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178Y1 -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 - Google Patents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178Y1
KR200465178Y1 KR2020100009729U KR20100009729U KR200465178Y1 KR 200465178 Y1 KR200465178 Y1 KR 200465178Y1 KR 2020100009729 U KR2020100009729 U KR 2020100009729U KR 20100009729 U KR20100009729 U KR 20100009729U KR 200465178 Y1 KR200465178 Y1 KR 200465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ontainer
groove
case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177U (ko
Inventor
방영철
방상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덱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덱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덱셀
Priority to KR2020100009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17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1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1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1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4Tools for specific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당뇨병 환자들에게 전문적으로 사용되는 인슐린 펜 주사장치에 장착되는 주사바늘 일명 펜니들(pen needle)을 보관 및 폐기시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병 환자들은 적정 수준까지 혈당을 유지시키기 위해, 하루에 한 번 이상의 주사를 놓아야 하는데, 한번 사용된 주사바늘은 폐기처분 되며, 이때폐기되는 주사바늘은 별도로 준비된 폐기 용기에 저장 회수하여 버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회수용기는 그 구조상 사용상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단순히 폐기된 주사바늘을 회수하는데 그쳤으므로, 그 효능이 한정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고안이 개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그 구조상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본체 내측에 주사바늘을 회수할 수 있는 수납부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공급되어지는 신규 주사바늘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공급 및 폐기되는 주사바늘을 동시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insulin pen needles dispenser}
본 고안은 당뇨병 환자들에게 전문적으로 사용되는 인슐린 펜 주사장치에 장착되는 주사바늘 일명 펜니들(pen needle)을 용이하게 공급하고 폐기시킬 수 있도록 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병(diabetes mellitus)이라 함은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거나, 인슐린 수용체의 이상 또는 인슐린 량의 부족에 기인하여 혈액 중의 포도당(혈당) 농도가 정상인 보다 높아져 신장 세뇨관의 당 재흡수 능력이 미치지 못함에 따라 소변을 통해 포도당을 배출하는 만성질환을 일컫는다.
따라서 이러한 당뇨병 환자들은 적정 수준까지 혈당을 유지시키기 위해, 하루에 한 번 이상의 주사를 놓아야 하는데, 이때 인슐린 펜 주사장치에 장착되는 주사바늘을 펜니들(pen needle)이라 한다.
이러한 펜니들은 투여량이 개별적으로 세팅될 수 있고 그 장치 상에 바늘이 장착되며, 약의 주사에 사용된 후 장치 내의 카트리지로부터 교체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성장 호르몬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들이나, 적정 수준까지 혈당을 유지시키기 위해 하루에 한번 이상 스스로 자주 주사를 놓아야 하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주사바늘이다.
한편, 이렇게 당뇨병에 사용되는 주사바늘은 한번 사용하고 나면 재사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마련된 폐기 용기에 저장 회수하여 버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회수용기는 그 구조상 사용상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단순히 폐기된 주사바늘을 회수하는데 그쳤으므로, 그 효능이 한정될 수 밖에 없다.
즉, 주사바늘은 사용되는 만큼 신규로 공급되어야 하는데, 공급되는 주사바늘은 이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과 그 구성은 상이하지만 배경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57312호(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회수용기)
특허등록번호 제896347호(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회수용기)
특허공개번호 제1999-64388호(일회용주사기의 회수 용기) 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주사바늘 회수용기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체 내측에 주사바늘을 회수할 수 있는 수납부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공급되어지는 신규 주사바늘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공급 및 폐기되는 주사바늘을 동시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내측에 주사바늘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로서,
내측 상부에는 폐기되는 주사바늘이 저장되는 폐기용 주사바늘 수납부(11)를 가지며, 내측 하부에는 신규로 공급되는 주사바늘이 저장되는 공급용 주사바늘 수납부(12)를 갖는 용기 본체(10);
상면에는 주사바늘 폐기수단(50)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주사바늘 토출구(21)가 형성된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20);
상부케이스(20) 내측에 끼워지되, 저면(31)이 경사지게 구성된 중간케이스(30);
손가락끼움홈(42)이 형성된 개폐부(41)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부케이스(20) 저면에 끼움구조로 부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케이스(40);
상부케이스(20)의 상면에 형성된 폐기수단(50)을 개폐시키는 뚜껑으로서, 일측에는 끼움돌부(6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돌부(62)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6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이다.
