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732Y1 - 밥그릇 뚜껑 - Google Patents

밥그릇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732Y1
KR200462732Y1 KR2020120007440U KR20120007440U KR200462732Y1 KR 200462732 Y1 KR200462732 Y1 KR 200462732Y1 KR 2020120007440 U KR2020120007440 U KR 2020120007440U KR 20120007440 U KR20120007440 U KR 20120007440U KR 200462732 Y1 KR200462732 Y1 KR 200462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owl
lid
rice
bowl
inclin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 민 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델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델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델키
Priority to KR2020120007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7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7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7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4Plates with detachable waste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밥그릇 뚜껑에 관한 것으로, 윗면의 중앙부분에 수평으로 이루어진 수평부가 구비되고, 이 수평부에 밥그릇의 바닥면에 형성된 볼록굽이 맞추어져 밥그릇을 상하로 포갰을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볼록테와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윗면의 수평부 가장자리에 바닥면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진 경사벽이 구비되어 있는 한편, 상기 경사벽에 밥그릇의 상단 모서리를 지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내려온 연장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경사벽의 중간에 밥그릇의 상단모서리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밥그릇 뚜껑은 밥그릇 위에 덮었을 때, 경사부의 걸림턱이 밥그릇의 상단 모서리에 걸려져 안정되게 밥그릇을 덮어 주게 되어 있으며, 뚜껑을 열어 윗면이 바닥으로 오게 뒤집어 놓으면, 수평부가 바닥면을 이루게 되고, 상기 경사부가 위쪽을 향해 바깥쪽으로 벌어진 형태를 이루게 되어 접시와 같은 형상을 만들게 되므로, 음식물을 덜어 먹을 때 별도의 앞 접시를 요구하지 않고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밥그릇 뚜껑{A lid for rice bowl}
본 고안은 밥그릇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밥을 보관할 때는 뚜껑으로 사용하고 식사를 할 때는 뚜껑을 음식을 덜어 먹을 때 사용하는 앞접시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밥그릇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밥그릇 또는 식기, 주발 등으로 불리면서 밥을 담아 먹는데 사용하는 밥그릇에는 뚜껑이 구비되어 있고, 이 뚜껑은 밥을 보관할 때 밥을 보호함과 더불어 밥이 식지 않게 차단해 주는 역할 등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점 등에서 많은 밥을 미리 지어 두고 보관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뚜껑을 덮어 보관하고 있는데, 이러한 밥그릇 뚜껑은 밥을 먹을 때 벗겨 내고 나면 아무런 용도가 없게 된다.
물론 일부 이 뚜껑에 음식물을 임시로 올려 두거나 젓가락을 올려 두는 등의 용도도 사용하지만, 기본적으로 밥그릇 뚜껑은 그 높이가 낮고 윗면이 약간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음식물을 임시로 담아 먹는 앞접시로 사용하기에는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밥그릇 뚜껑을 보조 용기로 사용하게 한 고안이 국내 실용신안공개 20-2009-0010401호로 알려져 있는바, 이 고안의 명칭은 "밥뚜껑 및 보조그릇"으로 되어 있는데, 이 고안의 내용을 살펴 보면, "밥그릇을 일반 그릇과 비슷한 형태로 만들어 원래는 뚜껑으로 사용하다가 식사를 할 때 뚜껑을 열고 뒤집어 놓으면 그릇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밥뚜껑 및 보조 그릇"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안은 "그릇 높이 중간에 턱을 형성하고 아랫부분 내경을 좁게 하고 윗부분 내경을 넓게 형성하여 여러 개 중첩하여 쌓을 수 있게 하여 수납을 용이하게 한 구조로 구조"로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한, 상기의 고안에 따른 밥뚜껑은 기본적으로 밥그릇과 밥뚜껑이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중간 부분의 턱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의 직경은 크고 하부의 직경은 작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하부가 수직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밥그릇 형태 즉, 대체로 둥근 형태의 전통적인 밥그릇에서는 그대로 적용시킬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고안에 따른 밥뚜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중간에 턱이 있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마치 보온 밥통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둥그스름한 