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746Y1 - 와인 용기 - Google Patents

와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746Y1
KR200462746Y1 KR2020110000379U KR20110000379U KR200462746Y1 KR 200462746 Y1 KR200462746 Y1 KR 200462746Y1 KR 2020110000379 U KR2020110000379 U KR 2020110000379U KR 20110000379 U KR20110000379 U KR 20110000379U KR 200462746 Y1 KR200462746 Y1 KR 200462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opening
wine
contain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344U (ko
Inventor
전병훈
Original Assignee
전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훈 filed Critical 전병훈
Priority to KR2020110000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74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3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 내부로 공기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와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인이 저장되는 제1 저장공간과 제2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와인이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와인이 상기 개구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1 저장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와인이 상기 제2 저장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 개폐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저장공간은 상기 제1 개폐부와 제2 개폐부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인 용기{Wine bottle}
본 고안은 와인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로 공기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와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와인은 과일만으로 발효시킨 과일주이다.
이러한, 와인은 공기와의 접촉에 따라 와인 본연의 맛은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와인을 보관함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와인을 보관하는 와인병에는 코르크 마개가 구비되어 와인병 내부로 외부 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와인병의 코르크 마개를 개봉하고 와인을 마실 경우에는 코르크 마개의 개봉과 동시에 와인병 내부로 외부 공기가 침투되어 와인병 내부에 있는 와인은 외부 공기와 접촉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외부 공기가 접촉된 와인을 장기간 보존하는 경우에는 와인은 외부 공기와 산화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와인 본연의 맛을 잃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장기간을 두고 와인병에 담긴 와인을 마실 경우에 사용자는 와인을 마실때 마다 맛에 차이를 느끼게 된다.
이에, 와인병 내부로 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와인 본연의 맛을 장기간 느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와인 용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 내부로 공기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와인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인이 저장되는 제1 저장공간과 제2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와인이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와인이 상기 개구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1 저장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와인이 상기 제2 저장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 개폐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저장공간은 상기 제1 개폐부와 제2 개폐부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용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개폐부와 제2 개폐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저장공간에 수용된 상기 와인이 흡입되도록 이루어진 흡입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흡입부는 흡입기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저장공간에 수용된 상기 와인이 흡입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제2 저장공간과 개구부의 연결통로를 차단하는 제1 차단부, 상기 제1 차단부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저장공간과 개구부의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제1 손잡이부, 일단은 상기 제1 차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제1 막대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밀착되는 제1 탄성부재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1 저장공간과 제2 저장공간의 연결통로를 차단하는 제2 차단부, 상기 제2 차단부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저장공간과 제2 저장공간의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제2 손잡이부, 일단은 상기 제2 차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제2 막대부 및 상기 제2 차단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밀착되는 제2 탄성부재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저장공간의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격벽부와 일측은 상기 제2 막대부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격벽부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2 개폐부의 이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이 더 포함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와인 용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와인 용기에는 제1 개폐부와 제2 개폐부가 구비되어 제1 마개를 개방하여도 제1 저장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투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장기간에 걸쳐 와인을 마실 경우에도 와인 본연의 맛을 잃지 않으며 와인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
둘째, 와인 용기에는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이 구비되어 제1 개폐부와 제2 개폐부를 닫을 경우에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손쉽게 닫힐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도 1의 B-B 단면도로 제2 개폐부가 설치된 와이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개폐부의 작동에 따라 제1 저장공간에 수용된 와인이 제2 저장공간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의 작동에 따라 제2 저장공간에 수용된 와인이 개구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에 흡입기가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인 용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상술한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인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도 2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도 1의 B-B 단면도로 제2 개폐부가 설치된 와이 용기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개폐부의 작동에 따라 제1 저장공간에 수용된 와인이 제2 저장공간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의 작동에 따라 제2 저장공간에 수용된 와인이 개구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에 흡입기가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와인 용기(1000)는 용기부(100), 제1 개폐부(200), 제2 개폐부(300) 및 흡입부(4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100)의 내측에는 제1 저장공간(110), 제2 저장공간(120)이 형성되어 