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309Y1 - 이탈방지 스텐트 - Google Patents

이탈방지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309Y1
KR200464309Y1 KR2020100009152U KR20100009152U KR200464309Y1 KR 200464309 Y1 KR200464309 Y1 KR 200464309Y1 KR 2020100009152 U KR2020100009152 U KR 2020100009152U KR 20100009152 U KR20100009152 U KR 20100009152U KR 200464309 Y1 KR200464309 Y1 KR 200464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head
distal end
outer diame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714U (ko
Inventor
김찬규
기병윤
김성현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2020100009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30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7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7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3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5Stomach, intest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탈방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내강에 삽입되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부, 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몸체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말단부 및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말단부와 비대칭을 이루도록 말단부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텐트의 머리부 외경 크기를 비약적으로 늘려주어 위장관에 삽입되는 스텐트가 머리부에 의해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등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스텐트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탈방지 스텐트{STENT FOR SLIDING PREVENTION}
본 고안은 위장관에 삽입되는 스텐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란 혈관, 위장관, 담도 등 혈액이나 체액의 흐름이 악성 혹은 양성질환의 발생으로 순조롭지 못할 때 외과적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내시경 및 X-선 투시 하에서 좁아지거나 막힌 부위에 삽입하여 그 흐름을 정상화 시키는데 사용되는 원통형의 의료용 보형물을 말한다.
따라서 우리의 몸이 암조직 등에 의해 인체의 식도, 십이지장 등과 같은 내강에 협착부위가 발생하여 내강을 통과하는 음식물 등의 흐름이 순조롭지 못할 경우 내강의 협착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협착 부위를 확장시켜 줌으로써 내강을 통과하는 음식물 등의 흐름을 순조롭게 해주는 것이다.
스텐트의 재질에는 스텐레스와 형상기억 합금인 나이티놀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협착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기 위한 시술 방법에는 협착이 있는 부위를 풍선으로 확장 시킨 후 스텐트를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스텐트의 종류에는 내강을 확보하는 작용기전에 따라 풍선을 이용하는 풍선확장식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는 자가 팽창식 스텐트가 있으며 스텐트를 설치하는 장기와 질병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이러한 스텐트에 관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7729호(스텐트)는 관 형상 기관에 삽입되는 스텐트로써, 관 형상 기관의 폐색 또는 축경한 부분의 안쪽까지 확실히 유치하여 확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도 유연성도 유지할 수 있는 스텐트이지만, 이는 장착되는 관 형상의 기관과 평행을 이루는 형태로 최초 삽입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협착부위에 삽입된 스텐트가 최초 삽입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태양으로 이탈방지 스텐트는 인체의 내강에 삽입되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말단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말단부와 비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말단부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경보다 약110~200%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경보다 약150~300%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부에는 커버역할을 수행하는 코팅막으로 감싸여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코팅막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머리부에는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시성이 높은 방사성 불투과 또는 내시경 표시자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은 스텐트의 머리부 외경 크기를 비약적으로 늘려주어 위장관에 삽입되는 스텐트가 머리부에 의해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등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스텐트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인 스텐트의 머리부에는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사성 불투과 또는 내시경 표시자가 부착되어 있어서 스텐트 삽입 시술시 협착부위에 스텐트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인 스텐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인 몸체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3(A)는 스텐트의 머리부, 몸체부 및 말단부 부분에 코팅막이 감싸여 있지 않은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3(B)는 스텐트의 머리부, 몸체부 및 말단부 부분에 코팅막이 감싸여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스텐트가 인체의 내강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이탈방지 스텐트(100)에 관한 것으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 말단부(120), 머리부(130) 및 코팅막(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다수의 금속와이어를 그물망처럼 엮어서 중공의 원통 형태로 만든 것으로, 금속와이어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나이티놀, 스테인레스, 코발트크롬, 엘지로이 등이 주로 이용된다.
이에, 몸체부(110)의 금속와이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A)의 상측이 제2와이어(B)의 하측과 교차되어 엮이고, 다시 제2와이어(B)의 상측은 제3와이어(C)의 하측과 교차되어 엮이도록 구성함으로써 몸체부(110)를 전체적으로 보면 메쉬(MESH)구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금속와이어로 구성된 메쉬구조는 몸체부(110) 뿐만 아니라 머리부(130) 및 말단부(120)에도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말단부(120)는 몸체부(110)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내경에 비해 약110~200%정도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넓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텐트의 말단부(120)는 위장관의 관 내벽에 밀착되어 스텐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등의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스텐트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머리부(130)는 몸체부(110)의 상단에 위치하여 말단부(120)와 비대칭을 이루도록 말단부(120)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내경에 비해 약150~300%정도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말단부(120)보다도 외경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머리부(13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넓어지는 구조로, 위장에서 관쪽으로 넘어가는 부위인 위장쪽 하단 벽면에 밀착되어 스텐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머리부(130)의 외경 크기를 비율로써 설명하였지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지점인 위장쪽 하단 벽면과 확실히 밀착되어 스텐트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가장 바람직한 크기이다.
또한, 본 고안인 이탈방지 스텐트(100)는 위장관 뿐만 아니라 협착부위가 존재하는 관형상의 어느 부위에나 삽입될 수 있는데 이는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말단부(120)와 머리부(130)의 외경 크기를 조절하여 스텐트를 구성시키면 된다.
또 한편, 본 고안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시성이 높은 방사성 불투과 또는 내시경 표시자(131)가 머리부(130)에 부착되어 있는데, 이는 스텐트 삽입 시술시 가시성을 확보시켜 줌으로써 협착부위에 스텐트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게 해준다.
코팅막(140)은 메쉬구조로 형성된 금속와이어의 표면을 감싸도록 얇은 막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는 협착부위에서의 증식되는 조직이 스텐트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스텐트를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스텐트가 삽입되는 위치나 필요에 따라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막(140)이 머리부(130), 몸체부(110) 및 말단부(120)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 말단부(120) 및 머리부(130)에 코팅막(140)이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코팅막(140)은 실리콘(silicon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및 PU(Polyurethane)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인 이탈방지 스텐트(100)는 위장관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써 음식물 등의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스텐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몸체부(110), 말단부(120), 머리부(130)는 다수의 금속와이어가 엮여서 메쉬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몸체부(110)는 삽입되는 관형상의 부위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협착부위를 넓혀주는 역할을 하며, 말단부(120)와 머리부(130)는 음식물 등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스텐트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삽입되는 부위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스텐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스텐트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은 몸체부(110)의 내경 보다 말단부(120)의 외경을 약110~200% 정도 더 크게 형성시켜 스텐트가 위장관에 삽입 되었을 경우 말단부(120)가 관의 내벽면에 눌리도록 함으로써 스텐트가 음식물 등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며, 머리부(130) 또한 몸체부(110)의 내경에 비해 약 150~300%정도 큰 외경을 갖도록 외경을 확장시켜주도록 구성됨으로써,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장의 하단부위와 완벽한 밀착이 이루어져 스텐트가 음식 등의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말단부(120) 만으로는 스텐트의 확실한 고정이 어렵기 때문에 비약적으로 늘린 머리부(130)에 의해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 한편, 본 고안은 도3(A)나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 말단부(120) 및 머리부(130)를 코팅막(140)이 감싸고 있거나 코팅막(140)이 없을 수도 있는데, 이는 코팅막(140)이 없는 스텐트의 경우 메쉬구조의 금속와이어가 삽입되는 부위의 내벽면에 눌려 좀 더 확실히 지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코팅막(140)이 감싸여 있는 스텐트의 경우 협착부위에서의 증식되는 조직이 스텐트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막아주거나 음식물 등의 유체가 스텐트를 통과하면서 협착부위와 닿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30) 부분에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사성 불투과 또는 내시경 표시자(131)를 부착하고 있는데, 이는 스텐트 삽입 시술시 스텐트를 협착 부위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협착부위에 스텐트를 삽입시킬 경우 비약적으로 확장시킨 머리부(130)에 의해 삽입되는 관 부위에 스텐트가 확실히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이탈방지 스텐트
110 : 몸체부
A : 제1와이어 B : 제2와이어
C : 제3와이어
120 : 말단부
130 : 머리부
131 : 방사성 불투과 또는 내시경 표시자
140 :코팅막

