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409B1 -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409B1
KR100592409B1 KR1020030059503A KR20030059503A KR100592409B1 KR 100592409 B1 KR100592409 B1 KR 100592409B1 KR 1020030059503 A KR1020030059503 A KR 1020030059503A KR 20030059503 A KR20030059503 A KR 20030059503A KR 100592409 B1 KR100592409 B1 KR 100592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haft
exercise
support
upp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892A (ko
Inventor
이승흥
Original Assignee
이승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흥 filed Critical 이승흥
Priority to KR1020030059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4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63B2022/0611Particular details or arrangement of cranks
    • A63B2022/0629Particular details or arrangement of cranks each pedal being supported by two or more cra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시에 운동 기구를 다양한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운동의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는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상부축과; 상기 상부축에 삽입되어 상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상부축과 함께 구동되는 다수 개의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압축 및 이완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만드는 다수 개의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부의 압축 및 이완을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스프링부 지지부의 하측에 상기 상부축과 수평하게 삽입되어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부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구동 스프링부 장치를 설치하여 단순히 신체의 일부분 만을 움직여서 작동하는 운동기구에서 탈피하여 스프링부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신 유산소 운동을 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구동 스프링부 장치, 스프링부, 스프링부 지지부, 축베이스, 상부축

Description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SPRING APPARATUS FOR ADDING TO SPORTING EQUIPMENT}
도 1은 종래의 헬스용 자전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가 설치된 운동기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의 스프링부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의 스프링부 지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의 스프링부 지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축베이스 3: 스프링부 이탈 방지턱
4: 스프링부 베이스 6: 스프링부 지지부
7: 상부축 8: 스프링부
9: 하부축 10: 베이스 프레임
본 발명은 운동 기구용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시에 운동 기구를 다양한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운동의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는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스용 자전거는 사람이 앉아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안장(24)과, 상기 안장(24)의 하부에 안장 파이프(25)에 의해 연결되는 자전거 바디(26)와, 상기 자전거 바디(26)의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자전거 바디를 지지 하는 베이스 프레임(28)과, 상기 자전거 바디(26)의 일측 상부에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부착된 핸들 파이프(23)와, 상기 핸들 파이프(23)의 상측에 고정되는 핸들(22)과, 상기 자전거 바디(26)의 중앙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페달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헬스용 자전거는 사람이 안장(24)에 앉아서 페달(27)에 발을 얹고 상기 페달(27)을 다리로 돌리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안장(24)에 앉아서 운동하는 사람은 핸들(22)을 손으로 잡고 표시판(21)에 표시된 운동량을 확인하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또 다른 경우는 상기 자전거 바디(26)의 본체 안에 부설된 기어(미도시)와 크랭크 로드(미도시)가 상기 안장(24)에 연결되어 상기 페달(27)을 가속하면 페달(27)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안장(24)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헬스용 자전거는 단순히 하체를 강화하는 운동기구이므로 몸의 상체나 다른 부분에는 별로 운동효과가 없고, 또한 다리운동만 하는 단순 반복운동이기 때문에 흥미 유발이 되지 않아 오래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페달에 의해 단순히 안장만 상하로 이동하는 헬스용 자전거는 종래의 헬스용 자전거에 비해 운동량이나 재미는 어느정도 있을지 모르지만, 역시 역동적인 전신운동의 효과를 얻기에는 부족한 점이 상당히 많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에 구동 스프링부를 설치하여 단순히 페달만 돌리면서 하는 하체운동이 아니라 구동 스프링부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전신 유산소 운동을 하게 만드는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는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상부축과; 상기 상부축에 삽입되어 상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상부축과 함께 구동되는 다수 개의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압축 및 이완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만드는 다수 개의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부의 압축 및 이완을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스프링부 지지부의 하측에 상기 상부축과 수평하게 삽입되어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부축을 포함하되, 상기 상,하부 스프링부 지지부는 중앙에 각각 상,하부축이 삽입될 수 있는 축홀이 형성된 축베이스와, 상기 축베이스의 하측에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프링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부 이탈 방지턱과, 상기 스프링부 이탈 방지턱의 하측에 스프링부가 끼워지는 스프링부 베이스로 구성되며, 상,하부 스프링부 지지부는 상,하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스프링부의 갯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체중을 지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축베이스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상부 끝이 둥근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베이스의 중앙에 형성된 축홀에는 상기 상,하부축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오일리스 베어링이 삽입된다.
삭제
상기 상,하부 스프링부 지지부의 하부 외측에는 스프링부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원통모양의 스프링부 이탈 방지 프레임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에 대한 일 실시 예로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 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가 설치된 운동기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의 스프링부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의 스프링부 지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의 스프링부 지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는 운동기구 본체(30)의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운동 기구용 스프링부 장치에 연결되는 운동기구의 본체(30)는 헬스용 자전거가 될 수 있고, 여러가지 운동을 할 수 있거나 움직일 수 있는 기구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운동기구 본체(3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 스프링부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구 본체(30)의 일측에 상기 운동기구 본체(30)와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부축(7)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축(7)의 외측에는 상기 상부축(7)에 삽입되어 상부축(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상부축(7)과 함께 구동되는 다수개의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6)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6)의 상측에는 상부축(7)이 삽입될 수 있는 축홀(2)이 형성된 축베이스(1)가 구비되는데, 상기 축베이스(1)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상부 끝이 둥근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베이스(1)의 중앙에 형성된 축홀(2)에는 상기 상부축(7)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오일리스 베어링(미도시)이 삽입된다.
상기 축베이스(1)의 하측에는 스프링부(8)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부 이탈 방지턱(3)이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부 이탈 방지턱(3)의 하측에는 스프링부(8)가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스프링부 베이스(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6)는 스프링부(8)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축(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부축(7)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부(8)의 갯수를 조절하여 탄성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6)는 상기 축홀(2)에 오일리스 베어링(미도시)이 삽입되지 않아도 상기 상부축(7)이 원활하게 회전되고 지지될 수 있도록 전체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류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 베이스(4)의 하측에는 압축 및 이완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만드는 스프링부(8)가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부(8)의 하부에는 스프링부(8)의 압축 및 이완을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부 지지부(11)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스프링부 지지부(11)의 하측에는 상기 상부축(7)과 수평하게 하부 스프링부 지지부(11)에 삽입되어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하부축(9)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축(9)은 상부축(7)과는 달리 움직임이 없이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다.
또한,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 지지부(11)의 하측에는 스프링부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고 수축 및 이완하면서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스프링부 방지 프레임(5)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의 작용을 살펴본다.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구의 본체(30)의 하중에 의해 힘이 상부축(7)에 전달되면 상기 상부축(7)과 이에 삽입된 다수의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6)가 일체되어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부 지지부(6)의 축베이스(1) 에는 오일리스 베이링(미도시)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축(7)이 원활하게 회전 또는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6)의 움직임에 따라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6)의 하측에 삽입된 다수의 스프링부(8)는 다양한 방향으로 힘을 받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스프링부(8)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스프링부 지지부(11)에 힘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전달된 힘은 다시 스프링부(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6)와 이에 삽입된 상부축(7)을 다양한 방향으로 구동하게 만들어서 상기 상부축(7)에 연결된 운동기구 본체(30)가 다양한 방향으로 구동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는 운 동기구에 구동 스프링부 장치를 설치하여 단순히 신체의 일부분 만을 움직여서 작동하는 운동기구에서 탈피하여 스프링부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신 유산소 운동을 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상부축(7)과;
    상기 상부축(7)에 삽입되어 상부축(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상부축(7)과 함께 구동되는 다수 개의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6)와;
    상기 상부 스프링부 지지부(6)의 하측에 설치되어 압축 및 이완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만드는 다수 개의 스프링부(8)와;
    상기 스프링부(8)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부(8)의 압축 및 이완을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부 지지부(11)와;
    상기 하부 스프링부 지지부(11)의 하측에 상기 상부축(7)과 수평하게 삽입되어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하부축(9)을 포함하되, 상기 상,하부 스프링부 지지부(6,11)는 중앙에 각각 상,하부축(7,9)이 삽입될 수 있는 축홀(2)이 형성된 축베이스(1)와, 상기 축베이스(1)의 하측에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프링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부 이탈 방지턱(3)과, 상기 스프링부 이탈 방지턱(3)의 하측에 스프링부(8)가 끼워지는 스프링부 베이스(4)로 구성되며, 상,하부 스프링부 지지부(6,11)는 상,하부축(7,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부(8)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스프링부(8)의 갯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체중을 지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용 구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베이스(1)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상부 끝이 둥근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베이스(1)의 중앙에 형성된 축홀(2)에는 상기 상,하부축(7,9)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오일리스 베어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스프링부 지지부(6,11)의 하부 외측에는 스프링부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원통모양의 스프링부 이탈 방지 프레임(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7. 삭제
KR1020030059503A 2003-08-27 2003-08-27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KR100592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503A KR100592409B1 (ko) 2003-08-27 2003-08-27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503A KR100592409B1 (ko) 2003-08-27 2003-08-27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533U Division KR200335823Y1 (ko) 2003-08-27 2003-08-27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892A KR20050022892A (ko) 2005-03-08
KR100592409B1 true KR100592409B1 (ko) 2006-06-23

