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955Y1 -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 Google Patents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955Y1
KR200462955Y1 KR2020090004825U KR20090004825U KR200462955Y1 KR 200462955 Y1 KR200462955 Y1 KR 200462955Y1 KR 2020090004825 U KR2020090004825 U KR 2020090004825U KR 20090004825 U KR20090004825 U KR 20090004825U KR 200462955 Y1 KR200462955 Y1 KR 200462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coupled
cutting
power transmission
deforma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704U (ko
Inventor
오태준
Original Assignee
오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준 filed Critical 오태준
Priority to KR2020090004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955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9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 B26B19/16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involving a knife cylinder or a knife cone or separate cutting elements moved like a rotating cylinder or a rotating c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8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53Housing or handle
    • B26B19/3866Seals or damp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ON/OFF 스위치(110)가 형성된 면도기 본체(100)와; 상기 면도기 본체(100)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ON/OFF 스위치(10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02)가 내설되는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과;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의 좌우측 측면 중 어느 한 측면과 하측으로 각각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에 내설된 구동모터(202)와 축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치차로 형성된 동력전달수단(300)과; 외주연을 따라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회전하는 다수의 드럼 절삭체(410)가 인발성형되어 분할구비되고,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 상측 전후에 각각 위치되며, 전후 각각의 축선상에 다수의 인접하는 드럼 절삭체(410)가 인선이 동일선상에서 어긋나도록 교차하여 축결합되는 다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와; 축선상에 결합되는 인발성형하여 분할된 상기 다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 각각의 양단에 축결합되어 면도수행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망체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망체변형 방지부재(500)와;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좌우왕복운동하는 트리머가 상기 면도기 본체(100) 배면측에 구비된 트리머 어셈블리(600)와; 상기 면도기 본체(1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이 커버되고,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로부터 면도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외도망(702)이 형성된 면도기커버(700);를 포함하는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망체변형방지, 회전 드럼, 3분할, 절삭날.

Description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Rotation drum type electric razor for preventing from transformation of shaving net}
본 고안은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드럼식 절삭날 어셈블리를 구성시, 인발성형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드럼 절삭체를 인발한 후, 이를 절단하여 횡(橫)방향으로 3분할 구비하고, 원주상의 절삭날과 인접하는 절삭날의 인선이 동일선상에서 어긋나 교차되도록 각각의 드럼 절삭체를 축결합하고, 축결합된 드럼 절삭체의 축양단에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결합하여 드럼 절삭체 원주상의 절삭날과 인접되는 절삭날 사이 공간에 변형방지돌기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면도망체가 원주상의 절삭날과 인접하는 절삭날 사이 공간으로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날과 망체의 간섭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면도가 가능한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 드럼식 전기 면도기의 절삭날 어셈블리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중심축 상에 내장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절삭날 어셈블리의 구동축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 위에는 안전망을 구비한 면도기 커버가 씌워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제작된 원통체(2)의 외주면 전체에 나선형으로 경사진 다수 줄의 절삭날(3)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절삭날(3)의 위에 덮어 씌워지는 안전망과의 사이에서 절삭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원통체(2)의 중심부에는 구동축(4)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4)의 양끝단에는 동력전달기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피동치차가 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절삭날(3)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작되는 금속 재질의 원통체(2)표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별도의 금속부재인 서스날이 원통체(2)의 외주면에 삽입 장착되어 절삭날(3)과 함께 절삭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기존 회전 드럼식 전기 면도기의 절삭날 어셈블리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작되는 원통체의 외주면 상에 절삭날이 일체로 성형되어 별도의 서스날과 함께 절삭 작용을 수행하는데, 절삭각이 없어 