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179Y1 -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 - Google Patents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179Y1
KR200462179Y1 KR2020110000575U KR20110000575U KR200462179Y1 KR 200462179 Y1 KR200462179 Y1 KR 200462179Y1 KR 2020110000575 U KR2020110000575 U KR 2020110000575U KR 20110000575 U KR20110000575 U KR 20110000575U KR 200462179 Y1 KR200462179 Y1 KR 200462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road
infrared radiation
radiation unit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472U (ko
Inventor
김송이
Original Assignee
김송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이 filed Critical 김송이
Priority to KR2020110000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17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4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1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람이나 동물에 치명적인 전염병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 및 인체 방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운반 및 설치와 철거가 용이한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는 노상에 안착되며 적외선 방사부(3)가 형성된 받침대(1); 상기 받침대(1)에 설치되어 차량이 통과하는 주행그릴(2); 상기 받침대(1)의 전방에 형성되어 사람에 대한 방역도 병행할 수 있도록 적외선 방사부(42)가 형성된 연장받침대(4); 상기 받침대(1)의 양측에 절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보조 적외선 방사부(52)가 형성된 측판(5); 상기 적외선 방사부(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PREVENTION OF EPIDEMICS APPARATUS FOR ESTABLISHMENT ON THE ROAD}
본 고안은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나 동물에 치명적인 전염병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내,외부 및 인체 방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운반 및 설치와 철거가 용이한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의 발달과 축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대량 소비시대가 맞물리면서 농가에서는 대량으로 가축을 사육하고 있다.
이는 대량 공급의 잇점이 있으나 동물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몰살할 수 밖에 없는 치명적인 약점을 갖고 있다.
근래 위협적인 동물 전염병으로는 구제역, 돼지콜레라, 고병원성 전염병 등이며 발병된 것으로 판명되면 주변 축산농가의 동물은 살처분할 수 밖에 없다.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FMD)이란 국제수역사무국에서 지정한 가축의 A급 전염병(OLE ListA Disease)중 첫째로 꼽히는 악성전염병이며 본래는 소에서 볼수 있는 전염성 질병이지만 돼지나 양 사슴 코끼리 등과 같이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에서 나타나는데 체온의 급격한 상승과, 입 혀 발굽 젖꼭지 등에 물집(수포)이 생기고, 식욕이 떨어져 심하게 앓거나 죽게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돼지콜레라(swine fever)는 제1종 전염병으로 돼지만 자연 간염되는 것으로 전신성, 급성 전염병으로 전염력이 매우 강하고 일단 감염되면 연령에 관계없이 100% 폐사하며, 피부의 암적색 출혈반, 결장의 단추모양 궤양, 출혈성 패혈증이 특징이다.
이러한 구제역이나 돼지 콜레라는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므로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므로 양돈장에 출입하는 차량을 통제하고 부득이 출입할 때는 차량, 손, 신발, 옷 등 의 소독을 철저히 한다.
종래의 기술로는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 도로상에 방역팬스를 설치하고 계속적으로 방제액을 살포하여 이동하는 차량이나 사람에 의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역장치들은 계속적으로 약액을 살포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약액의 양이 많고 이동되는 차량을 방역할 경우에는 양쪽측면에서만 약액이 분사됨으로 차량의 구조상 바닥면과 같은 곳의 실제적인 방제가 되지 않고 토양오염과 수질오염 등의 제2차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방역장치는 차량의 외부 소독은 가능했으나 정작 소독을 해야하는 그 차량의 내부에 대해서는 소독약을 차량 내부로 분사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운전자가 이미 오염된 농가 방문시 많은 균을 발에 묻히고 차량을 운전하기위해 차량 내부로 옮겨지지만 이에 대한 방역작업은 불가능했던 것이다.
