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932Y1 - 좌식 샤워기 - Google Patents

좌식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932Y1
KR200362932Y1 KR20-2004-0019089U KR20040019089U KR200362932Y1 KR 200362932 Y1 KR200362932 Y1 KR 200362932Y1 KR 20040019089 U KR20040019089 U KR 20040019089U KR 200362932 Y1 KR200362932 Y1 KR 200362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cylinder
piston
water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20-2004-0019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9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식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 목욕탕에서 앉아서 머리를 감을 때 한 손으로 샤워기를 잡고 다른 손으로 머리를 감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온냉수 혼합밸브(100)와 자폐밸브(200)가 구비된 샤워수전 몸통(10)의 상부에 다각으로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관(20)을 연결하고 이 플렉시블관(20)의 말단에 샤워헤드(30)를 부착한 것으로, 온냉수 혼합밸브(100)를 적절하게 조절한 후 자폐밸브(200)의 푸시버튼(230)을 누르면 일정시간동안 샤워헤드로 출수가 되다가 저절로 지수가 되어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샤워헤드 거치구를 벽면에 부착할 필요가 없으며, 플렉시블관을 다양한 각도로 구부려 원하는 방향으로 샤워헤드에서 물이 배출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자폐밸브는 정해진 자폐시간 이내에 물의 사용이 종료되면 버튼을 잡아당겨 즉시 지수시킬 수 있고, 실린더 내부로 공급되는 작동수를 위한 오리피스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좌식 샤워기{seated-down type shower}
본 고안은 좌식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목욕탕에서 앉아서 머리를 감을 때 한 손으로 샤워기를 잡고 다른 한 손만으로 머리를 감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온냉수 혼합밸브와 자폐밸브가 구비된 샤워수전 몸통의 상부에 다각으로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고 이 플렉시블관의 말단에 샤워헤드를 부착한 것이며, 자폐밸브는 정해진 자폐시간 이내에 물의 사용이 종료되면 버튼을 잡아당겨 즉시 지수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실린더 내부로 공급되는 작동수를 위한 오리피스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대중목욕탕에는 샤워헤드가 벽면에 사람 키보다 높게 설치된 입식 샤워기와 앉은 상태에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식 샤워기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좌식 샤워기는 벽면 내부에 설치된 온냉수 배관에 연결된 샤워수전 몸통에서 길다란 샤워호스가 연결되고, 이 호스 말단에 샤워헤드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샤워헤드는 벽면의 소정위치에 부착된 홀더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하거나 샤워헤드를 홀더에서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물의 낭비를 막기 위하여 샤워수전 몸통 또는 샤워헤드에 절수용 버튼이나 자폐밸브가 구비된 것도 사용되고 있는데, 샤워헤드에 절수용 버튼이 부착된 것은 사용시 샤워헤드를 잡고 있는 손에 힘을 주어 버튼을 누르고 있어야 했으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한 손은 전혀 사용이 불가능하였고, 샤워수전 몸통에 자폐밸브가 구비된 것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지수가 되는 장점은 있었으나, 이 또한 기존의 일반적인 좌식 샤워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샤워헤드를 손으로 들고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머리를 감는 경우에서와 같이 양 손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샤워헤드를 홀더에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샤워헤드에서의 물 분사각도와 방향에 제한을 받게 되므로 신장(身長)이 각기 다른 사람 즉, 일반 성인과 어린이들이 모두 편리하게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목욕탕에 설치된 좌식 샤워기를 사용할 때 양 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머리를 감을 수 있고, 벽면에 별도의 샤워헤드 홀더를 부착하지 않고도 샤워헤드를 지지할 수 있으며, 신장이 각기 다른 여러 사람이 자신의 요구에 맞게 샤워헤드의 물 분사각도와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좌식 샤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한 목적에 더하여 샤워기 몸통에 자폐밸브를 설치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스스로 지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물의 낭비를 막되, 출수 도중에 물의 사용이 끝난 경우에는 즉시 지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자폐밸브에서 문제시되었던 물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또, 작동수가 공급되는 오리피스가 수돗물 중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자폐밸브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유지보수가 필요 없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온냉수 혼합밸브와 자폐밸브가 몸통에 구비된 샤워수전에 있어서, 몸통의 상부에 다각으로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관이 연결되고, 이 플렉시블관의 말단에는 샤워헤드가 부착되며, 이 플렉시블관은 몸통의 상부에 하단이 결합되는 직관부와, 이 