와인(W)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용기부(100)에는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1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와인(W)이 상기 와인 용기(10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용기부(100)는 상기 와인 용기(1000)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와인(W)을 수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100)는 일체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부(100)가 일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측에 상기 제1 개폐부(200), 제2 개폐부(300) 및 흡입부(400)를 설치한 후 상기 용기부(100)의 하부측과 용융 및 용접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부(100)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측과 하부측을 나사 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선택적인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용기부(100)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 개폐부(200), 제2 개폐부(300) 및 흡입부(400)의 설치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개폐부(200)는 제1 차단부(210), 제1 손잡이부(220), 제1 막대부(230) 및 제1 탄성부재(2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1 개폐부(200)는 상기 개구부(130)의 하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차단부(210)는 상기 제2 저장공간(120)과 개구부(130)의 연결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 차단부(210)는 상기 제2 저장공간(120)과 개구부(130)의 연결통로가 차단되도록 상기 와인 용기(1000)의 내측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차단부(210)의 단부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240)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240)는 상기 용기부(10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2 저장공간(120)과 개구부(130)의 연결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재(240)는 고무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 탄성부재(240)가 고무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 탄성부재(240)는 상기 용기부(10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1 차단부(210)의 이동은 상기 제1 손잡이부(220)의 이동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손잡이부(220)를 사용자가 외측으로 잡아당길 경우에는 상기 제1 차단부(210)는 상기 제1 손잡이부(220)의 이동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제2 저장공간(120)은 상기 개구부(13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손잡이부(22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쉬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막대부(230)의 일단은 상기 제1 차단부(210)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막대부(230)의 타단은 상기 제1 손잡이부(22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손잡이부(2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차단부(210)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막대부(230)에는 제1 접촉부(231)가 형성되어 제1 스프링(232)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100)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저장공간(120)의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격벽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격벽부(500)에는 상부 지지부(510)와 하부 지지부(520)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프링(232)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프링(232)의 일단은 상기 제1 접촉부(231)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용기부(100)의 내측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제2 개폐부(300)는 제2 차단부(310), 제2 손잡이부(320), 제2 막대부(330) 및 제2 탄성부재(3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2 개폐부(300)는 상기 제1 저장공간(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개폐부(200)와 제2 개폐부(300) 사이에 상기 제2 저장공간(1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차단부(310)는 상기 제1 저장공간(110)과 제2 저장공간(120)의 연결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 차단부(310)는 상기 제1 저장공간(110)과 제2 저장공간(120)의 연결통로가 차단되도록 상기 와인 용기(1000)의 내측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차단부(310)의 단부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340)가 결합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340)는 상기 용기부(10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1 저장공간(110)과 제2 저장공간(120)의 연결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재(340)는 고무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 탄성부재(340)가 고무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2 탄성부재(340)는 상기 용기부(10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2 차단부(310)의 이동은 상기 제2 손잡이부(320)의 이동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손잡이부(320)를 사용자가 외측으로 잡아당길 경우에는 상기 제2 차단부(310)는 상기 제2 손잡이부(320)의 이동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제1 저장공간(110)은 상기 제2 저장공간(120)과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손잡이부(320)는 상기 제1 손잡이부(22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파지하기 쉬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막대부(330)의 일단은 상기 제2 차단부(310)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손잡이부(32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손잡이부(3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차단부(310)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막대부(330)에는 제2 접촉부(331)가 형성되어 제2 스프링(332)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격벽부(500)에는 돌출 지지부(5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500)에는 상기 제1 스프링(232)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상부 지지부(510)와 동일한 형태로 상기 제2 스프링(332)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지지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스프링(332)이 상기 상부 지지부(미도시)와 상기 격벽부(50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프링(332)의 일단은 상기 제2 접촉부(331)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돌출 지지부(530)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흡입부(400)에는 흡입관(410)과 흡입구(4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관(410)의 일단은 상기 제2 저장공간(120)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지고 타단은 상기 흡입구(420)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흡입부(400)는 상기 제1 개폐부(200)와 제2 개폐부(300) 사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420)는 흡입기(800)와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기(800)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제2 마개(6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410)은 상기 제2 저장공간(120)과 연통되는 지점에서 상측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상기 용기부(100)를 관통하게 된다.
