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601Y1 -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 Google Patents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601Y1
KR200464601Y1 KR2020110007219U KR20110007219U KR200464601Y1 KR 200464601 Y1 KR200464601 Y1 KR 200464601Y1 KR 2020110007219 U KR2020110007219 U KR 2020110007219U KR 20110007219 U KR20110007219 U KR 20110007219U KR 200464601 Y1 KR200464601 Y1 KR 200464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expansion member
main handle
force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승
김주연
김재헌
Original Assignee
이진승
김재헌
김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승, 김재헌, 김주연 filed Critical 이진승
Priority to KR2020110007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91Unusual details

Abstract

본 고안은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캔뚜껑에 형성되는 접합부에 의해 상기 캔뚜껑에 고정되며, 상기 접합부와 인접한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재, 그리고 초기상태시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에 겹쳐서 놓이며,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된 체결단을 통해 체결되고, 손잡이로 사용시 상기 체결단을 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확장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Extended opener formed on can}
본 고안은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캔따개를 이용해 캔을 열 경우 과도한 힘이 들어가거나 손톱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캔을 열도록 하기 위한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일반 캔따개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캔따개(10)의 상층부를 들어올리면 캔의 개방단(2)이 압박되고 결국은 캔의 내부로 밀려 내려가 개방단(2)에 균열이 발생 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캔뚜껑(1)을 따기 위한 힘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는 있다.
그러나, 도 1(a)와 같이, 캔따개(10) 상층부의 아래로 손톱을 삽입하거나, 도 1(b)와 같이 캔따개(10) 내부의 고리로 손톱을 삽입하여 캔이 열릴 수 있는 힘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서 많은 힘을 주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캔을 열기가 불편하고 특히 힘이 약한 노약자나 손톱이 긴 여성은 캔을 열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캔의 크기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도 1(a)와 같이, 캔의 가장자리와 캔따개(10)의 상층부와의 간격이 협소하여 손가락을 삽입하기가 불편할 뿐 아니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기도 불편한 구조이다.
뿐만 아니라, 도 1(b)와 같이, 캔뚜껑(1)과 캔따개(10)가 밀착되어 있어 손톱이나 손가락을 삽입하기가 대단히 불편하고 힘을 가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간혹 손톱을 다치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이에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캔뚜껑(1)을 보다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렛대 원리에 사용되는 지렛대의 길이를 확장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 쉬운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누구나 캔뚜껑을 손쉽게 열 수 있도록 하는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는, 캔뚜껑에 형성되는 접합부에 의해 상기 캔뚜껑에 고정되며, 상기 접합부와 인접한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재, 그리고 초기상태시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에 겹쳐서 놓이며,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된 체결단을 통해 체결되고, 손잡이로 사용시 상기 체결단을 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확장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체결단을 따라 외력에 의한 슬라이딩 작동을 가능케 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장공이 형성된 반대단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을 제공받아 상기 장공이 상기 체결단을 타고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힘을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회전하는 힘을 제공받아 상기 체결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힘을 제공하는 외력수용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기상태에서 제 1 메카니즘으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초기상태에서 외력로부터 회전하는 힘을 제공받아 상기 체결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하면, 상기 외력수용단이 상기 접합부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외력수용단이 형성된 일 측을 절삭하여 형성하는 제 1 주손잡이부와, 상기 장공이 형성된 일 측을 절삭하여 형성하는 제 2 주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주손잡이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손잡이를 형성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주손잡이부와 상기 제 2 주손잡이부 각각은 각각 하나의 손가락을 수용하도록 1 내지 3cm 절삭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메카니즘 다음으로 수행되는 제 2 메카니즘으로, 상기 외력수용단은 상기 접합부에서 가장 먼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면에 상향으로 향하는 외력로부터 미는 힘을 수용하여, 상기 체결단을 중심으로 상기 확장부재의 반대편에 형성된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인 개방단을 누르는 힘으로 압박하여 상기 캔뚜껑에 균열이 생기도록 한다.
다음으로 수행되는 제 3 메카니즘으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개방단에 대한 압박 후, 외부로부터 회전하는 힘을 제공받아 상기 체결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고, 외부로부터 미는 힘을 제공받아 상기 체결단을 따라 상기 장공이 슬라이딩 되면, 상기 제 1 주손잡이부 및 제 2 주손잡이부 각각에 의해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가능한 손잡이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 1 주손잡이부와 상기 제 2 주손잡이부를 잡아당겨 상기 캔뚜겅을 쉽게 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를 형성시, 상기 확장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는 직교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주손잡이부와 상기 제 2 주손잡이부는 상기 접합부를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해야 한다.
