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587Y1 - 손잡이연결축의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도어락 - Google Patents

손잡이연결축의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87Y1
KR200464587Y1 KR2020120001305U KR20120001305U KR200464587Y1 KR 200464587 Y1 KR200464587 Y1 KR 200464587Y1 KR 2020120001305 U KR2020120001305 U KR 2020120001305U KR 20120001305 U KR20120001305 U KR 20120001305U KR 200464587 Y1 KR200464587 Y1 KR 200464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olt
gear
outdoor
connecting shaf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현
Original Assignee
최용현
주식회사 엔터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현, 주식회사 엔터로직 filed Critical 최용현
Priority to KR2020120001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내손잡이 연결축 및 실외손잡이 연결축과; 상기 도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실외손잡이 연결축이 관통삽입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실내손잡이 연결축과 연결되는 실내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실내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래치볼트가 직선이동되도록 하는 래치볼트캠을 포함하며, 상기 실외손잡이 연결축과 상기 실내손잡이 연결축은 동일 단면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외손잡이 연결축은 축방향에 대해 상기 실외측 프리볼트기어에 대응되는 위치의 외경이 타영역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잡이연결축의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도어락{DIGITAL DOOR LOCK TO ENHANCE HANDLE CONNECTING SHAFT STRUCTURE}
본 고안은 디지털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손잡이 연결축의 형상을 개선하여 전체 제조공정을 용이하게 한 디지털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조립체는 도어의 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최근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도어락 조립체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 디지털 도어락은 등록특허 제10-543831호, 등록특허 10-0680945, 등록실용 제20-035681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디지털 도어락은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이중잠금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며, 더불어 실내손잡이를 조작하면 특정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도 이중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패닉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패닉기능에 의해 사용자는 실내에서 간편하게 이중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패닉기능을 갖는 디지털도어락이 개시된 국내등록특허 제10-543831호의 요부를 발췌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티스조립체는 실내손잡이(510)와 연결편(520), 내측 래치레버(530)가 상호 연결되어 연동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실외손잡이(570)와 연결바(550), 외측 래치레버(540)가 상호 연결되어 연동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모티스조립체는 패닉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수의 부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실내손잡이(510)의 연결축(511)과 실외손잡이(570)의 연결축(571)이 서로 상이한 크기(W1≠W2)로 구비되므로 디지털도어락의 조립시에 각각 서로 다른 금형 또는 가공품으로 제조가 되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패닉기능 구현을 위해 실내손잡이(510) 측에 연결편(520)가 별도로 결합되므로 구성이 복잡하여 잦은 고장을 유발한다. 또한, 실내손잡이와 연결편(520)의 결합부분에 흔들림이 발생되어 오작동이 발생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손잡이 연결축과 실외손잡이 연결축의 형상을 동일하게 가공하여 가공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패닉기능을 구현하는 래치볼트부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고장률을 낮출 수 있는 디지털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디지털도어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은, 도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내손잡이 연결축 및 실외손잡이 연결축과; 상기 도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실외손잡이 연결축이 관통삽입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실내손잡이 연결축과 연결되는 실내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실내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래치볼트가 직선이동되도록 하는 래치볼트캠을 포함하며, 상기 실외손잡이 연결축과 상기 실내손잡이 연결축은 동일 단면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외손잡이 연결축은 축방향에 대해 상기 실외측 프리볼트기어에 대응되는 위치의 외경이 타영역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외손잡이 연결축은 상기 래치볼트캠의 중공영역에 삽입되며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함몰영역은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내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 및 상기 래치볼트캠은 가운데 영역에 상기 래치볼트캠결합축과 크기와 형상이 대응되는 축삽입공이 관통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드볼트를 직선구동시키는 데드볼트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의 외주연에 상기 데드볼트구동부 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실내손잡이 연결축이 회전될 때 상기 데드볼트도 상기 래치볼트와 함께 이동되는 패닉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는 패닉기어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드볼트구동부는 상기 데드볼트를 직선이동되도록 하는 액션캠과, 상기 액션캠의 하부에 적층결합된 데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패닉기어는 상기 데드기어와 치합되게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은 패닉기능이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와 실내측 래치볼트기어 및 래치볼트캠의 세 개의 구성으로 구현되므로 종래 모티스조립체의 구조에 비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와 실내측 래치볼트기어 및 래치볼트캠 모두 연결축이 삽입되는 연결공의 형상을 동일하게 하므로, 실외손잡이 연결축과 실내손잡이 연결축을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외손잡이 연결축과 실내손잡이 연결축을 동일 금형에서 가공 후 함몰축만 별도 가공하면 되므로 전체 생산공정이 종래 구조에 비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연결축이 동일형상이므로 실내손잡이와 실외손잡이도 동일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제조공정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연결축이 연결공 내부에 삽입되어 접촉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오작동 위험이 적으며 고장률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패닉기능이 구현되는 디지털도어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의 데드볼트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의 모티스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의 모티스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의 모티스조립체의 래치볼트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1)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1)은 도어(A)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실외손잡이부(30)와, 실내측에 결합되는 실내손잡이부(20)와, 도어(A)의 내부에 수용되는 모티스조립체(10)로 구성된다.