상기에 있어, 중간케이스(30) 양 측면에는 안내요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요홈(32)에 대응되도록 상부케이스(20) 내측에는 안내돌부(22)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상부케이스(20) 상단에 형성된 폐기수단(50)은 중앙에 투입공(51)을 가지되, 투입공(51) 일측에는 연장된 장홈(53)을 가지며, 상기 투입공(51) 외주면에는 다수개로 갈라진 절개편(52)을 가지되, 상기 절개편(52)은 하방으로 절곡되며, 투입공(51) 양측에는 덮개판(60)의 끼움돌부(61)와 고정돌부(62)에 결합하는 요홈(54)(55)을 가지며, 덮개판 요홈(55) 일측에는 손가락끼움홈(56)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에 있어, 바닥케이스(40)에 형성된 테두리끼움홈(43)에는 상부케이스(20)의 결합편(23)이 끼워지되, 결합편(23)의 단부(23')가 테두리끼움홈(43)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44)에 결합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폐기되는 주사바늘이 주사기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분리된 주사바늘이 손쉽게 폐기 저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오염 및 병원균의 2차 감염을 방지토록 하였다.
또한, 폐기되는 주사바늘 뿐만 아니라 공급되는 신규 주사바늘도 동시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아주 빈번하게 주사기를 사용하는 당뇨병 환자들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4는 도3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1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1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내측에 주사바늘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로서,
내측 상부에는 폐기되는 주사바늘이 저장되는 폐기용 주사바늘 수납부(11)를 가지며, 내측 하부에는 신규로 공급되는 주사바늘이 저장되는 공급용 주사바늘 수납부(12)를 갖는 용기 본체(10);
상면에는 주사바늘 폐기수단(50)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주사바늘 토출구(21)가 형성된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20);
상부케이스(20) 내측에 끼워지되, 저면(31)이 경사지게 구성된 중간케이스(30);
손가락끼움홈(42)이 형성된 개폐부(41)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부케이스(20) 저면에 끼움구조로 부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케이스(40);
상부케이스(20)의 상면에 형성된 폐기수단(50)을 개폐시키는 뚜껑으로서, 일측에는 끼움돌부(6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돌부(62)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6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이다.
상기에 있어, 중간케이스(30) 양 측면에는 안내요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요홈(32)에 대응되도록 상부케이스(20) 내측에는 안내돌부(22)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상부케이스(20) 상단에 형성된 폐기수단(50)은 중앙에 투입공(51)을 가지되, 투입공(51) 일측에는 연장된 장홈(53)을 가지며, 상기 투입공(51) 외주면에는 다수개로 갈라진 절개편(52)을 가지되, 상기 절개편(52)은 하방으로 절곡되며, 투입공(51) 양측에는 덮개판(60)의 끼움돌부(61)와 고정돌부(62)에 결합하는 요홈(54)(55)을 가지며, 덮개판 요홈(55) 일측에는 손가락끼움홈(56)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에 있어, 바닥케이스(40)에 형성된 테두리끼움홈(43)에는 상부케이스(20)의 결합편(23)이 끼워지되, 결합편(23)의 단부(23')가 테두리끼움홈(43)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44)에 결합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을 설명하면
본체 상부에는 폐기되는 주사바늘(110)이 수납되며, 본체 하부에는 신규로 공급되는 주사바늘(100)이 수납되는 것으로서, 특히 폐기되는 주사바늘이 늘어날수록, 이에 맞추어 폐기되는 주사바늘을 수납하는 수납부(11)의 체적은 늘어나며, 신규 주사바늘이 저장되는 수납부(12)의 체적은 줄어들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2는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 본체(10)는 크게 덮개판(60), 상부케이스(20), 중간케이스(30), 바닥케이스(40)로 구분되어진다.