절삭 효과가 떨어지고, 절삭날의 길이가 짧아 면도 후에는 절삭날 사이에 털이 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종래의 회전 드럼식 전기 면도기는 하나의 원통체 절삭날 어셈블리만을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가 면도부위 체모를 절삭하기위해서는 사실상 원통체 절삭날 어셈블리의 최상점에서만이 체모의 절삭이 이루어지고 있어 체모의 절삭력이 떨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면도부위의 깨끗한 체모의 절삭을 위해서는 원통체 절삭날 어셈블리의 최상점이 면도부위에 접하여 체모를 절삭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회반복 동작을 통해서 가능하여 면도시간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목놀림 등이 빈번하고, 쉽게 피로감을 느껴 면도자체가 상당히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회전 드럼식 전기 면도기는 사용자가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원주상으로 형성된 절삭날과 인접하는 절삭날 사이 공간으로 인해 절삭날 외측으로 결합된 면도기 망체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되어 고속회전하는 절삭날과 간섭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로 인해 면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절삭날 어셈블리의 드럼 절삭체를 인발성형하여 횡(橫)방향으로 3분할 구비하고, 인선이 어긋나도록 축결합함으로써, 원주상으로 결합되는 절삭날과 인접하는 절삭날 사이 공간에 의한 면도기 망체의 찌그러짐의 방지가 가능하고, 망체변형방지부재를 3분할된 절삭날 어셈블리의 양단에 결합하여 외력에 의한 면도기 망체의 찌그럼짐을 최소화하여 망체와 드럼 절삭체의 회전간섭없이 절삭효율이 극대화되는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3분할 구비된 절삭날 어셈블리의 다수의 절삭날에 일정한 절삭각을 부여하여 인발성형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절삭각에 의한 절삭 효과가 증대되도록 3분할 구비된 절삭날 어셈블리를 전후로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상에 2중으로 구비하여 보다 넓은 면도부위에 접촉됨과 함께 면도부위의 굴국에 대응하여 밀착력이 우수하도록 함으로써, 한 번의 면도로 넓은 면도부위의 체모를 절삭이 가능하고, 더욱더 절삭효율이 증대되며, 면도를 수행중 또는 면도 후 털이 절삭날 사이에 끼이지 않고, 분해조립이 간편하고, 결합이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 전 드럼식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는 전면에 ON/OFF 스위치(110)가 형성된 면도기 본체(100)와; 상기 면도기 본체(100)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ON/OFF 스위치(10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02)가 내설되는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과;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의 좌우측 측면 중 어느 한 측면과 하측으로 각각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에 내설된 구동모터(202)와 축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치차로 형성된 동력전달수단(300)과; 외주연을 따라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회전하는 다수의 드럼 절삭체(410)가 인발성형되어 분할구비되고,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 상측 전후에 각각 위치되며, 전후 각각의 축선상에 다수의 인접하는 드럼 절삭체(410)가 인선이 동일선상에서 어긋나도록 교차하여 축결합되는 다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와; 축선상에 결합되는 인발성형하여 분할된 상기 다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 각각의 양단에 축결합되어 면도수행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망체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망체변형 방지부재(500)와;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좌우왕복운동하는 트리머가 상기 면도기 본체(100) 배면측에 구비된 트리머 어셈블리(600)와; 상기 면도기 본체(1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이 커버되고,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로부터 면도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외도망(702)이 형성된 면도기커버(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은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이 형성된 반대편측면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어 개방된 측면을 통해 내측으로 구동모터(202)가 끼움결합되도록 끼움중공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이 형성된 측면에 구동모터(202)의 모터축이 돌출되도록 모터축공(214)이 형성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상측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 일측이 축결합되는 결합축공(222)이 전후로 형성된 지지돌편(220)과; 상기 하우징(210)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이 형성된 반대편측면으로 상기 끼움중공부(212)의 개방된 측면을 밀폐하여 상기 구동모터(202)가 상기 끼움중공부(212) 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210) 상측 타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 타측이 축결합되는 끼움축공(232)이 전후로 형성된 마감부재(230)와; 상기 하우징(210)의 타측과 하측에 결합되는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된 커버부재(240)와; 상기 하우징(210) 하측에 볼트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의 고속회전에 따른 진동이 상쇠되도록 마련된 완충부재(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의 하우징(210) 타측으로 돌출된 모터축에 축결합되어 구동모터(202)의 동력을 전달받는 메인스퍼기어(310)와; 상기 메인스퍼기어(310)와 치차결합되는 다수의 스퍼기어에 의해 구동모터(202)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후 절삭날 어셈블리(400)가 고속 회전되도록 구비된 제1동력전달부(320)와; 상기 메인스퍼기어(310)와 치차결합되는 다수의 스퍼기어와 스퍼크라운기어에 의해 상기 트리머 어셈블리(600)가 좌우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된 제2동력전달부(34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320)는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 좌우측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스퍼기어(310) 상측으로 치차결합되는 