실내손잡이부(20)는 실내손잡이(21)의 회전에 의해 데드볼트(210) 및 래치볼트(310)를 구동시키고, 실외손잡이부(30)는 전자입력부(31) 또는 열쇠삽입부(33)에 열쇠를 삽입하여 데드볼트(210) 또는 래치볼트(310)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실내손잡이(2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구동부(320)를 향해 돌출형성된 실내손잡이 연결축(25)이 결합되고, 실외손잡이(35)에는 래치볼트구동부(320)를 향해 돌출형성된 실외손잡이 연결축(37)이 결합된다.
이 때, 실내손잡이 연결축(25)과 실외손잡이 연결축(37)은 동일 형상과 크기로 구비된다. 즉, 실내손잡이 연결축(25)과 실외손잡이 연결축(37) 모두 동일한 단면형상과 크기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실내손잡이 연결축(25)과 실외손잡이 연결축(37)은 동일한 가공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실외손잡이 연결축(37)은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에 대응되는 축방향 영역이 다른 영역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함몰축(38)을 갖는다. 함몰축(38)은 실외손잡이 연결축(37)의 외경을 가공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제조된다.
함몰축(38)은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 내부에 수용될 때 실외손잡이 연결축(37)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3연결공(352)와 접촉되지 못하고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실외손잡이(30)를 회전하더라도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못한다.
본 고안은 실외손잡이 연결축(37)과 실내손잡이 연결축(25)를 동일형상과 크기로 가공하게 되므로, 실외손잡이(35)와 실내손잡이(21)도 동일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가공부품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모티스조립체(10)는 도어(A)의 측면을 향해 돌출 또는 삽입되는 데드볼트(210)와 래치볼트(310)에 의해 도어(A)를 잠금 또는 잠금해지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모티스조립체(10)는 도어(A)의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싱부(100)와, 케이싱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데드볼트(210)를 구동시키는 데드볼트부(200)와, 케이싱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래치볼트(310)를 구동시키는 래치볼트부(300)를 포함한다.
케이싱부(100)는 도어(A)의 내부에 삽입되어 데드볼트구동부(220)와 래치볼트구동부(320)가 안정적으로 동작되도록 한다. 또한, 케이싱부(100)는 도어(A)의 내외측에 구비된 실외손잡이부(30) 및 실내손잡이부(20)의 동작에 연동하여 모티스조립체(10)가 안정적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특히, 케이싱부(100)는 실외손잡이부(30) 및 실내손잡이부(20) 및 모티스조립체(10)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선(235)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화여 전선(235)의 손상을 줄이고, 디지털도어락(1)의 설치시 도어(A) 표면에 관통되는 결합공(미도시)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케이싱부(100)는 데드볼트부(200)와 래치볼트부(300)를 수용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개방된 일측면을 커버하는 커버(120)와, 데드볼트부(200)와 래치볼트부(300)가 삽입 및 이탈되도록 지지하는 측면프레임(140)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싱부(100)는 도어(A)와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는 도어프레임(미도시) 측에 삽입되어 데드볼트(210)와 래치볼트(310)와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프레임측커버(15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데드볼트구동부(220)와 래치볼트구동부(3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함체 형상으로 구비된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데드볼트구동부(220)와 래치볼트구동부(32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미도시)과 지지축(미도시) 등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케이싱(110)에는 판면에 전선노출홀(130)이 일정크기로 관통형성된다. 전선(235)은 케이싱(110) 내부에 수용된 회로기판(400)과 구동모터(231)를 실외손잡이부(30) 또는 실내손잡이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전선(235)은 케이싱(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전선노출홀(130)로 노출된다.
전선노출홀(130)에 의해 케이싱(110)의 후단부는 링 형상을 갖게 된다. 전선노출홀(130)은 도어(A)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미도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선노출홀(130)을 통해 케이싱(110) 외부로 노출된 전선(235)은 결합공(미도시)을 경유하여 도어(A) 외부로 노출된다.