직관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샤워헤드가 부착된 유연부로 이루어져 유연부를 임의로 구부려 샤워헤드의 물 분사각도와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좌식 샤워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자폐밸브는 몸통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을 관통하는 스핀들과, 이 스핀들의 상부에 결합되는 푸시버튼과, 이 푸시버튼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과,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와, 스핀들의 하부에 결합되는 피스톤 및 이 피스톤이 삽입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실린더의 하단에는 피스톤을 밀어 올리기 위한 작동수가 유입되는 오리피스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내부 하측의 직경이 작은 소직경부와 이 소직경부 상부에 피스톤 외측의 패킹보다 큰 내경을 갖는 대직경부가 형성되며, 이 대직경부의 외곽으로는 출수구가 형성되어 푸시버튼을 잡아당길 때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의 부압(負壓)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또, 실린더 내부로 작동수가 유입되는 오리피스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이 끼워져 피스톤에 의해 눌려 진퇴작동되면서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해 오리피스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좌식 샤워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좌식 샤워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좌식 샤워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좌식 샤워기의 자폐밸브 구조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자폐밸브가 완전히 눌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자폐밸브의 피스톤이 복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통 12 : 급수부
14 : 배수부 20 : 플렉시블관
22 : 직관부 24 : 유연부
26 : 엘보 28 : 너트
30 : 샤워헤드 100 : 온냉수혼합밸브
200 : 자폐밸브 210 : 하우징
220 : 스핀들 230 : 푸시버튼
240 : 복귀스프링 250 : 가이드
260 : 피스톤 262 : 패킹
270 : 실린더 272 : 오리피스
274 : 소직경부 276 : 대직경부
278 : 출수구 280 : 압축코일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의한 좌식 샤워기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좌식 샤워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온냉수 혼합밸브(100)와 자폐밸브(200)가 몸통(10)에 구비된 샤워수전에 있어서, 상기 몸통(10)의 상부에 다각으로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관(20)이 연결되고, 이 플렉시블관(20)의 말단에는 샤워헤드(30)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관(20)은 몸통(10)의 상부에 하단이 결합되는 직관부(22)와 이 직관부(22)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샤워헤드(30)가 부착된 유연부(24)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중 부호 26 및 28은 각각 몸통(10)과 플렉시블관(20)을 연결시키기 위한 엘보와 너트이고, 부호 1,2는 각각 몸통(10)으로 온수와 냉수배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조절아암이다.
상기 몸통(10)으로는 벽체에 매립된 온냉수 배관으로부터 온냉수가 공급되어 몸통(10)의 측부에 구비된 온냉수 혼합밸브(100)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혼합되어 적정온도가 되며, 적정 온도로 조절된 물은 급수부(12)에서 자폐밸브(200)를 거쳐배수부(14)에 연결된 플렉시블관(20)말단의 샤워헤드(30)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플렉시블관(20)은 직관부(22)가 약 20~25cm정도이고, 유연부(24)는 30~50cm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유연부(24)를 구부려 샤워헤드(30)가 지향하는 방향과 각도가 일반 성인이나 어린이가 목욕용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머리를 감거나 기타 신체부위를 샤워할 경우에 모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샤워헤드(30)의 목부분(32)은 유연부(24)에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좌식 샤워기의 자폐밸브 구조를 확대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자폐밸브가 눌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자폐밸브(200)는 몸통(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210)과, 이 하우징(210)을 관통하는 스핀들(220)과, 이 스핀들(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푸시버튼(230)과, 이 푸시버튼(23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240)과,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250)와, 상기 스핀들(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피스톤(260)과, 이 피스톤(260)이 삽입되는 실린더(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면중 부호 252는 가이드(250)의 하부에 부착된 패킹으로 상기 피스톤(260)이 복귀스프링(240)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서 밀착되어 물의 배출을 차단하게 되며, 부호 264 및 266은 각각 스핀들(220)의 하단에 피스톤(260)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와 수밀을 위한 오-링으로 푸시버튼(230)을 눌러 피스톤(260)이 실린더(270)내부로 진입할 경우 