상기 덮개판(60)은 상부케이스(20) 상부에 끼워져 폐기수단(50)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중간케이스(30)는 상부케이스(20) 내측에 끼워지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부케이스(20)의 결합편(23)이 바닥케이스(40)의 테두리끼움홈(43)에 끼워져 본체(10)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10) 내측에는 다수개의 주사바늘이 내장되어 있는 바,
처음에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직 사용하지 않은 신규의 공급용 주사바늘(100)만 본체 내측 하부에 위치한 수납부(11)에 수납되어 있으며, 상부에 위치한 폐기용 주사바늘(110)이 저장되는 수납부(12)는 텅 비어 있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가 주사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공급용 주사바늘 수납부(12)에서 신규의 주사바늘(100)을 토출부(21)를 통하여 꺼내고, 이를 사용하고 난 후, 본체 상측에 위치한 투입공(51)을 통하여 폐기시키게 되면,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사바늘 사용 횟수가 늘어날 수록 공급용 주사바늘 수납부(12)에 저장된 주사바늘(100)의 수는 줄어들게 되고, 폐기용 주사바늘 수납부(11)에 저장되는 폐기용 주사바늘(110)의 수는 늘어나게 된다.
한편, 신규로 사용되는 주사바늘(100)을 토출구를 통하여 빼내게 되면, 빠져 나간 만큼 공급용 주사바늘 수납부(12)의 체적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폐기용 주사바늘(110)을 저장, 지지하고 있는 중간케이스(30)가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내려오면서 폐기용 주사바늘 수납부(11)의 체적은 늘어나게 된다.
상기에 있어,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간케이스(30) 양 측면에는 안내요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요홈(32)에 대응되도록 상부케이스(20) 내측에는 안내돌부(22)가 형성되어 있어, 중간케이스(30)는 안정되게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간케이스(30)는 그 저면(31)이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어, 신규로 공급되는 주사바늘(100)이 보다 쉽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사용이 여러 번 이루어져 신규로 공급되는 주사바늘이 얼마 남지 않게 될 경우, 중간케이스(30)의 저면(31)이 평판으로 반듯하면, 중간케이스가 남은 주사바늘(100)을 위에서 수직방향으로 누르게 되므로, 토출구(21)를 통하여 주사바늘(100)을 빼 내기가 약간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는 중간케이스(30)의 저면(31)이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어, 중간케이스의 경사면이 아래에 있는 주사바늘(100)을 위에서 누를때 토출구(21)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보다 손쉽게 토출구를 통하여 주사바늘(100)을 빼 낼수가 있게 된다.
한편, 토출구(21)는 탄성력을 갖는 개폐문(41)에 의하여 개폐되는 바, 상기 개폐문(41)에 형성된 손가락끼움홈(42)에 손가락을 넣어 잡아 당기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개폐문(41)은 접음부(45)를 중심으로 뒤로 제껴지면서 틈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틈을 통하여 주사바늘(100)을 빼내게 된다.
이후 손가락을 놓으면 개폐부(41)는 합성수지재가 갖는 자연적인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토출구(21)를 막게 되어, 더 이상 주사바늘이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한다.
다음으로, 사용하고 난 후 폐기시키는 폐기수단(50)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사바늘을 사용하고 나면,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이 끝난 주사바늘이 달린 상태 그대로 주사기(200)를 투입공에 끼운 후, 주사바늘(110)의 목(111)이 장홈(53)에 끼워지도록 장홈(53) 끝쪽으로 끌어 당긴다.
이후, 도9와 같이 주사기(200) 자체를 회전시키면, 주사바늘의 목(111)에 형성된 돌턱이 장홈에 걸리면서 주사바늘 또한 회전하게 되고, 도10과 같이 나사(210) 결합 방식으로 주사기에 결합된 주사바늘은 주사기에서 분리되어 진다.
