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254B1 -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 Google Patents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254B1
KR100994254B1 KR1020100041532A KR20100041532A KR100994254B1 KR 100994254 B1 KR100994254 B1 KR 100994254B1 KR 1020100041532 A KR1020100041532 A KR 1020100041532A KR 20100041532 A KR20100041532 A KR 20100041532A KR 100994254 B1 KR100994254 B1 KR 100994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dissipation
dissipation tube
storage medium
preve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아이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아이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아이앤이
Priority to KR1020100041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축열매체와 열매체 오일이 격리되도록 충진되는 방열관; 상기 방열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축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1누수방지부재와, 이 제1누수방지부재의 후방에 충진되는 열매체 오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제1누수방지부재와 이격되게 방열관에 삽입되는 제2누수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누수방지부재; 상기 누수방지부재를 관통하여 방열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팅선과, 이 히팅선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을 전기적 연결시키는 연결체; 및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단부에 구성되어 방열관의 단부를 밀폐시키고, 히팅선 및 전원 공급선을 고정시키는 밀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Double sealed radiating pipe}
본 발명은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관의 내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를 실리콘 마개와, 열매체 오일을 통해 서로 다른 열매체의 비중에 의해 발생되는 밀폐력을 제공함으로써, 축열매체의 팽창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한편, 외부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부식을 방지하여 히터선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선을 이용한 보일러 관에는 물과 같은 축열 매체를 주입하고, 열선을 삽입하여, 이 열선에 전기적인 에너지를 공급함에 따라 열을 발생시켜 보일러 관 주위로 열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보일러 관에서는 보일러 관 내에 있는 열선에 전기적인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선을 외부에서 연결하게 된다. 즉, 보일러 관의 외부에서부터 열선이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보일러 관에 축열매체의 유출을 막기 위한 패킹 등이 열선에 의해 쉽게 변형되게 된다. 따라서, 보일러 관의 밀봉 상태가 쉽게 훼손되고, 이에 따라 관내에 주입된 내부 물질이 쉽게 유출되어 고장의 원인이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방열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방열관은 전술한 일반적인 보일러 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발명된 특허등록 제0861426호에 개재된 것으로서, 주변부에 열을 전달하는 방열관(110), 외부로부터 방열관(11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20), 방열관(110) 내에 위치하고, 전선(120)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130), 전선(120) 및 열선(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체(260) 및 방열관(110)의 말단에 위치하고, 방열관(110) 및 전선(120)을 밀봉하는 밀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밀폐부(150)는 방열관(110)의 말단에 체결되어 밀봉하고, 제1 체결너트(152), 제2체결너트(154), 밀폐관체(156)를 포함하고, 제1 체결너트(152)와 밀폐관체(156) 사이에 위치하며, 전선(120)이 인입되는 외부마개(180) 및 제2 체결너트(154), 밀폐관체(156)에 결합되는 내부마개(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방열관의 방열관(110) 내부에는 충진된 축열매체의 양을 줄이고도 방열관(110)을 채울 수 있도록 양 끝이 밀봉된 내부관(190)이 구비된다. 이러한 내부관(190)은 방열관(110) 내의 물질이 내부관(190)으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밀봉하는 밀봉부재(192)가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방열관은 시간이 지나면서 밀폐부(150)가 부식되거나, 반복적인 내부마개(160)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체결력이 저하되면서 방열관(110) 내부의 축열매체 또는 히터용 난방오일 등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관(190)의 표면이 얇아 단시간에 히팅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이와 반대로 단시간에 냉각될 수밖에 없어 열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열관의 내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를 실리콘 마개와, 열매체 오일의 비중 차이를 통해 발생되는 밀폐력을 제공함으로써, 축열매체의 팽창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한편, 외부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부식을 방지하여 히터선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그 목적이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진 축열매체와 히터용 난방오일등의 절연유로 이루어진 열매체 오일의 비중차로 인한 누수 방지로 인해 보일러의 열효율을 극대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관에 