상기 캔뚜껑의 재질이 비정상적으로 두껍거나 열기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 등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상기 캔뚜껑의 직경은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 및 상기 확장부재의 길이 보다 긴 것이 제조단가 측면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혹시 모를 확장부재의 파손에 따른 캔뚜껑 열기 위해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접합부와 인접하는 끝단 내부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보조손잡이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는, 1차적으로 확장부재를 수평부재로부터 연장하여 작은 힘으로도 강한 누르는 힘을 작용하도록 하여 캔뚜껑에 균열을 발생시킨 뒤, 수평부재를 회전시켜 손잡이로 사용하여 당기기가 편한 오프너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캔뚜껑을 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는, 초기상태에서 수평부재와 확장부재를 겹쳐서 제품을 출시함으로써, 캔 뚜껑 상에 오프너가 차지하는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캔따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도 2의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의 확장형 오프너를 구비한 캔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2의 도 2의 확장형 오프너를 구비한 캔에서 확장형 오프너가 다양한 캔에 응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확장형 오프너는 접합부(3), 수평부재(4) 및 확장부재(7)를 포함하며, 이를 중심으로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접합부(3)는 캔뚜껑(1)과 확장형 오프너를 접합시키는 일반적인 구성요소이다.
수평부재(4)는 접합부(3)에 의해 고정되며, 접합부(3)에서 길이가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합부(3)와 인접하는 수평부재(4)의 끝단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보조손잡이부(5)가 형성된다.
여기서, 보조손잡이부(5)는 주손잡이부(8) 내지는 확장부재(7)의 파손으로 인해 본 고안에 따른 메카니즘에 의한 손쉽게 캔뚜껑(1)을 여는 것이 불가능해 질 경우, 사용자에게 보조적으로 지렛대 원리에 의해 캔뚜껑(1)을 열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합부(3)가 받침점으로 작용하고, 힘점인 수평부재(4)가 보조손잡이부(5)로 손가락이 끼워진 뒤, 상향으로 향하는 외력을 받는 수평부재(4)의 상층부가 들어 올려짐에 따라, 수평부재(4)와 캔뚜껑(1)이 접합되는 지점인 개방단(2)을 압박하여 발생하는 균열을 이용하는 것이다.
한편, 보조손잡이부(5)가 형성된 지점과 반대되는 수평부재(4)의 끝단에는 확장부재(7)를 체결하여 회전을 수행하기 위한 체결단(6)이 형성된다.
체결단(6)은 확장부재(7)에 긴 홀로 형성되는 장공(9b) 내부에 삽입된 구조로, 장공(9b)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을 가능케 한다.
확장부재(7)는 수평부재(4)의 상면에 겹치도록 수평부재(4)와 동일한 길이의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결단(6)을 통해 수평부재(4)와 체결된다.
확장부재(7)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직사각형 내지는 다각형, 원형 등으로 변형가능하다.
확장부재(7)는 체결단(6)을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부재(4)로부터 360˚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확장부재(7) 상에는 2개의 주손잡이부(8), 외력수용단(9a) 및 장공(9b)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손잡이부(8)는 제 1 주손잡이부(8a)와 제 2 주손잡이부(8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외부로부터의 당기는 힘을 용이하게 제공받기 위해서는 제 1 주손잡이부(8a) 및 제 2 주손잡이부(8b)를 모두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주손잡이부(8a)는 확장부재(7) 상에서 외력수용단(9a)이 형성된 일 측이 절삭되어 형성되며, 제 2 주손잡이부(8b)는 확장부재(7) 상에서 장공(9b)이 형성된 일 측을 절삭되어 형성된다.
확장형 오프너가 초기상태(도 3 참조)에서 펴져서 확장되는 경우(도 4 참조), 외력은 손가락을 이용한 힘이 주로 사용되는데 제 1 주손잡이부(8a)와 제 2 주손잡이부(8b)는 시계방향(정방향)으로 180˚ 회전되도록 외력 작용시 각각 하나의 손가락을 수용하도록 1 내지 3cm 가량 절삭되어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외력수용단(9a)을 이용해 확장부재(7)를 시계방향으로 180˚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확장형 오프너가 확장상태(도 4 참조)에서 단계적 변형을 거쳐 손잡이로 사용되는 확장상태(도 7 참조)가 된 경우, 제 1 주손잡이부(8a)와 제 2 주손잡이부(8b)는 접합부(3)를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해야만, 제 1 주손잡이부(8a)와 제 2 주손잡이부(8b)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당길 수 있다.
