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992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992A
KR20090075992A KR1020080001683A KR20080001683A KR20090075992A KR 20090075992 A KR20090075992 A KR 20090075992A KR 1020080001683 A KR1020080001683 A KR 1020080001683A KR 20080001683 A KR20080001683 A KR 20080001683A KR 20090075992 A KR20090075992 A KR 20090075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ntainer
cosmetic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 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 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 존
Priority to KR102008000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5992A/ko
Publication of KR2009007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moving linearly, i.e. without rotational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 내부에 담긴 화장품을 사용할 때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가 화장품이 담겨질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배출구에 결합되면서 용기 본체에 담긴 화장품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배출구멍이 형성된 마개와, 상기 용기 본체에 조립되며 상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뚜껑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마개의 배출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손으로 밀면 상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작동부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하부로 승강운동하면서 마개의 배출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로 구성된다.
화장품용기, 배출구, 개폐부재, 작동부, 개폐부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담긴 화장품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미용을 위해 사용되는 화장품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에 내용물이 담겨지며,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필요한 만큼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화장품은 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화장품의 특성 및 용도에 따라서 그에 적합한 용기에 담아 판매된다. 특히 화장품 용기는 소비자들의 시선을 유도하고 화장품의 성격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용기 외관의 형상과 모양은 미려하면서도 다양한 모양을 갖는다.
이와 같은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의 종류 및 화장품의 물질에 따라서 용기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액체 또는 이와 유사한 종류의 화장품이 담겨지는 화장품 용기는 일측이 배출구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화장품이 담겨지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배출구에 제공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화장품 용기에 담긴 화장품을 사용하려면, 먼저 뚜껑을 열고서 용기에 담긴 화장품을 사용할 만큼 인출하여 사용한 다음 뚜껑을 용기에 닫으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사용할 때마다 뚜껑을 열고 닫아야 함으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뚜껑의 상부가 뚜껑에서 옆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뚜껑을 열지 않고 뚜껑의 상부를 옆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화장품 용기를 개폐할 수 있는 용기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도 한 손으로는 화장품 용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뚜껑의 상부를 이동시켜야함으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내부에 담긴 화장품을 사용할 때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화장품 용기의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화장품 용기는, 내부가 화장품이 담겨질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배출구에 결합되면서 용기 본체에 담긴 화장품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배출구멍이 형성된 마개와, 상기 용기 본체에 조립되며 상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뚜껑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마개의 배출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손으로 밀면 상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작동부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하부로 승강운동하면서 마개의 배출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작동부의 상승범위를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용기는, 개폐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으로 간단 하게 용기의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어 화장품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를 잡은 손으로 개폐부재를 작동시켜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화장품의 사용을 종래에 비하여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로서, 부호 2는 용기 본체(2)를 지칭한다.
상기 용기 본체(2)는 내부가 공간으로 형성되어 화장품이 담겨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액상의 화장품을 담기 위하여 사용된다. 용기 본체(2)의 상부에는 내부에 담긴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출구(4)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4)의 끝단부에는 마개(6)가 끼워진다.
마개(6)의 중앙부는 상부로 연장되는 가이드돌기(8)로 형성되며, 이 가이드돌기(8)의 끝단부에는 용기 본체(2)에 담긴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8)의 내부는 공간으로 형성되고 이와 통하도록 마개(6)의 중앙부는 관통되어 용기 본체(2)에 담긴 화장품은 배출구멍(1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마개(6)의 상부쪽으로는 돌기(1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8)에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개폐부재가 슬라이드 이 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은 용기 본체(2)에는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이와 대응되는 걸림턱(15)을 갖는 뚜껑(16)이 용기 본체(2)에 조립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뚜껑(16)은 상부 중앙부에 관통홀(18)이 형성되고, 측면으로는 가이드 홈(20)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16)은 걸림홈(14)을 통하여 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16)의 외측으로는 뚜껑(16)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마개(6)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멍(10)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조립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뚜껑(16)의 가이드홈(20)을 따라서 상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2)와, 상기 작동부(22)의 상부 일측으로 연장되어 작동부(22)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하 방향으로 승강 운동하면서 배출구멍(10)을 개폐하는 개폐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22)는 일측면이 뚜껑(16)의 가이드홈(20)에 면접촉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며, 작동부(22)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경우 손가락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26)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24)는 그 외주면이 뚜껑(16)에 형성된 관통홀(18)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개폐부(24)의 저면에는 용기 본체(2)에 형성된 가이드돌기(8)의 외측으로 면접촉되며 삽입되는 가이드부(28)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폐부(24)의 중앙부에는 용기 본체(2)에 담긴 화장품이 외부로 나오는 유출구(30)가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개폐부(24)의 개폐작용은 작동부(22)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가이드돌기(8)를 따라서 가이드부(28)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개폐부(24)의 저면이 배출구멍(10)을 개방시키거나 배출구멍(10)에 밀착되어 폐쇄시키는 것으로 개폐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폐부재의 개폐작용시 개폐부(24)가 일정범위에서만 상승할 수 있도록 개폐부(24)의 하부 외측면으로는 스토퍼(32)가 형성된다. 이 스토퍼(32)는 뚜껑(16)의 관통홀(18) 주변 내측에 걸리도록 이루어져 개폐부재의 상승작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는, 초기 상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용기 본체(2)의 돌기(12)가 유출구(30)에 삽입되며, 가이드돌기(8)가 가이드부(28)에 면접촉된 상태로 삽입된 상태로 개폐부(24)의 저면이 배출구멍(10)을 폐쇄하여 용기 본체(2)를 거꾸로 들어도 용기 본체(2)의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화장품을 사용하려면, 한손으로 용기본체(2)를 잡은 상태에서 용기 본체(2)를 잡은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작동부(22)를 밀어 올리면 이 작동부(22)는 뚜껑(16)의 가이드홈(20)을 따라서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러한 작용으로 유출구(30)에 삽입되어 있던 돌기(12)가 빠져나오면서 유출구(30)를 개방하고, 개폐부(24)도 관통홀(18)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같이 상승하면서 가이드돌기(8)를 따라서 가이드부(28)도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개폐부재의 상승운동은 개폐부(24)의 스토퍼(32)가 관통홀(18) 의 내측면에 닿을 때까지 상승되며, 이러한 개폐부재가 모두 상승하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개폐부(24)의 하부면이 배출구멍(10)에서 이격되어 배출구멍(10)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용기 본체(2)를 거꾸로 들고서 흔들면 용기 본체(2)에 담겨 있던 화장품이 배출구(4)를 통하여 배출구멍(10)으로 배출된 후, 개폐부(24)에 형성된 유출구(30)를 거쳐 외부로 유출된다.
이렇게 외부로 유출되는 화장품은 용기 본체(2)를 잡고 있지 않은 다른 손에 덜어서 사용하면 된다. 이렇게 한 손으로 용기 본체(2)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개폐부재를 간단하게 슬라이드 이동시켜 배출구멍(10)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화장품을 사용한 후에는 초기 상태와 같이 용기 본체(2)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작동부(22)를 가압하여 아래쪽으로 누르면,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될 때의 반대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용기 본체(2)의 돌기(12)는 유출구(30)에 삽입되면서 가이드부(28)는 가이드돌기(8)를 따라서 면접촉된 상태로 하강하여 개폐부(24)의 저면이 배출구멍(10)을 폐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개폐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Claims (5)

