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389Y1 - 가변형 다층뜀틀 - Google Patents

가변형 다층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389Y1
KR200464389Y1 KR2020100010980U KR20100010980U KR200464389Y1 KR 200464389 Y1 KR200464389 Y1 KR 200464389Y1 KR 2020100010980 U KR2020100010980 U KR 2020100010980U KR 20100010980 U KR20100010980 U KR 20100010980U KR 200464389 Y1 KR200464389 Y1 KR 200464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jump frame
layer jump
lower blo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076U (ko
Inventor
우정문
Original Assignee
구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명화 filed Critical 구명화
Priority to KR2020100010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38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0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3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2Bolster vaulting apparatus, e.g. horses, bucks, 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100)은, 상하로 적층되는 다수의 하부블록(120)과, 상기 하부블록(120) 중 맨 위의 하부블록(120)에 적층되는 상부블록(110)과, 상기 상부블록(110)과 하부블록(120)의 상호 접촉면에 부착되어 상호 탈착되는 벨크로테이프(140)로 구성되는 다층뜀틀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록(120)은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측방으로 밀착되어 구성된 다수의 조합블록(130)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뜀틀뿐만 아니라, 평균대, 장애물 등 다양한 운동기구로 변환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다층뜀틀{Buck having variable types}
본 고안은 가변형 다층뜀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평균대, 장애물 등 다양한 운동 기구로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다층뜀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7세 이하의 어린이들의 운동기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층뜀틀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다층뜀틀(10)은 상하로 적층되는 다수의 블록(1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층뜀틀(10)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전후방 대향면(E)이 사다리꼴 형상이 된다. 따라서, 상기 각 블록(15)도 전후방 대향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블록(150)의 상호 접촉면에는 벨크로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되어 상호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블록(15)은 스펀지 또는 스치로폼, 고무 등의 완충재로 성형되고 직물지 또는 인조가죽 내지는 비닐 등의 시트(S)가 커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다층뜀틀(10)은 적층되는 블록(15)의 갯수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다층뜀틀의 경우, 뜀틀로만 사용될 뿐, 다른 운동기구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뜀틀 운동만 하고 다른 운동은 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운동을 통해서 어린이들의 근력을 골고루 발육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평균대나 장애물 등의 운동기구를 따로 구비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은, 상하로 적층되는 다수의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 중 맨 위의 하부블록에 적층되는 상부블록과, 상기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의 상호 접촉면에 부착되어 상호 탈착되는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는 다층뜀틀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록은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측방으로 밀착되어 구성된 다수의 조합블록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블록에 손을 짚는 부분에 표시된 손자국과, 상기 조합블록 및 상기 상부블록의 일측면에 발을 딛도록 표시된 발자국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에 의하면, 뜀틀뿐만 아니라, 평균대, 장애물 등 다양한 운동기구로 변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병현 다층뜀틀 하나로 어린이들의 근육과 운동신경을 골고루 발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평균대 또는 장애물 등 타 운동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효과도 있다.
또한, 손자국과 발자국이 표시된 경우에는 어린이들이 가장 바른 자세로 효율적으로 운동에 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층뜀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을 분해하여 평균대로 변형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을 분해하여 뛰어넘는 장애물로 변형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을 분해하여 지그재그로 통과하는 장애물로 변형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블록에 발자국과 손자국이 표시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블록과 상부블록에 발자국과 손자국이 표시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을 분해하여 평균대로 변형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을 분해하여 뛰어넘는 장애물로 