의 상기 각 측벽(11b)이 환경의 온도 변화에 의해 만곡 변형될 경우, 상기 덮개체(12)의 상기 볼록부(12b)는 상기 각 측벽(11b)의 상기 걸림 홈(11c)에 잠금 연결될 수 없다. 이에 케이블과 전기 커넥터(10)와의 전기적 연결이 실패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며, 또한 상기 볼록부(12b)가 상기 덮개체(120의 상기 측면(12a)에 설치되기에, 상기 덮개체(12)가 상기 절연 본체(11)를 덮을 때, 상기 덮개체(12)가 상기 절연 본체(11)를 누르는 압착 강도가 비교적 약하여 케이블이 상기 전기 커넥터(10)를 쉽게 이탈함으로 전기적 연결의 실패를 초래한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덮개체 또는 세로 격벽의 변형으로 인해 덮개체가 세로 격벽에 잠금 연결될 수 없어 케이블과 전기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덮개체가 상기 절연 본체를 누르는 압착 강도를 증가시켜 케이블의 탈락 및 상기 덮개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전기 커넥터는 절연 본체, 2개의 고정단자, 덮개체 및 복수 개의 연결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 본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2개의 세로 격벽 및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 표면, 하 표면 및 2개의 삽입 홈을 구비하고, 각 상기 세로 격벽은 상기 상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2개의 세로 격벽 사이에 위치하며, 각 상기 삽입 홈은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되며, 또한 각 상기 삽입 홈과 각 상기 세로 격벽 사이에는 제1 간격을 가지며 각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된다. 각 상기 고정단자는 각각 상기 삽입 홈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 표면에 돌출된 로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부와 각 상기 세로 격벽 사이는 가로 방향의 간격을 갖는다. 상기 덮개체는 각 상기 절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압착 표면, 2개의 측면, 상기 압착 표면 양측에 볼록하게 설치된 위치 제한 볼록부, 각각 상기 위치 제한 볼록부에 설치된 2개의 로킹 홈 및 각각 상기 로킹 홈에 각각 설치된 2개의 로킹 바를 구비한다. 각 상기 로킹 홈과 각 상기 측면 사이는 상기 가로 방향의 간격보다 크지 않은 제2 간격을 구비하고, 각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로킹부는 상기 로킹 홈에 수용되며 각 상기 로킹 홈의 상기 로킹 바에 잠금 연결된다. 상기 연결단자들은 상기 절연 본체에 삽입 설치되고, 각 상기 연결단자는 제1 가이드 연결단 및 제2 가이드 연결단을 구비하고, 각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절연 본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연결단은 수용 공간으로부터 노출된다.
본 고안은 각 상기 삽입 홈과 각 상기 세로 격벽과의 제1 간격에 의해, 각 상기 고정단자로 하여금 상기 삽입 홈에 삽입 설치될 때, 각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로킹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상 표면에 돌출되고 상기 로킹부와 각 상기 세로 격벽 사이에 가로 방향의 간격을 가지도록 하며, 또한 상기 덮개체에 각 상기 로킹 홈을 상대적으로 설치하게 하며, 각 상기 로킹 홈과 각 상기 측면 사이의 제2 간격이 상기 가로 방향의 간격보다 크지 않게 한다. 따라서 상기 덮개체가 상기 절연 본체를 덮을 때, 상기 로킹부는 각 상기 로킹 홈의 상기 로킹 바에 잠금 연결된다. 이는 종래 기술의 덮개체 또는 세로 격벽의 변형으로 인해 덮개체가 세로 격벽에 잠금 연결되지 않아 케이블과 전기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각 상기 로킹 홈과 각 상기 측면 사이는 상기 제2 간격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덮개체가 상기 절연 본체를 덮을 때, 상기 덮개체가 상기 절연 본체를 누르는 압착 강도를 증가시켜 케이블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덮개체가 상기 절연 본체를 누르는 압착 강도를 증가시켜 케이블의 탈락 및 상기 덮개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입체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입체 조립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입체 조립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의 입체 조립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케이블을 결합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케이블을 결합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케이블을 결합한 도 8 A-A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케이블을 결합한 도 8 B-B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케이블을 결합한 도 8 C-C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케이블을 결합한 도 8 D-D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 케이블을 결합한 입체 조립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기 커넥터(100)는 절연 본체(110), 2개의 고정단자(120), 덮개체(130), 및 복수 개의 연결단자(140)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본체(1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1), 2개의 세로 격벽(112), 가로 격벽(113) 및 수용 공간(114)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상 표면(111a), 하 표면(111b) 및 2개의 삽입 홈(111c)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격벽(113) 및 상기 각 세로 격벽(112)은 상기 상 표면(111a)에 설치된다. 