전선노출홀(130)의 크기는 케이싱(110)의 서로 다른 구성으로부터 연장된 복수개의 전선을 동시에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또한, 도어(A) 표면의 결합공(미도시)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전선노출홀(130)은 케이싱(110)의 양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전선(235)이 도어(A)의 실외측과 실내측 중 어느 방향으로도 노출이 될 수 있게 한다.
데드볼트부(200)는 실외손잡이부(30) 또는 실내손잡이부(20)의 동작에 연동하여 데드볼트(210)가 도어프레임(미도시)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 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데드볼트부(200)는 커넥팅로드(250)에 의해 데드볼트(210)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데드볼트부(20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는 데드볼트(210)와, 데드볼트(210)가 돌출 및 삽입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데드볼트구동부(220)를 포함한다.
데드볼트(210)는 후단부(211)가 케이싱(110) 내측으로 연장형성되고, 판면에 커넥팅로드(250)와 결합되는 로드결합돌기(213)가 구비된다.
데드볼트구동부(220)는 데드볼트(210)가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데드볼트구동부(220)는 실외손잡이부(30)의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자락부(230)와, 실외손잡이부(30)에 열쇠가 삽입되는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데드볼트(210)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션기어부(240)와, 액션기어부(240)의 구동력을 데드볼트(210)로 전달하는 커넥팅로드(250)를 포함한다.
전자락부(230)는 실외손잡이부(30)를 통해 사용자가 소정의 비밀번호 또는 인증키 또는 보안카드 등을 입력할 경우 전자적으로 동작한다. 전자락부(230)는 전선(235)을 통한 전기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전자락부(230)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31)와, 구동모터(231)의 구동축(231a)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모터종동기어(233)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모터(231)의 일측에는 감속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적은 전원으로 구동출력이 커지도록 한다. 감속기(미도시)는 복수개의 다단 감속기어(미도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모터종동기어(233)는 외주연에 형성된 종동기어이빨(233a)이 액션기어부(240)의 모터데드기어(245)의 기어이빨(243c)과 치합된다. 즉, 구동모터(231)의 회전에 의해 모터종동기어(233)가 회전되고, 모터데드기어(245)가 연동되어 회전되며 구동력이 데드볼트(210)로 전달된다.
액션기어부(240)는 사용자의 열쇠삽입, 전자적인 신호 또는 실내손잡이(21)의 회전에 의한 패닉기능 구현시에 구동력을 커넥팅로드(250)로 전달한다. 액션기어부(240)는 커넥팅로드(250)와 결합된 액션캠(241)과, 액션캠(241)과 동축상에 위치하며 래치볼트부(300)의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와 치합되어 패닉기능을 구현하는 데드기어(243)와, 액션캠(241)과 동축상에 데드기어(243)와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모터종동기어(233)와 치합되는 모터데드기어(245)를 포함한다.
액션캠(241)은 가운데 영역에 열쇠삽입공(241e)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열쇠를 삽입한 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또한, 액션캠(241)은 데드기어(243)와 모터데드기어(245) 사이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데드기어(243)와 모터데드기어(245)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된다.
액션캠(241)은 액션캠본체(241a)와, 액션캠본체(241a)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열쇠삽입공(241e)이 관통형성된 열쇠삽입부(241b)와, 판면에 기어결합돌기(241f)가 형성된 지지면(241c)과, 액션캠본체(241a)의 외주연에 연장형성되어 커넥팅로드(250)와 결합되는 로드연결돌출부(241d)를 포함한다.
액션캠본체(241a)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가운데 영역에 일측면으로 열쇠삽입부(241b)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액션캠본체(241a)와 열쇠삽입부(241b) 사이에 단차지게 지지면(241c)이 형성된다. 열쇠삽입부(241b)의 가운데 영역에는 열쇠삽입공(241e)이 관통형성된다.
지지면(241c)의 판면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기어결합돌기(241f)는 모터데드기어(245)의 캠삽입공(245b)에 삽입된다. 기어결합돌기(241f)는 캠삽입공(245b)의 내주면과 접촉되고, 제2캠결합돌기(245e)에 접촉지지된다. 액션캠본체(241a)가 회전할 때 기어결합돌기(241f)는 한 쌍의 제2캠결합돌기(245e)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모터데드기어(245)의 회전은 액션캠본체(241a)로 전달되어 모터데드기어(245)와 액션캠(241)이 함께 회전되도록 하고, 액션캠(241)이 열쇠에 의해 회전될 때는 모터데드기어(245)는 회전되지 않고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로드연결돌출부(241d)는 커넥팅로드(250)의 타단(253)과 고정결합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타단(253)과 로드연결돌출부(241d)는 고정축(미도시)이 관통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때, 고정축(미도시)에는 토션스프링(260)이 결합되어 커넥팅로드(250)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특, 토션스프링(26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케이싱(110)의 내벽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액션캠(241)의 판면에 고정된다. 액션캠(241)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면 토션스프링(260)의 탄성한계치까지는 회전되지 않고, 탄성한계치를 넘어가는 힘이 작용하면 액션캠(241)이 회전하며 커넥팅로드(250)가 이동하게 된다.