또한 차량 뿐만 아니라 사람에 대한 방역 작업도 이루어져야 하나 액상의 소독약을 직접 사람에게 살포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방역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종래에는 소독을 하기위해 소독약품. 수돗물. 약품으로 인한 환경파괴를 유발하고,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며, 겨울철에는 방역장비가 얼어서 그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에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적외선 살균 소독에 의함으로써 주변 오염이나 결빙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차량의 내,외부는 물론 사람에 대한 살균 소독도 거부감 없이 실시할 수 있어 전염병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노상에 안착되며 적외선 방사부가 형성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차량이 통과하는 주행그릴; 상기 받침대의 전방에 형성되어 사람에 대한 방역도 병행할 수 있도록 적외선 방사부가 형성된 연장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양측에 절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보조 적외선 방사부가 형성된 측판; 상기 적외선 방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주행그릴은 받침대의 가이드홈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판은 절첩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판 또는 받침대에는 휴대용 적외선 방사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휴대용 적외선 방사구는 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헤드와, 상기 헤드에 연결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차량 내부의 소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 및 측판에는 약제를 분무할 수 있도록 약제분사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로에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여 신속한 차단 방역이 가능하므로 전염병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적외선 살균 소독에 의함으로써 주변 오염이나 결빙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차량은 물론 사람에 대한 살균 소독도 거부감 없이 수행할 수 있어 전염병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의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의 결합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의 사용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의 "측판"의 절첩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의 "휴대용 적외선 방사구"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의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의 결합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의 사용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의 "측판"의 절첩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의 "휴대용 적외선 방사구"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A)는, 노상에 안착되는 받침대(1); 상기 받침대(1)에 설치되어 차량이 통과하는 주행그릴(2); 상기 받침대(1)의 내부에 다수로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적외선 램프로 구성된 적외선 방사부(3); 상기 적외선 방사부(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기대(11,12)와, 상기 제1 및 제2기대(11,12)을 연결하여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연결대(13)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주행그릴(2)이 장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기대(11,12)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이드홈(16)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기대(11,12)의 가이드홈(16)에 2개의 연결대(13)가 결합된다.
상기 2개의 연결대(13)의 단부에는 롤러(132)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132)가 제1 및 제2기대(11,12)의 가이드홈(16)에 결합됨으로써 가이드홈(16)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연결대(13)의 간격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이 2개의 연결대(13)에 결합되는 복수의 측판(5)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해진다.
즉 소형차에 맞도록 복수의 측판(5)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고, 대형차에 맞도록 복수의 측판(5) 사이의 간격을 넓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방사부(3)는 받침대(1)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적외선 램프로 구성되며, 적외선의 방사에 의해 열을 발생함으로써 차량 하부에 대한 살균 소독을 할 수 있다.
적외선은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에 비해 강한 열작용을 지니고 있어 공업용이나 의료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적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원적외선, 중적외선, 근적외선으로 구분된다.
원적외선(遠赤外線, far infrared ray)은 파장이 25㎛ 이상인 적외선으로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서 눈에 보이지 않고 열작용이 크며 침투력이 강하다. 또,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 작용이 강하다. 이러한 특성을 살려서 다양한 산업, 의료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근적외선(近赤外線, near infrared ray)은 파장이 가장 짧은 적외선이며, 소독이나 멸균, 관절과 근육 치료에 사용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1)의 전,후방에는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이 용이하도록 경사판(20)이 부착된다.
한편 차량의 탑승자가 하차하여 신발 및 의복에 대한 소독까지 실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탑승자가 서서 소독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받침대(1)의 전방에 연장받침대(4)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받침대(4)에 적외선 방사부(42)가 내장되어 사람에 대한 방역도 병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를 구성하는 연결대(13)에는 절첩 가능하도록 측판(5)이 설치되고, 상기 측판(5)에 적외선 방사램프가 다수로 형성되어 보조 적외선 방사부(52)가 더 형성된다.
상기 측판(5)과 받침대(1)는 고정부(6)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6)는 연결대(13)에 부착되며 상기 측판(5)의 측면 하단에 형성된 축핀(51)에 결합되는 제2링크(62); 상기 제2링크(62)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측판(5)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핀(55)에 걸어지는 제1링크(61)로 구성되며, 상기 제2링크(62)에는 상기 축핀(51)이 결합되며 일정 간격 이동될 수 있도록 장홈(6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61)의 상단에는 상기 핀(55)에 걸어지도록 걸고리(61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5)을 접을때는 제1링크(61)의 걸고리(612)를 핀(55)으로부터 분리한 후 연결대(13)를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서 하방으로 회전시켜 접으면 축핀(51)이 장홈(620)을 타고 후진되면서 접히게 된다.
