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484Y1 -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 Google Patents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484Y1
KR200424484Y1 KR2020060012502U KR20060012502U KR200424484Y1 KR 200424484 Y1 KR200424484 Y1 KR 200424484Y1 KR 2020060012502 U KR2020060012502 U KR 2020060012502U KR 20060012502 U KR20060012502 U KR 20060012502U KR 200424484 Y1 KR200424484 Y1 KR 200424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housing
fixing
cable connector
flexi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형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2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4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4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는 하우징에 대해 0-90°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완전 개방시 상기 하우징과 수직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완전 닫힘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다수의 금속 단자들을 차폐하도록 금속 단자들과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중앙부 내벽과 이에 결합되는 상기 금속 단자의 후방에는 액츄에이터의 고정을 위한 잠금유닛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완전 닫힘시 액츄에이터가 상기 금속 단자에 결합되도록 액츄에이터의 중앙부 내벽에 다수의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고정돌기와 접촉되는 상기 금속 단자의 후방부에 고정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FPC/FFC를 고정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견고한 상태로 닫혀져 고정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열림으로 인한 FPC/FFC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 안정성 및 작업 완료의 인식도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커넥터, 액츄에이터, 금속 단자, 고정돌기, 고정홈

Description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An actuator locking structure of a flexibility cable connecto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후방부쪽에서 보여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후방부쪽에서 보여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잠금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잠금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액츄에이터가 열린 상태에서의 잠금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액츄에이터가 닫힌 상태에서의 잠금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에 FPC/FFC가 삽입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 2 : 하우징
2a : 가이드부재 2b : 지지돌기
3 : 금속 단자 3a : 고정홈
4 : 액츄에이터 4a : 힌지부재
4b : 고정돌기 5 : FPC/FFC
6 : 안착슬롯
본 고안은 플렉시블 케이블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츄에이터의 닫힘시 보다 견고한 상태로 단자에 결합됨으로써 정전기 노이즈(ESD; Electrostatic Discharge)의 침투로 인한 반도체 회로소자의 파괴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작업시 액츄에이터의 재열림을 미연에 방지하여 커넥터의 부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은 FPC(Flexible Printed Cable) 타입과 FFC(Flexible Flat Cable) 타입으로 구분되어 진다.
종래에, FPC나 FFC를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며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후방에서 하우징(10) 내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금속 단자(20)와,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FPC/FFC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30) 및, 이 액츄에이터(30)를 단자(20)의 피벗홈(20a)에 삽입하기 위해 상승시키는 피팅네일(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10)의 전단부에는 FPC/FFC가 안착 고정되는 안착슬롯(12)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후단부내에는 단자(20)가 삽입 고정되는 단자 삽입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고정암(1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암(13)의 내측에는 액츄에이터(30)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홈(1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30)의 후단부 양측에는 상기 고정암(13)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13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돌기(31)가 돌출되며, 상기 액츄에이터(30)의 전단부 양측에는 액츄에이터(30)를 닫힘 위치에 위치시킬 때 하우징(10)의 전면부 양측에 걸려 액츄에이터(30)가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하는 록킹돌부(32)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30)의 후단부에는 단자(20)의 피벗홈(20a)에 삽입되어 액츄에이터(3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33)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액츄에이터(3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그 후단부를 고정암(13)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돌기(31)가 하우징(10)의 고정홈(13a)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 다음, 다수의 단자(20)을 단자 삽입부(12)에 각각 삽입하고, 피팅네일(40)을 하우징(10)의 양측에 각각 삽입하여 액츄에이터(30)의 회전축(33)을 단자(20)의 피벗홈(20a)에 삽입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커넥터 상에 FPC/FFC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액츄에이터(30)를 회전시켜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FPC/FFC의 단부를 하우징(10)의 안착슬롯(12)에 안착시킨 후, 마지막으로 액츄에이터(30)를 회전시켜 닫힘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액츄에이터(30)가 닫힘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전단부 양측에 돌출된 록킹돌부(32)에 의해서만 록킹되도록 이루어지므로, 고정력이 약하여 FPC/FFC를 단자(20)에 접속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30)의 전단부를 위로 조금만 잡아당기거나 하우징(10)에 충격을 주게 되면 액츄에이터(30)의 록킹상태가 쉽게 해제될 우려가 있으며, 결국 FPC/FFC를 고정해주는 고정력이 약화되어 FPC/FFC와 단자(20)의 접속력이 약해지거나 완전 해제될 염려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액츄에이터(30)의 닫힘시 그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시 액츄에이터(30)의 열림으로 인해 반도체 회로소자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종래의 가소용 케이블 커넥터는 그 부품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작업도중 작업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30)의 