데드기어(243)는 액션캠(241)의 일측, 즉 도어(A)의 실외측에 배치된다. 데드기어(243)는 실내손잡이(21)의 회전에 의해 데드볼트(210)와 래치볼트(310)가 함께 잠금이 해지되는 패닉기능을 구현한다. 데드기어(243)는 액션캠(241)의 동축상에 배치된다. 데드기어(243)는 원형의 데드기어본체(243a)와, 데드기어본체(243a)의 판면에 돌출형성된 제1캠결합돌기(243b)와, 데드기어본체(243a)의 외주연에 형성된 데드기어이빨(243c)을 포함한다.
데드기어본체(243a)는 액션캠(241)을 중심으로 도어(A)의 실외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제1캠결합돌기(243b)는 액션캠(241)의 열쇠삽입부(241b)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미도시)에 접촉지지된다. 이에 의해 앞서 설명한 모터데드기어(245)와 동일하게 액션캠(241)이 열쇠에 의해 회전될 때는 모터데드기어(245)는 회전되지 않고 위치가 유지되고, 데드기어(243)가 패닉기능에 의해 회전될 때는 액션캠(241)도 함께 회전되게 된다.
데드기어이빨(243c)는 래치기어구동부(320)의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의 패닉기어(357)와 맞물려 회전한다.
모터데드기어(245)는 액션캠(241)을 기준으로 실내 측에 배치된다. 모터데드기어(245)는 전자락부(230)의 모터종동기어(233)의 동작에 연동한다. 모터데드기어(245)는 모터데드기어본체(245a)와, 모터데드기어본체(245a)의 가운데 영역에 관통형성된 캠삽입공(245b)와, 캠삽입공(245b)의 내벽면에서 반경방향 중심을 향해 돌출형성된 한 쌍의 제2캠결합돌기(245e)를 포함한다.
모터데드기어본체(245a)는 액션캠(241)의 열쇠삽입부(241b) 상에 삽입된다. 즉, 캠삽입공(245b) 내부로 열쇠삽입부(241b)가 삽입되어 모터데드기어본체(245a)가 액션캠(241)의 상부에 적층배치되다. 이 때, 캠삽입공(245b)의 내주연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제2캠결합돌기(245e)는 한 쌍의 기어결합돌기(241f)와 접촉된다.
모터데드기어본체(245a)의 외주연에 형성된 모터데드기어이빨(245d)은 전자락부(230)의 모터종동기어(233)의 종동기어이빨(233a)과 치합된다. 즉, 구동모터(231)의 구동에 의해 모터종동기어(233)가 회전되면 모터데드기어(245)도 함께 회전되고, 이러한 모터데드기어(245)의 회전은 액션캠(241)의 회전으로 이어진다.
한편, 모터데드기어이빨(245d)은 모터데드기어본체(245a)의 외주연에 일부분만 형성된다. 즉, 모터데드기어본체(245a)의 외주연의 일정영역에는 모터데드기어이빨(245d)이 형성되고, 나머지 구간에는 기어이빨이 형성되지 않은 프리캠구간(245c)이 구비된다. 이러한 모터데드기어(245)의 형상은 모터종동기어(233)에 의해 회전될 때 커넥팅로드(250)의 이동에 간섭을 주지않기 위함이다.
커넥팅로드(250)는 액션캠(241)의 회전을 데드볼트(21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커넥팅로드(250)는 일정길이를 갖는 바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커넥팅로드(250)는 로드본체(251)의 일단부(255)는 데드볼트(210)에 고정되고, 타단부(253)는 액션캠(241)에 고정된다.
이 때, 로드본체(251)는 액션캠(241)의 회전에 의해 타단부(253)가 미끄러지며 이동할 때, 이동궤적이 데드볼트(210)가 직선운동할 수 있는 형태로 일정곡률을 갖도록 절곡형성된다. 즉, 로드본체(251)의 타단부(253)는 액션캠(241)의 로드연결돌출부(241d)에 고정되고, 액션캠(241)의 회전시 접선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팅로드(250)의 타단부(255)의 이동궤적이 일단부의 직선운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곡률로 절곡형성된다. 커넥팅로드(250)의 곡률은 데드볼트(210)와 액션캠(241) 사이의 간격과 배치위치, 액션캠(241)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팅로드(250)의 타단부(255)는 로드연결돌기(241c)에 고정축(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데드볼트(210)가 잠금해제 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강제로 작용할 경우 커넥팅로드(250)의 타단부가 액션캠(241)의 반경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므로 커넥팅로드(25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반면, 액션캠(241)이 회전하면 커넥팅로드(250)에 액션캠(241)의 접선방향으로 힘이 인가되어 커넥팅로드(250)가 접선방향으로 움직이며 데드볼트(210)가 이동될 수 있다.