제1종동기어(321)와; 상기 제1종동기어(321) 상측으로 치차결합되는 제2종동기어(322)와; 상기 제2종동기어(322) 상측 전방측으로 치차결합되고, 상기 전방 절삭날 어셈블리(4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가속기어(323)와; 상기 제2종동기어(322) 상측 후방으로 치차결합되는 제3종동기어(324)와; 상기 제3종동기어(324) 상측 후방으로 치차결합되고, 상기 후방 절삭날 어셈블리(4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가속기어(32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동력전달부(340)는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의 좌우측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스퍼기어(310) 하측으로 치차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퍼기어(310)의 축선상에 직교되어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 하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스퍼크라운기어(342)와; 상기 스퍼크라운기어(342)에 치차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스퍼기어(344)와; 상기 제1스퍼기어(344)의 일측으로 치차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스퍼기어(346)와; 상기 제2스퍼기어(346) 일측으로 치차결합되고, 하측에 편심캠(348a)이 돌출형성된 캠스퍼기어(348)와; 상기 편심캠(348a)이 끼움결합되는 편심회전공(354)이 형성된 수평편(352)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편(352)의 일단에 직각으로 수직편(356)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수직편(356) 중앙에 상기 수평편(352)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걸림요홈(358)이 상향형성된 "ㄴ"형 진동자(350))와; 상기 "ㄴ"형 진동자(350)의 걸림요홈(358)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트리머 어셈블리(600)에 좌우왕복운동력을 전달하는 진동바(36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는 드럼형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인발성형하여 일정길이로 분할 형성되되, 다수의 절삭날(412)이 외주연을 따라 등각격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절삭날(412)이 형성된 외주연 내측 중앙에 육각공(414)이 형성된 드럼 절삭체(410)와; 일측으로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동력전달수단(300)에 결합되는 원형축부(432)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원형축부(432) 사이로 상기 육각공(414)에 끼움결합되는 육각축부(434)가 형성된 구동축(430);을 포함하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인발성형된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는 횡(橫)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절단하여 3분할한 후, 육각축부(434)에 다수의 상기 드럼 절삭체(410) 각각의 절삭날(412)이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드럼 절삭체(410)의 절삭날(412)은 회전방향으로 일정각도(θ)의 기울기를 갖도록 인발성형되되, 상기 드럼 절삭체(410)는 구동축(430)의 육각축 부(434) 내접각 60°씩 어긋나게 지그재그로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수의 망체변형 방지부재(500)는 축양단에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드럼 절삭체(410)의 원주상으로 결합되는 절삭날(412)과 원주상의 인접하는 절삭날 사이 공간에 각각 위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변형방지돌기(50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망체변형 방지부재(500)는 상기 드럼 절삭체(410)의 축선상에 결합되는 인접하는 드럼 절삭체(410)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도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절삭날 어셈블리의 드럼 절삭체를 인발성형하여 횡(橫)방향으로 3분할 구비하고, 인선이 어긋나도록 축결합함으로써, 원주상으로 결합되는 절삭날과 인접하는 절삭날 사이 공간에 의한 면도기 망체의 찌그러짐의 방지가 가능하고, 망체변형방지부재를 3분할된 절삭날 어셈블리의 양단에 결합하여 외력에 의한 면도기 망체의 찌그럼짐을 최소화하여 망체와 드럼 절삭체의 회전간섭없이 절삭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3분할 구비된 절삭날 어셈블리의 다수의 절삭날에 일정한 절삭각을 부여하여 인발성형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절삭각에 의한 절삭 효과가 증대되도록 3분할 구비된 절삭날 어셈블리를 전후로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상에 2중으로 구비하여 보다 넓은 면도부위에 접촉됨과 함께 면도부위의 굴국에 대응하여 밀착력이 우수하도록 함으로써, 한 번의 면도로 넓은 면도부위의 체모를 절삭이 가능하고, 더욱더 절삭효율이 증대되고, 면도를 수행중 또는 면도 후 털이 절삭날 사이에 끼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분해조립이 간편하고, 결합이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일부분해 전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요부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요부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요부 저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절삭날 어셈블리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절삭날 어셈블리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망체변형방지부재에 의한 작동상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절삭날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구동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는 사용자가 면도부위의 체모를 제거시, 면도부위에 밀착력을 높이고, 체모가 절삭되는 면도부위를 보다 넓게 형성하여 높은 절삭효율을 가짐과 함께, 분해조립이 간편하여 고장에 따른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증대됨은 물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면도부위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면도망체가 절삭날과 인접하는 절삭날 사이의 공간사이로 압압되어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 본체(100),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 동력전달수단(300), 다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 복수의 망체변형방지부재(500), 트리머 어셈블리(600), 면도기커버(700)를 포함한다.
