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484Y1 - 재활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재활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484Y1
KR200463484Y1 KR2020100004360U KR20100004360U KR200463484Y1 KR 200463484 Y1 KR200463484 Y1 KR 200463484Y1 KR 2020100004360 U KR2020100004360 U KR 2020100004360U KR 20100004360 U KR20100004360 U KR 20100004360U KR 200463484 Y1 KR200463484 Y1 KR 200463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handle
stop pin
rotating
sid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301U (ko
Inventor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임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수 filed Critical 임정수
Priority to KR2020100004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484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3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3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4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사용하지 않을 경우 실수로 작동되지 않도록 작동 중지수단을 구비한 재활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발로 회전구동하기 위한 페달과, 상기 페달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구동하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페달의 회전축과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페달과 손잡이와 동력전달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중단시키기 위한 구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재활 운동 기구 {APPARATUS FOR REHABITATION EXERCISES}
본 고안은 재활 운동용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실수로 작동되지 않도록 작동 중지수단을 구비한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고령이나 부상 등에 의해 근력이 약화된 사람들을 위해 운동강도가 조절된 재활 운동용 운동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사용자를 위한 싸이클링 운동 기구의 경우, 다리의 근력만으로 기구를 조작 또는 작동시킴으로써 다리 부분에만 운동효과를 얻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운동 기구는 근력이 약화된 사용자에게 과도한 근육 피로, 나아가서 근육 손상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해 팔과 다리를 함께 움직이는 것으로 운동 기구를 조작 또는 작동시키게 하여 다리 뿐만 아니라 팔의 근력을 함께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근육에 가해지는 부하 또는 피로도를 다리 및 팔에 분산시킬 수 있는 운동 기구들이 개발되는 것이다.
이런 재활 운동 기구는 기존의 싸이클링 운동 기구와 같이,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거의 페달과 같은 발판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팔의 근력을 사용하기 위해서 역시 자전거의 페달과 같은 형태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동작도 포함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재활 운동 기구의 사용자는 스스로의 근력으로 운동 기구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고령이거나 부상 또는 퇴행성 질환에 의해 일반인보다 근력이 훨씬 떨어지는 사용자에게 페달과 같은 형태의 회전체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발을 헛디디거나, 회전하는 손잡이에 부딪히는 등, 사용자에게 타박상, 골절 등의 부상을 초래하는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운동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여 부상의 위험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재활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발로 회전구동하기 위한 페달과, 상기 페달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구동하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페달의 회전축과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페달과 손잡이와 동력전달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중단시키기 위한 구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재활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페달의 회전축에 고정된 페달측 풀리와,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에 고정된 손잡이측 풀리와, 상기 페달측 풀리 및 손잡이측 풀리에 걸쳐진 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트는, 타이밍 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재활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손잡이와 함께 회전하며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거나 이탈하도록 왕복조작되는 멈춤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속수단에 의해 운동 기구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정지시킨 상태를 유지하거나, 필요에 따라 회전운동을 재개할 수도 있으므로 운동 기구에 의한 부상의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활 운동 기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구속수단을 확대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재활 운동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활 운동 기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재활 운동 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0)의 상방에 디스플레이부(160)가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하체에 근접한 본체(50) 하부에는 페달(133)이 배치되어 있고, 사용자의 상체에 근접한 본체(50) 상부에는 손잡이(123)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운동량, 운동시간, 속도 등 운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시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50)의 커버를 분리하여 그 내부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 손잡이측 풀리(121), 페달측 풀리(미도시) 등과 같은 내부 구성들이 드러난다.
프레임(110)은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는 중앙부가 절곡된 영문 대문자 H의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은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할 다른 구성들을 원활히 지지할 수만 있으면 어떤 형태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손잡이 회전축(120)은 프레임(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 회전축(120)에는 손잡이측 풀리(121)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또한 손잡이(123)도 손잡이 크랭크(122)를 통해 손잡이 회전축(1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손잡이(123)를 잡고 회전시키면 손잡이 회전축(120)은 물론 손잡이측 풀리(12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페달 회전축(130)은 상대적으로 프레임(1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페달 회전축(130)에는 페달측 풀리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페달측 풀리의 형상은 손잡이측 풀리(12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그 크기만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페달 회전축(130)에도 역시 페달(133)이 페달 크랭크(132)를 통해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발로 페달(133)을 밟아 회전시키면 페달 회전축(130)과 페달측 풀리가 모두 함께 회전하게 된다.
