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293Y1 - 관성 발력기 - Google Patents

관성 발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293Y1
KR950010293Y1 KR2019930003684U KR930003684U KR950010293Y1 KR 950010293 Y1 KR950010293 Y1 KR 950010293Y1 KR 2019930003684 U KR2019930003684 U KR 2019930003684U KR 930003684 U KR930003684 U KR 930003684U KR 950010293 Y1 KR950010293 Y1 KR 950010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bell
vertical
chair
groun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3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070U (ko
Inventor
박희일
Original Assignee
박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일 filed Critical 박희일
Priority to KR2019930003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293Y1/ko
Publication of KR9400220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0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성 발력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의자틀 20,20 : 의자지지틀
21 : 지면접촉부 22 : 수직부
23 : 시이트유지부 28 : 개구부
30 : 바벨 34 : 베어링체
35 : 발판 40 : 유동수직로드
41 : 힌지축
본 고안은, 관성 발력기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시이트 전방쪽에 바벨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도록하여, 이 바벨을 양쪽발로써 끌어올리는 운동을 반복 할수 있도록 하므로써, 신체 단련자의 다리와 허리를 단련할 수 있는 관성발력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벨의 양쪽 발판이 베어링체에 의하여 유동이 자유롭도록 형성하여, 바벨을 양쪽발로 끌어 올리후, 관성력을 포함하여 시이트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바벨이 원상태로 하향이동할때, 바벨의발판에 양쪽발의 발목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관성을 포함하는 원상태로의 복원하고자 하는 반발력을 바벨의 양쪽 발판의 유동력으로 보상 할수 있도록 하므로써, 단련자의 다리 및 발목단련 운동은 물론, 발목 관절을 보호할 수 있는 관성 발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신체 단련기들의 경우에는 상,하체 단련용 기구들이 종합적으로 설치되어 상체 운동 및 하체운동을 동시에 행할수 있도록 된 것이 보통이고, 또한 별도로 하체 운동만을 행할수 있도록 시이트에 바벨을 설치하는 것이 있는데, 전자의 경우 신체 단련기의 몸체 자체가 중량이 무거운 관계로 장소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결점이 있는 반면에, 후자의 경우에는 다소 장소의 이동이 자유로운 이점도 있으나, 바벨의 무게와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이트 자체의 중량을 무겁게 해야만 하는 것이고, 이 중량을 고려하다보면 시이트 자체의 크기를 크게 제작하여야 하는 불합리한 결점도 있다.
또한, 상기의 단련기들은 시이트에 설치되는 수직로드에 바벨과, 이 바벨의 발판이 고정되어 있어서, 단련자가 시이트에 앉아서 양쪽 발의 발등과 발목을, 상기 바벨의 발판에 대고서 다리의 무릎을 펴 다리를 뻗듯이 끌어 올렸다 다시 무릎을 오무리는 하향운동을 반복하다 보면, 바벨을 끌어 올릴때에는 다소 발목에 무리를 주지 않으나, 바벨이 하향할때에, 바벨의 자체 중량에 의하여 바벨의 수직 로드가 단련자의 발꿈치 뒤쪽으로 밀리는 관성력이 발생하여 발목이 꺾여지는 상황을 초래하여서 발목 관절에 심한 충격을 주어 부상을 입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상기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시이트의 의자틀을 분해하여 조립할수 있도록하고, 바벨의 무게 중심을 고려한 의자지지틀로써 구성하므로써 장소의 이동을 자유롭도록하며, 또한 바벨의 발판을 베어링체로써 유동이 자유롭도록한 관성 발력기의 제공에 있다.
본고안의 주요지는, 지면과 접촉되는 지면접촉부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수직부가 연이어 형성되고 이 수직부에 연이어 시이트유지부가 형성되는 의자지지틀 2개가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도록 양쪽 수직부를 고정시키어 의자틀을 유지하도록 하여서, 상기의 의자틀의 아래쪽 전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위쪽의 시이트유지부 전방 중앙에는, 아래 끝단에 베어링에 의하여 유동가능한 발판을 가지는 바벨이 형성된 유동수직로드가 힌지축에 의하여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고안의 상기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자틀(10)은, 2개의 의자지지틀(20),(20)로써 이루어지며, 아래끝단 부위에 바벨(30)이 형성되는 유동수직로드(40)는, 의자틀(10)의 윗쪽 중앙부위에 힌지축(41)에 의하여 유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된다.
상기의 의자틀(10)의 의자지지틀(20)(20)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면과 접촉되는 지면접촉부(21)와, 이 지면접촉부(21)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세워지는 수직부(22)가 연이어져 형성되고, 또한 이 수직부(22)에 연이어 시이트유지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틀(20),(20)은 일정 직경의 파이프를 절곡시키어 일체로 형성 할수도 있고 상기의 수직부(22)의 중간 부위를 분리조립 될수 있도록 형성 할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지지틀(20),(20)의 지면접촉부(21)에는 지면 접촉 팩킹(24)을 다수 형성하여, 지면과의 접촉을 균형있게 유지 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시이트 유지부(23)의 모서리 부위에는 시이트(50)를 보울트, 너트 등으로 고정 시킬수 있는 고정구멍(51)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2개의 의자지지틀(20)(20)을 제1도와 같이 맞대어 유동 수직로드(40)의 힌지축(41)이 상기의 의자지지틀(20),(10)의 시이트 유지부(23)에 결합 될수 있도록 한후, 시이트 지지틀(20),(20)의 수직부(22)를 고정시키므로 의자틀(10)을 구성할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의자지지틀(20),(20)의 수직부(22)에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25)들을 형성하여 이들의 구멍(25)들에 보울트(26) 및 너트(27)로써 고정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크램프 등으로 고정시킬수도 있는 것이므로 특별히 체결수단을 한정 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양쪽의 의자지지틀(20),(20)을 결합시키게 되면, 의자틀(10)의 아래쪽에 지면 부위에 개구부(28)를 형성하게 되어, 바벨(30)이 유동수직로드(40)에 고정되어 힌지축(41)을 중심으로 유동할때, 의자지지틀(20)(20)의 지면 접촉부(21)에 닿는 일이 없게 된다.
다음 유동 수직로드(40)의 힌지축(41)은 베어링체(42)가 조립되어 의자틀(10)의 윗쪽 중앙부위에 결합되는데, 양쪽 의자지지틀(20),(20)의 시이트 유지부(23)의 끝단 사이에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되어 원통커버(43),(43)로써 유지 될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 유동수직로드(40)의 아래 끝단 부위에 형성되는 바벨(30)은, 축봉(31)에 상기의 유동수직로드(40)를 중심으로 양쪽에 일정 무게를 가지는 원반(32)이 와셔너트(33)에 의해 고정되고, 이어서 베어링체(34)에 의하여 유동이 자유로운 발판(35)들이 와샤(36) 및 캡너트(37)에 의하여 조립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유동수직로드(40)에는 카운터(44)가 형성되어 유동수직로드(40)의 운동 횟수를 카운트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은 다음과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있다. 의자틀(10)의 수직부(22)가 바벨(30)이 설치되는 유동수직로드(40)와 대향하는 뒤쪽에 설치되어 지면과 지면접촉부(21)로써 접촉되도록 하고 있어, 시이트 전체의 무게 중심이 안정되어 별도의 균형 유지를 위한 부가적인 구성이 필요없어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의자지지틀(20),(20)들의 사이에 개구부(28)의 형성으로 유동 수직로드(40)의 바벨(30)이 지면에 닿을 염려가 없어 의자틀(10)의 높이를 낮출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동수직로드(40)에 설치되는 바벨(30)의 양쪽 발판(35)이 베어링체(34)에 의하여 유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서, 바벨(30)의 발판(35)에 발등과 발목을 대고 다리를 뻗듯이 무릎을 폈다 오므렸다 하는 반복 운동이 부드러움은 물론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벨(30)이 좌측에서 우측의 가상선으로 이동 될때의 바벨의 하향 관성력을 발판(35)의 베어링체(34)의 유동으로 보상시킬수 있어 발목관절을 다치게 하는 안전 사고의 예방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면과 접촉되는 지면접촉부(21)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수직부(22)가 연이어 형성되고 이 수직부(22)에 연이어 시이트유지부(23)가 형성되는 의자지지틀(20),(20) 2개가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도록 양쪽 수직부(22)를 고정시키어 의자틀(10)을 유지하도록 하여서, 상기의 의자틀(10)의 아래쪽 전방으로 개구부(28)가 형성되도록 하고, 윗쪽의 시이트유지부(23) 전방 중앙에는, 아래 끝단에 베어링체(34),(34)에 의하여 유동가능한 발판(35),(35)을 가지는 바벨(30)이 형성된 유동수직로드(40)가 힌지축(41)에 의하여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발력기.
KR2019930003684U 1993-03-13 1993-03-13 관성 발력기 KR950010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684U KR950010293Y1 (ko) 1993-03-13 1993-03-13 관성 발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684U KR950010293Y1 (ko) 1993-03-13 1993-03-13 관성 발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070U KR940022070U (ko) 1994-10-19
KR950010293Y1 true KR950010293Y1 (ko) 1995-12-08

