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565B1 - 수전용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전용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565B1
KR101919565B1 KR1020170089205A KR20170089205A KR101919565B1 KR 101919565 B1 KR101919565 B1 KR 101919565B1 KR 1020170089205 A KR1020170089205 A KR 1020170089205A KR 20170089205 A KR20170089205 A KR 20170089205A KR 101919565 B1 KR101919565 B1 KR 101919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ear
drainage
circumferential surface
dow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성
Original Assignee
정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성 filed Critical 정혜성
Priority to KR102017008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수도꼭지)에서 사용되는 물을 절약하기 위한 수전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외부 동력없이 토수와 지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토수와 지수의 시간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물 사용 패턴에 맞게 토수가 이루어져 사용자가 필요한 시기에 편리하게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을 절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전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전용 절수장치{WATER SAVING DEVICE FOR FAUCET}
본 발명은 수전(수도꼭지)에서 사용되는 물을 절약하기 위한 수전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외부 동력없이 토수와 지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토수와 지수의 시간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물 사용 패턴에 맞게 토수가 이루어져 사용자가 필요한 시기에 편리하게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을 절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전용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 샤워기, 개수대 등의 각종 설비에 있어서 물의 공급을 단속하거나 물이 흐르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급수관의 말단부에는 수전(수도꼭지)이 설치되며, 이 수전에는 개폐조작을 통해 토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레버나 핸들과 같은 개폐수단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수전에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해 세면이나 양치할 때를 살펴보면, 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세안제를 얼굴에 묻혀 문지를 때나 얼굴에 묻어있는 세안제를 물로 세척하는 동안에는 물을 사용하지 않게 되고, 칫솔로 치아를 닦은 후 물로 입안을 헹구는 과정에서도 물을 사용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물을 사용하지 않는 순간에도 수전에서 물이 배출되지 않게 개폐수단으로 잠그거나 물을 사용할 때마다 일일이 개폐수단을 조작하기 귀찮다는 이유로 물이 흐르도록 내버려두어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수전에서 적은 양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폐수단을 미세하게 조작하여 하는데, 이러한 미세 조작이 쉽지 않아 토수량을 조절하는 동안 물이 버려지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 현상이 심각한 상황을 겪고 있어, 물의 소비를 줄이는 것은 물론 불필요하게 버려지는 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 제1273399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6-0001467호 등과 같이 물을 절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수전에 설치할 수 있는 절수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절수장치들은 토수량을 절감시켜 절수를 하도록 된 것이어서, 결국 물을 잠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자가 개폐수단으로 수전을 잠궈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였다가 다시 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개폐수단으로 수전을 열어 물이 배출되도록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결국 사용자가 매번 개폐수단으로 토수와 지수가 반복되도록 조작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물이 흐르도록 내버려 두어 불필요하게 물이 낭비되는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03-0070507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985022호 등을 통해서는 수전에서 결합되는 절수장치에 별도의 보조레버를 탄성 지지되게 설치하여, 개폐수단으로 수전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열어둔 상태에서 보조레버를 밀었을 때에만 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보조레버를 밀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체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물이 배출되지 않게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물이 버려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보조레버를 이용한 절수장치들은 반드시 사용자가 보조레버를 밀어야 하기 때문에 양손을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273399호(2013.06.04등록, 수전용 절수기)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6-0001467호(2016.05.09.공개, 수전용 절수장치) 한국공개특허 제2003-0070507호(2003.08.30.공개, 토수구 자동 개폐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985022호(2010.09.28.