복잡하게 구성된 밀폐구조 대신 실리콘 마개를 통해 단순하면서도 간편하게 축열매체와 열매체 오일을 밀폐시킴에 따라 방열관의 구성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후,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축열매체와 열매체 오일이 격리되도록 충진되는 방열관; 상기 방열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축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1누수방지부재와, 이 제1누수방지부재의 후방에 충진되는 열매체 오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제1누수방지부재와 이격되게 방열관에 삽입되는 제2누수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누수방지부재; 상기 누수방지부재를 관통하여 방열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팅선과, 이 히팅선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을 전기적 연결시키는 연결체; 및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단부에 구성되어 방열관의 단부를 밀폐시키고, 히팅선 및 전원 공급선을 고정시키는 밀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일측이 방열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요홈이 형성되고, 내주가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히팅선이 수용되는 밀폐 커버; 밀폐 커버의 관통홀에 억지끼움되며, 전원 공급선 및 히팅선이 수용되고 연결체가 내장되는 절연 마개; 밀폐 커버와 방열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제1체결너트; 및 절연 마개를 가압하여 밀폐 커버와 절연 마개 사이의 틈을 막아 방열관의 단부를 완전 밀봉하고, 전원 공급선 및 히팅선이 관통하는 제2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일측이 방열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나사돌기가 형성된 삽입요홈과, 히팅선이 수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실링부재가 구비된 밀폐 커버; 밀폐 커버의 관통홀에 억지끼움되며, 전원 공급선 및 히팅선이 수용되고 연결체가 내장되는 절연 마개; 및 상기 밀폐 커버의 후방으로 절연 마개를 가압하며 밀폐 커버와 체결되고, 전원 공급선이 관통하는 고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누수방지부재는 그 폭이 제1누수방지부재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길게 형성되고, 이 제2누수방지부재의 내부에 상기 연결체가 수용되는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열매체는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매체 오일은 히터용 난방오일, 또는 절연유로 이루어져 축열매체와 다른 비중에 의해 이 축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열관의 내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를 실리콘 마개와, 열매체 오일의 비중 차이를 통해 발생되는 밀폐력을 제공함으로써, 축열매체의 팽창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열관의 내부로 침투하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실리콘 마개, 열매체 오일에 의해 차단할 수 있어 부식을 방지하여 히터선의 수명을 연장시켜 반영구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진 축열매체와 히터용 난방오일등의 절연유로 이루어진 열매체 오일의 비중차로 인한 누수 방지로 인해 보일러의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열관에 복잡하게 구성된 밀폐구조 대신 실리콘 마개를 통해 단순하면서도 간편하게 축열매체와 열매체 오일을 밀폐시킴에 따라 방열관의 구성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후,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열관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을 간단한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높은 결합력 및 방열관의 밀폐력을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중 밀폐 방열관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방열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폐 방열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폐 방열관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폐 방열관의 밀폐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폐 방열관의 밀폐수단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폐 방열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폐 방열관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폐 방열관의 밀폐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밀폐 방열관은 내부에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진 축열매체와 히터용 난방오일, 또는 절연유의 열매체 오일이 충진되는 방열관(210), 방열관(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축열매체와 열매체 오일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부재(220) 및 누수방지부재(220)의 단부에 구성되어 방열관(210)의 단부를 밀폐시키고, 히팅선(230) 및 전선을 고정시키는 밀폐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방열관(210)에 충진되는 절연유는 주로 고전압 대용량 유입 변압기 등에 사용되는 KSC 2301 광유 1종4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방열관(210)은 내부에 축열매체와 열매체 오일이 누수방지부재(220)에 의해 격리된 채로 충진되며, 내부에 전원 공급선(240)과 연결되는 히팅선(230)이 다수 구비되어 있어서 이 히팅선(230)의 가열에 의해 방열관(210)의 주변으로 열을 전달한다.
여기서, 전원 공급선(240)은 일단이 이중 밀폐 방열관의 외부에 구성된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며, 타단이 연결체(260)에 의해 히팅선(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팅선(23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선(240)은 밀폐수단(250)을 통해 인입된다.