이는, 상기 와인 용기(1000)가 세워져 있을 경우에 상기 제2 저장공간(120)에 와인이 상기 흡입관(410)에 머물러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2 마개(620)를 개봉할 경우에 상기 제2 저장공간(120)에 있는 상기 와인(W)이 상기 흡입구(420)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 저장공간(120)과 연통되는 상기 흡입관(410)의 위치는 상기 제2 차단부(310)와 가까운 곳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흡입기(800)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저장공간(120)에 수용된 상기 와인(W)을 흡입할 경우에 상기 제2 개폐부(300)의 바닥면에 수용된 상기 와인(W)이 손쉽게 흡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격벽부(500)에는 제1 연장부(540)와 제2 연장부(55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장부(540)는 상기 제1 탄성부재(240)가 상기 용기부(100)의 내측면에 밀착된 경우에 상기 제1 차단부(210)와 함께 상기 와인(W)이 상기 제2 저장공간(120)과 개구부(130)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인 용기(1000)를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차단부(210)는 상기 격벽부(500)와 상기 용기부(100) 사이의 폭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차단부(210)는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장부(550)는 상기 제2 탄성부재(340)가 상기 용기부(100)의 내측면에 밀착된 경우에 상기 제2 차단부(310)와 함께 상기 와인(W)이 상기 제2 저장공간(120)과 제1 저장공간(110)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인 용기(1000)를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차단부(310)는 상기 격벽부(500)와 상기 용기부(100) 사이의 폭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차단부(310)는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130)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제1 마개(6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마개(610)는 상기 와인 용기(1000)를 장기간 보관할 경우에 상기 용기부(100)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와인 용기(1000)에 담긴 상기 와인(W)을 마시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마개(610)를 상기 와인 용기(1000)로부터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와인 용기(1000)를 기울인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손잡이부(320)를 잡아당겨 상기 제2 개폐부(300)가 열리도록 하여 상기 제1 저장공간(110)과 제2 저장공간(120)이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저장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와인(W)이 상기 제1 저장공간(110)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손잡이부(320)를 놓아 상기 제2 탄성부재(340)가 상기 용기부(100)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개폐부(300)는 상기 제2 스프링(332)에 의해 상기 제2 개폐부(300)의 이동에 대한 탄성 복원력이 작용되어 상기 제2 탄성부재(340)는 상기 용기부(10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손잡이부(220)를 잡아당겨 상기 제1 개폐부(200)가 열리도록 하여 상기 제1 저장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와인(W)이 상기 개구부(130)로 이동되도록 하여 와인 컵(10)으로 상기 와인(W)을 따라 사용자는 상기 와인(W)을 마실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저장공간(110)에 수용되는 상기 와인(W)은 상기 제1 개폐부(200)의 작동에 의해 여러번에 걸쳐 상기 와인(W)을 상기 와인 컵(10)으로 따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개폐부(200)를 개방함에 있어 상기 제2 개폐부(300)는 차단이 된 상태이므로 외부에 공기는 상기 제2 저장공간(120)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제2 저장공간(120)에 수용된 상기 와인(W)은 외부 공기와 접촉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상기 와인(W)은 외부 공기에 의해 산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상기 제2 저장공간(120)에 수용된 상기 와인(W)은 변질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와인 용기(1000)를 여러번 개봉하더라도 상기 와인(W)의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와인 용기(1000)에 수용된 상기 와인(W)의 일정량을 마신 후에 상기 와인 용기(1000)에 남아 있는 상기 와인(W)을 보관할 경우에는 상기 제1 저장공간(110)에 남아 있는 상기 와인(W)을 흡입 제거한 후 보관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저장공간(110)에 남아 있는 상기 와인(W)을 흡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흡입구(420)와 결합된 상기 제2 마개(620)를 상기 흡입구(420)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흡입기(800)를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개폐부(200)를 일부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기(800)를 작동시켜 상기 제1 저장공간(110)에 남아 있는 상기 와인(W)을 상기 흡입기(800)로 흡입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흡입기(800)에 의해 상기 제1 저장공간(110)에 남아 있는 상기 와인(W)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420)는 상기 흡입기(800)와 분리된 후 상기 제2 마개(620)와 결합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일부 개방된 상기 제1 개폐부(200)를 닫은 후 상기 개구부(130)에 상기 제1 마개(610)를 결합하여 상기 와인 용기(1000)를 장기간 보관하게 된다.