등록, 수도물 절수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기기에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고, 외부 동력없이 토수와 지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토수와 지수가 반복되는 시간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물 사용 패턴에 맞게 토수가 이루어져 사용자가 필요한 시기에 편리하게 물을 사용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불필요하게 물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을 절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전용 절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레버의 개폐 동작에 의해 토수 또는 지수되는 수전의 끝단부에 상측으로 위치되게 설치되고, 중심축에 마련된 선기어의 외주면과 테두리부에 마련된 링기어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유성기어가 기어 결합되어 상기 선기어의 회전력이 링기어에 전달되게 설치되며, 그 링기어의 외주면 일측에는 수전에서 배출된 물이 하방으로 토수되도록 하는 상부배수공간이 형성된 기어몸체; 상기 기어몸체의 하부에 상기 선기어와 함께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전에서 배출되는 수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물흐름안내공간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테두리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도록 상기 물흐름안내공간에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배수제한부재; 상기 회전체와 배수제한부재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유성기어와 링기어의 하면이 상면에 접촉되게 설치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배수제한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외주면 상측에는 고정턱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상부배수공간으로 배출된 물을 하방으로 토수시키는 하부배수공간이 형성되며, 그 하부배수공간의 상측은 상기 링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형성된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 배수제한부재, 회전체, 기어몸체가 수용되고, 상기 수전의 끝단부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턱부의 하면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턱부가 형성된 중공체 형상의 하우징;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선기어에 결합되고 상기 물흐름안내공간으로 공급된 물의 압력에 의해 밀려나는 가이드부가 일측변에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배수제한부재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변을 편심된 위치에서 감싸고 상기 물흐름안내공간이 날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측벽부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턱부는 상기 수전에서 배출된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상기 배수제한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기어몸체의 하면이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부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된 하향지지턱과, 그 하향지지턱에 지지된 상태를 벗어나도록 상기 배수제한부재의 하면을 상측으로 들어올렸을 때 상기 수전에서 배출된 수압으로 상기 배수제한부재를 하방으로 가압된 상기 배수제한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기어몸체의 하면이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으로 이격되게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향지지턱 사이마다 반복되게 형성된 상향지지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제한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배수제한부재의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할 때마다 상기 하향지지턱과 상향지지턱에 번갈아가며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수전의 끝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그 숫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그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전의 끝단부 외주면에 체결부재로 가압 고정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절수장치는 수도기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외부 동력없이 수전에서 배출되는 수압에 의해 토수와 지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수전에 설치된 개폐레버를 이용해 토수와 지수가 반복되는 시간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자의 물 사용 패턴에 맞게 토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한 시기에 편리하게 물을 사용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불필요하게 물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을 절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절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절수장치를 통해 토수될 때와 지수될 때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절수장치가 결합수단을 매개로 수전의 끝단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절수장치의 하부몸체에는 하향지지턱과 상향지지턱이 형성되고, 배수제한부재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절수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절수장치는 개폐레버(20)의 개폐 동작에 의해 토수 또는 지수되는 수전(10)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기어몸체(100), 회전체(200), 배수제한부재(300), 하부몸체(400), 하우징(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기어몸체(100)는 수전(10)의 끝단부에 상측으로 위치되게 설치되고, 중심축에 마련된 선기어(110)의 외주면과 테두리부에 마련된 링기어(130)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유성기어(120)가 기어 결합되어 선기어(110)의 회전력이 링기어(130)에 전달되게 설치되며, 링기어(130)의 외주면 일측에는 수전(10)에서 배출된 물이 하방으로 토수되도록 하는 상부배수공간(131) 이형성된다.