상기 면도기 본체(100)는 사용자가 면도시, 손목놀림이 자유롭게 만곡진 곡선형상의 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면에 후술되는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에 내설된 구동모터(202)를 구동하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ON/OFF 스위치(110)가 전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면도기 본체(100) 내부에는 배터리 등 면도기를 구동하기 위한 통상의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은 후술되는 절삭날 어셈블리(400)와 트리머 어셈블리(600)가 구동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면도기 본체(100) 상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은 전술한 상기 ON/OFF 스위치(10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02)가 내설되고, 후술되는 동력전달수단(300)이 타측면과 하측으로 마련되어 후술되는 절삭날 어셈블리(400), 트리머 어셈블리(600)를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 지지돌편(220), 마감부재(230), 커버부재(240), 완충부재(25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후술되는 동력전달수단(300)이 형성된 반대편 측면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어 개방된 측면을 통해 내측으로 상기 구동모터(202)가 끼움결합되는 끼움중공부(2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중공부(212) 외측에는 구동모터(202)가 끼움결합된 후, 모터축이 상기 하우징(210) 타측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모터축공(2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축공(214)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동모터(202)의 모터축은 후술되는 동력전달수단(300)의 메인스퍼기어(310)가 축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돌편(220)은 후술되는 복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의 일측이 축결합되어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고속회전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하우징(210) 상측 일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편(220)에는 후술되는 복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 일측이 축결합되는 결합축공(222)이 전후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축공(222)은 후술되는 절삭날 어셈블리(400)가 전후로 결합시, 사용자의 면도부위의 굴곡에 용이하게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상에 위치되도록 높이편차를 두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부재(230)는 전술한 상기 하우징(210) 타측으로 상기 끼움중공부(212)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하여 상기 구동모터(202)가 상기 끼움중공부(212) 내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부재(230)의 상측에는 상기 하우징(210) 타측에 결합되어 후술되는 복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 타측이 축결합되는 끼움축공(232)이 전후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축공(232)을 통해 후술되는 절삭날 어셈블리(400)가 수평상에 고속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240)는 후술되는 동력전달수단(300)의 다수의 치차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외부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치차회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10)의 타측과 하측에 결합되는 후술되는 동력전달수단(300)을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완충부재(250)는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후술되는 절삭날 어셈블리(400)와 트리머 어셈블리(600)의 작동에 따른 진동을 상쇠하고, 사용자가 면도기 본체(100)를 파지하여 면도수행시, 손목놀림과 손떨림을 방지하여 올바른 면도수행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250)는 상기 하우징(210) 하측에 볼트결합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하우징(210)의 좌우측 측면 중 어느 한 측면과 하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20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후술되는 절삭날 어셈블리(400)와 트리머 어셈블리(600)측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스퍼기어(310), 제1동력전달부(320), 제2동력전달부(340)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스퍼기어(310)는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의 하우징(210) 타측으로 돌출된 구동모터(202)의 모터축에 축결합되어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스퍼기어(310)는 모터축과 동일축선상의 하우징(210) 타측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320)는 상기 하우징(210)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돌 편(220)측으로 형성되어 구동모터(202)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메인스퍼기어(310)와 치차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320)는 후술되는 절삭날 어셈블리(400)가 고속회전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제1종동기어(321), 제2종동기어(322), 제1가속기어(323), 제3종동기어(324), 제2가속기어(325)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종동기어(321), 제2종동기어(322), 제1가속기어(323), 제3종동기어(324), 제2가속기어(325)는 스퍼기어(평기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상기 메이스퍼기어(310) 상측으로 상기 제1종동기어(321)가 치차결합되고, 상기 제1종동기어(321) 상측으로 상기 제2종동기어(322)가 치차결합되며, 상기 제2종동기어(322) 상측 전방측으로 상기 제1가속기어(323)가 치차결합되어 후술되는 전방 절삭날 어셈블리(400)에 구동모터(202)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고속회전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종동기어(322) 상측 후방으로는 상기 제3종동기어(324)가 차결합되고, 상기 제3종동기어(324) 상측 후방으로 제2가속기어(325)가 치차결합되어 후술되는 후방에 위치되는 절삭날 어셈블리(400)를 고속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상기 제1가속기어(323)와 상기 제2가속기어(325)는 후술되는 전후방 절삭날 어셈블리(400)의 구동축(430)과 결합됨으로써, 구동모터(202)의 구동력을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340)는 후술되는 트리머 어셈블리(600)를 좌우왕복운동하도록 구동모터(202)의 구동력을 상기 메인스퍼기어(310)와 치차결합되는 다수의 스퍼기어와 스퍼크라운기어에 의해 트리머 어셈블리로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210) 타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340)는 스퍼크라운기어(342), 제1스퍼기어(344), 제2스퍼기어(346), 캠스퍼기어(348), "ㄴ"형 진동자(350), 진동바(360)로 구성된다.