Claims (4)

  1. 인체의 내강에 삽입되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말단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말단부와 비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말단부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에는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시성이 높은 방사성 불투과 또는 내시경 표시자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몸체부의 내경의 110~200%이고,
    상기 머리부의 외경의 크기는 상기 몸체부의 내경의 15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에는 커버역할을 수행하는 코팅막으로 감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스텐트.
  4. 삭제
KR2020100009152U 2010-08-31 2010-08-31 이탈방지 스텐트 KR200464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152U KR200464309Y1 (ko) 2010-08-31 2010-08-31 이탈방지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152U KR200464309Y1 (ko) 2010-08-31 2010-08-31 이탈방지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714U KR20120001714U (ko) 2012-03-08
KR200464309Y1 true KR200464309Y1 (ko) 2012-12-24

Family

ID=4660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152U KR200464309Y1 (ko) 2010-08-31 2010-08-31 이탈방지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30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0332A1 (en) 2001-12-19 2003-06-26 Cook Incorporated Stent graft with improved graft adhesion
US20040054396A1 (en) 2002-06-26 2004-03-18 Cook Incorporated Stent-graft fasten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0332A1 (en) 2001-12-19 2003-06-26 Cook Incorporated Stent graft with improved graft adhesion
US20040054396A1 (en) 2002-06-26 2004-03-18 Cook Incorporated Stent-graft fast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714U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0972B1 (en) Branch lumen stent and lumen stent system
ES2956016T3 (es) Endoprótesis ajustables diametralmente
EP2522306B1 (en) Paraplegia prevention valve for stent grafts
JP6083533B2 (ja) マーカーと補強およびマーカーリングとを有するステントグラフト
JP6131441B2 (ja) 分岐血管接続用可動外部結合部
JP5108997B2 (ja) 胸部大動脈瘤用ステントグラフト
JP5824759B2 (ja) 分岐血管接続部のための可動外部結合部
ES2950893T3 (es) Dispositivo endoluminal
RU2429804C2 (ru) Стент
KR20180105164A (ko) 대동맥 판막 기능 장애를 수반한 흉부 대동맥 질환을 위한 이식형 인공기관
JP2014533981A (ja) 胃内インプラントデバイス
JP2006263436A (ja) ステント
KR20110138350A (ko) 외과적 수술 위치에서 관내 인공 삽입물을 전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S2757531T3 (es) Dispositivo intraluminal implantable
JP2013543416A (ja) ステントグラフトシステム
US20240009010A1 (en) Anti-migration stent
KR20170084214A (ko) 스텐트 보철
KR101382524B1 (ko) 돌출형 부분이중구조 스텐트
JP6438574B2 (ja) 同所性人工膀胱体内プロステーシス
US20060069428A1 (en) Thin film medical device and delivery system
KR100942036B1 (ko) 스텐트
BR112014020048B1 (pt) Endoprótese com compressibilidade variante
US9622887B2 (en) Stent graft with valve arrangement
KR200464309Y1 (ko) 이탈방지 스텐트
JP6705025B2 (ja) ス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