다시 말해, 선기어(11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유성기어(120)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어 결합되고, 그 각 유성기어(120)의 외주면에는 링기어(130)의 내주면이 내접된 상태로 기어 결합되게 설치된 것으로써, 일 예를 들어 선기어(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복수개의 유성기어(120)는 각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링기어(130)는 유성기어(120)가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되는 것이며, 반대로 선기어(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유성기어(120)와 링기어(130)는 모두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의 회전체(200)는 기어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선기어(110)와 축결합 또는 기어결합되어 선기어(110)와 함께 회전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전(10)에서 배출되는 수압에 의해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물흐름안내공간(210)이 형성되는 것으로, 개폐레버(20)를 열어 수전(10)에서 물이 배출되어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되면 회전체(200)는 그 물흐름안내공간(210)에 가해진 수압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력은 결국 회전체(200)와 결합된 선기어(110)를 통해 기어몸체(100)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의 물흐름안내공간(210)은 회전체(200)가 수압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체(200)의 원주방향으로 날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체(200)의 회전방향은 날개 형상의 끝단부 위치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배수제한부재(300)는 회전체(200)의 테두리 하부에 설치되어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는 배수제한부재(30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수전(10)에서 배출된 물이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되더라도 하방으로 모두 배출되어 회전체(200)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것을 강제로 제한하여 회전체(20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배수제한부재(300)에는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된 물이 신속하게 배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된 물에 의한 압력이 배수제한부재(300)에 과도하게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미세배수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하부몸체(400)는 중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체(200)와 배수제한부재(30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유성기어(120)와 링기어(130)의 하면이 접촉되게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하부몸체(400)의 상측에 위치한 기어몸체(100)의 하측으로 회전체(200)와 배수제한부재(30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수제한부재(300)의 하면을 지지하는 단턱부(410)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몸체(400)의 상측 외주면에는 고정턱부(42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상부배수공간(131)으로 유입된 물을 하방으로 토수시키는 하부배수공간(430)이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하부배수공간(430)의 상측은 회전체(200)의 회전력이 기어몸체(100)에 전달되어 링기어(130)가 회전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된다.
상기의 하우징(500)은 중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몸체(400), 배수제한부재(300), 회전체(200), 기어몸체(100)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위치되게 수용되고, 수전(10)의 끝단부에 결합수단(600)을 매개로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고정턱부(420)의 하면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턱부(51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전용 절수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수전용 절수장치를 수전(10)의 끝단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수전(10)에 설치된 개폐레버(20)를 개방하여 물이 배출되기 시작하면, 먼저 기어몸체(100)를 이루는 유성기어(120)의 사이 공간과 상부배수공간(131)으로 물이 유입되고, 유성기어(120)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 물은 다시 기어몸체(100)의 하측에 설치된 회전체(200)의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되며, 물흐름안내공간(210)에 물이 유입되면 그 유입된 물의 압력에 의해 회전체(20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수압에 의해 생성된 회전체(200)의 회전력은 선기어(110)에 전달되고, 선기어(110)의 회전력은 유성기어(120)에 전달되며, 유성기어(120)에 전달된 회전력은 다시 링기어(130)에 전달되어, 기어몸체(100)가 전체적으로 회전하게 되며, 기어몸체(100)를 이루는 각 구성의 회전 방향은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200)의 회전력이 기어몸체(100)에 전달되어 링기어(13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하부몸체(400)에 형성된 하부배수공간(430)의 상측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기어(130)에 의해 개방과 폐쇄를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의 링기어(13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부배수공간(1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링기어(130)가 회전함에 따라 도 4의 (a)처럼 하부배수공간(430)이 일부 또는 전부 개방된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상부배수공간(131)으로 유입된 물이 