외력수용단(9a)은 미는 힘 및 당기는 힘을 수용하여 확장부재(7) 상의 장공(9b)이 체결단(6)을 타고 전후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또한, 외력수용단(9a)은 확장형 오프너가 초기상태(도 3 참조)에서 외력에 의해 펴지는 경우(도 4 참조), 접합부(3)에서 가장 먼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면에 상향으로 향하는 외력로부터 미는 힘을 수용한다.
이 경우, 외력수용단(9a)은 힘점으로 작용하며, 받침점인 체결단(6)을 중심으로 확장부재(7)의 반대편에 형성된 수평부재(4)의 끝단인 개방단(2)을 누르는 힘으로 압박하여 캔뚜껑(2)에 균열이 생기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2의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은 도 2의 확장형 오프너를 구비한 캔의 초기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초기상태에서 확장부재(7)는 제 1 주손잡이부(8a), 그리고 제 2 주손잡이부(8b)에, 수평부재(4)와 체결된 체결단(6)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180˚ 회전되도록 외력을 작용시키면, 도 4와 같이, 외력수용단(9a)이 접합부(3)에서 가장 먼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외력수용단(9a)의 하부면에 상향으로 향하는 외력을 작용시키면 도 5(a)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5(b)를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외력수용단(9a)의 하부면인 외력포인트(P1)로 외력을 작용시키면, 체결단(6)을 중심으로 확장부재(7)의 반대편에 형성된 수평부재(4)의 끝단이 서포팅 포인트(P2)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서포팅 포인트(P2)로 누르는 힘이 형성되고, 캔뚜껑(1)과 수평부재(4)가 접합되는 지점인 전술한 개방단(2)을 압박함으로써, 캔뚜껑(1)에 균열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후, 외력수용단(9a)을 잡고, 도시된 도 5(a)에서 체결단(6)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역방향)으로 90˚ 회전시킨 뒤, 외력수용단(9a)을 밀어서 체결단(6)이 형성된 지점까지 확장부재(7)를 장공(9b)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후, 확장부재(7)의 제 1 주손잡이부(8a) 또는 제 2 주손잡이부(8b)에 다섯 손가락 중 두 개를 삽입한 뒤 당기면, 도 7과 같이 손쉽게 캔을 딸 수가 있다.
도 8은 도 2의 확장형 오프너를 구비한 캔이 따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검지가 제 2 주손잡이부(8b)에 걸쳐지며, 약지가 제 1 주손잡이부(8a)에 걸쳐진 뒤, 당겨진 상태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확장형 오프너를 구비한 캔은 도면과 같이 검지와 약지가 아니라 다섯 손가락 중 임의의 2개의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따질 수 있는 구조로 확장형 오프너가 구성된다.
도 9는 도 2의 도 2의 확장형 오프너를 구비한 캔에서 확장형 오프너가 초기상태로 다양한 캔에 응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꼭 원형의 캔뚜껑(1)이 아니라, 직사각형 내지는 다각형의 캔뚜껑에 형성될 수 있으며, 캔의 높이와도 상관없이 캔에 구비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수평부재(4)와 확장부재(7)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상적으로 확장부재(7)가 확장되는 점을 감안하여 수평부재(4)의 길이, 그리고 확장부재(7)의 길이는 캔뚜껑(1)의 직경 보다 짧게 형성되어 본 고안에 따른 확장형 오프너 제조시의 단가를 낮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캔뚜껑(1)의 재질상 개방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수평부재(4)의 길이, 그리고 확장부재(7)의 길이를 캔뚜껑(1)의 직경과 같거나 길게 형성될 필요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캔뚜껑 2: 개방단
3: 접합부 4: 수평부재
5: 보조손잡이부 6: 체결단
7: 확장부재 8: 주손잡이부
8a: 제 1 주손잡이부 8b: 제 2 주손잡이부
9a: 외력수용단 9b: 장공

Claims (11)

  1. 캔뚜껑에 형성되는 접합부에 의해 상기 캔뚜껑에 고정되며, 상기 접합부와 인접한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재; 및
    초기상태시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에 겹쳐서 놓이며,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된 체결단을 통해 체결되고, 손잡이로 사용시 상기 체결단을 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확장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체결단을 따라 외력에 의한 슬라이딩 작동을 가능케 하는 장공: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장공이 형성된 반대단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을 제공받아 상기 장공이 상기 체결단을 타고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힘을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회전하는 힘을 제공받아 상기 체결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힘을 제공하는 외력수용단;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초기상태에서 외력로부터 회전하는 힘을 제공받아 상기 체결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하면, 상기 외력수용단이 상기 접합부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외력수용단이 형성된 일 측을 절삭하여 형성하는 제 1 주손잡이부와, 상기 장공이 형성된 일 측을 절삭하여 형성하는 제 2 주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주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손잡이부와 상기 제 2 주손잡이부 각각은,