상기 스퍼크라운기어(342)는 상기 메인스퍼기어(310)의 축선상에 대해 직교되는 축선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메인스퍼기어(310)와 치차결합되는 평기어와 축선상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크라운기어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스퍼기어(310) 하측으로 치차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퍼기어(310)의 축선상에 직교되어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의 하우징(210) 하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스퍼기어(344)는 상기 스퍼크라운기어(342)의 크라운기어에 치차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210) 하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퍼기어(344) 일측으로 제2스퍼기어(346)가 치차결합되어 메인스퍼기어(31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이후, 상기 하우징(210)의 하측 중심에 상기 제2스퍼기어(346) 일측으로 캠스퍼기어(348)가 치차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캠스퍼기어(34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하측에 편심캠(348a)이 돌출형성되어 후 술되는 "ㄴ"형 진동자(350)를 좌우로 왕복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ㄴ"형 진동자(350)는 전술한 상기 편심캠(348a)의 회전에 따라 회전력을 좌우왕복운동력으로 전환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편심캠(348)이 끼움결합되는 편심회전하여 좌우왕복운동되도록 편심회전공(354)이 형성된 수평편(3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편(352)의 일단에 직각으로 수직편(356)이 상향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편(356) 중앙에는 상기 수평편(352)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걸림요홈(358)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진동바(360)가 상기 "ㄴ"형 진동자(350)의 좌웅왕복운동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된다.
상기 진동바(360)는 전술한 상기 "ㄴ"형 진동자(350)의 걸림요홈(358)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후술되는 트리머 어셈블리(600)를 좌우왕복운동하도록 하여 길이가 긴 체모 등을 절삭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는 인발성형을 통해 드럼식 절삭날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후, 필요로 하는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성형된 드럼식 절삭날을 횡(橫)방향으로 3분할하여 후술되는 구동축(430)의 육각축부(434)에 절삭날의 인선이 동일선상에서 어긋나도록 교차하여 끼움결합되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는 다수의 드럼 절삭체(410), 구동축(4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드럼 절삭체(410)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외주연을 따라 방사상의 등간격으로 절삭날(41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후술되는 구동축(430)의 육각축부(434)에 축결합되는 육각공(4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다수의 드럼 절삭체(4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인발성형하여 형성한 후, 사용처에 따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상기 구동축(430)은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동력전달수단(300)에 결합되는 원형축부(432)가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단의 원형축부(432) 사이에 상기 드럼 절삭체(410)의 육각공(414)에 끼움결합되는 육각축부(434)가 형성된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430)의 육각축부(434) 양단의 원형축부(432)와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하여 인발성형된 드럼 절삭체(410)의 중앙 육각공(414)을 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구동축(430)에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가 억지끼움결합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망체변형방지부재(500)는 분할되어 전술한 구동축(430)의 축선상에 하나의 단일체로 결합된 상기 전후의 절삭날 어셈블리(400) 각각의 양단에 축결합되어 면도수행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면도기 망체가 절삭날과 인접하는 절삭날 사 이 공간으로 압압되어 망체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다수의 변형방지돌기(502)가 외연 둘레로 전술한 상기 절삭날(412)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형방지돌기(502)는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의 양단에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의 드럼 절삭체(410) 원주상으로 형성되는 절삭날(412)과 원주상의 인접하는 절삭날 사이 공간에 각각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면도기 망체인 후술되는 외도망(702)이 절삭날측으로 압압되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다수의 망체변형 방지부재(500)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의 축선상에 결합되는 드럼 절삭체(410)와 축선상에 인접하는 드럼 절삭체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도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머 어셈블리(600)는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 하측에 결합된 캠스퍼기어(348)의 편심캠(348a)의 편심회전에 따라 "ㄴ"형 진동자(350)가 좌우왕복운동하고, 상기 "ㄴ"형 진동자(350)의 걸림요홈(358)에 걸림결합된 진동바(360)가 좌우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진동바(360)의 상측 일단이 결합된 트리머 어셈블리(600)의 트리머가 좌우왕복운동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트리머 어셈블리(600)는 통상의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트리머 어셈블리(600)는 전술한 면도기 본체(100) 배면측에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트리머 어셈블리(600)를 사용자가 상향조정하면 진동바(360)가 걸림요홈(358)에 걸림결합하여 좌우왕복운동력을 전달받 게 되어 길이가 긴 체모의 절삭이 가능하다.