하부배수공간(430)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며 토수가 이루어지다가, 다시 도 4의 (b)처럼 하부배수공간(430)의 상측이 링기어(130)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지수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수전(10)에서 배출되는 물이 토수와 지수를 반복하는 시간은 링기어(130)의 회전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이고, 이러한 링기어(130)의 회전속도는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된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200)의 회전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이므로, 개폐레버(20)를 완전히 개방시켜 수전(10)에서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였을 때에는 토수와 지수가 짧은 간격으로 반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개폐레버(20)를 점차 폐쇄시켜 수전(1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점차 줄어들게 하였을 때에는 토수와 지수의 시간 간격이 점차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전용 절수장치는 별도의 외부 동력없이 수전(10)에서 배출되는 수압에 의해 토수와 지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개폐레버(20)를 이용해 토수와 지수가 반복되는 시간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는 패턴에 맞게 토수되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불필요하게 물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토수와 지수가 반복되는 시간 간격을 사용자의 패턴에 맞게 조절하였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항시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만 물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토수된 물이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절수장치는 토수와 지수가 반복되는 것이어서 토수된 물이 버려지는 상태가 되었다가도 곧이어 지수된 상태가 되므로, 불필요하게 버려지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절수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회전체(200)는 선기어(110)에 결합되고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된 물의 압력에 의해 밀려나는 회전가이드부(221)가 일측변에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부재(220)와, 배수제한부재(300)의 하면에 설치되어 회전부재(220)의 외측면을 편심된 위치에서 감싸고 물흐름안내공간(210)이 날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측벽부재(230)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부재(220)는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된 물의 압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에 해당하고, 회전가이드부(221)는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된 물의 압력이 회전부재(220)에 더욱 원활하게 가해지도록 하기 위해 돌출되게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측벽부재(230)는 회전체(200)와 배수제한부재(30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물흐름안내공간(210)이 회전체(200)에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며, 회전부재(220)를 측벽부재(230)의 중심이 아닌 편심된 위치에 설치시킨 이유는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그 수압이 회전부재(220)에 충분히 가해져 기어몸체(10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생성시키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에서 결합수단(600)은 수전(10)의 끝단부에 하우징(500) 즉, 하부몸체(400), 배수제한부재(300), 회전체(200), 기어몸체(100)가 수용된 상태의 하우징(500)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결합수단(600)은 도 5a와 같이 수전(10)의 끝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610)와, 그 숫나사부(610)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우징(500)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6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수단(600)은 종래의 수전(10) 끝단부에 에어레이터를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 적합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더해, 상기의 결합수단(600)은 하우징(500)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620)와, 그 암나사부(620)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나사부(631)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수전(10)의 끝단부 외주면에 체결부재(640)로 가압 고정되는 연결부재(63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전(10)의 끝단부 내주면에 하우징(500)의 암나사부(620)가 나사 결합될 수 없는 경우는 물론 수전(10)의 끝단부 직경이나 형상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절수장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몸체(4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410)가 직각삼각형 형상의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톱니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단턱부(410)는 배수제한부재(300)가 지지되었을 때 기어몸체(100)의 하면이 하부몸체(40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하향지지턱(411)과, 그 하향지지턱(411)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반복 형성되어 배수제한부재(300)가 지지되었을 때 기어몸체(100)의 하면이 하부몸체(400)의 상면으로 이격되게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상향지지턱(41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향지지턱(411)은 다시 배수제한부재(300)가 