히팅선(230)은 전원 공급선(240)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열에너지로 전환한다. 이러한 히팅선(230)은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방열관(210) 내부에 충진된 축열매체를 가열한다.
누수방지부재(220)는 방열관(210)의 일측 단부에 구성되어 축열매체 또는 열매체 오일을 격리시켜 누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축열매체가 충진된 방열관(210)에 삽입되어 이 축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1누수방지부재(222)와, 제1누수방지부재(222)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방열관(210)에 삽입되어 열매체 오일이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이 공간에 충진된 열매체 오일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2누수방지부재(224)와, 방열관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되 제1누수방지부재(222)와 대향되는 위치에 삽입되어 축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3누수방지부재(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누수방지부재(220)는 신축성이 강한 실리콘 소재를 통해 제작되며, 방열관(210)의 직경보다 일정 직경만큼 크게 형성되어 누수방지부재(220)가 방열관(210)의 내경에 완전히 밀착된 채, 방열관(210)의 양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누수방지부재(220)는 히팅선(230)이 관통하여 제1누수방지부재(222)에 의해 격리된 축열매체를 가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누수방지부재(220)는 열에너지가 발산되는 히팅선(230)의 온도를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이중 밀폐 방열관은 염화칼슘을 포함하는 축열매체가 가장먼저 충진되고, 이 축열매체가 충진된 방열관(210)의 양측으로 제1누수방지부재(222) 및 제3누수방지부재(225)가 각각 삽입되어 축열매체의 누수를 1차 방지하며, 이후 절연유 등의 열매체 오일이 제1누수방지부재(222)의 후방으로 충진되어 축열매체의 팽창에 의한 누수가 발생될 때, 이 축열매체와는 다른 비중으로 구성된 열매체 오일에 의해 축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충진된 열매체 오일은 제2누수방지부재(224)에 의해 방열관(210)에 격리되는 것이다.
또한, 방열관(210)의 양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삽입되는 누수방지부재(220)에 의해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축열매체의 누수를 최소화함에 따라 히팅선의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누수방지부재(220)의 부식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결국, 방열관(2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축열매체의 누수를 실리콘 재질의 누수방지부재(220)와, 이 축열매체와 다른 비중으로 구성된 열매체 오일을 통해 방지함으로써, 종래의 복잡하고 난해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방열관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원 공급선(240)과 히팅선(23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체(260)가 구성되며, 이 연결체(260)의 부식, 손상 또는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고, 방열관(210)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250)이 구비된다.
여기서, 연결체(260)는 방열관(210) 내부에 있는 축열매체로부터 전원 공급선(240) 및 히팅선(230)의 연결부분이 절연되도록 고무, 실리콘 및 각종 수지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특히 축열매체와 열매체 오일, 또는 누수방지부재(220)가 히팅선(230)으로부터 절연되도록 한다.