상기 면도기 커버(700)는 상기 면도기 본체(1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이 커버되고,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로부터 면도부위를 보호하고, 사용자의 면도부위와 직접접촉되어 외력을 바로 전달받는 외도망(702)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작용 및 효과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인발성형된 드럼 절삭체(410)를 축선상에 직교되는 방향에서 절단하여 횡(橫)방향으로 3분할하여 구비한 후, 구동축(430)의 육각축부(434)에 다수의 인접하는 드럼 절삭체가 인선이 동일선상에서 어긋나도록 축결합하여 하나의 단일체로 결합되는 절삭날 어셈블리(400)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ON/OFF 스위치(110)를 작동하여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에 내설된 구동모터(202)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202)의 모터축(부호생략)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축에 결합된 동력전달수단(300)의 메인스퍼기어(310)가 함께 회전한다.
다음으로,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의 하우징(210) 좌우에 형성된 지지돌 편(220)의 결합축공(222)과 마감부재(230)의 끼움축공(232)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전후 절삭날 어셈블리(400)가 메인스퍼기어(310)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은 제1동력전달부(320)에 의해 수평상에서 고속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320)의 제1가속기어(323)와 제2가속기어(325)는 결합축공(222)와 끼움축공(232)의 축선상에 대응되되, 결합축공(222)와 끼움축공(232)의 전후가 높이차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면도부위의 굴곡에 따른 접촉성을 높이고, 절삭날 어셈블리(400)를 전후로 2중구비하도록 하여 보다 넓은 면도부위의 체모절삭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동력전달부(320)의 최상측 전후로 높이가 서로다르게 편차를 두어 구비된 제1가속기어(323)와 제2가속기어(325)와 각각 전후로 결합된 절삭날 어셈블리(400)의 구동축(430)이 회전하게된다. 여기서, 구동축(4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단은 원형의 원형축부(432)로 형성되고, 양단 사이 중앙은 육각형상의 육각축부(434)로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축(430)은 구동모터(202)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고속회전하게 된다.
한편, 구동모터(202)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고속회전하는 구동축(430)의 육각축부(434)에는 중앙에 육각공(414)을 형성한 드럼 절삭체(410)의 육각 내접각도 60°의 범위로 인선이 동일선상에서 어긋나도록 교차결합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절삭체(410)의 외주연에는 일정각도(θ)를 가진 다수의 절삭날(412)이 형성되고, 다수의 절삭날이 고속회전함에 따라 면도 절삭력이 우수하고, 연속적으로 절삭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고속회전되는 횡(橫)방향으로 3분할 구비된 절삭날 어셈블리(400)의 각각의 드럼 절삭체(410)는 인선이 동일선상에서 어긋나도록 교차하여 축결합함으로써, 원주상에 결합되는 절삭날(412)과 원주상의 인접하는 절삭날 사이 공간을 망체변형방지부재(500)의 변형방지돌기(502)와 횡(橫)방향으로 3분할 구비되어 상기 드럼 절삭체와 인선이 동일선상에서 어긋나도록 교차하여 결합되는 드럼 절삭체(410)에 의해 채워주는 것과 같이 지지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면도부위에 외도망(702)을 접하여 외력을 가하더라도 면도기 커버(700)의 외도망(702)이 압압되어 절삭날 사이 공간으로 찌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면도기를 장시간 사용시, 외도망(702)이 찌그러져 절삭날 어셈블리(400)와의 간섭을 방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보다 효과적으로 면도수행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를 통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회전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절삭날 어셈블리의 드럼 절삭체를 횡(橫)방향으로 3분할 구비하고, 망체변형방지부재(500)를 조립에 의해 손쉽게 형성함으로써, 일부분의 파손, 교체 등에 따른 분해조립시 보다 손쉽게 분해조립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인발성형을 통해 절삭각도를 가진 드럼 절삭체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부품생산이 가능하고, 조립이 간편하며, 단순 조립만으로 절삭각도를 쉽게 형성할 수 있어 높은 절삭력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의 절삭각도를 형성함으로써 면도시 털 등의 체모가 끼이지않는 것이다.