반대로 측판(5)을 펼칠때는 측판(5)을 수직으로 세우면서 연결대(13)를 좌측으로 당겨 이동시키면서 축핀(51)이 장홈(620)을 타고 전진하게 되고, 측판(5)이 수직되게 세워진 상태에서 핀(55)에 제1링크(61)의 걸고리(612)를 걸어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받침대(1) 또는 측판(5)에는 보관대(15)를 형성하고, 상기 보관대(15)에 휴대용 적외선 방사구(8)가 수납된다.
상기 휴대용 적외선 방사구(8)는 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헤드(82)와, 상기 헤드에 연결된 손잡이(84)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84)에는 온/오프 스위치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배터리가 구비된 무선형태이거나 또는 일정 길이의 전원선이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유선형태 중 택일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휴대용 적외선 방사구(8)를 손에 들고, 차량 내부의 시트 및 발판 등에 대해 적외선 방사를 하여 소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1) 및 측판(5)에는 약제를 분무할 수 있도록 약제분사장치(9)가 형성된다.
상기 약제분사장치(9)는 약액통과 호스로 연결되며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분사파이프와, 상기 분사파이프에 고압 공기를 주입하는 콤프레셔로 구성되며, 이는 공지의 기술과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받침대(1)의 제1 및 제2기대(11,12)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한 후 연결대(13)를 결합시켜 직사각형의 틀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주행그릴(2)을 결합시키고, 적외선 램프를 다수로 장착시켜 적외선 방사부(3)를 형성한다.
그리고 받침대(1)의 전방에 연장받침대(4)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받침대(4)에 적외선 방사부(42)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받침대(1)의 양측에 수직으로 측판(5)세운 후 차량이 통과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시켜 본 고안에 따른 방역장치(A)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렇게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방역장치(A)는 측판(5)을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한 후 트럭에 싣고 운반하여 설치되어야 할 장소로 이동한다.
이후 설치할 장소에 도착하면 트럭에서 지게차를 이용하여 하차시킨 후 노상에 받침대(1)를 안착시키고, 측판(5)을 회전시켜 수직되게 배치시킨다.
이후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한 후 스위치를 온(on)시켜 적외선 방사부(3) 및 보조 적외선 방사부(52)를 작동시킨다.
이후 받침대(1)의 전,후방에 경사판(20)을 부착시켜 차량 진입 및 출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렇게 설치 준비가 완료된 후 차량이 받침대(1)의 주행그릴(2)을 타고 진입하여 정차하면, 적외선 방사부(3) 및 보조 적외선 방사부(52)에서 적외선이 방사되어 차량 하부 및 측면에 열을 가하면서 살균 소독이 이루어진다.
통상 구제역 바이러스는 56℃에서 30분, 76℃에서 7초 동안 가열하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열 살균을 위해 약 70~80℃로 가열시키면 약 5초 정도면 사멸시킬 수 있다.
이때 탑승자도 하차하여 받침대(1)의 연장받침대(4)에 서 있으면 적외선 방사부(42)에 의해 의복 및 신발의 살균 소독도 병행할 수 있다.
통상 피부를 노출한 상태에서 70~80℃의 열을 가하면 화상을 입을 수 있지만 신발과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5~10초 정도면 따뜻하다는 것도 못느끼는 정도이므로 화상의 우려는 없다.
한편 휴대용 적외선 방사구(8)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에도 적외선 살균 소독을 수행함으로써 완벽한 살균 소독이 가능해진다.