    각각 하나의 손가락을 수용하도록 1 내지 3cm 절삭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력수용단은,
    상기 접합부에서 가장 먼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면에 상향으로 향하는 외력로부터 미는 힘을 수용하여, 상기 체결단을 중심으로 상기 확장부재의 반대편에 형성된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인 개방단을 누르는 힘으로 압박하여 상기 캔뚜껑에 균열이 생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는,
    상기 개방단에 대한 압박 후, 외부로부터 회전하는 힘을 제공받아 상기 체결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고, 외부로부터 미는 힘을 제공받아 상기 체결단을 따라 상기 장공이 슬라이딩 되면, 상기 제 1 주손잡이부 및 제 2 주손잡이부 각각에 의해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가능한 손잡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에 형성되는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형성시,
    상기 확장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는 직교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주손잡이부와 상기 제 2 주손잡이부는 상기 접합부를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에 형성되는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캔뚜껑의 직경은,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 및 상기 확장부재의 길이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에 형성되는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접합부와 인접하는 끝단 내부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보조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KR2020110007219U 2011-08-09 2011-08-09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KR200464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219U KR200464601Y1 (ko) 2011-08-09 2011-08-09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219U KR200464601Y1 (ko) 2011-08-09 2011-08-09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601Y1 true KR200464601Y1 (ko) 2013-01-10

Family

ID=5135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219U KR200464601Y1 (ko) 2011-08-09 2011-08-09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154A (ko) 2015-06-02 2016-12-12 김태구 캔 오프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7397U (ja) 1982-10-07 1984-04-14 「万」谷 豊 缶開機構
JPH0618240U (ja) * 1992-08-17 1994-03-08 淳 荒川 ワンタッチタブ
US6230593B1 (en) 1999-08-20 2001-05-15 Chih-Ching Hsieh Handle structure for a screwdri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7397U (ja) 1982-10-07 1984-04-14 「万」谷 豊 缶開機構
JPH0618240U (ja) * 1992-08-17 1994-03-08 淳 荒川 ワンタッチタブ
US6230593B1 (en) 1999-08-20 2001-05-15 Chih-Ching Hsieh Handle structure for a screwdri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154A (ko) 2015-06-02 2016-12-12 김태구 캔 오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6024B1 (en) A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KR200464601Y1 (ko) 캔에 형성되는 확장형 오프너
CN108368706A (zh) 用于在将柱打入地面或从地面除去柱中使用的套圈,及相关方法
CN111655588A (zh) 紧固件
GB2595601A (en) Contact lens blister package with double layer foil component
USD622126S1 (en) Paddle handle with raised finger area
JP2004536752A (ja) コルク抜き
WO2014033787A1 (ja) 二つ折り扉の把手構造
CN101254872A (zh) 带翼片的包装膜装置
US6789325B2 (en) Can opener
JP2018505106A (ja) 容器のための閉鎖システム
TWI344515B (en) Fastener
JP6124689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ケース
JP5083852B1 (ja) ラップフィルム容器
CN202468591U (zh) 一种伸缩杆
EP1225153A1 (en) Can opener
CN215201837U (zh) 一种起拔工具
TWM435437U (en) Slow strap-release buffering structure of hand puller with dual blocking pieces
CN103622231B (zh) 雨伞
KR200207440Y1 (ko)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KR200475764Y1 (ko) 샤프펜슬을 위한 보조 도구
JP5124061B1 (ja) 開封器具
US20030189049A1 (en) Storage container opener/closer
JP3113565U (ja) ドリンク缶タブ常備式ネイルプロテクタ−フィンガ−リボン
JP2017165420A (ja) 缶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