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332Y1 - 수도의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수도의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332Y1
KR200462332Y1 KR2020110002387U KR20110002387U KR200462332Y1 KR 200462332 Y1 KR200462332 Y1 KR 200462332Y1 KR 2020110002387 U KR2020110002387 U KR 2020110002387U KR 20110002387 U KR20110002387 U KR 20110002387U KR 200462332 Y1 KR200462332 Y1 KR 200462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ozzle
amount
discharged
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석
Original Assignee
박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석 filed Critical 박문석
Priority to KR2020110002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3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3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꼭지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양이 일정량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수도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도꼭지와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서 토출되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수 개의 메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토출되는 물을 분배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하는 고정구; 상기 분배기에 수용되어서 물을 토출하는 노즐; 상기 노즐의 전방부에 설치되어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토출하는 절수노즐; 및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상기 하우징, 메쉬, 분배기, 고정구, 노즐 및 절수노즐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고무패킹;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수돗물을 사용할 때에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수도꼭지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양을 일정량으로 조절되어 사용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토출되어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도의 절수장치{Water saving device of waterwork}
본 고안은 수도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양이 일정량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수도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도장치는 급수관의 끝단에 수도꼭지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수도꼭지 본체의 상부에는 토출구로부터의 물 토출 및 차단을 제어하는 수도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수도밸브의 개폐에 따라 물이 토출구로 토출되거나 또는 차단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토출구로 토출되는 물은 수도밸브를 오픈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토출구를 통해서 토출하게 되고, 그 토출되는 물의 양은 단순히 수도밸브의 작동에 의해 조절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물의 토출량을 단순히 수도밸브의 작동을 통해서 조절되도록 하면 사용자는 손이나 얼굴을 씻을 때나 샤워기를 통해서 샤워를 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물이 토출되도록 하여 물이 필요 이상으로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수도꼭지의 밸브를 이용하여 물의 토출량을 조절하기가 힘든 어린이나 장애인이 물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서 그리고 물 절약 차원에서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를 통해서 적절한 양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하겠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돗물을 사용할 때에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수도꼭지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양이 일정량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토출되어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수도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양이 일정량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수도의 절수장치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도꼭지와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서 토출되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수 개의 메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토출되는 물을 분배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하는 고정구; 상기 분배기에 수용되어서 토출되는 물을 토출하는 노즐; 상기 노즐의 전방부에 설치되어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절수노즐;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상기 하우징, 메쉬, 분배기, 고정구, 노즐 및 절수노즐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고무패킹; 및 상기 노즐과 상기 절수노즐 사이에 삽입되어 구비된 제2 고무패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대한 상기 절수노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수노즐은, 물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일측이 좁고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다수 개의 관통공을 구비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관통공과 대응하여 구비되어서 상기 관통공으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조절공이 구비된 상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구비된 결합공에 끼워져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대한 상기 절수노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수노즐은, 물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다양한 크기의 관통공이 한쌍이 되어 다수 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관통공의 다수 개의 쌍과 대응하여 구비되어서 상기 관통공으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조절공이 구비된 상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대한 상기 절수노즐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수노즐은, 물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일측이 좁고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다수 개의 관통공과, 상부 외측에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를 구비한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관통공과 대응하여 구비되어서 상기 관통공으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조절공과, 하부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상기 회전 안내부를 따라 회동하는 다수 개의 볼 베어링이 구비된 상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구비된 결합공에 끼워져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수돗물을 사용할 때에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수도꼭지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양을 일정량으로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토출되어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어린이나 장애인이 수도꼭지를 틀어 사용할 때에도 많은 양의 물의 토출에 의한 낭비의 염려를 없애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의 절수노즐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절수노즐에 대한 결합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의 절수노즐에 대한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의 절수노즐이 장착된 수도의 절수장치가 수도꼭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의 절수노즐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의 절수노즐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의 절수노즐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절수노즐이 장착된 수도의 절수장치가 