하향 이동되게 안내하는 하향지지경사면(411b)과, 그 하향지지경사면(411b)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배수제한부재(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하향수직지지변(411a)으로 이루어지고, 상향지지턱(412)은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하향지지경사면(411b)을 벗어난 배수제한부재(300)가 하향 이동되게 안내하는 상향지지경사면(412b)과, 그 상향지지경사면(412b)의 일정 높이에 상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배수제한부재(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향수직지지변(412a)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의 하향지지경사면(411b)과 상향지지경사면(412b)은 기울기를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하향수직지지변(411a)과 상향수직지지변(412a)을 각각 반복해서 벗어난 배수제한부재(300)가 하향지지경사면(411b)과 상향지지경사면(412b) 모두에서 원활하게 하향 이동되어 하향수직지지변(411a)과 상향수직지지변(412a) 각각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배수재한부재의 외주면에는 배수제한부재(300)의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할 때마다 하향지지턱(411)과 상향지지턱(412)에 번갈아가며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턱(320)이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턱(320)은 하측으로 수직되게 돌출되어 하향수직지지변(411a)과 상향수직지지변(412a)에 번갈아가며 지지되는 걸림지지변(321)과, 그 걸림지지변(321)의 하향된 끝단에서 하향지지경사면(411b)과 상향지지경사면(412b)에 지지되는 걸림경사면(322)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향지지턱(411)과 상향지지턱(412)에 지지된 배수제한부재(300)를 상측으로 들어 올려 하향수직지지변(411a) 또는 상향수직지지변(412a)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면 배수제한부재(300)는 하향지지경사면(411b) 또는 상향지지경사면(412b)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향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수전(10)에서 배출되어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지 못하게 제한하는 배수제한부재(300)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단턱부(410)를 하향지지턱(411)과 상향지지턱(412)으로 형성하고, 배수제한부재(300)에 걸림턱(320)을 형성함으로써, 배수제한부재(300)의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할 때마다 걸림턱(320)이 하향지지턱(411)에 지지되거나 상향지지턱(412)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걸림턱(320)이 하향지지턱(411)에 지지된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토수와 지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배수제한부재(300)의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걸림턱(320)이 상향지지턱(412)에 지지된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연속적인 토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전용 절수장치는 수도기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외부 동력없이 수전(10)에서 배출되는 수압에 의해 토수와 지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수전(10)에 설치된 개폐레버(20)를 이용해 토수와 지수가 반복되는 시간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자의 물 사용 패턴에 맞게 토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으로 연속적으로 토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토수와 지수가 반복되도록 조절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시기에 편리하게 물을 사용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불필요하게 물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을 절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0 : 수전 20 : 개폐레버
100 : 기어몸체 110 : 선기어
120 : 유성기어 130 : 링기어
131 : 상부배수공간
200 : 회전체 210 : 물흐름안내공간
220 : 회전부재 221 : 회전가이드부
230 : 측벽부재
300 : 배수제한부재 310 : 미세배수홀
320 : 걸림턱 321 : 걸림지지변
322 : 걸림경사면
400 : 하부몸체 410 : 단턱부
411 : 하향지지턱 411a : 하향수직지지변
411b : 하향지지경사면 412 : 상향지지턱
412a : 상향수직지지변 412b : 상향지지경사면
420 : 고정턱부 430 : 하부배수공간
500 : 하우징 510 : 지지턱부
600 : 결합수단 610 : 숫나사부
620 : 암나사부 630 : 연결부재
631 : 연결나사부 640 : 체결부재

Claims (5)

  1. 개폐레버(20)의 개폐 동작에 의해 토수 또는 지수되는 수전(10)의 끝단부에 상측으로 위치되게 설치되고, 중심축에 마련된 선기어(110)의 외주면과 테두리부에 마련된 링기어(130)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유성기어(120)가 기어 결합되어 상기 선기어(110)의 회전력이 링기어(130)에 전달되게 설치되며, 그 링기어(130)의 외주면 일측에는 수전(10)에서 배출된 물이 하방으로 토수되도록 하는 상부배수공간(131)이 형성된 기어몸체(100);
    상기 기어몸체(100)의 하부에 상기 선기어(110)와 함께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전(10)에서 배출되는 수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물흐름안내공간(210)이 형성된 회전체(200);
    상기 회전체(200)의 테두리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200)가 회전되도록 상기 물흐름안내공간(210)에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배수제한부재(300);
    상기 회전체(200)와 배수제한부재(30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유성기어(120)와 링기어(130)의 하면이 상면에 접촉되게 설치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배수제한부재(300)의 하면을 지지하는 단턱부(410)가 형성되며, 외주면 상측에는 고정턱부(42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상부배수공간(131)으로 배출된 물을 하방으로 토수시키는 하부배수공간(430)이 형성되며, 그 하부배수공간(430)의 상측은 상기 링기어(130)가 회전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형성된 하부몸체(400);