실린더(270)내부에 충만되어 있던 작동수가 오-링(266)에 의해막혀 있던 연결구(264)와 피스톤(260)중앙의 관통공 사이의 틈새를 통해 가이드(250)쪽으로 배출됨으로써 피스톤(260)이 실린더(27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중 부호 232는 푸시버튼(230)의 내측에 나사결합된 조절볼트로, 이 조절볼트(232)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푸시버튼(230)의 눌리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자폐시간을 길게 또는 짧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 조절볼트(232)는 푸시버튼(230)의 캡(234)내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는 않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린더(270)의 하단에는 작동수가 유입되는 오리피스(272)가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270)의 내부에는 내부 하측의 직경이 작은 소직경부(274)와 이 소직경부(274)상부에 상기 피스톤(260)의 패킹(262)보다 큰 내경의 대직경부(276)가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부(276)의 외곽으로는 출수구(278)가 형성되어 푸시버튼(230)을 잡아당길 때 피스톤(260)이 실린더(270)내부의 부압(負壓)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오리피스(272)에는 실린더(270)의 내부 바닥에 밀착된 압축코일스프링(280)의 일단이 끼워지고, 이 압축코일스프링(270)의 일단은 실린더(270)의 하부 외측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되며, 실린더(270)내부에서 압축코일스프링(270)이 피스톤(260)에 의해 눌려 진퇴작동되면서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해 오리피스(27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좌식 샤워기에서 자폐밸브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샤워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폐밸브(200)가 페쇄된 상태 즉, 급수부(12)와 배수부(14)간의 연결통로를 막고 있는 자폐밸브(200)의 가이드(250)하부에 부착된 패킹(252)에 피스톤(260)이 복귀스프링(240)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서 밀착되어 물의 배출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실린더(270)내부에는 급수부(12)에서의 물이 오리피스(272)를 통해 유입되어 충만되어 피스톤(260)을 밀어 올린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푸시버튼(230)을 누르게 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220)하단에 부착된 피스톤(260)중앙의 관통공과 연결구(264)사이를 막고 있던 오-링(266)의 수밀상태가 해제되어 즉, 연결구(264)가 눌리면서 오-링(266)에 의해 밀폐된 부분이 개방되면서 실린더(270)내부의 작동수가 외측으로 배출되어 피스톤(260)이 실린더(270)의 내부로 밀려 들어오게 된다.
피스톤(260)이 하강하게 되면 피스톤(260)과 가이드(250)하부의 패킹(252)과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급수부(12)측의 물이 실린더(270)의 측부에 형성된 출수구(278)로 유입되어 스핀들(220)과 가이드(250)사이의 틈새를 거치고 가이드(250)의 측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배출구(254)를 통해 배수부(14)로 배출되어 샤워헤드(30)에서 외부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은 물의 배출은 일정시간동안 지속되다가 스스로 차단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한 물의 배출과 동시에 실린더(270)의 하부에 천공된 오리피스(272)를 통해 작동수가 실린더(27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피스톤(260)을 서서히 밀어 올리게 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가이드(250)하부의 패킹(252)에 밀착되어 폐쇄되기때문이다.
또, 상기 오리피스(272)에는 압축코일스프링(280)이 끼워져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60)이 눌리면서 이 압축코일스프링(280)을 눌러주게 되므로 일종의 핀(pin)역할을 하게 되어 구멍이 작은 오리피스(272)가 수돗물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장시간 사용하지 않다가 다시 사용할 경우에는 푸시버튼(220)을 몇번 반복하여 눌러주면 오리피스(272)가 개방되어 정상적으로 자폐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실린더(270)의 내부가 소직경부(274)와 대직경부(276)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푸시버튼(230)을 눌러 물이 배출되는 도중에 물의 사용이 끝난 경우에는 푸시버튼(230)을 잡아 당기면 피스톤(260)외측의 패킹(262)이 소직경부(264)에서 빠져나와 패킹(262)보다 내경이 큰 대직경부(276)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동수가 오리피스(272)뿐만 아니라 패킹(262)과 대직경부(276)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실린더(270)내부로 급속히 대량으로 유입되므로 실린더(270)내부에 부압이 발생하지 않아 피스톤(260)이 실린더(270)내부로 다시 빨려들어가지 않게 되어 즉시 지수(止水)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물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목욕탕에 설치된 좌식 샤워기를 사용할 때 양 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머리를 감을 수 있고, 벽면에 별도의 샤워헤드 홀더를 부착하지 않고도 샤워헤드를 지지할 수 있으며, 신장이 각기 다른 여러 사람이 자신의 요구에 맞게 샤워헤드의 물 분사각도와 방향을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자폐밸브는 출수도중에라도 물의 사용이 끝난 경우에는 푸시버튼을 외측으로 잡아 당시면 즉시 지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물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작동수가 공급되는 오리피스도 잘 막히지 않으므로 고장발생이 적고 별도의 별도의 유지보수가 필요 없게 되는 등의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온냉수 혼합밸브(100)와 자폐밸브(200)가 몸통(10)에 구비된 샤워수전에 있어서,