수도꼭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의 절수노즐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절수노즐에 대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의 절수노즐에 대한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의 절수노즐이 장착된 수도의 절수장치가 수도꼭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의 절수노즐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의 절수노즐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의 절수장치의 절수노즐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절수노즐이 장착된 수도의 절수장치가 수도꼭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양이 일정량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수도의 절수장치는, 커버(10), 하우징(20), 메쉬(30), 분배기(40), 고정구(50), 노즐(60), 절수노즐(70), 제1 고무패킹(80) 및 제2 고무패킹(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10)는 내부 또는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 등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커버(10)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다음에 기술될 메쉬(30), 분배기(40), 고정구(50), 및 노즐(60)을 내측에 포함하여서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쉬(30)는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되어서 토출되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배기(40)는 하우징(20)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메쉬(30)를 통해서 이물질이 걸러진 물을 토출하되, 토출되는 물의 수압이 조절되도록 물을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구(50)는 분배기(40)를 하우징(20) 내에서 이탈됨 없이 단단히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즐(60)은 다수 개의 구멍을 구비하여 분배기(40)에 수용되어서 토출되는 물을 배출하며, 이 또한 다수 개의 구멍을 통해서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절수노즐(70)은 노즐(60)의 전방부에 설치되어서 수도꼭지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이 사용목적에 따라 일정량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수노즐(70)에 대한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적당한 양으로 배출되게 하는 하부 플레이트(72)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에서 토출되는 물의 양이 적당한 양으로 조절되게 하는 상부 플레이트(74)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에는, 물의 토출량이 적당한 양으로 배출되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좁고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다수 개의 관통공(71)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71)이 좁은 쪽에서는 물의 양이 적게 토출되고 넓은 쪽으로 갈수록 많은 양이 토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72)에서 관통공(71)을 통해서 물의 토출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이 상부 플레이트(74)이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74)에는 하부 플레이트(72)의 관통공(71)과 대응하여 구비되어서 관통공(71)으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조절공(7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와 상부 플레이트(7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72)에 구비된 결합돌기(75)가 상부 플레이트(74)에 구비된 결합공(77)에 끼워져 서로 결합되되 서로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기 절수노즐(70)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토출량의 조절은, 하부 플레이트(72) 또는 상부 플레이트(74)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조절공(73)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에 구비된 관통공(7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면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플레이트(74)를 통해서, 적은 양의 물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71)의 좁은 쪽으로 조절공(73)이 오게 하고, 반대로 많은 양의 물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관통공(71)의 넓은 쪽으로 조절공(73)이 오게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절수노즐(70)이 장착된 절수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의 토출부에 설치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의 절수장치는 물이 토출되는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의 어느 부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수도꼭지의 밸브를 물의 토출양이 많게 또는 적게 되도록 개방한다 하더라도, 절수노즐(70)을 통해 셋팅된 물의 조절량으로 항상 일정하게 그리고 용도에 맞게 적절하게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절수노즐(70)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72)에 구비된 관통공(71)이 거의 반달 형상이 아닌 물의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관통공(71)이 한쌍을 이루도록 하여 다수 개의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부 플레이트(74)에 형성된 4개의 조절공(73)과 각각 대응되게 작은 관통공(71)부터 큰 관통공(71) 등의 다양한 크기의 형상을 가진 관통공(71)들이 쌍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물의 토출량에 대응하여 조절되도록 하였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부 플레이트(74)의 작은 관통공(71)과 하부 플레이트(74)의 조절공(73)이 통공되도록 결합되면 적은 양의 물이 토출(도 8참조)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74)의 큰 관통공(71)과 하부 플레이트(74)의 조절공(73)이 통공되도록 결합되면 많은 양의 물이 토출(도 9 참조)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에 구비된 한 쌍의 관통공(71)은 45°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74)의 조절공(73)이 45°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물의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절수노즐(7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부 플레이트(72)와 상부 플레이트(74)로 구성되나, 하부 플레이트(72)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74)의 회동 작용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 안내부(76)와 볼 베어링(78)이 구비된다.
이를 도 10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에는, 일 실시예와 같이 물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일측이 좁고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다수 개의 관통공(71)이 구비되며, 상부 외측에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7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74)에는, 일 실시예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72)의 관통공(71)과 대응하여 구비되어서 관통공(71)으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조절공(73)이 구비되며, 하부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서 하부 플레이트(72)의 회전 안내부(76)를 따라 회동하는 다수 개의 볼 베어링(7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와 상부 플레이트(74)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부 플레이트(72)에 구비된 결합돌기(75)가 상부 플레이트(74)에 구비된 결합공(77)에 끼워져 서로 결합되되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기 절수노즐(7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 토출량의 조절은, 하부 플레이트(72)에 구비된 회전 안내부(76)를 따라 상부 플레이트(74)에 구비된 볼 베어링(78)이 회동하면서, 그리고 조절공(73)이 관통공(71)을 따라 넓은 쪽 또는 좁은 쪽으로 이동하여 물이 토출되는 관통공(71)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플레이트(74)를 통해서 적은 양의 물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71)의 좁은 쪽으로 조절공(73)이 오게 하고, 반대로 많은 양의 물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관통공(71)의 넓은 쪽으로 조절공(73)이 오게 한다.