나아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 절삭체는 횡(橫)방향으로 3분할 구비하여 다수의 인접하는 드럼 절삭체가 인선이 동일선상에서 어긋나도록 교차하여 축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외력이 드럼 절삭체의 절삭날 사이 공간으로 집중되어 외도망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외도망에 의한 드럼 절삭체의 고속회전의 간섭을 방지하여 더욱 효과적인 면도수행과 오랜시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절삭날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일부분해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요부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요부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절삭날 어셈블리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절삭날 어셈블리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망체변형방지부재에 의한 작동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절삭날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구동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면도기 본체 110 : ON/OFF 스위치
200 : 절삭날 구동지지수단 202 : 구동모터
210 : 하우징 212 : 끼움중공부
214 : 모터축공 220 : 지지돌편
222 : 결합축공 230 : 마감부재
232 : 끼움축공 240 : 커버부재
250 : 완충부재 300 : 동력전달수단
310 : 메인스퍼기어 320 : 제1동력전달부
321 : 제1종동기어 322 : 제2종동기어
323 : 제1가속기어 324 : 제3종동기어
325 : 제2가속기어 340 : 제2동력전달부
342 : 스퍼크라운기어 344 : 제1스퍼기어
346 : 제2스퍼기어 348 : 캠스퍼기어
348a : 편심캠 350 : "ㄴ"형 진동자
352 : 수평편 354 : 편심회전공
356 : 수직편 358 : 걸림요홈
360 : 진동바 400 : 절삭날 어셈블리
410 : 드럼 절삭체 412 : 절삭날
420 : 육각공 430 : 구동축
432 : 원형축부 434 : 육각축부
500 : 망체변형방지부재 502 : 변형방지돌기
600 : 트리머 어셈블리 700 : 면도기커버
702 : 외도망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9)

  1. 전면에 ON/OFF 스위치(110)가 형성된 면도기 본체(100)와;
    상기 면도기 본체(100)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ON/OFF 스위치(10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02)가 내설되는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과;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의 좌우측 측면 중 어느 한 측면과 하측으로 각각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에 내설된 구동모터(202)와 축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치차로 형성된 동력전달수단(300)과;
    외주연을 따라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회전하는 다수의 드럼 절삭체(410)가 인발성형되어 분할구비되고,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 상측 전후에 각각 위치되며, 전후 각각의 축선상에 다수의 인접하는 드럼 절삭체(410)가 인선이 동일선상에서 어긋나도록 교차하여 축결합되는 다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와;
    축선상에 결합되는 인발성형하여 분할된 상기 다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 각각의 양단에 축결합되어 면도수행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망체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망체변형 방지부재(500)와;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좌우왕복운동하는 트리머가 상기 면도기 본체(100) 배면측에 구비된 트리머 어셈블리(600)와;
    상기 면도기 본체(1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이 커버되고,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로부터 면도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외도망(702)이 형성된 면도기커버(700);를 포함하는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은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이 형성된 반대편측면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어 개방된 측면을 통해 내측으로 구동모터(202)가 끼움결합되도록 끼움중공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이 형성된 측면에 구동모터(202)의 모터축이 돌출되도록 모터축공(214)이 형성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상측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 일측이 축결합되는 결합축공(222)이 전후로 형성된 지지돌편(220)과;
    상기 하우징(210)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이 형성된 반대편측면으로 상기 끼움중공부(212)의 개방된 측면을 밀폐하여 상기 구동모터(202)가 상기 끼움중공부(212) 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210) 상측 타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 타측이 축결합되는 끼움축공(232)이 전후로 형성된 마감부재(230)와;
    상기 하우징(210)의 타측과 하측에 결합되는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된 커버부재(240)와;
    상기 하우징(210) 하측에 볼트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의 고속회전에 따른 진동이 상쇠되도록 마련된 완충부재(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의 하우징(210) 타측으로 돌출된 모터축에 축결합되어 구동모터(202)의 동력을 전달받는 메인스퍼기어(310)와;
    상기 메인스퍼기어(310)와 치차결합되는 다수의 스퍼기어에 의해 구동모터(202)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후 절삭날 어셈블리(400)가 고속회전되도록 구비된 제1동력전달부(320)와;
    상기 메인스퍼기어(310)와 치차결합되는 다수의 스퍼기어와 스퍼크라운기어에 의해 상기 트리머 어셈블리(600)가 좌우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된 제2동력전달부(34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320)는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 좌우측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스퍼기어(310) 상측으로 치차결합되는 제1종동기어(321)와;