Family

ID=1935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3684U KR950010293Y1 (ko) 1993-03-13 1993-03-13 관성 발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2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589A (ko) * 2000-07-24 2002-01-31 에릭 발리베 자동차용 스타터모터의 배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589A (ko) * 2000-07-24 2002-01-31 에릭 발리베 자동차용 스타터모터의 배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070U (ko) 1994-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2356A (en) Exercise and toning apparatus
US5338277A (en) Body building apparatus with a neck massager
US3716231A (en) User controlled exerciser frame
US9199121B2 (en)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US4304401A (en) Quadriceps exercising device
KR20090091447A (ko) 하반신 운동기구
US3058742A (en) Adjustable muscle building apparatus and manipulator
US4377281A (en) Pivoted weight supported frame exercise device
CN111672053A (zh) 一种坐卧式多功能健身康复机
US5470297A (en) Aerobic exercise equipment
KR950010293Y1 (ko) 관성 발력기
US5437588A (en) Multifunctional treadmill having a seat
JP2010057892A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623738B1 (ko)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
WO2008001173A1 (en) Gymnastic apparatus, particularly for the workout of the abdominal muscles and the gluteus muscles
RU2095107C1 (ru)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тренажер
KR101570229B1 (ko) 뜀뛰기 운동기구
KR20030016939A (ko) 하체운동기구
US5529561A (en) Leg press
KR100592409B1 (ko)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KR200335823Y1 (ko) 운동 기구용 구동장치
KR200453493Y1 (ko) 실외용 레그 익스텐션컬 기구
US3722882A (en) Exercycle with interacting waist belt
KR101654760B1 (ko) 다기능 운동기구
JP3730569B2 (ja) 腰掛けて行うシーソー型脚機能回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