이때, 물의 적절한 양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절수노즐(70)의 셋팅은 상기 볼 베어링(78)이 회전 안내부(76)의 홈에 안착되게 한 후, 소정의 힘을 가하여 하부 플레이트(72) 또는 상부 플레이트(74)를 회전시킬 때까지 자동적으로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제어되면서, 상기 조절공(73)과 관통공(71)이 대응하되 적절한 물 토출 통로를 형성시킴에 따라서 일정량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의 토출량을 용도에 맞게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부 플레이트(72) 또는 상부 플레이트(74)를 회전시켜서 관통공(71)의 크기에 대응되게 조절공(73)이 오게 하고 그리고 회전 안내부(76)의 홈에 볼 베어링(78)이 안착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적절한 물 토출량으로 배출되도록 셋팅된 절수노즐(70)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절수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의 토출부에 설치하면 된다.
따라서, 수도꼭지의 밸브를 물의 토출양이 많게 또는 적게 개방시킨다 하더라도 절수노즐(70)의 셋팅된 물의 조절량으로 항상 일정하게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고무패킹(80)은 커버(10)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물 토출 수압에 의한 하우징(20), 메쉬(30), 분배기(40), 고정구(50), 노즐(60) 및 절수노즐(7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노즐(60)과 절수노즐(70) 사이에는 물 토출 수압에 더욱 잘 견딜 수 있도록 제2 고무패킹(90)이 삽입되어 구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수노즐(70)을 장착한 절수장치의 사용 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절수노즐(70)을 사용 목적에 따라 일정량으로 물이 배출되게 조절하여 셋팅한 후 절수장치에 장착한다.
그런 후, 상기 절수장치를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의 물이 토출되는 부위에 장착한 후 수도밸브를 틀게 되면, 물이 양이 항상 일정하게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커버 20: 하우징
30: 메쉬 40: 분배기
50: 고정구 60: 노즐
70: 절수노즐 71: 관통공
72: 하부 플레이트 73: 조절공
74: 상부 플레이트 75: 결합돌기
76: 회전 안내부 77: 결합공
78: 볼 베어링 80: 제1 고무패킹
90: 제2 고무패킹

Claims (6)

  1. 수도꼭지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양이 일정량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수도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도꼭지와 결합되는 커버(10);
    상기 커버(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되어서 토출되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수 개의 메쉬(30);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토출되는 물을 분배하는 분배기(40);
    상기 분배기(40)를 상기 하우징(20) 내에 고정하는 고정구(50);
    상기 분배기(40)에 수용되어서 물을 토출하는 노즐(60);
    상기 노즐(60)의 전방부에 설치되어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토출하는 절수노즐(70);
    상기 커버(10)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상기 하우징(20), 메쉬(30), 분배기(40), 고정구(50), 노즐(60) 및 절수노즐(7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고무패킹(80); 및
    상기 노즐(60)과 상기 절수노즐(70) 사이에 삽입되어 구비된 제2 고무패킹(9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의 절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수노즐(70)은,
    물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일측이 좁고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다수 개의 관통공(71)을 구비한 하부 플레이트(72)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의 관통공(71)과 대응하여 구비되어서 상기 관통공(71)으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조절공(73)이 구비된 상부 플레이트(74)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에 구비된 결합돌기(75)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74)에 구비된 결합공(77)에 끼워져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의 절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수노즐(70)은,
    물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크기가 다른 다수 개의 관통공(71)이 한쌍이 되어 다수 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하부 플레이트(72)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의 쌍을 이루고 있는 다수 개의 관통공(71)과 대응하도록 구비되어서 상기 관통공(71)으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조절공(73)이 구비된 상부 플레이트(7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의 절수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절수노즐(70)에 의한 물 토출량의 조절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74)의 상기 조절공(73)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에 구비된 관통공(71)과 대응하도록 셋팅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의 절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수노즐(70)은,
    물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일측이 좁고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다수 개의 관통공(71)과, 상부 외측에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76)를 구비한 하부 플레이트(72)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의 관통공(71)과 대응하도록 구비되어서 상기 관통공(71)으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조절공(73)과, 하부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상기 회전 안내부(76)를 따라 회동하는 다수 개의 볼 베어링(78)이 구비된 상부 플레이트(74)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에 구비된 결합돌기(75)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74)에 구비된 결합공(77)에 끼워져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의 절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절수노즐(70)에 의한 물 토출량의 조절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72)에 구비된 상기 회전 안내부(76)를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74)에 구비된 볼 베어링(78)이 회동하면서, 상기 조절공(73)이 관통공(71)을 따라 이동하되 물이 토출되는 관통공(71)의 크기에 대응하여 셋팅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의 절수장치.