    상기 몸통(10)의 상부에 다각으로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관(20)이 연결되고, 이 플렉시블관(20)의 말단에는 샤워헤드(3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샤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20)은 몸통(10)의 상부에 하단이 결합되는 직관부(22)와, 이 직관부(22)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샤워헤드(30)가 부착된 유연부(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샤워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폐밸브(200)는 하우징(210)과, 이 하우징(210)을 관통하는 스핀들(220)과, 이 스핀들(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푸시버튼(230)과, 이 푸시버튼(23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240)과,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250)와, 상기 스핀들(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피스톤(260)과, 이 피스톤(260)이 삽입되는 실린더(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실린더(270)의 하단에는 작동수가 유입되는 오리피스(272)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270)의 내부에는 내부 하측의 직경이 작은 소직경부(274)와 이 소직경부(274)상부에 상기 피스톤(260)의 패킹(262)보다 큰 내경의 대직경부(276)가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부(276)의 외곽으로는 출수구(278)가 형성되어 푸시버튼(230)을 잡아당길 때 피스톤(260)이 실린더(270) 내부의 부압(負壓)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샤워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272)에는 실린더(270)의 내부 바닥에 밀착된 압축코일스프링(280)의 일단이 끼워지고, 이 일단은 실린더(270)의 하부 외측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되며, 실린더(270)내부에서 압축코일스프링(270)이 피스톤(260)에 의해 눌려 진퇴작동되면서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해 오리피스(27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샤워기.
KR20-2004-0019089U 2004-07-05 2004-07-05 좌식 샤워기 KR200362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089U KR200362932Y1 (ko) 2004-07-05 2004-07-05 좌식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089U KR200362932Y1 (ko) 2004-07-05 2004-07-05 좌식 샤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932Y1 true KR200362932Y1 (ko) 2004-09-22

Family

ID=4943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089U KR200362932Y1 (ko) 2004-07-05 2004-07-05 좌식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9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7971B2 (en) 2015-12-17 2021-02-23 Kohler Mira Limited Fauce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7971B2 (en) 2015-12-17 2021-02-23 Kohler Mira Limited Faucets
US11649905B2 (en) 2015-12-17 2023-05-16 Kohler Mira Limited Fauce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8231A (en) Two-stage aerator
US6357057B1 (en) Cleaning and hygienic device
US3577567A (en) Modified multipurpose bidet
US4510630A (en) Mini-bidet
US4383339A (en) Bidet adaptor for toilet
JP3576131B2 (ja) ビデ
US4807311A (en) Bidet attachment for conventional commodes
KR102179943B1 (ko) 세면기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필터 토수구
US5263205A (en) Spray device for toilet
WO2017044846A1 (en) Hygienic toilet with washing and drying means
US6339852B1 (en) Bidet toilet seat
US5142711A (en) Bidet assembly
AU2004271957B2 (en) Lavatory with a removable washing platform
US5309582A (en) Tap water powered water recirculation system
KR200362932Y1 (ko) 좌식 샤워기
KR20120097714A (ko) 수전금구용 양방향 토출 밸브
ES2182635A1 (es) Valvula distribuidora de agua para grifos de baño y ducha.
US5960486A (en) Faucet-like bidet attachment
WO2013139236A1 (zh) 座便器
US5265287A (en) Tap water powered shower water recirculation system
US5146639A (en) Combination bath, shower and bidet spout
KR200375463Y1 (ko) 하나의 핸들로 수온조절과 자폐 및 즉시지수가 가능한욕실·주방용 샤워기
WO1998040649A2 (en) Liquid flow control tap with inexhaustible energy-operated valve
KR100390934B1 (ko) 다기능 절수기기
KR100992711B1 (ko) 샤워기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