변형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을 분해하여 지그재그로 통과하는 장애물로 변형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블록에 발자국과 손자국이 표시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가변형 다층뜀틀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블록과 상부블록에 발자국과 손자국이 표시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다층뜀틀(90)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어린이들이 뜀뛰기를 하는데 사용하는 스포츠 기구로서, 다수의 하부블록(120)과, 상기 하부블록(120) 중 맨 위의 하부블록(120)에 적층되는 상부블록(110)과, 상기 상부블록(110)과 하부블록(120)의 상호 접촉면에 부착되어 상호 탈착되는 벨크로테이프(14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록(110)과 하부블록(120)은 스펀지 또는 스치로폼, 고무 등의 완충재로 형성되고, 직물지 또는 인조가죽 내지는 비닐 등의 시트(S)가 커버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다층뜀틀(100)을 다양한 운동기구로 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서 전후방은 어린이들이 진입하는 쪽을 전방이라고 하고 뛰어 넘어서 나가는 방향을 후방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측방은 전후방과 직각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하부블록(120)은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측방으로 밀착되어 구성된 다수의 조합블록(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합블록(130) 역시 상기 완충재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S)로 커버되어 구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접촉면은 상부블록(110)의 하면(U)과, 맨 아래에 위치하는 조합블록(130)의 상면(T)과, 상기 맨 아래에 위치하는 조합블록(130)의 위에 적층되는 조합블록(130)의 상면(T)과 하면(K)에 해당된다. 상기 하부블록(120)의 상면(T), 하면(K)은 조합블록(130)의 상면(T), 하면(K)과 일치한다.
상기 벨크로테이프(140)는 상기 상부블록(110)의 접촉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좌우측 끝에 위치하는 조합블록(130)의 접촉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모든 조합블록(130)의 접촉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벨크로테이프(140)는 상부블록(110)과 하부블록(120), 그리고 하부블록(120)끼리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호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상기에서 좌우측 끝에 위치하는 조합블록(130)의 접촉면에 벨크로테이프(140)가 부착되는 경우, 상부블록(110)과 상기 좌우측 끝에 위치하는 조합블록(130)의 내부에 다른 조합블록(130)이 수용된 상태가 됨으로써 뜀틀로서의 기능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을 통해서 살펴보면, 상기 구성에서 상기 상부블록(110)에 손을 짚는 부분에 표시된 손자국(150)과, 상기 조합블록(130)의 일측면에 발을 딛도록 표시된 발자국(160)이 전후방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구성된다. 상기 손자국(150)이 표시된 부분은 어린이들이 도움닫기를 하고 본 고안을 넘을 때, 손을 짚기에 가장 적합한 부분이다. 또한, 상기 발자국(160)은 어린이들이 평균대로 사용할 때, 발 딛기에 가장 적합한 곳에 표시되며, 전방으로 바른 자세로 보행할 수 있도록 발 모양이 전방을 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손자국(150) 및 발자국(160)은 인쇄에 의해 표시될 수도 있고, 종이나 필름을 손이나 발 모양으로 커팅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조합블록(130)에서 벨크로테이프(140)가 부착된 면에 상기 종이나 필름으로 형성된 손자국(150)이나 발자국(160)을 부착할 때에는 벨크로테이프(140)가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처럼 분리된 상태에서 맨 아래에 위치하는 조합블록(130)을 측방으로 밀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합블록(130) 위에 다른 조합블록(130)들을 올려서 측방으로 밀착하도록 한다. 이런 식으로 다층으로 하부블록(120)이 적층되도록 한 후, 맨 상부에 위치한 하부블록(120)에 상부블록(110)이 올려 지도록 한다.
이때, 상부블록(110)과 하부블록(120)은 상기 벨크로테이프(140)에 의해 부착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도 2에서처럼, 완성된 가변형 다층뜀틀(100)이 된다.
따라서, 어린이들은 상기 가변형 다층뜀틀(100)의 전방에서 도움닫기를 한 후, 손으로 상기 상부블록(110)의 상면을 손으로 짚은 후, 본 고안을 뛰어넘게 된다.
또는, 도 4에서처럼, 상기 상부블록(110)과 하부블록(120)의 조합블록(130)을 이탈시킨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이어지게 배열한다. 그러면, 어린이들이 상기 상부블록(110)과 조합블록(130) 위에서 보행하는 평균대로서 가변이 가능하다.
또는, 도 5에서처럼, 상기 상부블록(110)과 조합블록(130)을 길이방향이 평행하도록 배열시키면, 어린이들이 뛰어넘으면서 통과하는 장애물이 될 수도 있다.
또는, 도 6에서처럼, 상기 상부블록(110)과 조합블록(130)을 기둥처럼 세운 상태에서 일렬로 배열하게 되면, 어린이들이 지그재그로 통과하는 장애물이 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에 의하면 다양한 형상을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근육 및 운동신경을 골고루 발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도 7 및 도 8에서처럼, 상기 상부블록(110)의 상면에는 도움닫기를 한 후, 손을 짚는 부분에 손자국(150)이 표시되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도움닫기를 한 후, 가장 적합한 곳에 손을 짚을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처럼, 평균대로 사용할 때에는 어린이들이 발자국(160)을 따라 발을 디딜 수 있기 때문에 바른 발모양으로 전방을 향해 보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옆으로 보행하는 등의 잘못된 자세를 시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가변형 다층뜀틀 110: 상부블록
120: 하부블록 130: 조합블록
150: 손자국 160: 발자국