    상기 제1종동기어(321) 상측으로 치차결합되는 제2종동기어(322)와;
    상기 제2종동기어(322) 상측 전방측으로 치차결합되고, 상기 전방 절삭날 어셈블리(4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가속기어(323)와;
    상기 제2종동기어(322) 상측 후방으로 치차결합되는 제3종동기어(324)와;
    상기 제3종동기어(324) 상측 후방으로 치차결합되고, 상기 후방 절삭날 어셈블리(4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가속기어(32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340)는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의 좌우측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스퍼기어(310) 하측으로 치차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퍼기어(310)의 축선상에 직교되어 상기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 하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스퍼크라운기어(342)와;
    상기 스퍼크라운기어(342)에 치차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스퍼기어(344)와;
    상기 제1스퍼기어(344)의 일측으로 치차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스퍼기어(346)와;
    상기 제2스퍼기어(346) 일측으로 치차결합되고, 하측에 편심캠(348a)이 돌출형성된 캠스퍼기어(348)와;
    상기 편심캠(348a)이 끼움결합되는 편심회전공(354)이 형성된 수평편(352)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편(352)의 일단에 직각으로 수직편(356)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수직편(356) 중앙에 상기 수평편(352)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걸림요홈(358)이 상향형성된 "ㄴ"형 진동자(350))와;
    상기 "ㄴ"형 진동자(350)의 걸림요홈(358)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트리머 어셈블리(600)에 좌우왕복운동력을 전달하는 진동바(36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절삭날 어셈블리(400)는 드럼형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인발성형하여 일정길이로 분할 형성되되,
    다수의 절삭날(412)이 외주연을 따라 등각격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절삭날(412)이 형성된 외주연 내측 중앙에 육각공(414)이 형성된 드럼 절삭체(410)와;
    일측으로 절삭날 구동지지수단(200)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동력전달수단(300)에 결합되는 원형축부(432)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원형축부(432) 사이로 상기 육각공(414)에 끼움결합되는 육각축부(434)가 형성된 구동축(430);을 포함하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인발성형된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400)는 횡(橫)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절단하여 3분할한 후, 육각축부(434)에 다수의 상기 드럼 절삭체(410) 각각의 절삭날(412)이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절삭체(410)의 절삭날(412)은 회전방향으로 일정각도(θ)의 기울기를 갖도록 인발성형되되,
    상기 드럼 절삭체(410)는 구동축(430)의 육각축부(434) 내접각 60°씩 어긋나게 지그재그로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망체변형 방지부재(500)는 축양단에 각각 축결합되고, 상기 드럼 절삭체(410)의 원주상으로 결합되는 절삭날(412)과 원주상의 인접하는 절삭날 사이 공간에 각각 위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변형방지돌기(50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망체변형 방지부재(500)는 상기 드럼 절삭체(410)의 축선상에 결합되는 인접하는 드럼 절삭체(410)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KR2020090004825U 2009-04-22 2009-04-22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KR200462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825U KR200462955Y1 (ko) 2009-04-22 2009-04-22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825U KR200462955Y1 (ko) 2009-04-22 2009-04-22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704U KR20100010704U (ko) 2010-11-01
KR200462955Y1 true KR200462955Y1 (ko) 2012-10-11

Family

ID=4420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825U KR200462955Y1 (ko) 2009-04-22 2009-04-22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9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704U (ko) 201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2471B (zh) 旋转式电动剃须刀
JP5995558B2 (ja) 園芸用バリカン
KR200432537Y1 (ko)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절삭날 어셈블리
KR200455792Y1 (ko) 전기면도기의 절삭날어셈블리
JP2550479B2 (ja) 往復式電気剃刀
KR20060091254A (ko) 회전식 전기 면도기
JP7457482B2 (ja) ロータリー式電気かみそり
KR200462957Y1 (ko) 회전드럼식 전기면도기의 끼움식 절삭날 어셈블리
KR200462955Y1 (ko) 망체변형방지부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JP2023014527A (ja) 刈込機
US10668634B2 (en) Oscillating rotary shaver
KR200462956Y1 (ko)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KR200385700Y1 (ko) 망왕복전기면도기
JPH0617431U (ja) バリカン形刈払機
CN204157334U (zh) 动力传递机构及园艺用推子
US5131147A (en) Reciprocal cam-powered razor
KR20100008922U (ko) 2중의 절삭날 어셈블리를 구비한 회전 드럼식 전기면도기
KR101059727B1 (ko) 예취기 칼날 구동 장치 및 칼날 구동 방법과 그 칼날 구조
JP3217123U (ja) 切断装置
CN202878364U (zh) 偏心式剃须刀
KR200413831Y1 (ko) 고속 운동하는 링크타입 왕복식 전기면도기
KR200459314Y1 (ko) 회전절삭날 이발기
CN210848600U (zh) 往复锯
CN201049473Y (zh) 旋转式剃须刀的鬓刀的传动装置
KR200451654Y1 (ko) 8중날 회전식 전기 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