손잡이측 풀리(121)로부터 페달측 풀리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루프를 이루는 벨트(140)가 걸쳐져 있다. 벨트(140)는 손잡이측 풀리(121)로부터 페달측 풀리로, 또는 페달측 풀리로부터 손잡이측 풀리(121)로 회전동력을 각각 전달하므로, 동력전달수단이라 할 수 있다. 아이들풀리(151,152)는 프레임(110)의 형태에 따라 벨트(140)의 형태를 변형시키고, 벨트(14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아이들풀리는 도 2에 예시된 것보다 많은 수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필요 없는 경우에는 삭제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풀리 및 벨트의 기구를 도시하고 있으나, 손잡이 회전축(120)과 페달 회전축(130) 사이에서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기어, 체인 등 다른 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벨트(140)는 손잡이 회전축(120)과 페달 회전축(130)이 미리 규정된 회전비에 따라 확실히 연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타이밍 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손잡이측 풀리(121)나 페달측 풀리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톱니 풀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손잡이측 풀리(121)에는 회전디스크(210)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전디스크(210)는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홈(2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210a)에는 멈춤핀(220)이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설치되는데, 멈춤핀(220)은 프레임(110)에 지지되어 회전디스크(210)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된다. 멈춤핀(220)이 걸림홈(210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회전디스크(210)는 회전하지 못하게 구속되며, 회전디스크(210)와 결합된 손잡이측 풀리(121)는 물론, 손잡이측 풀리(121)와 벨트(140)에 의해 연결된 페달측 풀리까지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멈춤핀(220)과 회전디스크(210)는 손잡이(123)나 페달(133)이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수단을 이루게 된다. 도 3은 이와 같은 구속수단의 보다 상세한 설치예를 도시한 부분분해 사시도이다. 고정블럭(230)은 프레임(110)에 볼트(232)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블럭(230)에는 관통구멍(230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관통구멍(230a)에는 멈춤핀(22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멈춤핀(22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고 조작감을 확실히 주기 위해 볼플런저(231)가 관통구멍(230a)을 향해 설치된다. 멈춤핀(220)이 회전디스크(210)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여 고정블럭(23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멈춤핀(220)의 회전디스크(210) 쪽 단부에는 멈춤볼트(221)가 삽입된다. 물론 이 멈춤볼트(221)는 멈춤핀(220)을 고정블럭(230)의 관통구멍(230a)에 삽입한 상태에서 결합되어야 한다. 멈춤핀(220)이 회전디스크(210)의 걸림홈(210a)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멈춤핀(220)의 회전디스크(210) 측 끝단(220a)은 곡선형으로 테이퍼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걸림홈(210a)은 그 개방 단부가 곡선형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구속수단은 멈춤핀(220)과 회전디스크(2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그 설치위치는 손잡이측 풀리(121)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같은 구성을 페달측 풀리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밖에 손잡이(123), 페달(133) 또는 벨트(140)의 작동을 단속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다른 기술에 의해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구속수단이 손잡이측 풀리(121)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면 접근성이 향상되므로 조작도 편리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멈춤핀(220)의 회전디스크(210)로부터 먼 쪽의 단부, 즉 조작단의 형태를 둥글게 변형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며, 그 형태는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재활 운동 기구가, 기본적으로 손잡이 회전축(120), 손잡이측 풀리(121), 페달 회전축(130), 페달측 풀리 등과 같은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 기구라는 점에서, 회전체의 운동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플라이휠(170)이 그것으로, 플라이휠(170)은 페달 회전축(13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풀리(134)와 별도의 벨트로 연결되어 있어, 페달 회전축(13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한다. 플라이휠(170)의 회전관성을 조절하면 페달(133), 나아가 손잡이(123)를 회전시킬 때 소요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페달(133)이나 손잡이(123)가 일단 회전하기 시작하면 지속적으로 원활히 회전할 수 있게 해준다. 나아가서 영구자석블럭(180)을 플라이휠(170) 주변에 배치하고, 플라이휠(170)을 제조할 때 강자성체 재료를 포함시키면, 영구자석블럭(180)을 플라이휠(170) 측으로 접근시키거나, 이탈시키는 것에 의해 플라이휠(170)의 회전저항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 및 2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회전노브(190)가 이와 같은 영구자석블럭(180)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플라이휠(170) 및 영구자석블럭(180)은 도 1 및 도 2에서 손잡이 회전축(120)보다는 페달 회전축(13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데, 이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하중 분포를 안정적이게 만들고, 공간 배치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라이휠(170)이나 영구자석블럭(180)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고, 하중 분포에 영향이 적다면 손잡이 회전축(120) 쪽에 배치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4)