KR2020110002387U 2011-03-23 2011-03-23 수도의 절수장치 KR200462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387U KR200462332Y1 (ko) 2011-03-23 2011-03-23 수도의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387U KR200462332Y1 (ko) 2011-03-23 2011-03-23 수도의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332Y1 true KR200462332Y1 (ko) 2012-09-06

Family

ID=4707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387U KR200462332Y1 (ko) 2011-03-23 2011-03-23 수도의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33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755A (ko) 2015-04-03 2016-10-12 김차동 수도꼭지용 절수장치
KR20190125117A (ko) 2018-04-27 2019-11-06 최의택 자동 조절기능과 절수기능을 갖는 수전
KR102092224B1 (ko) 2019-11-28 2020-03-23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KR102096569B1 (ko) 2019-11-28 2020-04-02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WO2021107245A1 (ko) 2019-11-28 2021-06-03 권복민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103Y1 (ko) 2000-05-12 2000-10-02 이후정 샤워헤드
KR100804725B1 (ko) 2004-09-07 2008-02-19 아이랜드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유량제어밸브
JP2008297862A (ja) 2007-06-04 2008-12-11 Yoshiki Tatemori 節水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節水具
JP2011033133A (ja) 2009-08-03 2011-02-17 Toyo Keiki Co Ltd 流量調整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103Y1 (ko) 2000-05-12 2000-10-02 이후정 샤워헤드
KR100804725B1 (ko) 2004-09-07 2008-02-19 아이랜드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유량제어밸브
JP2008297862A (ja) 2007-06-04 2008-12-11 Yoshiki Tatemori 節水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節水具
JP2011033133A (ja) 2009-08-03 2011-02-17 Toyo Keiki Co Ltd 流量調整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755A (ko) 2015-04-03 2016-10-12 김차동 수도꼭지용 절수장치
KR20190125117A (ko) 2018-04-27 2019-11-06 최의택 자동 조절기능과 절수기능을 갖는 수전
KR102092224B1 (ko) 2019-11-28 2020-03-23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KR102096569B1 (ko) 2019-11-28 2020-04-02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WO2021107245A1 (ko) 2019-11-28 2021-06-03 권복민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US11933030B2 (en) 2019-11-28 2024-03-19 Rüscho-Schotenröhr GmbH Fluid flow control device for faucet pie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332Y1 (ko) 수도의 절수장치
US7937784B2 (en) Parent-child showerhead
BRPI0912776A2 (pt) unidade de emergÊncia para lavagem dos olhos, e unidade para lavagem de emergÊncia
US20100327082A1 (en) Water-saving device
KR20180048029A (ko) 여과기능 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KR101323466B1 (ko) 유량 조절 기능을 갖는 수도기기 장착용 절수장치
US10895065B2 (en) Single cavity diverter valve
KR101298923B1 (ko) 버블 효과가 극대화된 주방용 샤워기
KR101364886B1 (ko) 절수형 샤워기 헤드
WO2018137509A1 (zh) 一种直通式切换阀
CN101949462B (zh) 一种多功能出水龙头
JP2009287358A (ja) 弁体と流量制御弁
KR101654417B1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헤드
KR102371303B1 (ko)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CN107952596B (zh) 一种出水结构及花洒
KR101203450B1 (ko) 화상방지 수도꼭지
JP3208590U (ja) 浄水器
WO2018126903A1 (zh) 一种排残留水切换组件
JP2014124349A (ja) シャワー吐水装置
KR200473265Y1 (ko) 비데 기능을 갖는 관장기
KR100841022B1 (ko) 급수 및 차단이 용이한 수량조절밸브의 구조
KR101919565B1 (ko) 수전용 절수장치
US11933030B2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for faucet piece
KR200351110Y1 (ko) 비데용 삼방 유량조절장치
KR101256128B1 (ko)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