Family

ID=3723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503A KR100592409B1 (ko) 2003-08-27 2003-08-27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397B1 (ko) * 2013-09-04 2014-01-22 (주)컨시더씨 실내용 자전거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892A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7806B2 (en) Rocking type exercising apparatus
US7104933B1 (en) Rower
US20020155926A1 (en) Exercising device
JP4530010B2 (ja) 揺動型運動装置
KR100963099B1 (ko) 하반신 운동기구
US20070287602A1 (en) Training apparatus simulating skiing
CN210229004U (zh) 一种平衡训练评估装置及平衡训练机
CN205649773U (zh) 一种多功能组合式家用康复健身器
JP2007296080A (ja) 身体鍛錬器
KR20130005354A (ko) 스텝형 운동기구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CN212369501U (zh) 多功能韧带拉伸器
KR100592409B1 (ko)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KR200335823Y1 (ko)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GB2408217A (en) Climbing exercise apparatus
CN109908545B (zh) 踩踏式震动装置
KR20080005308U (ko) 헬스 사이클
JP3118248U (ja) 身体鍛錬器
US20040180759A1 (en) Crank and base of a treading exercise apparatus
KR100592408B1 (ko) 승마형 헬스 자전거의 구동부
KR950010293Y1 (ko) 관성 발력기
CN217908877U (zh) 一种滑雪机
KR200342692Y1 (ko) 승마형 헬스 자전거의 구동부
KR102330726B1 (ko) 싸이클형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