  1. 사용자가 발로 회전구동하기 위한 페달과,
    상기 페달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구동하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페달의 회전축과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페달과 손잡이와 동력전달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중단시키기 위한 구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손잡이와 함께 회전하며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거나 이탈하도록 왕복조작되는 멈춤핀을 포함하며,
    상기 멈춤핀이 왕복조작되는 동안 지지하기 위해 상기 멈춤핀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관통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디스크측으로 노출된 상기 멈춤핀의 단부에서 상기 멈춤핀이 왕복조작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멈춤핀이 상기 고정블럭으로부터 상기 회전디스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페달의 회전축에 고정된 페달측 풀리와,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에 고정된 손잡이측 풀리와,
    상기 페달측 풀리 및 손잡이측 풀리에 걸쳐진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타이밍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 기구.
  4. 삭제
KR2020100004360U 2010-04-26 2010-04-26 재활 운동 기구 KR200463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360U KR200463484Y1 (ko) 2010-04-26 2010-04-26 재활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360U KR200463484Y1 (ko) 2010-04-26 2010-04-26 재활 운동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01U KR20110010301U (ko) 2011-11-02
KR200463484Y1 true KR200463484Y1 (ko) 2012-11-06

Family

ID=4756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360U KR200463484Y1 (ko) 2010-04-26 2010-04-26 재활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4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726B1 (ko) 2021-03-08 2021-12-01 조우형 싸이클형 운동기구
KR102668506B1 (ko) * 2021-11-11 2024-05-23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운동 부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 부하 측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894B1 (ko) * 2011-11-09 2013-02-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용 운동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905A (ja) * 1998-05-01 1999-11-16 Shinwa Kogyo Kk 歩行運動機具
JP2000325497A (ja) * 1999-05-17 2000-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ペダル式回転運動装置
US20070129219A1 (en) * 2005-12-01 2007-06-07 Robert Mahlberg Exercis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905A (ja) * 1998-05-01 1999-11-16 Shinwa Kogyo Kk 歩行運動機具
JP2000325497A (ja) * 1999-05-17 2000-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ペダル式回転運動装置
US20070129219A1 (en) * 2005-12-01 2007-06-07 Robert Mahlberg Exercis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726B1 (ko) 2021-03-08 2021-12-01 조우형 싸이클형 운동기구
KR102668506B1 (ko) * 2021-11-11 2024-05-23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운동 부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 부하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01U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9122B2 (en) Attachable rotary range of motion rehabilitation apparatus
US6764431B2 (en) Swim machine
EP2326393B1 (en) Continuous rope pulling exercise apparatus
US10398933B2 (en) Exercise apparatus
US20060116248A1 (en) Upper-body exercise cycle
US20080085819A1 (en) Multi-degree-of-freedom (MDOF) muscle training machine
JPH03500849A (ja) 階段昇り形訓練装置
US7625318B1 (en) Exercise apparatus
US11154746B2 (en) Exercise apparatus
KR20170062015A (ko) 상,하지 재활운동기구
KR20110069586A (ko)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
KR200463484Y1 (ko) 재활 운동 기구
KR101252723B1 (ko)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US20070191192A1 (en) Gymnastic machine
KR20080005308U (ko) 헬스 사이클
RU2169027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конечностей
US20220040528A1 (en) Exercise apparatus
KR100592409B1 (ko)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KR200411261Y1 (ko)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WO2002030517A2 (en) Exercise machine
KR200292272Y1 (ko) 다리근육 강화 운동기구
JP6476501B2 (ja) 紐付ペダル
KR100588465B1 (ko) 복부 및 하체 단련 장치
EP2708266A1 (en) Apparatus for eccentric stimulation of the hamstrings
KR200299358Y1 (ko) 더블 트위스트형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