도 8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인 용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인 용기(1100)의 제1 개폐부(200')에는 제1 힌지부(711)가 구비되고 제2 개폐부(300')에는 제2 힌지부(72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힌지부(711)와 제2 힌지부(721)의 외측에는 피복층이 형성되어 와인(W)과 접촉시에도 와인의 맛의 변화가 없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200')에는 제1 제어부(710)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제어부(710)의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힌지부(711)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어부(710)를 사용자가 한번 누를 경우에는 상기 제1 힌지부(711)는 접히도록 이루어져 개구부(130)와 제2 저장공간(120)이 연통되도록 이루어지고, 다시 한번 상기 제1 제어부(710)를 더 누를 경우에는 상기 제1 힌지부(711)는 펴지도록 이루어져 상기 개구부(130)와 제2 저장공간(120)은 차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개폐부(300')도 제2 제어부(720)의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힌지부(721)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720)에 따른 상지 제2 힌지부(721)의 작동은 상기 제1 제어부(710)에 따른 상기 제1 힌지부(711)의 작동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상기 제2 저장공간(120)과 제1 저장공간(11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인 용기(1100)에 구비된 흡입부(400')는 상기 제1 개폐부(200')와 제2 개폐부(300') 사이에 설치되며 제1 실시예에서의 격벽부(500, 도 3참조)와 연결되는 흡입관(410, 도 3참조)의 구성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상기 흡입부(400')는 상기 제2 저장공간(120)에 수용된 상기 와인(W)이 흡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용기부 110: 제1 저장공간
120: 제2 저장공간 200: 제1 개폐부
300: 제2 개폐부 400: 흡입부
1000: 와인 용기

Claims (5)

  1. 와인이 저장되는 제1 저장공간과 제2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와인이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와인이 상기 개구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1 저장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와인이 상기 제2 저장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 개폐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저장공간은 상기 제1 개폐부와 제2 개폐부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와 제2 개폐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저장공간에 수용된 상기 와인이 흡입되도록 이루어진 흡입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흡입부는 흡입기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저장공간에 수용된 상기 와인이 흡입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제2 저장공간과 개구부의 연결통로를 차단하는 제1 차단부;
    상기 제1 차단부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저장공간과 개구부의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제1 손잡이부;
    일단은 상기 제1 차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제1 막대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밀착되는 제1 탄성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와인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1 저장공간과 제2 저장공간의 연결통로를 차단하는 제2 차단부;
    상기 제2 차단부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저장공간과 제2 저장공간의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제2 손잡이부;
    일단은 상기 제2 차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제2 막대부; 및
    상기 제2 차단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밀착되는 제2 탄성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와인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저장공간의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격벽부와
    일측은 상기 제2 막대부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격벽부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2 개폐부의 이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와인 용기.
KR2020110000379U 2011-01-14 2011-01-14 와인 용기 KR200462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379U KR200462746Y1 (ko) 2011-01-14 2011-01-14 와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379U KR200462746Y1 (ko) 2011-01-14 2011-01-14 와인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44U KR20120005344U (ko) 2012-07-24
KR200462746Y1 true KR200462746Y1 (ko) 2012-10-02

Family

ID=4687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379U KR200462746Y1 (ko) 2011-01-14 2011-01-14 와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7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955A (ko) 2021-05-14 2022-11-22 송진숙 용기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230029231A (ko) 2021-08-24 2023-03-03 김학수 와인 보관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168A (ja) 2002-09-12 2004-04-02 Joho Kagaku Kenkyusho:Kk 還元性溶液保存中の酸化防止法及び長期安定化のための保存容器
KR100484052B1 (ko) 2004-10-29 2005-05-06 김길수 간단한 구조의 펌핑장치를 구비한 유체 수용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168A (ja) 2002-09-12 2004-04-02 Joho Kagaku Kenkyusho:Kk 還元性溶液保存中の酸化防止法及び長期安定化のための保存容器
KR100484052B1 (ko) 2004-10-29 2005-05-06 김길수 간단한 구조의 펌핑장치를 구비한 유체 수용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955A (ko) 2021-05-14 2022-11-22 송진숙 용기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230029231A (ko) 2021-08-24 2023-03-03 김학수 와인 보관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44U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7462B1 (en) Normally-closed dispensing closure with operative handle
JP6110041B2 (ja) 折り畳み可能なストローを有する、ボトルのための蓋
EP3083430B1 (en) Sealing mechanism for beverage container
US20210378428A1 (en) Closure and Lid and Method of Forming Closure and Lid
US6290090B1 (en) Drip-less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flow control element” with suction spout
US7806303B1 (en) Sealable pour spout
AU772871B2 (en) Drip-less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flow control element" with suction spout
US20050029265A1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a squeeze-actuated self-sealing valve
US9670048B2 (en) Dispensing appliance provided with a removable dispensing cartridge
US20060011630A1 (en) Thermal container
DK3189000T3 (en) VALVE FOR DELIVERING A LIQUID AND EVENTLY PROMISED THIS
KR200462746Y1 (ko) 와인 용기
JP7128934B2 (ja) 飲料提供デバイス
JP4889818B2 (ja) 液体容器
CN209436809U (zh) 一种压强自控式控液容器
US20170283234A1 (en) Liquid dispensing device and valve assembly for use therewith
KR200462202Y1 (ko) 음료용기
KR102555920B1 (ko) 와인 보관 용기
JP5128301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102663382B1 (ko) 커피 드리퍼
JP3225196U (ja) 飲料用サーバー
KR102296345B1 (ko)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
JP4390156B1 (ja) 液体注出容器
KR102108267B1 (ko) 용기 마개장치
KR20090075992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