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711Y1 -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711Y1
KR200462711Y1 KR2020100010992U KR20100010992U KR200462711Y1 KR 200462711 Y1 KR200462711 Y1 KR 200462711Y1 KR 2020100010992 U KR2020100010992 U KR 2020100010992U KR 20100010992 U KR20100010992 U KR 20100010992U KR 200462711 Y1 KR200462711 Y1 KR 200462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hot water
heating wire
union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090U (ko
Inventor
김용권
Original Assignee
김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권 filed Critical 김용권
Priority to KR2020100010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71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0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7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16L53/38Ohmic-resistance heating using elongate electric heating elements, e.g. wires or rib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6Casings, cover lids or ornamental panel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83Filling valves or arrangements for fil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8Level sensors, e.g. water leve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10Heat storage materials, e.g. phase change materials or static water enclosed in a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양단부를 피팅 및 유니온 등의 밀폐수단으로 긴밀하게 밀폐함과 더불어 온수관 내부 열매체의 열팽창으로 인한 파열 및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열선이 내장된 온수관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니온과 피팅을 통해 상기의 전열선을 전원선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온수관을 밀폐하도록 된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되며, 열매체가 담기고 저면에 연결구가 구비되어 있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전면 패널에 부착하여 내부 열매체의 수위를 표시하도록 된 유량게이지와; 상기 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통기공을 차단하되, 상기 수조의 외부로부터 습기유입을 차단함과 더불어 내부 압력변화에 따른 통기성 기능을 갖는 고어텍스 마개와; 상기 연결구와 유니온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호스 및, 연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A OVERLOAD PREVENTION EQUIPMENT OF WARM WATER PIPE FOR ELECTRIC BOILER}
본 고안은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양단부를 피팅 및 유니온 등의 밀폐수단으로 긴밀하게 밀폐함과 더불어 온수관 내부 열매체의 열팽창으로 인한 파열 및 누설을 방지하도록 된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난방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전열선이 내장된 난방용 온수관의 경우, 온수관의 내부에 담겨있는 난방수가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열선에 의해 가열되어 발열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국내특허출원 제2007-34922호 또는 제2007-48992호, 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07-5850호 등을 선 제안하여 온수관의 말단부를 긴밀하게 밀폐함과 동시에 전원선을 접속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며, 이에 관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기술들은 온수관의 밀폐부위가 열접촉에 매우 취약하여 변형되거나 누설이 발생하였고 또는, 전열선과 전원선의 접속작업이 난해하고 시공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의 출원인은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9209호의 '전열선이 내장된 온수관'을 제안하여 등록된 바에 있으며, 이로써 온수관의 누설을 긴밀하게 차단함과 더불어, 온수관 내부와 연결된 튜브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온수관의 압력변화에 따라 신축작용을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 역시도 온수관과 연통하는 튜브가 열매체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고 불규칙한 변형을 유발하며, 반복적인 열팽창 및 수축작용으로 급격히 손상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고안은 피팅과 유니온으로 온수관의 단부를 긴밀하게 밀폐함과 더불어, 유량게이지 및 내부 압력변화에 따라 통기가 가능하도록 된 고어텍스 마개가 구비된 수조를 호스를 통해 유니온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온수관의 내부 압력이 일정하도록 자동으로 조절하고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된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전열선이 내장된 온수관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니온과 피팅을 통해 상기의 전열선을 전원선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온수관을 밀폐하도록 된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되며, 열매체가 담기고 저면에 연결구가 구비되어 