상기 가로 격벽(113)의 양단은 각각 상기 각 세로 격벽(112)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각 세로 격벽(112)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 공간(114)은 상기 2개의 세로 격벽(11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각 삽입 홈(111c)은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양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삽입 홈(111c)은 상기 상 표면(111a) 및 상기 하 표면(111b)을 관통하며, 또한 상기 각 삽입 홈(111c)은 상기 2개의 세로 격벽(112c) 사이에 위치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각 삽입 홈(111c)의 외측변(111i)과 상기 각 세로 격벽(112) 사이는 제1 간격(d1)을 가지고, 상기 각 삽입 홈(111c)은 상기 수용 공간(114)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 표면(111a)에는 2개의 오목 홈(111d)이 설치되고, 상기 각 오목 홈(111d)은 각각 상기 상 표면(111a)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각 오목 홈(111d)은 각각 상기 세로 격벽(112)에 인접하고 상기 각 오목 홈(111d)은 상기 수용 공간(114)과 연통되며, 상기 삽입 홈(111c)은 상기 오목 홈(111d)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 홈(111d)은 제1 오목부(111e) 및 제2 오목부(111f)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목부(111e)는 제1 저면(111g)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오목부(111f)는 제2 저면(111h)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저면(111h)은 상기 제1 저면(111g)보다 높으며, 상기 제2 저면(111h)은 경사면이다(도 1 및 도 12를 참조). 상기 각 고정단자(120)는 로킹부(121), 위치 제한부(122), 삽입 연결부(123) 및 베이스부(124)를 구비한다. 상기 로킹부(121) 및 상기 위치 제한부(122)는 상기 베이스부(124)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 연결부(123)는 상기 위치 제한부(122)로 연장되며, 상기 위치 제한부(122)는 상기 로킹부(121)와 상기 삽입 연결부(12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킹부(121)와 상기 위치 제한부(122) 사이에는 수용 홈(125)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킹부(121)는, 상기 위치 제한부(122)를 향하면서 상기 수용 홈(125)에 위치한 볼록부(126)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체(130)는 압착 표면(131), 2개의 측면(132), 상기 압착 표면(131)의 양측에 돌출 설치된 2개의 위치 제한 볼록부(133), 각각 상기 각 위치 제한부(133)에 설치된 2개의 로킹 홈(134) 및 상기 로킹 홈(134)에 각각 설치된 2개의 로킹 바(135)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각 로킹 홈(134)의 외측변(134b)과 상기 각 측면(131) 사이에는 제1 간격(d1)보다 크지 않은 제2 간격(d2)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체(130)의 상기 각 위치 제한 볼록부(133)는 제1 정면(133a) 및 제2 정면(133b)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면(133a)은 상기 제2 정면(133b)보다 높으며 상기 제2 정면(133b)은 경사면이다(도 1 및 도 12를 참조). 상기 로킹 홈(134)은 상기 제1 정면(133a) 및 상기 제2 정면(133b)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로킹 홈(134)은 상기 덮개체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 연결단자는 제1 가이드 연결단(141) 및 제2 가이드 연결단(142)을 구비한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각 고정단자(120)는 각각 상기 삽입 홈(111c)에 삽입되고, 상기 로킹부(121) 및 상기 위치 제한부(12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 표면(111a)에 돌출되며, 상기 로킹부(121)와 상기 각 세로 격벽(112) 사이에는 가로 방향의 간격(D)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간격(d2)은 상기 가로 방향의 간격(D)보다 크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고정단자(120)의 상기 로킹부(121)는 상기 제1 오목부(111e) 및 제2 오목부(111f)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덮개체(130)는 상기 절연 본체(110)의 상기 수용 공간(114)에 설치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체(130)는 한 쌍의 볼록 축(136)을 더 구비하는데, 상기 볼록 축(136)은 상기 가로 격벽(113)과 상기 고정단자(120)의 상기 위치 제한부(12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체(130)는 상기 볼록 축(136)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절연 본체를 개폐하고, 상기 연결단자(140)들은 상기 절연 본체(110)에 삽입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연결단자(120)는 상기 절연 본체(110)의 상기 가로 격벽(113)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연결단(141)은 수용 공간(114)으로부터 노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200)은 삽입 연결 단부(210) 및 2개의 위치 제한 측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각 위치 제한 측부(220)는 각각 상기 삽입 연결 단부(210)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200)은 상기 삽입 연결 단부(210)에 의해 상기 절연 본체(110)의 상기 수용 공간(114)에 삽입되며, 상기 각 연결단자(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체(130)는 상기 볼록 축(136)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절연 본체(110)를 덮고, 상기 각 위치 제한 볼록부(133)의 제1 정면(133a)은 상기 각 제1 오목부(111e)의 상기 제1 저면(111g)을 향하고, 상기 각 위치 제한 볼록부(133)의 상기 제2 정면(133b)은 상기 각 제2 오목부(111f)의 상기 제2 저면(111h)을 향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체(130)는 상기 케이블(200)을 누름으로써, 상기 케이블(200)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덮개체(130) 사이에 협지되도록 한다. 