래치볼트부(300)는 실내손잡이부(20) 또는 실외손잡이부(30)의 작동에 따라 래치볼트(310)와 데드볼트(210)가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도록 한다. 래치볼트부(300)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310)와, 래치볼트(310)를 구동하는 래치볼트구동부(320)를 포함한다.
래치볼트(310)는 측면프레임(14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며 도어(A)가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도록 한다. 래치볼트(310)의 후단부에는 볼트축(311)이 일정 길이 연장되어 케이싱(110)에 수용되고, 볼트축(311)의 외측에는 스프링(313)이 결합되어 있다.
래치볼트구동부(320)는 실내손잡이(21)와 실외손잡이(35)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실내손잡이(21)를 회전시키거나 실외손잡이(35)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따라 래치볼트(310)가 잠금 또는 잠금해지되도록 한다. 또한, 래치볼트구동부(320)는 사용자가 실내손잡이(21)를 회전시킬 경우 데드볼트(210)와 래치볼트(310)가 함께 잠금해지되는 패닉기능이 구현되도록 한다.
래치볼트구동부(320)는 케이싱(110)을 기준으로 도어(A)의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와, 도어(A)의 실외측에 배치되는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와,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와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 사이에 배치되는 래치볼트캠(340)과, 래치볼트캠(340)과 래치볼트(310) 사이에 결합되어 래치볼트캠(340)의 구동력을 래치볼트(310)로 전달하는 구동레버(360)를 포함한다.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는 래치볼트캠(340)과 동축상에 배치된다.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는 가운데 실내손잡이연결축(25)이 삽입되는 제1연결공(332)이 관통형성된다. 실내측 래치볼트기어본체(331)의 외측에는 결합공(335)이 형성된다. 결합공(335)은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의 결합축(355)과 결합된다. 이에 의해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와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는 함께 회전된다.
래치볼트캠(340)은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와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손잡이(21)를 회전하거나 실외손잡이(35)를 회전할 때 래치볼트(310)가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도록 구동레버(36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래치볼트캠(340)은 가운데 영역에 실외손잡이(35)가 삽입되는 제2연결공(343)이 형성된 래치볼트캠본체(341)와, 래치볼트캠본체(341)의 외주연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구동레버(360)를 가압하는 가압레버(345)와, 가압레버(345)와 대향되는 방향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래치볼트캠(34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한 쌍의 스토퍼(347)를 포함한다.
래치볼트캠본체(341)는 실외손잡이(35)가 제2연결공(343)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되면 함께 회전된다. 래치볼트캠본체(341)는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와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 때, 외부에서 보았을 때는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와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의 외측으로 가압레버(345)와 스토퍼(347)만 돌출된다.
가압레버(345)는 래치볼트캠본체(341)의 외주연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구동레버(360)에 접촉된다. 래치볼트캠본체(341)가 회전되면 가압레버(345)는 구동레버(360)를 가압하여 구동레버(360)가 회전되도록 한다.
한 쌍의 스토퍼(347)는 일정 각도 이격되게 래치볼트캠본체(341)에 돌출 형성되고, 실내손잡이(21) 또는 실외손잡이(35)에 의해 래치볼트캠본체(341)가 회전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 내부에 돌출 형성된 이동제한축(115)에 접촉되며 래치볼트캠본체(341)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는 래치볼트캠(340)의 실외측에 배치된다.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는 가운데 영역에 제3연결공(352)이 관통형성된 실외측 래치볼트기어본체(351)와, 실외측 래치볼트기어본체(351)의 외주연에 연장형성되어 데드기어(243)와 치합되어 패닉기능을 구현하는 패닉기어(357)를 포함한다.
실외측 래치볼트기어본체(351)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실외측 래치볼트기어본체(351)의 판면에는 래치볼트캠본체(341)가 수용되는 캠안착홈(353)이 래치볼트캠본체(341)의 형상에 대응되게 함몰 형성된다. 이에 의해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와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 사이에 래치볼트캠(340)이 수용되게 된다.