있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전면 패널에 부착하여 내부 열매체의 수위를 표시하도록 된 유량게이지와; 상기 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통기공을 차단하되, 상기 수조의 외부로부터 습기유입을 차단함과 더불어 내부 압력변화에 따른 통기성 기능을 갖는 고어텍스 마개와; 상기 연결구와 유니온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호스 및, 연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조의 저부에는 저수위 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조를 내부에 수용하며, 저면에는 호스구멍이 형성된 외부케이스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수조를 벽면에 안전하게 고정한 채로 유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유니온과 수조를 호스로 연결하여 온수관 내부에는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수압이 작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온수관 내부의 열매체가 열팽창하여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온수관 내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된 열매체가 호스를 통해 수조로 유입되며 역으로, 열매체의 온도 및 압력이 감소하면 수조의 열매체가 자동으로 온수관 내부로 복귀하여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온수관의 파열 및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온수관 양단부의 유니온 및 밀폐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하여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온수관과 결합하여 내부의 열매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마감함에 있어서, 온수관의 전열선 및 접속부를 피팅에 내장함과 더불어 상기의 수조로부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매체가 유니온 및 피팅의 냉각작용을 함에 따라, 전원선 접속부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고 전기적인 발열에 따른 열적 손상이 해소하여 더욱더 안전하고 수밀성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여 매우 실용적이며, 수리보수 및 유지관리 또한 용이하고, 부대 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는 등의 경제적인 효과가 수반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의 구성을 부분적인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의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는 상기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는 전열선(2)이 내장된 온수관(1)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구멍(12)을 가지는 유니온(10)과, 상기 유니온(10)의 외측으로 조립되는 피팅(16)을 통해 상기의 전열선(2)을 전원선(3)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온수관(1)을 밀폐하도록 된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되며, 열매체(W)가 담기고 저면에 연결구(28)가 구비되어 있는 수조(20)와; 상기 수조(20)의 전면 패널(21)에 부착하여 내부 열매체(W)의 수위를 표시하도록 된 유량게이지(22)와; 상기 패널(21)의 상부에 형성된 통기공을 차단하되, 상기 수조(20)의 외부로부터 습기유입을 차단함과 더불어 내부 압력변화에 따른 통기성 기능을 갖는 고어텍스 마개(26)와; 상기 연결구(28)와 유니온(10)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12)을 연결하기 위한 호스(30a,30b) 및, 연결구(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온수관(1)의 양측 끝단에 조립되는 유니온(10)의 외측으로 피팅(16)이 조립되며, 상기 유니온(10)에는 호스(30a,30b)를 통해 별도로 구비된 수조(20)와 연결된다.
상기 유니온(10)은 일측이 소정의 배관연결수단에 의해 온수관(1)에 결합되며, 상기 배관연결수단은 유니온의 일측 돌출부를 온수관 내측으로 삽입하고 외측으로 배관링 및 유니온너트(14)로 체결함에 따라, 상기 유니온너트(14)를 조일수록 배관링의 직경이 축소되면서 온수관에 긴밀하게 밀착하여 수밀상태로 조립된다.
상기 피팅(16)은 일측으로 개통된 내측 요입부(17)에 전열선(2)과 전원선(3)의 접속부(4)를 수용하고, 상기 요입부에 방수부재를 충진하여서 밀폐한다. 그리고 상기 피팅(16)의 양측에는 캡너트(18,19)를 조립하여 재차 밀폐시키며, 상기 캡너트(18,19)의 내측에는 패킹 등의 방수부재를 구비하여 완전히 밀봉시킨다. 이때 상기 패킹은 캡너트(18,19)의 체결력에 의해 가압 밀착됨은 물론 관통하는 전열선 또는 전원선과도 긴밀하게 밀착하며,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구멍(틈새)으로도 진입하여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방수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온수관(1) 내부의 전열선(2)은 유니온(10)의 중심을 통해 상기 캡너트(19) 내지는 패킹을 관통하여 피팅(16)의 내부 요입부(17)로 진입하며, 상기 전원선(3)은 캡너트(18) 및 패킹을 관통하여 상기 전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접속부(4)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요입부(17)에 방수부재를 투입하여 밀봉시키는데, 이때 상기의 방수부재는 피팅의 일측에 소정의 충진용 구멍을 통해 투입한 후 플러그로 밀봉하거나 또는, 상기의 피팅의 외측 캡너트(18)를 체결하기 이전에 방수부재를 충분히 투입한 다음 캡너트를 체결하여 밀폐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의 방수부재는 전열선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내전열성 및 방수성이 뛰어난 소재가 가장 바람직하며, 이는 겔(Gel) 이나 젤리, 액상거품 등의 형태로 손쉽게 충진되고 서서히 고형 및 고체화됨으로 뛰어난 방수성을 제공하고, 작업이 용이한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유니온(10)은 일측에 내부공간 즉, 온수관(1) 내부와 연통하도록 된 구멍(12)에 연결구(13)를 부착하고 호스(30a,30b)를 벽면에 고정된 수조(20)와 연결하여서, 상기 온수관의 열매체의 온도상승에 