도 6,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체(130)의 상기 각 위치 제한 볼록부(133)는 상기 절연 본체(110)의 상기 오목 홈(111d)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200)의 상기 위치 제한 측부(210)가 상기 위치 제한 볼록부(133)와 상기 가로 격벽(113) 사이에 위치가 제한되어 상기 케이블(200)이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체(130)가 상기 절연 본체(110)를 덮을 때, 상기 로킹 바(135)는 상기 로킹부(121)의 상기 볼록부(126)를 밀므로써, 상기 볼록부(126)에 의해 상기 각 고정단자(120)의 상기 로킹부(121)가 상기 로킹 홈(134)에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로킹부(121)의 상기 볼록부(126)은 상기 로킹 바(135)에 잠금 연결되며 상기 로킹 바(135)는 또한 상기 고정단자(120)의 상기 수용 홈(125)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덮개체(130)가 변형되어 상기 절연 본체(11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고정단자(120)의 상기 로킹부(121)와 상기 로킹 홈(134)의 측벽(134a) 사이에 위치 양보 공간(S)을 가지고, 상기 덮개체(130)가 볼록 축(136)을 회전축으로 하여 절연 본체(110)를 이탈하여 열릴 때, 상기 로킹 바(135)는 상기 로킹부(121)의 상기 볼록부(126)를 밀어, 상기 로킹부(121)가 상기 위치 양보 공간(S)으로 위치 양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로킹 바(135)가 상기 로킹부(121)의 상기 볼록부(126)의 위치 제한으로부터 이탈하는데 유리하도록 하여 덮개체의 열림 상태를 달성한다. 상기 로킹 바(135)가 상기 볼록부(126)를 통과한 후, 상기 로킹부(121)는 즉시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
본 고안은 상기 각 로킹 홈(134)과 상기 각 측면(131) 사이에 제2 간격(d2)을 가지고 아울러 상기 고정단자(120)의 상기 로킹부(121)와 상기 각 세로 격벽(112) 사이에 상기 가로 방향의 간격(D)을 가지기 때문에, 로킹부(121)의 상기 볼록부(126)가 상기 로킹 홈(134)의 상기 로킹 바(135)에 잠금 연결될 경우, 종래기술의 덮개 또는 세로 격벽의 변형으로 인해 덮개가 세로 격벽에 잠금 연결되지 않아 케이블과 전기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체(130)가 상기 절연 본체(110)를 누르는 압착 강도를 증가시켜 케이블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 덮개체(130)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하기 청구범위에서 한정한 것을 기준으로 해야 하고, 당업자가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보호범위 내에서 진행한 임의의 변경과 보정은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00: 전기 커넥터
110: 절연 본체
111: 베이스 플레이트
112: 세로 격벽
113: 가로 격벽
114: 수용 공간
111a: 상 표면
111b: 하 표면
111c: 삽입 홈
111d: 오목 홈
111e: 제1 오목부
111f: 제2 오목부
111g: 제1 저면
111h: 제2 저면
120: 고정단자
121: 로킹부
122: 위치 제한부
123: 삽입 연결부
124: 베이스부
125: 수용 홈
126: 볼록부
130: 덮개체
131: 압착 표면
132: 측면
133: 위치 제한부
134: 로킹 홈
135: 로킹 바
140: 연결단자

Claims (10)

  1. 상(上) 표면, 하(下) 표면 및 2개의 삽입 홈을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상 표면에 설치되며 각 삽입 홈과 제1 간격을 가지는 2개의 세로 격벽, 및 2개의 세로 격벽 사이에 위치하며 각 상기 삽입 홈과 연통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절연 본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상 표면에 돌출되고 상기 세로 격벽과 가로 방향의 간격을 갖는 로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 홈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고정단자;
    상기 절연 본체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압착 표면, 2개 측면, 상기 압착 표면의 양측에 돌출된 2개의 위치 제한 볼록부, 각 상기 위치 제한 볼록부에 각각 설치된 2개의 로킹 홈 및 각 상기 로킹 홈 안에 각각 있는 2개의 로킹 바를 구비하며, 각 상기 로킹 홈과 각 상기 측면 사이는 제2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2 간격은 가로 방향의 간격보다 크지 않으며, 각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로킹부는 상기 로킹 홈에 수용되며 상기 로킹 홈의 상기 로킹 바에 잠금 연결되는 덮개체; 및
    제1 가이드 연결단(導接端) 및 제2 가이드 연결단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연결단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 본체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단자
    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고정단자는 위치 제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킹부와 상기 위치 제한부 사이에는 상기 로킹 바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구비하며, 각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로킹부와 상기 로킹 홈의 측벽 사이에 위치 양보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위치 제한부를 향하며 또한 상기 수용 홈 안에 위치하는 로킹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표면의 양측에는 2개의 오목 홈이 설치되고, 각 상기 오목 홈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하며, 각 상기 삽입 홈은 각 상기 오목 홈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각 상기 오목 홈은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를 포함하고, 각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제1 저면(底面)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오목부는 제2 저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저면은 상기 제1 저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각 위치 제한 볼록부는 제1 정면(頂面) 및 제2 정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면은 제2 정면보다 높으며, 상기 제1 정면은 상기 제1 오목부의 상기 제1 저면을 