실외측 래치볼트기어본체(351)의 외측으로 결합축(355)이 한 쌍 돌출형성된다. 결합축(355)은 실내측 래치볼트기어본체(331)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결합공(335)의 내부에 삽입된다. 결합축(355)과 결합공(335)의 결합에 의해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와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는 서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와 래치볼트캠(340) 및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는 동축상에 일렬로 배치된다. 이 때, 제1연결공(332), 제2연결공(343) 및 제3연결공(352)도 동일선상에 일렬로 배치된다. 제1연결공(332), 제2연결공(343) 및 제3연결공(352)은 서로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손잡이(21)에는 실내손잡이연결축(25)이 결합되고, 실외손잡이(35)에는 실외손잡이연결축(37)이 결합된다. 실내손잡이연결축(25)과 실외손잡이연결축(37)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다. 다만, 실외손잡이연결축(37)에는 선단부로부터 일정영역에 두께가 타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함몰축(38)이 구비된다.
실내손잡이연결축(25)은 제1연결공(332)에 삽입되고, 실외손잡이연결축(37)은 제3연결공(352)을 통해 제2연결공(343) 내부까지 삽입된다.
사용자가 실내손잡이(21)를 회전하면 실내손잡이연결축(25)이 제1연결공(332)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형상이 맞물려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가 회전하게 된다.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의 회전시에 결합축(355)과 결합공(335)에 의해 서로 결합된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의 캠안착홈(353)에 수용된 래치볼트캠(340)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래치볼트(310)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또한,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의 외측에 연장형성된 패닉기어(357)가 데드볼트구동부(220)의 데드기어(243)와 맞물려 회전하여 데드볼트(210)로도 구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실내손잡이(21)의 회전에 의해 래치볼트(310)와 데드볼트(210)가 동시에 잠금해제되는 패닉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실외손잡이(35)를 회전하면 실외손잡이연결축(37)의 선단부는 래치볼트캠(340)의 제2연결공(343) 내부에 삽입되고, 함몰축(38)은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의 제3연결공(352)에 배치된다. 함몰축(38)은 외경이 상대적으로 다른 영역에 비해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3연결공(352)의 내벽면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다. 따라서, 실외손잡이(35)의 회전시에 선단부와 접촉되는 제2연결공(343)을 포함하는 래치볼트캠(340)만 회전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실외손잡이(35)를 회전시키면 래치볼트(310)만 잠금해제되고, 사용자가 실내손잡이(21)를 회전시키면 래치볼트(310)와 데드볼트(210)를 동시에 잠금해제하게 된다.
구동레버(360)는 지지판(370)과 결합되어 래치볼트캠(340)의 회전력을 래치볼트(310)로 전달한다. 구동레버(360)는 지지판(370)에 고정된 지지판결합레버(361)와, 래치볼트캠(340)의 가압레버(345)와 접촉되는 캠접촉레버(365)와, 지지판결합레버(361)와 캠접촉레버(365)의 결합영역에 형성된 회동축(363)을 포함한다.
구동레버(360)는 캠접촉레버(365)가 가압레버(345)와 접촉되어 있으므로, 래치볼트캠(340)이 회전하면 가압레버(345)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축(363)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 때, 지지판결합레버(361)가 지지판(37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판(370)이 구동레버(360)의 회동에 연동하여 직선이동된다.
지지판(370)은 일단부는 래치볼트(310)의 볼트축(311)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판결합레버(361)와 고정된다. 지지판(370)의 판면에는 이동축(371)이 상하로 연장되게 결합되고, 이동축(371)은 케이싱(110)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슬라이딩홈(117) 내부에 삽입된다.
구동레버(360)가 회동되면 이동축(371)이 슬라이딩홈(117)을 따라 직선이동되며 래치볼트(310)를 직선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1)의 동작과정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은 데드볼트(210)와 래치볼트(310)가 모두 케이싱(110)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프레임측커버(150)에 걸림결합된 잠금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외손잡이부(30)를 통해 열쇠삽입공(241e)에 열쇠를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와 맞물리며 액션캠(241)이 회전하게 된다. 액션캠(241)의 회전에 따라 액션캠(241)의 외주연에 결합된 커넥팅로드(250)가 액션캠(241)의 접선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케이싱(110)과 액션캠(241)에 양단부가 결합된 토션스프링(260)에 힘이 가해진다.
토션스프링(260)의 탄성한계치까지 액션캠(241)이 회전하지 않고, 탄성한계치를 초과하는 힘이 인가되면 액션캠(241)이 회전하며 커넥팅로드(250)가 이동하게 된다. 커넥팅로드(250)의 타단부(255)가 액션캠(241)과 함께 이동되면서 커넥팅로드(250)의 일단부(253)에 결합된 데드볼트(210)도 케이싱(110) 내부로 직선이동한다. 이에 의해 데드볼트(210)의 잠금상태가 해지되게 된다.