이후 도11 내지 도12와 같이, 분리된 주사바늘을 주사기(200)를 이용하여 투입공(51) 쪽으로 다시 밀쳐낸 후, 투입공(51) 위에서 아래로 밀어 넣으면 주사바늘은 폐기용 주사바늘 수납부(11)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이때 주사바늘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떨어지지 아니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주사기를 위로 잡아당기면, 투입공(51)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방으로 절곡된 절개편(52)에 의하여 주사바늘(110)은 걸리게 되어 주사기(200)만 위로 빠져나오게 된다.
한편, 상기 투입공(51) 상부에는 뚜껑 역할을 하는 덮개판(60)이 씌워지게 된다.
상기 덮개판(60) 저면에 형성된 고정돌부(62)는 폐기수단(50)에 형성된 요홈(54)과 결합 고정되며, 덮개판(60) 저면에 형성된 끼움돌부(61)는 폐기수단(50)에 형성된 요홈(55)에 끼워져 개폐 역할을 하게 되는 바,
투입공 일측에 형성된 손가락끼움홈(56)을 이용하면 닫혀져 있는 덮개판(60)을 손쉽게 열수 있다.
또한, 바닥케이스(40)에 형성된 개폐문(41)도 손가락끼움홈(42)을 이용하면 손쉽게 열 수 있는 바, 상기 덮개판(60) 및 개폐문(41)은 각각에 형성된 접음부(63)(45)에 의하여 손쉽게 꺾어지고 제자리로 복원되므로 용이하게 개폐되어 진다.
한편, 이상과 같이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경한 균등 구성은 이를 모두 포함한다 할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주사바늘 용기는 기존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그 효과가 뛰어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충분하다 할 것이다
10 : 본체 11,12 : 수납부
20 : 상부케이스 21 : 토출구 22 : 안내돌부
23 : 결합편 30 : 중간케이스 40 : 바닥케이스
41 : 개폐문 42 : 손가락끼움홈 43 : 결합편끼움홈
50 : 폐기수단 51 : 투입공 52 : 절개편
53 : 장홈 54,55 : 요홈 56 : 손가락끼움홈
60 : 덮개판 61 : 끼움돌부 62 : 고정돌부
100,110 : 주사바늘 200 : 주사기

Claims (4)

  1. 내측에 주사바늘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로서,
    내측 상부에는 폐기되는 주사바늘이 저장되는 폐기용 주사바늘 수납부(11)를 가지며, 내측 하부에는 신규로 공급되는 주사바늘이 저장되는 공급용 주사바늘 수납부(12)를 갖는 용기 본체(10);
    상면에는 주사바늘 폐기수단(50)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주사바늘 토출구(21)가 형성된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20);
    상부케이스(20) 내측에 끼워지되, 저면(31)이 경사지게 구성된 중간케이스(30);
    손가락끼움홈(42)이 형성된 개폐부(41)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부케이스(20) 저면에 끼움구조로 부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케이스(40);
    상부케이스(20)의 상면에 형성된 폐기수단(50)을 개폐시키는 뚜껑으로서, 일측에는 끼움돌부(6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돌부(62)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6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를 구비한 일체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중간케이스(30) 양 측면에는 안내요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요홈(32)에 대응되도록 상부케이스(20) 내측에는 안내돌부(22)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를 구비한 일체형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20) 상단에 형성된 폐기수단(50)은 중앙에 투입공(51)을 가지되, 투입공(51) 일측에는 연장된 장홈(53)을 가지며, 상기 투입공(51) 외주면에는 다수개로 갈라진 절개편(52)을 가지되, 상기 절개편(52)은 하방으로 절곡되며, 투입공(51) 양측에는 덮개판(60)의 끼움돌부(61)와 고정돌부(62)에 결합하는 요홈(54)(55)을 가지며, 덮개판 요홈(55) 일측에는 손가락끼움홈(56)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를 구비한 일체형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바닥케이스(40)에 형성된 테두리끼움홈(43)에는 상부케이스(20)의 결합편(23)이 끼워지되, 결합편(23)의 단부(23')가 테두리끼움홈(43)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44)에 결합되도록 것을 한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를 구비한 일체형 용기.