형태의 밥그릇을 사용하는 우리의 관습에는 적합하지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국 특허공개 평09-154692호로 "위에 물건을 올려 둘 수 있는 접시용 뚜껑과 뚜껑이 부착된 접시"라는 명칭의 고안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 고안에 따른 접시 뚜껑은 내부에 큰 접시, 중간 접시 및 작은 접시의 크기에 맞추어 여러 개의 다단 턱을 구비하고, 윗면에 물건을 올려 둘 수 있는 평탄부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일본의 공개 발명에 따른 접시용 뚜껑은 기본적으로 접시의 윗면을 평탄하게 하여 다른 냉장고에 넣을 때 다른 그릇을 포개기 용이하게 하는 한편, 내부면에 여러 개의 다탄턱을 만들어 큰 접시나 중간 접시 또는 작은 접시에도 맞추어 덮을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공개 발명의 접시 뚜껑은 기본적으로 밥그릇에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밥그릇에 적용시키기 위한 특별한 구성도 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 평15-250685호로 "이면이 도마로 되어 있는 접시와 용기의 조합물"이라는 명칭의 고안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 고안에 따른 접사와 용기의 조합물은 접시의 윗면을 편평하게 만들어 야외에서 음식을 자를 때 용기 위에 포개 놓고 도마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 공개 고안에 따른 조합물은 그대로 밥그릇에 적용시키기에 무리가 있고, 이러한 공개 고안에서 밥그릇의 뚜껑으로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밥그릇 뚜껑과는 관련성이 적다 하겠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문제를 해결함과 더불어, 기존에 제안된 고안들의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여, 밥그릇을 덮어 쉽게 벗겨지지 않게 하여 밥그릇의 밥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함과 더불어, 뚜껑을 덮은 밥그릇을 수직으로 안전하게 쌓을 수 있고, 밥을 먹을 때는 벗겨낸 밥그릇 뚜껑을 음식을 임시로 담아 먹는 앞접시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밥그릇 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밥그릇 뚜껑은 윗면의 중앙부분에 수평으로 이루어진 수평부가 구비되고, 이 수평부에 밥그릇의 바닥면에 형성된 볼록굽이 맞추어져 밥그릇을 상하로 포갰을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볼록테와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윗면의 수평부 가장자리에 바닥면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진 경사벽이 구비되어 있는 한편, 상기 경사벽에 밥그릇의 상단 모서리를 지나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내려온 연장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경사벽의 중간에 밥그릇의 상단모서리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밥그릇 뚜껑은 밥그릇 위에 덮었을 때, 경사부의 걸림턱이 밥그릇의 상단 모서리에 걸려져 안정되게 밥그릇을 덮어 주게 되어 있으며, 뚜껑을 열어 윗면이 바닥으로 오게 뒤집어 놓으면, 수평부가 바닥면을 이루게 되고, 상기 경사부가 위쪽을 향해 바깥쪽으로 벌어진 형태를 이루게 되어 접시의 측벽을 이루게 되므로 식사를 할 때 앞접시로 사용하여 음식물을 안전하게 담을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은 경사부에 밥그릇의 상단 모서리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밥그릇에 밥을 담은 경우에는 견고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밥그릇의 밥을 보호해 주는 기본적인 기능을 완전하게 수행할 수가 있고, 식사를 하기 위해 뚜껑을 벗겨 내어 뒤집어 놓으면, 상단 모서리의 수평부가 지면에 닿게 되므로 안정되게 바닥에 놓을 수가 있는 한편, 길게 뻗어 내려온 경사부가 접시의 측벽을 이루게 되므로 음식을 편안하게 담아 먹을 수 있는 앞 접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을 사용하면 일반적인 밥그릇 뚜껑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으면서도, 일반적으로 식사를 할 때 음식을 정갈하게 들어 먹기 위해 추가로 필요로 하는 별도의 앞 접시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식사를 할 때 요구되는 그릇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을 밥그릇에 덮은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을 밥그릇에서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을 뒤집은 상태에서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1실시예의 밥그릇 뚜껑을 밥그릇에 덮은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2실시예의 밥그릇 뚜껑을 밥그릇에 덮은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밥그릇을 상하로 적층 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이 밥그릇에 덮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이 밥그릇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면 3은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만을 뒤집어 내부가 보이게 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A)은 윗면의 중앙부분에 수평으로 이루어진 수평부(1)가 구비되고, 이 수평부(1)에 밥그릇(2)의 바닥면에 형성된 볼록굽(3)에 맞추어져 밥그릇(2)을 상하로 