Claims (2)

  1. 상하로 적층되는 다수의 하부블록(120)과,
    상기 하부블록(120) 중 맨 위의 하부블록(120)에 적층되는 상부블록(110)과,
    상기 상부블록(110)과 하부블록(120)의 상호 접촉면에 부착되어 상호 탈착되는 벨크로테이프(140)로 구성되는 다층뜀틀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록(120)은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측방으로 밀착되어 구성된 다수의 조합블록(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록(110)과 하부블록(120)은 완충재로 형성되어 시트(S)로 커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다층뜀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록(110)에 손을 짚는 부분에 표시된 손자국(150)과,
    상기 조합블록(130)의 일측면에 발을 딛도록 표시된 발자국(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다층뜀틀.
KR2020100010980U 2010-10-26 2010-10-26 가변형 다층뜀틀 KR200464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980U KR200464389Y1 (ko) 2010-10-26 2010-10-26 가변형 다층뜀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980U KR200464389Y1 (ko) 2010-10-26 2010-10-26 가변형 다층뜀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76U KR20120003076U (ko) 2012-05-04
KR200464389Y1 true KR200464389Y1 (ko) 2013-01-02

Family

ID=4660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980U KR200464389Y1 (ko) 2010-10-26 2010-10-26 가변형 다층뜀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38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988Y1 (ko) 2002-05-28 2002-10-04 주식회사 동서산업 공기주입식 뜀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988Y1 (ko) 2002-05-28 2002-10-04 주식회사 동서산업 공기주입식 뜀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76U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1295B2 (en) Aerobic step
TWI589333B (zh) 具有在不同高度的第一及第二跳床墊之運動裝置
US7833145B2 (en) Exercise pedal
KR20110017867A (ko) 유아 신발
US20170050101A1 (en) Plyometric box
KR101510270B1 (ko) 직물재가 구비된 바닥매트
US20180229098A1 (en) Plyometric Jump Box
US20090156365A1 (en) Training Ladder Formed With Polygon Segments
US9173448B1 (en) Wrestling shoe assembly that includes an auxiliary overshoe
KR200464389Y1 (ko) 가변형 다층뜀틀
TW544290B (en) Sports shoe interface
US20140352176A1 (en) Shoe cushion and shock absorbing shoe comprising same
JP6516244B2 (ja) 訓練用具および訓練用具を用いた訓練方法
US20100323180A1 (en) Foldable Soft Mat
GB2388052A (en) Exercise mat
GB2524568A (en) Plyometric box
JP6549589B2 (ja) スポーツシューズ
JP5692929B2 (ja) 転倒予防用エクササイズマット
JP7120610B2 (ja) 体育用マット
JP2020151409A (ja) ソフト平均台
JP3218461U (ja) 歩行訓練装置
US11883715B1 (en) Exercise platform with height-adjustable support block
KR101397226B1 (ko) 깁스용 신발
KR200424880Y1 (ko) 가벼운 뜀틀
JP7259175B2 (ja) 揺動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