KR2020100009729U 2010-09-16 2010-09-16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 KR200465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729U KR200465178Y1 (ko) 2010-09-16 2010-09-16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729U KR200465178Y1 (ko) 2010-09-16 2010-09-16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77U KR20120002177U (ko) 2012-03-26
KR200465178Y1 true KR200465178Y1 (ko) 2013-02-22

Family

ID=4617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729U KR200465178Y1 (ko) 2010-09-16 2010-09-16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17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24Y1 (ko) * 2012-12-12 2014-12-03 주식회사 메덱셀 인슐린 펜니들 보관 및 폐기용기
KR200482373Y1 (ko) * 2015-06-12 2017-01-17 박형용 1회용 의료 폐기물 수거용기 덮개
JP6860288B2 (ja) * 2015-10-28 2021-04-14 アズワン株式会社 注射針の分離構造
KR102364768B1 (ko) * 2019-10-29 2022-02-18 (주)신아메드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117A (en) 1991-09-10 1993-09-14 Withers L Andrew Personal use syringe dispensing and collecting system
US20060243618A1 (en) 2005-05-02 2006-11-02 Brown Robert A Medical implement distribution and collection system
KR100896347B1 (ko) 2007-12-21 2009-05-07 화진실업 주식회사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회수용기
US20110068034A1 (en) 2009-09-18 2011-03-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hipping Container Integrating A Sharps Disposal Container With A New Product Storage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117A (en) 1991-09-10 1993-09-14 Withers L Andrew Personal use syringe dispensing and collecting system
US20060243618A1 (en) 2005-05-02 2006-11-02 Brown Robert A Medical implement distribution and collection system
KR100896347B1 (ko) 2007-12-21 2009-05-07 화진실업 주식회사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회수용기
US20110068034A1 (en) 2009-09-18 2011-03-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hipping Container Integrating A Sharps Disposal Container With A New Product Storag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77U (ko) 201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178Y1 (ko)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
KR101547444B1 (ko) 펜 타입 주사기의 덮개
KR101604957B1 (ko) 펜 타입 주사기의 원 터치 결합 및 분리용 펜 니들과 원 터치 분리배출 기능이 구비된 덮개
WO2007132237A1 (en) Management system for hypodermic needles
KR101560150B1 (ko) 회전절개 제거식 흡입관이 구비된 필터니들 및 필터주사기
TW201109251A (en) Dirtied article treating device
JP5394520B2 (ja) 注射針用廃棄箱
US20180021525A1 (en) Safe Needle Separator for Dental Syringe
JP6041275B2 (ja) 注射針取外し容器
KR102364768B1 (ko)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
US11266477B2 (en) Modular storage system for medical needles
CN109395211B (zh) 一种胰岛素笔针头的拆卸方法
KR200481093Y1 (ko) 펜 니들 안전분리배출기구
US10850023B2 (en) Diabetic medication delivery pen packet
CN211050461U (zh) 一种新型便携式胰岛素注射收纳盒
KR200475424Y1 (ko) 인슐린 펜니들 보관 및 폐기용기
JP2013063204A (ja) 注射針の廃棄容器
CN214970405U (zh) 一种废弃针头收纳盒
CN215134994U (zh) 用于收集注射器针头的锐器盒
JP3187748U (ja) 点滴用翼状針廃棄ケース
CN214549628U (zh) 一体式自带切割装置的利器收纳盒
KR102361901B1 (ko) 인슐린 안전주사기 공급 및 회수용기
CN205459066U (zh) 一种血糖仪携带盒
CN214859883U (zh) 一种便携式糖尿病护理用护理盒
CN219148825U (zh) 一种胰岛素笔用针头分离收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