또한 차량이 진출하기 전에 약제분사장치(9)를 통해 약제가 분사되어 차체에 소독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받침대 2 : 주행그릴
3 : 적외선 방사부 4 : 연장받침대
5 : 측판 6 : 고정부
8 : 휴대용 적외선 방사구 9 : 약제분사장치

Claims (5)

  1. 노상에 안착되며 적외선 방사부(3)가 형성된 받침대(1);
    상기 받침대(1)에 설치되어 차량이 통과하는 주행그릴(2);
    상기 받침대(1)의 전방에 형성되어 사람에 대한 방역도 병행할 수 있도록 적외선 방사부(42)가 형성된 연장받침대(4);
    상기 받침대(1)의 양측에 절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보조 적외선 방사부(52)가 형성된 측판(5);
    상기 적외선 방사부(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그릴(2)은 받침대(1)의 가이드홈(16)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홈(16)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5) 또는 받침대(1)에는 휴대용 적외선 방사구(8)가 구비되고, 상기 휴대용 적외선 방사구(8)는 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헤드(82)와, 상기 헤드에 연결된 손잡이(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5)과 받침대(1)는 고정부(6)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부(6)는 측판(5)의 측면 하단에 형성된 축핀(51)에 결합되는 제2링크(62); 상기 제2링크(62)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측판(5)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핀(55)에 걸어지는 제1링크(61)로 구성되며,
    상기 제2링크(62)에는 상기 축핀(51)이 결합되며 일정 간격 이동될 수 있도록 장홈(6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61)의 상단에는 상기 핀(55)에 걸어지도록 걸고리(6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 및 측판(5)에는 약제를 분무할 수 있도록 약제분사장치(9)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



KR2020110000575U 2011-01-20 2011-01-20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 KR200462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575U KR200462179Y1 (ko) 2011-01-20 2011-01-20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575U KR200462179Y1 (ko) 2011-01-20 2011-01-20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472U KR20120005472U (ko) 2012-07-30
KR200462179Y1 true KR200462179Y1 (ko) 2012-08-28

Family

ID=4687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575U KR200462179Y1 (ko) 2011-01-20 2011-01-20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1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589A (ko) 2020-11-03 2022-05-10 어대영 출입구 방역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090B1 (ko) 2020-04-08 2020-10-06 조광웅 사람을 위한 워킹스루 타입의 자동 기체상 방역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227Y1 (ko) 1998-07-28 2002-08-27 김봉주 농축산용차량의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227Y1 (ko) 1998-07-28 2002-08-27 김봉주 농축산용차량의소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589A (ko) 2020-11-03 2022-05-10 어대영 출입구 방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472U (ko)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1044B1 (en) Station for disinfecting publicly-used equipment
KR101676007B1 (ko) 출입구 방역장치
KR101226907B1 (ko) 대인 소독용 구조물
US98392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eliminating pests
KR101263488B1 (ko) 축산 농장용 소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2050734A (ja) 車両消毒装置
EP2566523B1 (en) Mobile uv sterilization unit for fields and method thereof
JP2007089951A (ja) 車両消毒装置
KR102210813B1 (ko) 실내용 워킹 스루 소독장치
KR101202696B1 (ko) 무인 차량 방역 및 소독, 방제장치
JP5202511B2 (ja) 空中散布装置
KR20090100329A (ko) 살균장치가 장착된 살균처리 부스제작 방법과 그 이용 방법
KR200462179Y1 (ko) 노상 설치용 방역장치
KR20120106417A (ko) 차량용 살균 소독장치
KR200412937Y1 (ko) 차량용 방역 방제 장치
KR20120005478U (ko)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대인 소독기
CN210822167U (zh) 一体化车辆消洗烘干房
US20200230272A1 (en) Iv pole isolation and cleaning devices and methods
KR101335703B1 (ko) 축사용 소독장치
EP3928801A1 (en) Fogging system for dry-mist disinfection
KR200426978Y1 (ko) 카트 살균장치
KR101165191B1 (ko) 소독액 무화 분사장치의 분사구
KR200456038Y1 (ko) 차량에 구비된 방역 및 소독장치
KR20130091883A (ko) 소독액 분무장치
KR20140002307U (ko) 자외선과 약품 병용 차량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