따라 압력이 상승하여 팽창하게 되는 데, 이때 열매체가 호스를 통해 수조로 유입되면서 흡수 완화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조(20)는 전면 패널(21)이 조립된 육면체로 내부에 열매체(W)가 담기고 벽체에 부착하여 일정한 높이로 고정되며, 전면 패널(21)에 유량게이지(22)와 고어텍스 마개(26), 저수위 감지센서(27)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조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 개의 연결구(28)가 구비되어 있어서, 연결호스(29)를 통해 상기 호스(30a,30b)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호스(29)는 플렉시블 호스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게이지(22)는 세로로 구비된 투명한 표시창을 통해 부력이 작용하는 표시구(25)의 위치변화로 열매체의 수위를 가늠할 수 있게 되며, 상부에 상한선(24a)을 표시하고 하부에는 하한선(24b)을 표시하여 열매체의 잔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어텍스 마개(26)는 패널의 상부 일측 구멍에 결합되며, 내부 기압의 변화에 따라 통기는 가능하되, 외부로부터 습기가 유입되지 않게 차단하도록 된 통기성 소재로, 수조 내부의 압력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며, 열매체(W)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어텍스(Gore tex) 소재는 열이나 약품에 강한 테플론계 수지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한 작은 구멍을 뚫은 아주 엷은 막으로 제조된다.
상기 저수위 감지센서(27)는 수조의 패널 저부에 구비되며, 열매체 수위가 낮아져 바닥에 가까워지면 이를 감지하여 열매체의 보충할 수 있도록 신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저수위 감지센서(27)의 신호는 보일러의 제어부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수조의 일측에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도면에 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고 소정의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수조(20)에 열매체를 보충시 고어텍스 마개(26)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투입하면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조(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저면에는 호스구멍(46)이 형성된 외부케이스(40)를 더 구비하여서, 상기 수조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예상지 못한 열매체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수조(20)는 외부케이스(40) 내에 안전하게 수납하여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재차 보호된다. 상기 외부케이스(40)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커버(42)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의 수조 또는 외부케이스는 못이나 고정나사 등의 고정수단으로 벽체에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를 벽체에 매립하여 전면이 노출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저면에 호스가 통과하도록 호스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유니온(10) 내지, 피팅(16), 캡너트(18,19), 유니온너트(14) 연결구(13,28) 등은 나사로 체결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에는 테프론 테이프 등 수밀수단으로 재차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유니온 내부는 캡너트(19)의 주변에 마련된 공간부의 열매체는 발열의 영향을 적게 받는 사각지대로서, 온수관 내부보다 상대적으로 열매체의 온도가 낮은 상온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상기 캡너트(19) 및 내부 패킹, 접속부(4)의 온도상승을 저지하는 냉각작용을 하게 되며, 이로써 온수관 밀폐부위의 열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고 열매체의 누설을 차단하여 내구성 향상은 물론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는 전열선(2)이 내장된 온수관(1)의 내부 열매체(W)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차단함과 동시에, 열매체의 온도 상승함에 따른 열팽창 시 수조(20)로 안전하게 유입되도록 구성하여 온수관의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함께 상기 온수관(1)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자동으로 유지하여 온수관 내부에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고 난방효율을 극대화하며, 온수관의 손상 및 파열을 방지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상기 전열선(2)은 무자계 열선을 사용함으로써,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기파를 차폐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미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공지된바 있음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관(1)의 내부 열매체(W)는 기존에는 난방용 용수를 사용하였으나, 온도변화에 따른 압력의 변화 및 팽창량이 과도하며 동절기에 동파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용수와 함께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열전도유 또는 비수용성 열전도유를 택일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는 곧 상기 열전도유를 통해 전열선과의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킴은 물론, 상기 온수관의 내부 압력의 변화를 최소로 하여 안정적인 상태에서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의 수조(20)는 아크릴, 유리 등과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를 사용하여 수조의 내부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게 하고 외측면에 눈금을 표시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통상의 공지기술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온수관 2:전열선 3:전원선