도 9는 사용자가 실내손잡이(21)를 회전시켜 패닉기능이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내손잡이(21)를 회전시키면, 실내손잡이연결축(25)이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의 제1연결공(332)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된다. 실내손잡이연결축(25)이 제1연결공(332)과 외주연이 접촉되면서 회전되므로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도 함께 회전된다.
실내측 래치볼트기어(330)가 회전하면 결합축(355)과 결합공(335)의 결합에 의해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의 캠안착홈(353)에 수용된 래치볼트캠(34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래치볼트캠(340)이 회전하면, 구동레버(360)가 회동축(363)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지지판(370)의 이동축(371)이 슬라이딩홈(117)을 따라 직선이동한다. 이에 따라 지지판(370)에 결합된 래치볼트축(311)과 래치볼트(310)가 함께 케이싱(110) 내부로 이동하며 잠금상태가 해지된다.
한편,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가 회전되면 실외측 래치볼트기어(350)에 일체로 형성된 패닉기어(357)도 함께 회전하고, 패닉기어(357)의 기어이빨(357a)와 맞물린 데드기어(243)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데드기어(243)의 회전에 연동하여 액션캠(241)이 회전하며 데드볼트(210)도 케이싱(110) 내부로 이동하며 잠금상태가 해지된다.
도 10은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데드볼트(210)의 잠금상태가 해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손잡이부(30)를 통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인증키 또는 보안카드를 접촉시키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모터(231)로 전원이 공급된다. 구동모터(231)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231a)에 결합된 모터종동기어(233)가 회전하게 된다. 모터종동기어(233)와 맞물린 모터데드기어(245)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액션캠(241)이 회전하며 데드볼트(21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은 패닉기능이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와 실내측 래치볼트기어 및 래치볼트캠의 세 개의 구성으로 구현되므로 종래 모티스조립체의 구조에 비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와 실내측 래치볼트기어 및 래치볼트캠 모두 연결축이 삽입되는 연결공의 형상을 동일하게 하므로, 실외손잡이 연결축과 실내손잡이 연결축을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연결축이 연결공 내부에 삽입되어 접촉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오작동 위험이 적으며 고장률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디지털도어락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디지털 도어락 10 : 모티스조립체
20 : 내부손잡이부 21 : 내부손잡이
25 : 내부손잡이연결축 30 : 외부손잡이부
35 : 외부손잡이 37 : 외부손잡이연결축
100 : 케이싱부 110 : 케이싱
120 : 커버 130 : 전선노출홀
140 : 측면프레임 150 : 프레임측커버
200 : 데드볼트부 210 : 데드볼트
220 : 데드볼트구동부 230 : 전자락부
231 : 구동모터 233 : 모터종동기어
235 : 전선 240 : 액션기어부
241 : 액션캠 241a : 액션캠본체
241b : 열쇠삽입부 241c : 지지면
241d : 로드연결돌출부 241e : 열쇠삽입공
241f : 기어결합돌기 243 : 데드기어
243a : 기어본체 243b : 제1캠결합돌기
243c : 기어이빨 245 : 모터데드기어
245a : 기어본체 245b : 캠삽입공
245c : 프리캠구간 245d : 모터데드기어이빨
245e : 제2캠결합돌기 250 : 커넥팅로드
260 : 토션스프링 300 : 래치볼트부
310 : 래치볼트 311 : 볼트축
313 : 스프링 320 : 래치볼트구동부
330 : 실내측 래치볼트기어 331 : 실내측 래치볼트기어본체
332 : 제1연결공 335 : 결합공
340 : 래치볼트캠
341 : 래치볼트캠본체 343 : 제2연결공
345 : 가압레버 347 : 스토퍼
350 : 실외측 래치볼트기어 351 : 실외측 래치볼트기어본체
352 : 제3연결공 353 : 캠안착홈
355 : 결합축 357 : 패닉기어
357a : 기어이빨 360 : 구동레버
361 : 지지판결합레버 363 : 회동축
365 : 캠접촉레버 370 : 지지판
371 : 이동축

Claims (5)

  1. 디지털도어락에 있어서,
    도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내손잡이 연결축 및 실외손잡이 연결축과;
    상기 도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실외손잡이 연결축이 관통삽입되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실내손잡이 연결축이 관통삽입되며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실내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실내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 사이에서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에 안착 배치되어, 상기 실내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래치볼트가 직선이동되도록 하는 래치볼트캠을 포함하며,
    상기 실외손잡이 연결축과 상기 실내손잡이 연결축은 동일한 사각형의 단면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실외손잡이 연결축은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를 관통하여 상기 래치볼트캠의 중공영역까지 삽입되며,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에 대응되는 위치의 외경이 축방향에 대해 타영역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래치볼트기어와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 및 상기 래치볼트캠은 가운데 영역에 상기 실외손잡이 연결축의 크기와 형상이 대응되는 축삽입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를 직선구동시키는 데드볼트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외측 래치볼트기어의 외주연에 상기 데드볼트구동부 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실내손잡이 연결축이 회전될 때 상기 데드볼트도 상기 래치볼트와 함께 이동되는 패닉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는 패닉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구동부는 상기 데드볼트를 직선이동되도록 하는 액션캠과, 상기 액션캠의 하부에 적층결합된 데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패닉기어는 상기 데드기어와 치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