향하며, 상기 제2 정면은 상기 제2 오목부의 상기 제2 저면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홈은 상기 제1 정면 및 상기 제2 정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면 및 상기 제2 정면은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상(上) 표면, 하(下) 표면 및 2개의 삽입 홈을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상 표면에 설치되는 2개의 세로 격벽, 및 2개의 세로 격벽 사이에 위치하며 각 상기 삽입 홈과 연통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절연 본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상 표면에 돌출되고 상기 세로 격벽과 가로 방향의 간격을 갖는 로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 홈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고정단자;
    상기 절연 본체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압착 표면, 2개 측면, 상기 압착 표면의 양측에 돌출된 2개의 위치 제한 볼록부, 각 상기 위치 제한 볼록부에 각각 설치된 2개의 로킹 홈 및 각 상기 로킹 홈 안에 각각 있는 2개의 로킹 바를 구비하며, 각 상기 로킹 홈과 각 상기 측면 사이는 간격을 가지며, 각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로킹부는 상기 로킹 홈에 수용되며 상기 로킹 홈의 상기 로킹 바에 잠금 연결되는 덮개체; 및
    상기 절연 본체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단자
    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KR2020110005061U 2011-06-08 2011-06-08 전기 커넥터 KR200465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61U KR200465222Y1 (ko) 2011-06-08 2011-06-08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61U KR200465222Y1 (ko) 2011-06-08 2011-06-08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50U KR20120008650U (ko) 2012-12-18
KR200465222Y1 true KR200465222Y1 (ko) 2013-02-07

Family

ID=5136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061U KR200465222Y1 (ko) 2011-06-08 2011-06-08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2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9391A (zh) * 2018-06-13 2018-10-12 魏德米勒电联接(上海)有限公司 一种锁线机构及电连接器
TWM587383U (zh) * 2019-07-03 2019-12-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332A (ko) * 1999-08-17 2001-03-15 나가토시 다쯔미 커넥터에 접속되면서 하우징과 회전가능한 액추에이터사이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이 단단히 유지되는 커넥터
KR200424484Y1 (ko) * 2006-05-10 2006-08-2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US7291039B2 (en) * 2003-08-27 2007-11-06 Molex Incorporated Flat circuit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US7534131B2 (en) * 2007-07-06 2009-05-19 P-Two Industries Inc.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332A (ko) * 1999-08-17 2001-03-15 나가토시 다쯔미 커넥터에 접속되면서 하우징과 회전가능한 액추에이터사이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이 단단히 유지되는 커넥터
US7291039B2 (en) * 2003-08-27 2007-11-06 Molex Incorporated Flat circuit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KR200424484Y1 (ko) * 2006-05-10 2006-08-2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US7534131B2 (en) * 2007-07-06 2009-05-19 P-Two Industries Inc.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50U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0974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11864473B (zh) 电插接连接部的插接连接器以及由其形成的电插接连接部
US8574015B2 (en) Electrical connector
TWI514685B (zh) 接觸件及具有接觸件之連接器
US9093784B2 (en) Connector with locking structure
TWI590545B (zh) Electrical connectors
US8764470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with enhanced metal locking features
JP2016181486A (ja) 積層式コネクタ
EP3046185B1 (en) Connector
EP3467946A1 (en) Surface mounting type connector
JP3144087U (ja) 積上げ式電気的コネクター
JP5414836B2 (ja) コネクタ
KR200465222Y1 (ko) 전기 커넥터
KR102454220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04134401A (ja) 電気コネクタ
CN108604752B (zh) 连接器单元
US2012015691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 anti-mismating mechanism
US11031724B2 (en) Stacked connector and wire harness
US11398701B2 (en) Wafer connector and fitting connector
KR200461700Y1 (ko) 전기 커넥터
US20180287282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JP2007115538A (ja) 基板用電気コネクタ取付装置
US10355405B2 (en) Device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JP2013187006A (ja) 電気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構造
TWI469450B (zh) 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