포갰을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볼록테(4)와 오목홈(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윗면의 수평부(1) 가장자리에 바닥면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진 경사벽(6)이 구비되어 있는 한편, 상기 경사벽(6)에 밥그릇(2)의 상단모서리(2a)를 지나 아래쪽으로 뻗어 내려온 연장부(6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경사벽(6)의 중간에 밥그릇(2)의 상단모서리(2a)가 걸려지는 걸림턱(7)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A)은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2겹으로 할 수도 있고 1겹으로도 할 수가 있는데, 뚜껑(A) 전체를 2겹으로 하는 경우에는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벽(6)의 중간에 형성하는 걸럼턱(6a)을 경사벽(6)의 내피(6b)에만 형성시키고 외피(6c)는 그대로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그 대신 외피(6c)에는 수평부(1)의 볼록테(4)와 오목홈(5)을 형성시키고, 내피(6b)는 그대로 두어 밥그릇(2)의 밥이 닿은 부분은 편평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뚜껑(A) 전체를 1겹으로 하는 경우에는 도면 5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벽(6)에 형성시킨 걸림턱(7)과 위의 수평부(1)에 형성시키는 볼록테(4)와 오목홈(5)이 그대로 형성되게 하여 외부에서 보거나 내부에서 볼 때 요철이 그대로 드러나게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A)의 경사벽(6)에 형성된 걸림턱(7)은 도면 4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벽(6)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수직부(7a)와 수평부(7b)를 갖추고 있어 밥그릇(2)의 상단 모서리(2a)가 안착되면, 상기 수직부(7a)에 의해 밥그릇(2)의 상단 모서리(2a)가 쉽게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A)을 밥그릇(2)에 덮었을 때,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벽(6)에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턱(7)의 수직부(7a)가 밥그릇(2)의 상단 모서리(2a)에 걸려지게 되므로, 밥그릇 뚜껑(A)이 옆으로 미끄러져 밥그릇(2)에서 벗어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밥그릇(2) 위에 안전하게 지지되어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A)은 경사벽(6)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확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이 경사벽(6)의 아래쪽에 연장부(6a)가 연장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밥그릇(2)에 덮을 때 상기 걸림턱(7)을 밥그릇(2)의 상단 모서리(2a)가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않고, 상기 연장부(6a)가 형성하는 직경 내부에 밥그릇(2)의 상단 모서리(2a)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밥그릇 뚜껑(A)을 눌러 덮어주면 밥그릇(2)의 상단 모서리(2a)가 경사벽(6)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자연스럽게 걸림턱(7)에 끼워져 맞춰지게 되므로,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A)은 밥그릇(2)에 덮을 때 상기 걸림턱(7)을 정확하게 밥그릇(2)의 상단 모서리(2a)에 맞추어 덮어야 하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A)에서 가장자리의 경사벽(6)에 연장 형성시킨 연장부(6a)의 길이는 밥그릇(2)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할 수가 있는바, 밥그릇 뚜껑(A)을 덮은 상태에서 밥그릇 뚜껑(A)과 밥그릇(2)을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크게 하면 되는데, 이와 같이 뚜껑(A)을 덮은 상태에서 밥그릇(2)을 한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하는 것은 식당 등에서 밥그릇을 한꺼번에 많이 취급하는 경우에 밥그릇을 옮기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또 한편으로는 상기 연장부(6a)의 길이가 적당하게 길어야 앞접시로 사용할 때 제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밥그릇 뚜껑(A)을 밥을 담은 밥그릇(2)에 덮은 다음 보온 박스나 보온통속에 넣어 보관하기 위해,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밥그릇(2)을 상하로 포개면, 밥그릇(2)의 아래쪽에 형성된 볼록굽(3)이 밥그릇 뚜껑(A)의 수평면(1)에 형성된 오목홈(5) 속에 위치하게 되면서 바깥쪽의 볼록테(4)에 걸려져 지지되게 되므로 밥그릇(2)이 미끄러져 무너지지 않고 그대로 수직 상태로 세워지게 되므로, 통상적인 밥그릇 뚜껑에서와 같이 밥그릇을 상하로 포갤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A)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단의 중앙에 수평부(1)를 갖추고 있으면서 밥그릇(2)의 중간까지 내려오는 길이의 경사벽(6)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식사를 할 때 밥그릇 뚜껑(A)을 밥그릇(2)에서 벗겨내어 뒤집어 놓으면 접시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A)의 수평부(1)가 지면에 안착되고 상기 경사벽(6)이 음식을 담는 접시의 측벽을 이루게 되므로 완전한 역사다리 꼴 형의 접시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A)을 