    상기 하부몸체(400), 배수제한부재(300), 회전체(200), 기어몸체(100)가 수용되고, 상기 수전(10)의 끝단부에 결합수단(600)을 매개로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턱부(420)의 하면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턱부(510)가 형성된 중공체 형상의 하우징(50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0)는 상기 선기어(110)에 결합되고 상기 물흐름안내공간(210)으로 유입된 물의 압력에 의해 밀려나는 회전가이드부(221)가 일측변에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부재(220)와, 상기 배수제한부재(30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220)의 외측변을 편심된 위치에서 감싸고 상기 물흐름안내공간(210)이 날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측벽부재(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410)는 상기 수전(10)에서 배출된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상기 배수제한부재(300)를 지지하여 상기 기어몸체(100)의 하면이 상기 하부몸체(40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부몸체(400)의 내주면을 따라 반복되게 형성된 하향지지턱(411)과, 그 하향지지턱(411)에 지지된 상태를 벗어나도록 상기 배수제한부재(300)의 하면을 상측으로 들어올렸을 때 상기 수전(10)에서 배출된 수압으로 상기 배수제한부재(300)를 하방으로 가압된 상기 배수제한부재(300)를 지지하여 상기 기어몸체(100)의 하면이 상기 하부몸체(400)의 상면으로 이격되게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향지지턱(411) 사이마다 반복되게 형성된 상향지지턱(4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제한부재(300)는 외주면에 상기 배수제한부재(300)의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할 때마다 상기 하향지지턱(411)과 상향지지턱(412)에 번갈아가며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턱(320)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600)은 상기 수전(10)의 끝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610)와 그 숫나사부(610)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500)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6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절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600)은 상기 하우징(500)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620)와, 그 암나사부(620)에 나사결합되는 연결나사부(631)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전(10)의 끝단부 외주면에 체결부재(640)로 가압 고정되는 연결부재(6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절수장치.


KR1020170089205A 2017-07-13 2017-07-13 수전용 절수장치 KR101919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205A KR101919565B1 (ko) 2017-07-13 2017-07-13 수전용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205A KR101919565B1 (ko) 2017-07-13 2017-07-13 수전용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565B1 true KR101919565B1 (ko) 2018-11-16

Family

ID=6456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205A KR101919565B1 (ko) 2017-07-13 2017-07-13 수전용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5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198Y1 (ko) 2000-03-03 2000-11-15 정지문 자화맛사지샤워기
KR200235715Y1 (ko) 2001-03-29 2001-10-10 반풍덕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100672948B1 (ko) 2006-02-17 2007-01-22 김연복 다기능 샤워기
JP2013177810A (ja) 2012-02-07 2013-09-09 Hiroshi Kato 流量制御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198Y1 (ko) 2000-03-03 2000-11-15 정지문 자화맛사지샤워기
KR200235715Y1 (ko) 2001-03-29 2001-10-10 반풍덕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100672948B1 (ko) 2006-02-17 2007-01-22 김연복 다기능 샤워기
JP2013177810A (ja) 2012-02-07 2013-09-09 Hiroshi Kato 流量制御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943B1 (ko) 세면기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필터 토수구
KR20100136655A (ko) 세면기
KR101919565B1 (ko) 수전용 절수장치
KR200462332Y1 (ko) 수도의 절수장치
CN209839222U (zh) 一种带漱口水功能的龙头
KR20050088971A (ko) 샤워기용 잔류수 제거장치
CN105421561B (zh) 一种立式节水小便池
CN101131215A (zh) 一种上下都可以出水的水龙头
CN110594443A (zh) 一种带漱口水功能的龙头
CN214302001U (zh) 带拖把池的洗手盆及盥洗室
KR100424411B1 (ko) 씽크대의 절수장치
KR100992711B1 (ko) 샤워기헤드
KR101904724B1 (ko) 변기 세정제 토출량 조절 장치
CN203440870U (zh) 一种新型可冲洗盥洗盆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KR200470879Y1 (ko) 수돗물 분출 기구
CN216810133U (zh) 一种洗手台盆
KR20090117035A (ko)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KR200362932Y1 (ko) 좌식 샤워기
KR200198051Y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KR200282952Y1 (ko) 방사형의 수로를 갖는 절수형 좌변기
KR200307819Y1 (ko) 절수 및 사용이 편리한 샤워기
KR200375463Y1 (ko) 하나의 핸들로 수온조절과 자폐 및 즉시지수가 가능한욕실·주방용 샤워기
KR200328287Y1 (ko) 다용도 샤워기
KR200262721Y1 (ko) 절수형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