4:접속부 10:유니온 12:구멍
13:연결구 14:유니온너트 16:피팅
17:요입부 18,19:캡너트 20:수조
21:전면 패널 22:유량게이지 24a:상항선
24b:하한선 25:표시구
26:고어텍스(Gore tex) 마개 27:저수위 감지센서
28:연결구 29:연결호스 30a,30b:호스
40:외부케이스 42:커버 44:체결구
46:호스구멍 W:열매체

Claims (3)

  1. 전열선(2)이 내장된 온수관(1)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니온(10)과 피팅(16)을 통해 상기의 전열선(2)을 전원선(3)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온수관(1)을 밀폐하도록 된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되며, 열매체(W)가 담기고 저면에 연결구(28)가 구비되어 있는 수조(20)와;
    상기 수조(20)의 전면 패널(21)에 부착하여 내부 열매체(W)의 수위를 표시하도록 된 유량게이지(22)와;
    상기 패널(21)의 상부에 형성된 통기공을 차단하되, 상기 수조(20)의 외부로부터 습기유입을 차단함과 더불어 내부 압력변화에 따른 통기성 기능을 갖는 고어텍스 마개(26)와;
    상기 연결구(28)와 유니온(10)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12)을 연결하기 위한 호스(30a,30b) 및, 연결구(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20)의 저부에는 저수위 감지센서(2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저면에는 호스구멍(46)이 형성된 외부케이스(4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
KR2020100010992U 2010-10-27 2010-10-27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 KR200462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992U KR200462711Y1 (ko) 2010-10-27 2010-10-27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992U KR200462711Y1 (ko) 2010-10-27 2010-10-27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90U KR20120003090U (ko) 2012-05-07
KR200462711Y1 true KR200462711Y1 (ko) 2012-09-24

Family

ID=4660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992U KR200462711Y1 (ko) 2010-10-27 2010-10-27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7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194A (ko) * 2019-10-07 2021-04-15 정길호 소형 전기 온수보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65B1 (ko) * 2012-10-19 2014-08-11 김상철 오일 충전식 난방관의 파이프 내부 압력완화 및 누전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367Y1 (ko) 2006-06-05 2006-08-23 임희섭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100865669B1 (ko) 2007-09-12 2008-10-29 윤진호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0875717B1 (ko) 2008-06-24 2008-12-26 이춘서 발열선이 내장된 밀폐형 관의 팽창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압력 비례 제어식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367Y1 (ko) 2006-06-05 2006-08-23 임희섭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100865669B1 (ko) 2007-09-12 2008-10-29 윤진호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0875717B1 (ko) 2008-06-24 2008-12-26 이춘서 발열선이 내장된 밀폐형 관의 팽창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압력 비례 제어식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194A (ko) * 2019-10-07 2021-04-15 정길호 소형 전기 온수보일러
KR102407499B1 (ko) 2019-10-07 2022-06-10 정길호 소형 전기 온수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90U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08291A (zh) 用于水池清洁机的密封盒装置
KR200462711Y1 (ko)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
KR200460919Y1 (ko) 동결방지 파이프
KR100859901B1 (ko)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구조
KR101129472B1 (ko) 전기온수 방열관 내압유지 안전장치
KR100994254B1 (ko)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CN202768328U (zh) 一种可防水的冰箱压缩机接线盒
CN207247532U (zh) 一种高导热电加热器壳体
CN213274746U (zh) 一种换热站热力管道连接处法兰结构渗漏监测装置
CN206135610U (zh) 一种电机内部防结露结构
CN211261293U (zh) 一种电阻加热热水蓄能罐
CN209085060U (zh) 水箱及具有其的热水器
KR102075865B1 (ko) 수도 미터기 보호함
KR200277428Y1 (ko) 수도관 동파방지히터
KR101989387B1 (ko) 격막튜브 파손감지수단을 구비한 밀폐식 팽창탱크
CN207782203U (zh) 安全型箱式变电站
KR200449209Y1 (ko) 전열선이 내장된 온수관
CN206787620U (zh) 管道保温层下温湿度监测记录装置
CN213515908U (zh) 一种防寒效果好的磁翻板液位计
KR101079699B1 (ko) 이동식 방폭형 컴퓨터
JP2008051348A (ja) 貯湯式給湯器
CN206618138U (zh) 太阳能保温水箱密封套
CN201479530U (zh) 防水散热呼吸器
KR20080004604U (ko) 온수관 전열선의 결합구조
CN214840158U (zh) 一种市政给排水管道流量智能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