밀폐수단(2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방열관(21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삽입요홈(312)이 형성되고, 내주가 관통된 관통홀(314)이 형성되어 연결체(260), 전원 공급선(240) 및 히팅선(230)이 수용되는 밀폐 커버(310)와, 밀폐 커버(310)의 관통홀(314)에 억지끼움되며, 전원 공급선(240) 및 히팅선(230)이 관통하고 연결체(260)가 내장되는 절연 마개(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절연 마개(320)에는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240)의 단부가 삽입되는 절연 돌기(3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밀폐수단(250)에는 밀폐 커버(310)의 전방 외주면에 나사체결되어 밀폐 커버(310)와 방열관(210)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체결너트(330)와, 이 체결너트와 밀폐 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수밀패킹(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밀폐수단(250)은 방열관(210)의 내부 압력을 유지시켜 축열매체의 팽창에 따른 방열관(210)의 직경 변화로 인한 열매체 오일의 누수 또한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방열관(210)의 양측 단부를 밀폐수단(250)에 의해 완전 밀봉함으로써, 방열관(210)의 일측단부는 제1누수방지부재(222) 및 열매체 오일에 의해 이중으로 누수를 방지하는 한편, 히터용 난방 오일 또는 절연유를 포함하는 열매체 오일은 제2누수방지부재(224) 및 밀폐수단(250)에 의해 이중으로 누수를 방지하고, 방열관(210)의 타측단부는 제3누수방지부재(226) 및 밀폐수단(250)에 의해 축열매체의 팽창에 따른 누수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밀폐수단(250)은 방열관(210)의 단부에 대한 밀폐력을 유지하면서도 제조비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관(210)이 삽입되는 밀폐 커버(410)의 삽입요홈(312)에 나사 형식의 나사돌기(412)를 형성하여 방열관(210)의 단부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밀폐 커버(410)의 외주면과 방열관(210)의 내주면 사이에 실링부재(420)를 구비하여 축열매체 또는 열매체 오일의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공기의 유입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밀폐 커버(410)의 후방으로 연결체(260)가 수용되며, 전원 공급선(240)의 단부가 삽입되는 절연 돌기(322)가 돌출 형성된 절연 마개(320)를 가압하며, 밀폐 커버(410)와 체결되되 전원 공급선(240)된 절연 돌기(322)가 관통하는 고정 커버(430)를 구비함으로써, 방열관(210)의 단부에 대한 밀폐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전술한 체결너트(330)와 같은 단순 체결을 위한 구성요소를 제외하더라도, 동일한 밀폐력을 유지하면서도 밀폐수단(410)의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매체 오일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2누수방지부재(524)의 폭이 제1누수방지부재(222)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길게 형성되고, 이 제2누수방지부재(524)의 내부에 연결체(260)가 수용됨으로써, 열매체 오일의 누수방지는 물론, 절연 마개(32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밀폐수단(250)은 방열관(2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요홈(312)이 형성되며, 전원 공급선(240)이 관통하는 관통홀(314)이 형성되고, 제2누수방지부재(524)의 후방면이 밀착되는 밀폐 커버(510)와, 이 밀폐 커버(510)를 가압하여 방열관(210)과의 고정력을 극대화시키는 고정 커버(5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술한 체결너트(330)와 같은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절연 마개(320) 역시 제외되더라도, 동일한 밀폐력을 유지하면서도 밀폐수단(250)의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 커버(530)에는 전원 공급선(240)을 관통하고,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2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절연 마개(320)와 동일한 소재로 제작되는 절연부재(532)가 삽입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 '202'는 축열매체를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204'는 열매체 오일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2: 축열매체 204: 열매체 오일
210: 방열관 220: 누수방지부재
222: 제1누수방지부재 224: 제2누수방지부재
230: 히팅선 240: 전원 공급선
250: 밀폐수단 260: 연결체
310: 밀폐 커버 312: 삽입요홈
314: 관통홀 320: 절연 마개
330: 제1체결너트 340: 제2체결너트

Claims (5)

  1. 축열매체와 열매체 오일이 격리되도록 충진되는 방열관;
    상기 방열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축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1누수방지부재와, 이 제1누수방지부재의 후방에 충진되는 열매체 오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제1누수방지부재와 이격되게 방열관에 삽입되는 제2누수방지부재 및 제1누수방지부재와 대향되는 위치에 삽입되어 축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3누수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누수방지부재;
    상기 누수방지부재를 관통하여 방열관에 충진되는 축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팅선과, 이 히팅선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을 전기적 연결시키는 연결체; 및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단부에 구성되어 방열관의 단부를 밀폐시키고, 히팅선 및 전원 공급선을 고정 및 절연시키는 밀폐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일측이 방열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요홈이 형성되고, 내주가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히팅선이 수용되는 밀폐 커버;