닫힘시 그 닫힘이 완전하다는 인식을 작업자가 갖기에는 그 잠금구조가 미흡하기 때문에 작업완료에 대한 인식도가 떨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가소성 케이블 커넥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액츄에이터의 닫힘시 외부로 표출된 금속 단자를 완전히 차폐함으로써 정전기 노이즈의 침투로 인한 반도체 회로소자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액츄에이터의 닫힘시 보다 견고한 상태로 단자에 결합됨으로써 작업시 액츄에이터의 재열림을 미연에 방지하여 커넥터의 부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며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후방에서 하우징 내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금속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FPC/FFC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0-90°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완전 개방시 상기 하우징과 수직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완전 닫힘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다수의 상기 금속 단자들을 차폐하도록 금속 단자들과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중앙부 내벽과 이에 결합되는 상기 금속 단자의 후방에는 액츄에이터의 고정을 위한 잠금유닛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완전 개방시 직립되도록 그 하단이 라운딩 처리된 힌지부재가 액츄에이터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가이드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가 수직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힌지부재의 후방에서 접촉되는 지지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 상부에 각각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완전 닫힘시 액츄에이터가 상기 금속 단자에 결합되도록 액츄에이터의 중앙부 내벽에 다수의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고정돌기와 접촉되는 상기 금속 단자의 후방부에 고정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홈은, 상기 고정돌기가 내향 절곡되어 상기 고정홈에 결합시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금속 단자들에 완전히 고정됨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FPC/FFC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고안의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과 도 4는 상기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개방된 상태이고, 도 5와 도 6은 상기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 에이터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즉, 상기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1)는 크게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는 하우징(2)과, 이 하우징(2)에 고정되는 다수의 금속 단자(3) 및, 상기 FPC/FFC를 하우징(2)에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상기 액츄에이터(4)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금속 단자(3)는 상기 하우징(2)의 후방에서 하우징(2) 내로 삽입 고정되어 FPC/FFC를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상기 액츄에이터(4)는 상기 하우징(2)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FPC/FFC를 하우징(2)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하우징(2)에 대해 0-90°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4)는 상기 FPC/FFC를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되는 바, 완전 개방시에는 상기 하우징(2)과 수직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FPC/FFC를 고정하기 위하여 완전 닫힘시에는 상기 하우징(2)에 설치된 다수의 상기 금속 단자(3)들을 차폐하도록 하우징(2)과 수평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4)가 상기 하우징(2)에 대해 수직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4)의 완전 개방시 직립되도록 그 하단이 라운딩 처리된 힌지부재(4a)가 액츄에이터(4)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4a)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가이드부재(2a)가 상기 하우징(2)의 양측면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4)가 수직된 상태를 유지 하도록 상기 힌지부재(4a)의 후방에서 접촉되는 지지돌기(2b)가 상기 하우징(2)의 좌우측 상부에 각각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4)가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2)에 대해 90°를 유지하는 경우 액츄에이터(4)의 힌지부재(4a)가 상기 하우징(2)의 지지돌기(2b)에 접촉됨으로써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4)는 닫힘시에 상기 금속 단자들과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상기 액츄에이터(4)의 중앙부 내벽과 이 액츄에이터(4)의 내벽이 결합되는 상기 금속 단자(3)의 후방에는 액츄에이터(4)의 고정을 위한 잠금유닛이 각각 구비되어 액츄에이터(4)가 다수의 금속 단자(3)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4)의 잠금구조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액츄에이터(4)의 중앙부 내벽과 상기 금속 단자(3)의 후방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1)의 액츄에이터(4)가 중앙부 내벽의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금속 단자(3)에 고정되어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4)에 형성된 잠금유닛은 다수의 고정돌기(4b)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단자(3)의 후방에 형성된 잠금유닛은 고정홈(3a)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액츄에이터(4)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4b)가 고정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홈(3a)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액츄에이터(4)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4)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하우징(2)에 대 해 수직으로 고정된 경우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4)의 상부쪽 내벽에 상기 고정돌기(4b)가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2)에 삽입된 다수의 금속 단자(3) 후방에는 상기 고정돌기(4b)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고정홈(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4)가 완전히 닫혀짐으로써 상기 금속 단자(3)에 고정되는 액츄에이터(4)의 잠금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4)의 완전 닫힘시 액츄에이터(4)가 상기 금속 단자(3)에 고정되도록 액츄에이터(4)의 중앙부 내벽에 다수의 고정돌기(4b)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4)의 고정돌기(4b)와 결합되는 상기 금속 단자(3)의 후방에 상기 고정돌기(4b)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3a)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액츄에이터(4)의 고정돌기(4b)가 상기 금속 단자(3)의 고정홈(3a)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액츄에이터(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면서 