  1. 내부가 화장품이 담겨질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배출구에 결합되면서 용기 본체에 담긴 화장품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배출구멍이 형성된 마개;
    상기 용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
    상기 뚜껑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마개의 배출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면으로는 개폐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개폐부재를 상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작동부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하부로 승강운동하면서 마개의 배출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에는 작동부를 작동시킬 때 손가락이 걸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는 개폐부재의 개폐작용시 개폐부의 상승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080001683A 2008-01-07 2008-01-07 화장품 용기 KR20090075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683A KR20090075992A (ko) 2008-01-07 2008-01-07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683A KR20090075992A (ko) 2008-01-07 2008-01-07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992A true KR20090075992A (ko) 2009-07-13

Family

ID=4133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683A KR20090075992A (ko) 2008-01-07 2008-01-07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59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602B1 (ko) * 2013-02-20 2013-07-22 주식회사 아이피텍 화장품 용기
CN106998876A (zh) * 2014-12-02 2017-08-01 欧莱雅 具有至少两个出口界面的分配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602B1 (ko) * 2013-02-20 2013-07-22 주식회사 아이피텍 화장품 용기
CN106998876A (zh) * 2014-12-02 2017-08-01 欧莱雅 具有至少两个出口界面的分配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160B1 (ko) 화장품 용기의 버튼 슬라이드식 개폐장치
KR101152063B1 (ko) 분배 및 밀봉 기구를 갖춘 액체 용기 뚜껑
US9078507B2 (en) Spouting-type cosmetic container
KR200475351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US11464315B2 (en) Dropping pipette-type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ressing button having adjustable descending distance
KR101705030B1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KR200456827Y1 (ko) 콤팩트 케이스
KR20090075992A (ko) 화장품 용기
KR200477732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101680474B1 (ko) 유출 분출구 및 스푼을 가지는 용기 커버
JP4953906B2 (ja) 気密コンパクト
KR200419638Y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KR102297218B1 (ko) 화장품 용기
KR20160073080A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0414837Y1 (ko) 콤팩트용기
KR200452331Y1 (ko) 기능성 화장품용기
KR200404621Y1 (ko) 뚜껑 개폐가 용이한 콤팩트
KR102245650B1 (ko) 화장품 용기
KR100648733B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KR200421370Y1 (ko) 콤팩트 용기
KR20210110544A (ko) 화장품 용기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KR101007511B1 (ko) 물병
KR102296345B1 (ko)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
CN209192586U (zh) 容器盖与液体加热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