KR2020120001305U 2012-02-20 2012-02-20 손잡이연결축의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도어락 KR200464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305U KR200464587Y1 (ko) 2012-02-20 2012-02-20 손잡이연결축의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305U KR200464587Y1 (ko) 2012-02-20 2012-02-20 손잡이연결축의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587Y1 true KR200464587Y1 (ko) 2013-01-09

Family

ID=5135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305U KR200464587Y1 (ko) 2012-02-20 2012-02-20 손잡이연결축의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58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0515B2 (en) 2004-11-11 2014-02-25 Nvidia Corporation Integrated wireless transceiver and audio processor
KR101811723B1 (ko) * 2016-02-22 2017-12-26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도어록 잠금장치
KR101878461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의 핸들 샤프트 연결 구조
CN108756492A (zh) * 2018-06-21 2018-11-06 深圳市南泽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防盗锁体及控制装置
KR20240023816A (ko) 2022-08-16 2024-02-23 위코퍼레이션(주) 숙박업 운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354A (ko) * 2003-03-31 2004-10-08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모티스록 잠금장치
KR20060113573A (ko) * 2006-09-11 2006-11-02 (주)코이시스템 디지털 도어록
KR20070111274A (ko) * 2006-05-17 2007-11-21 (주)아이알큐브 모티스록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
KR20090067498A (ko) * 2007-12-21 2009-06-25 시명순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제하는 모티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354A (ko) * 2003-03-31 2004-10-08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모티스록 잠금장치
KR20070111274A (ko) * 2006-05-17 2007-11-21 (주)아이알큐브 모티스록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
KR20060113573A (ko) * 2006-09-11 2006-11-02 (주)코이시스템 디지털 도어록
KR20090067498A (ko) * 2007-12-21 2009-06-25 시명순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제하는 모티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0515B2 (en) 2004-11-11 2014-02-25 Nvidia Corporation Integrated wireless transceiver and audio processor
KR101811723B1 (ko) * 2016-02-22 2017-12-26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도어록 잠금장치
KR101878461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의 핸들 샤프트 연결 구조
CN108756492A (zh) * 2018-06-21 2018-11-06 深圳市南泽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防盗锁体及控制装置
KR20240023816A (ko) 2022-08-16 2024-02-23 위코퍼레이션(주) 숙박업 운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7544B2 (en) Transmission device of electronic lock
KR200464587Y1 (ko) 손잡이연결축의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도어락
CN106121379B (zh) 电子锁芯装置
US9303433B2 (en) Transmission mechanism of a lock assembly
US9051761B2 (en) Manually driven electronic deadbolt assembly with fixed turnpiece
CN107208434B (zh) 齿轮总成及包括该齿轮总成的门装机构
US8291733B2 (en) Electric door lock
CN112912578B (zh) 模块化的离合机构
AU2011283430B2 (e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AU2019202691B2 (en) Clutch engagement assembly of door lock and driving device thereof
KR101184346B1 (ko) 디지털도어락의 모티스조립체
CN109812131B (zh) 内置开锁机构的锁把手
CN105073516A (zh) 用于机动车辆转向柱的防盗装置
CN111279041B (zh) 锁驱动装置和自行车锁装置
EP3421702B1 (en)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JP6687284B2 (ja) 扉用の施解錠装置
CN101634202A (zh) 一种锁具的锁紧机构
JP6162946B2 (ja) ドアロック装置
CN110242120A (zh) 一种智能锁
JP6007129B2 (ja) ドアロック装置
CN106382057B (zh) 一种电控钥匙和磁控锁以及开锁方法
CN209837953U (zh) 一种机械电子指纹锁芯
KR101741729B1 (ko) 도어락의 손잡이 조립 구조체
JP5072325B2 (ja) 電気錠
KR102248016B1 (ko) 도어락 레버의 단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