금속 단자(3)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돌기(4b)가 내향 절곡되어 그 탄성력을 통해 상기 고정홈(3a)에 결합시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액츄에이터(4)가 상기 금속 단자(3)에 완전히 고정됨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4)의 고정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고정돌기(4b)가 상기 고정홈(3a)에 고정될 때 "딸깍"하는 소리(Audible "Click")와 느낌을 주기 때문에 작업자가 액츄에이터(4)의 완전한 고정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을 갖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액츄에이터(4)의 닫힘을 통해 삽입된 FPC/FFC를 고정하게 되는 바, 이를 도 10을 참조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액츄에이터(4)를 회전시켜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FPC/FFC(5)의 단부를 상기 하우징(2)에 형성된 안착슬롯(6)에 안착시킨 후, 마지막으로 상기 액츄에이터(4)를 회전시켜 닫힘 위치에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FPC/FFC(5)가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FPC/FFC(5)를 고정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1)의 액츄에이터(4)가 견고한 상태로 닫혀져 고정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4)의 열림으로 인한 FPC/FFC(5)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 안정성 및 작업 완료의 인식도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닫힘시 외부로 표출된 금속 단자를 완전히 차폐함으로써 정전기 노이즈의 침투로 인한 반도체 회로소자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의 닫힘시 보다 견고한 상태로 금속 단자에 결합됨으로써 작업시 액츄에이터의 재열림을 미연에 방지하며, 이에 따라 커넥터의 부품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액츄에이터의 열림으로 인한 FPC/FFC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닫힘을 작업자가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완료에 대한 인식도가 확실해지고, 이로 인해 작업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며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하우징(2)과, 이 하우징(2)의 후방에서 하우징(2) 내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금속 단자(3)와, 상기 하우징(2)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FPC/FFC(5)를 하우징(2)에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4)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4)는 상기 하우징(2)에 대해 0-90°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4)의 완전 개방시 상기 하우징(2)과 수직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액츄에이터(4)의 완전 닫힘시 상기 하우징(2)에 설치된 다수의 상기 금속 단자(3)들을 차폐하도록 금속 단자(3)들과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4)의 중앙부 내벽과 이에 결합되는 상기 금속 단자(3)의 후방에는 액츄에이터(4)의 고정을 위한 잠금유닛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4)는, 완전 개방시 직립되도록 그 하단이 라운딩 처리된 힌지부재(4a)가 액츄에이터(4)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4a)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가이드부재(2a)가 상기 하우징(2)의 양측면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4)가 수직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힌지부재(4a)의 후방에서 접촉되는 지지돌기(2b)가 상기 하우징(2)의 좌우측 상부에 각각 돌출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액츄에이터(4)의 완전 닫힘시 액츄에이터(4)가 상기 금속 단자(3)에 결합되도록 액츄에이터(4)의 중앙부 내벽에 다수의 고정돌기(4b)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4)의 고정돌기(4b)와 접촉되는 상기 금속 단자(3)의 후방부에 고정홈(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4b)와 고정홈(3a)은, 상기 고정돌기(4b)가 내향 절곡되어 상기 고정홈(3a)에 결합시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액츄에이터(4)가 상기 금속 단자(3)들에 완전히 고정됨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KR2020060012502U 2006-05-10 2006-05-10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KR200424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502U KR200424484Y1 (ko) 2006-05-10 2006-05-10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502U KR200424484Y1 (ko) 2006-05-10 2006-05-10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132A Division KR100762987B1 (ko) 2006-05-10 2006-05-10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484Y1 true KR200424484Y1 (ko) 2006-08-25

Family

ID=4177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502U KR200424484Y1 (ko) 2006-05-10 2006-05-10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4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22Y1 (ko) * 2011-06-08 2013-02-07 야-핑 린 전기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22Y1 (ko) * 2011-06-08 2013-02-07 야-핑 린 전기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3536B1 (en) Connector shutter
JP4471318B2 (ja) 端子位置保証装置付電気コネクタ
US7641501B2 (en) Connector holding clamp and connector retaining structure
KR100310428B1 (ko) 편평 가요성 회로용 커넥터
US6328614B1 (en) Connector
US6322388B1 (en) Electrical connector
JP6339698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KR200424484Y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US7118408B2 (en) Flat cable couple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0762987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KR100798758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고정구조
KR20070109325A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의 fpc/ffc고정구조
CN209545062U (zh) 一种走线槽
JP6947195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424483Y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고정구조
KR200425344Y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의 fpc/ffc고정구조
JP4301636B2 (ja) コネクタ抜け防止機構を有する電子機器
KR200441438Y1 (ko) 레버타입 커넥터
JP4285311B2 (ja) コネクタ
JP3932330B2 (ja) 扁平導体用コネクタ
KR20090006785U (ko) 레버형 커넥터
KR100969115B1 (ko) 커넥터 결합장치
JP2003338346A (ja) コネクタ
JP2000243505A (ja) 防水コネクタ用ゴム栓
JP3377072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れと導体と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