    밀폐 커버의 관통홀에 억지끼움되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절연 돌기가 형성되고, 연결체가 내장되는 절연 마개;
    밀폐 커버와 방열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제1체결너트; 및
    절연 마개를 가압하여 밀폐 커버와 절연 마개 사이의 틈을 막아 방열관의 단부를 완전 밀봉하고, 전원 공급선 및 히팅선이 관통하는 제2체결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일측이 방열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나사돌기가 형성된 삽입요홈과, 히팅선이 수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실링부재가 구비된 밀폐 커버;
    밀폐 커버의 관통홀에 억지끼움되며, 전원 공급선이 삽입되는 절연 돌기가 형성되고, 전원 공급선 및 히팅선을 전기적 연결시키는 연결체가 내장되는 절연 마개; 및
    상기 밀폐 커버의 후방으로 절연 마개를 가압하며 밀폐 커버와 체결되고, 전원 공급선이 삽입된 절연 돌기가 관통하는 고정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누수방지부재는 그 폭이 제1누수방지부재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 길게 형성되고, 이 제2누수방지부재의 내부에 상기 연결체가 수용되는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매체는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매체 오일은 히터용 난방오일, 또는 절연유로 이루어져 축열매체와 다른 비중에 의해 이 축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KR1020100041532A 2010-05-03 2010-05-03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KR100994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532A KR100994254B1 (ko) 2010-05-03 2010-05-03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532A KR100994254B1 (ko) 2010-05-03 2010-05-03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254B1 true KR100994254B1 (ko) 2010-11-12

Family

ID=4340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532A KR100994254B1 (ko) 2010-05-03 2010-05-03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2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852B1 (ko) 2011-09-01 2012-01-16 구상(주)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
KR101229952B1 (ko) * 2012-04-25 2013-02-06 (주)세진엘러텍 전열 난방파이프
KR102647725B1 (ko) * 2023-12-05 2024-03-14 상도전기공업 주식회사 씨오디 히터 절연 저하 방지 밀봉캡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523Y1 (ko) 2001-11-07 2002-03-12 조철현 전기난방 온수관의 밀폐장치
KR200331132Y1 (ko) 2003-07-29 2003-10-22 장찬식 난방용 전열온수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523Y1 (ko) 2001-11-07 2002-03-12 조철현 전기난방 온수관의 밀폐장치
KR200331132Y1 (ko) 2003-07-29 2003-10-22 장찬식 난방용 전열온수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852B1 (ko) 2011-09-01 2012-01-16 구상(주)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
KR101229952B1 (ko) * 2012-04-25 2013-02-06 (주)세진엘러텍 전열 난방파이프
KR102647725B1 (ko) * 2023-12-05 2024-03-14 상도전기공업 주식회사 씨오디 히터 절연 저하 방지 밀봉캡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852B1 (ko)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
KR100994254B1 (ko)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KR200404247Y1 (ko) 난방용 전열온수관의 밀폐장치
KR20190123620A (ko) 배관 동파 방지 장치
KR100517863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1502748B1 (ko) 난방용 전열관
KR100805703B1 (ko) 전열온수관 시스템
KR100859901B1 (ko)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구조
KR101716575B1 (ko) 펌프용 모터의 전력 인입장치
KR20090008801A (ko) 전기온돌의 히팅케이블 연결구조
KR101724414B1 (ko) 난방용 온수관
KR20100089628A (ko) 전열온수관의 열매체 누수방지장치
CN206774365U (zh) 一种高压电源
KR200337528Y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구조
KR200438715Y1 (ko) 온수보일러용 온도센서모듈
KR101514052B1 (ko) 난방용 전열 온수관의 밀폐 장치
KR101185486B1 (ko) 온수관 밀폐장치
KR200462711Y1 (ko)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과부하 방지장치
KR100923749B1 (ko) 전기식 열매체 난방장치
CN108150691B (zh) 一种防水电磁阀
KR20080004604U (ko) 온수관 전열선의 결합구조
KR100658448B1 (ko) 난방용 온수관
KR101198112B1 (ko)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 및 압력조절장치
KR100861426B1 (ko) 저전력 이중 방열관
KR101570414B1 (ko) 절연 피복된 스텐 주름관 난방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