사용하면 식사를 할 때 음식을 덜어 먹기 위한 별도의 앞 접시를 요구하지 않아도 상기 밥그릇 뚜껑(A)을 앞접시로 사용하여 식사나 음식을 먹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밥그릇 뚜껑(A)을 사용하면 별도의 특별 제작된 밥그릇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둥근 형태의 밥그릇에 그대로 적용시켜 사용할 수가 있고, 밥그릇(2)에 밥그릇 뚜껑(A)을 덮을 때 일반적으로 밥그릇의 상단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 밥그릇 뚜껑과는 달리, 경사벽(6)의 안쪽에 밥그릇(2)의 상단 모서리(2a)가 위치하게 하면, 상기 밥그릇(2)의 상단 모서리(2a)가 자연스럽게 경사벽(6)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걸림턱(7)속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쉽게 뚜껑을 덮을 수가 있는 한편, 식사를 할 때 밥그릇 뚜껑(A)을 뒤집어 놓으면 경사벽(6)이 음식물을 담은 측벽의 역할을 하게 되며, 수평부(1)가 바닥 지지면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안전하고 편리한 앞접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 - 밥그릇 뚜껑 1 - 수평부
2 - 밥그릇 3 - 볼록굽
4 - 볼록테 5 - 오목홈
6 - 경사벽 6a - 연장부
7 - 걸림턱 7a - 수직부
7b - 수평부

Claims (1)

  1. 윗면의 중앙부분에 수평으로 이루어진 수평부(1)가 구비되고, 이 수평부(1)에 밥그릇(2)의 바닥면에 형성된 볼록굽(3)이 맞추어져 밥그릇(2)을 상하로 포갰을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볼록테(4)와 오목홈(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윗면의 수평부(1) 가장자리에 바닥면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진 경사벽(6)이 구비되어 있는 한편, 상기 경사벽(6)에 밥그릇(2)의 상단 모서리(2a)를 지나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내려온 연장부(6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경사벽(6)의 중간에 밥그릇(2)의 상단 모서리(2a)가 걸려지는 수직부(7a)와 수평부(7b)를 갖춘 걸림턱(7)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밥그릇 뚜껑
KR2020120007440U 2012-08-22 2012-08-22 밥그릇 뚜껑 KR200462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440U KR200462732Y1 (ko) 2012-08-22 2012-08-22 밥그릇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440U KR200462732Y1 (ko) 2012-08-22 2012-08-22 밥그릇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732Y1 true KR200462732Y1 (ko) 2012-09-27

Family

ID=4755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440U KR200462732Y1 (ko) 2012-08-22 2012-08-22 밥그릇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7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2852B2 (en) 2006-08-03 2014-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lligent display method for multimedia mobile termi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0632U (ko) * 1977-08-03 1979-02-28
JP2004313278A (ja) * 2003-04-14 2004-11-11 Kanai Toru 合成樹脂製蓋付き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0632U (ko) * 1977-08-03 1979-02-28
JP2004313278A (ja) * 2003-04-14 2004-11-11 Kanai Toru 合成樹脂製蓋付き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2852B2 (en) 2006-08-03 2014-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lligent display method for multimedia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64260A1 (en) Container for holding food and drinks
CN105795816A (zh) 一种带盖碟子
US20140224810A1 (en) Multi-Functional Flat Lid
US8413840B2 (en) Handle for cookware
KR200462732Y1 (ko) 밥그릇 뚜껑
JP2014196138A (ja) 食品容器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KR20130002112U (ko) 접이식 주방용기
CN207400467U (zh) 一种餐盒
JP2011157113A (ja) 寿司用容器
KR200478330Y1 (ko) 다층 도시락 보온용기
US20110036796A1 (en) Food delivery apparatus with stackable shelf system
JP3204124U (ja) 食品容器
CN204617327U (zh) 一种饭盒
KR20150004092U (ko) 조리용 용기 뚜껑
WO2015042993A1 (zh) 一种饭盒
JP3729418B1 (ja) 食品容器パッケージ
KR200496151Y1 (ko) 다수개의 다용도 보관실이 구비된 중력식 승강 뚜껑의 냅킨 케이스 구조
CN210883446U (zh) 一次性手提篮
KR101267511B1 (ko) 적층식 음식포장용기
KR20120007345U (ko) 찜기 겸용 채반
CN217865982U (zh) 一种自热食品盒
CN210299910U (zh) 一种便当储存餐包
JP3205664U (ja) 電子レンジ用内箱
TWM639591U (zh) 具有凹形側壁內襯之容器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